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Startup Series Part 2-
[주종익의“How To” Startup # 3] Business Model
1. What
우리 삶의 대부분은 매일 매일 출제되는 인생의 문제를 푸는 일이다.
따라서 인생은 달리 말하면 문제집의 문제를 평생 풀어나가는 것이다.
인류의 역사는 문제를 잘 풀어나간 사람들의 역사이다.
이제까지 출제된 문제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한눈에 볼 수 있게 누군가
만들었다면 최고의 Best Seller 가 되었을 것이다.
“Plan”이란 단어의 어원은 지도나 사진과 같이 평평한 평면에 무언가를
묘사한다는 뜻에서 왔다.
이렇듯이 평평한 표면을 라틴어로 “Planum”이라 하며 여기서 Planning 이란
말이 나왔다. 무언가 잘 풀리지 안는 문제가 있을 때 인간들은 평평한 판때기
위에 문제점을 일목요연하게 요약하여 한눈에 들어오는 그림 같은 것을
만들어 내려는 노력을 하였다. 이것이 Business Model 개념의 출발점 이다
Business Plan 은 회사 경영의 중요한 내용을 Text 위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문서이다.
Business model 은 Business plan 의 핵심 요소이다. 대기업에서는 business
plan 을 만들지만 Startup 은 Business Model 이 면 된다.
이와 같이 Startup 을 어떻게 잘 운영 할 것인가를 한 장의 판때기 (Canvas)
위에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이 Business Model Canvas 이다.
누구에게/무엇을/어떤 자원을 이용하여 만들어서/어떻게/얼마만큼/팔아서
/이익을 얼마만큼 남길 것인가를 한 장의 표에 만든 것이 Business Model
Canvas 다.
Business Model Canvas 를 만든 Alexander Osterwaler 나 Customer
Development 이론을 개발한 Steve blank 등이 그래도 가장 이 분야의
선구자들이기 때문에 이들을 중심으로 설명을 진행 하려고 한다.
2. Business Model 로 모든 일 끝내라
Startup Founder 는 Business Model 의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Business Model 하나로 모든 것을 끝내라 목표와 전략도 이것으로
수립하고 회의도 이것으로 하고 일의 진행 사항과 결과도 이것으로 평가하고
VC 앞에서 Pitch 도 이것으로 하고 경진대회 신청서도 이것으로 쓰고 모든
의사 결정도 이것을 기준으로 하라.
검증-수정-검증-수정의 과정을 10 회이상 진행 하여 얻어진 변화된 Business
Model 을 순서대로 벽에 붙여놓고 우리의 Business Model 이 어떻게
변경되어왔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우리의 대응 책은 무엇인지 Team 원들과
밤새도록 토론하라 그러면 성공은 눈 앞에 있게 된다.
3. “Belief”의 세계에서 “It is”의 세계로
It is 는 “~이다”의 세계다. 진리는 “~이다”의 세계다.
종교의 세계는 믿음의 세계이다. 지난 1500 년동안 종교의 세계를 It is 의
세계임을 증명하기 위해 수없이 많은 노력을 하였으나 믿음은 It is 가 될 수
없음을 오캄(William Occam)이 선언한 이후로 종교는 믿음의 세계로 남게
되었다. 하느님은 믿음이다. Business 와 종교는 다른 것이다.
Business Model 은 시작할 때는 Belief 의 세계다. 항상 내 생각이 옳다고 믿는
믿음으로 출발한다. 백발백중 실패다. 고객의 생각과 나의 생각이 일치할 때
비로서 진리의 세계로 접근하게 된다. Business Model 을 It is 의 세계로 만들라.
Business Model 은 가정의 세계다. 가정을 수 많은 검증을 통해서 It is 의
세계로 무한이 접근할 때 성공이 손끝에 닿을 것이다.
4. 9 Block 의 기본 구조
9 Block Business Model 은 Out Bound 와 In Bound 의 구조로 되어있다.
9 Block 의 Value Proposition 을 중심으로 오른쪽부분은 Outbound 고 왼쪽은
In Bound 의 구조로 되어있다. 이것만 알고 있어도 전체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훨씬 수월하다.
Value Proposition 은 제품으로 (Product) 그 가치를 표시한다.
In bound 요소들은 Product 를 만들기 위한 요소들이다. Out Bound 요소들은
만들어진 Product 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요소들이다.
따라서 In Bound 요소 보다는 Out bound 요소들이 훨씬 중요하고 Out Bound
요소들만 잘 이해하면 In Bound 요소들은 비교적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다.
억지로 중요도를 나눈다면 나는 Out bound 70% in Bound 30%로 중요도를
주고 싶다. 왜냐하면 Out Bound 는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요소가 없는 반면
In Bound 는 내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는 요소들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
공부 할 때도 이런 비율로 Out Bound 요소들을 이해하는데 시간을 많이
할애하기 바란다. 물론 In Bound Out Bound 요소로 나눈 것도 나의 생각이고
70:30 도 나의 생각이니 생각이 다른 사람은 달리 생각해도 좋다.
5. Product/Market Fit
Solution/Problem Fit
MVP/Archetype (Persona)
9 Block 의 각 요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모두 다 언급할 수 없으니
별도의 공부를 하기 바란다. 그러나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Out Bound 의
요소 중에 몇 가지 핵심 개념만 생각해보도록 하겠다.
뭐니뭐니해도 9 Block 에서는 Customer Segmentation 과 Value Proposition 이
제일 중요하다. 어쩌면 전부 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누구에게(Customer Segmentation) 무엇을 (Value Proposition) 팔 것인가는
Business 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시장 이나 고객이 원하고 필요로 하고 요구하는 물건을 만들어야 한다. 내가
좋아하는 물건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이것을 Product/Market Fit 라한다.
고객이 뭘 원하는지 어떠한 불편을 겪고 있는지 무엇을 주면 기뻐하고
즐거워하고 행복해 하는지를 파악하여 해결해준다는 뜻에서 Problem/Solution
Fit 이라고도 한다.
당연히 problem 은 Customer Segmentation 항목이다. 다른 표현으로 하면
Problem 은 Pain(고통) 이고 Solution 은 Pain Killer 이다. 두통을 해결하는 것은
아스피린이다. 비타민을 가져다 주면 두통이 사라지지 않는다.
많은 Startup 들이 비타민을 들고 와서 아스피린이라고 우기고 있다.
내가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가치를 구체적인 실체로 만든 것이 제품
(Product)이다. 이 제품을 만들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가 MVP 이다.
최소한의 기능을 가진 물건이다. MVP 의 목적은 나의 생각과 고객의 생각이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시제품(sample)과 같이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혼동하지 말기 바란다.
Customer Segmentation 에서는 나의 고객이 과연 누구인가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고객을 만족시킬 제품과 전략을 수립 하게 된다.
이때 고객을 잘 관찰하고 나의 고객에 대한 명세서를 만들고 이 명세서에
적합한 물건을 모든 Team 원이 만들어야 한다. 이 고객 명세서를 Archetype
또는 Persona 라한다.
그래서 Value Proposition 은 MVP 를 만드는 과정이고 Customer Segmentation
은 Archetype 을 만드는 과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요약하면 Value Proposition=Product/Solution/MVP/Pain Killer/아스피린
/의사이고 Customer Segmentation 은 Market/Problem/Archetype /Pain
/두통/환자 이다
9 Block 을 만들 때 어느 요소부터 시작을 하는 것이 좋으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R&D 기술이 중시되는 경우에는 Vale Proposition Customer
Segmentation 순서로 시작을 하고 고객과 시장이 중시되는 일반적인 경우는
보통 Customer Segmentation 그 다음에 Value Proposition 을 작성하는 것이
좋다.
6. Get/Keep/Grow
제품이 만들어 지면 고객에게 알리고 고객을 끌어들여 고객의 숫자를
Zero 에서 Many 로 만드는 일이 중요한 일이다.
이 부분에 관한 요소가 Customer relationships 이다.
고객을 Zero 에서 Many 로 만드는 과정은 4 단계이다. 1. 알리고 2. 고객을
끌어들이고(Get) 3. 한번 끌어들인 고객은 유지하고(Keep) 4. 고객을 유지
하는데 그치지 않고 확대시키는(Grow) 4 개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Get/Keep/Grow 에 관련된 여러 가지 수단을 고민하고 연구하는 요소가
Customer Relationships 이며 특히 최근의 거의 모든 Startup 의 제품은
Web/Mobile 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Web/Mobile 분야의 Get/Keep/Grow 에
관련된 Web/Mobile Analysis(분석)도구 들도 공부하여야 한다.
특히 AARRR 분석 또한 거의 필수적인 항목이다
7. Freemium/Multi Sided Market
최근의 SNS 기반의 Marketing 기법들은 과거 경영학이나 MBA 에서 배운
Marketing 방법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그 중에도 가장 황당한 것 중에
하나가 Viral Marketing 이고 공짜가 대박을 낸다는 사고 방식이다.
신문이나 방송에 광고를 하나도 하지 않고도 천문학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Marketing 이 Viral marketing 이다. 마치 바이러스가 퍼져나가는 것과
같이 순 식간에 퍼져나가는 입 소문 마케팅은 그 위력이 대단하다.
한 사람이 100 명에게 SNS 를 보낸다고 가정하면 4 단계만 거치면 1 억명에게
전달 되는 효과가 있다. 방송광고로 천문학적 돈을 쓰는 것보다도 위력이 더
크다.
더욱더 황당한 것은 공짜가 대박을 친다는 사고 방식이다. 공짜의 Free 와
Premium 을 합성하여 Freemium 이라 한다. 우리가 매일 매일 쓰고 있는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등 어느 하나 돈을 내고 사용하지
않는다. 모두 공짜다. 돈을 내는 사람은 따로 있다. 과거에는 돈을 내고
물건을 사는 사람과 사용자가 동일인 이었다. 그러나 카카오톡은 돈을 내는
사람은 광고주이고 사용자는 일반 Application 사용자다. 공짜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렇게 사용자에게 공짜로 자기의 상품을 제공한 페이스북 카카오톡
구글 트위터는 세계최고의 기업이 되었다. 공짜가 대박을 안겨준 것이다.
할 수만 있으면 공짜로 먼저 주라 그러면 그 공짜가 어마어마한 배수로 돈을
벌어 줄 것이다. 깊이 연구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User 와 Payer 가 따로 존재하는 시장 구조를 Multi Sided Market
이라 한다.
User 와 Payer 가 단순히 하나씩 있을 때는 Dual Sided Market 이고 둘 이상이
될 때를 Multi Sided Market 이라 한다.
SNS Marketing 은 이와 같이 매력적인 Marketing 방법이므로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이용하면 좋겠다.
Viral 지수(Coefficient)가 1 보다 크면 성공(대박) 하지만 0.99 만 되어도 망하게
된다. 0.01 이란 작은 숫자가 무슨 의미를 말하는지 잘 이해 하여야 한다.
바이럴 지수가 1 이면 45 도 기울기의 성장 율이 되지만 1.1 만 되어도 Hockey
Stick 모양의 Exponential 커브가 된다. 잘 이해가 안되는 분은 다른 책에서
도움 받기 바란다
8. Positioning
Startup 을 하고 싶은 사람은 반드시 회사의 Positing 뿐만아니라 제품의
Positioning 에 대한 깊은 생각이 있어야 한다.
자동차에는 Mercedes Benz, BMW, Rolls-Royce 와 같은 차도 있고 Toyota 와
같은 차도 있고 현대 기아와 같은 자동차도 있다. 우리가 느끼는 자동차에
대한 생각이 다르고 그 회사의 이미지가 다르다. 이것이 일종의 Position 이다.
나의 Startup 이 어떤 회사의 이미지와 어떤 이미지의 제품을 생산하여
고객에게 어떤 의미의 회사로 보여지기를 바라는지에 따라 회사의 경영과
제품이 달라 진다. Customer Segmentation 을 할 때 중요한 요소이다.
9. DAC
Business Model 에서는 Business 의 요소를 9 개로 제한하다 보니 몇 가지
부족한 점을 보완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가능하면 9 Block 과 같은
형태를 취하는 것이 좋을 뜻하여 9 Block 과 비슷한 모양을 띄는 DAC(Domain
Attractiveness Canvas)를 만들었다
내가 하고자 하는 업종(Domain)이 얼마나 매력적인가를 점검해보는 Canvas다.
연애도 상대방이 매력 있는 애인일 때 할만한 가치가 있다.
매력이 없는 Business 를 열심히 Business Model 을 만들고 검증을 하고
MVP 만들고 부산을 떨어봐야 결국 의미가 없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된다면 엄청난 손실이다.
DAC 모든 요소를 잘 검토한 후에 Business Model 로 정하여야 되겠지만 그
중에도 Market Size/Market Type/Market Growth/진입장벽/규제/경쟁 관계 등은
세심히 드려다 보아야 한다. 요즈음 그렇게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우버”
가 국가간의 규제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여 곤혹을 치르고 있다. 특히 Trade
Off(공유경제와 같은 한쪽이 이득을 보면 한쪽이 손해를 보는)관계일 때는
반드시 손해 보는 쪽에 대한 세심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물론 Business
Model 의 내용과 중복되는 면이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으나 별도로 DAC 를
검토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More Related Content

PDF
원지현 Frograms - 초기 스타트업의 팀과 제품에 대한 생각들
PDF
비즈니스모델 젠 철학적 배경 (Philosophy Book)
PDF
How to startup 04 customer
PDF
Bmg 4.0 cartoon version for junior&senior
PDF
협동조합 비즈니스용 비즈니스모델 Zen 워크시트 (공개용)
PDF
Business Model Game_Version 4.5
PDF
비지니스 모델 카툰 Business model cartoon kit - manual 1.8v
PDF
기술창업자를 위한 비지니스 모델 개발 워크북 3.1 - 기업가정신 문화센터
원지현 Frograms - 초기 스타트업의 팀과 제품에 대한 생각들
비즈니스모델 젠 철학적 배경 (Philosophy Book)
How to startup 04 customer
Bmg 4.0 cartoon version for junior&senior
협동조합 비즈니스용 비즈니스모델 Zen 워크시트 (공개용)
Business Model Game_Version 4.5
비지니스 모델 카툰 Business model cartoon kit - manual 1.8v
기술창업자를 위한 비지니스 모델 개발 워크북 3.1 - 기업가정신 문화센터

What's hot (15)

PDF
[비지니스 모델 워크북-인쇄용 ver3.2] - 기업가정신문화센터
PDF
프리토타이핑 - 완벽한 우리의 아이디어, 시장에서 바로 테스트하기
PDF
브랜드시스템디자인
PDF
공유경제 시작학교 워크북
PDF
비즈니스모델 젠 (Business Model Zen) 소개
PDF
How to startup 02- 5factors
PDF
린 스타트업 - 기술창업 워크북 Ver2.5 - 기업가정신 문화센터
PDF
기업가정신과 혁신
PDF
01 첫 번째_모임
PDF
비즈니스모델 차별화 전략 (What to Differentiate)
PPT
일본전산이야기
PPTX
BM 발굴 프로젝트 - [제1편] 없던 것을 찾아라
PPTX
BM 발굴 프로젝트 - 비즈니스 모델편(개인 비즈니스 모델 포함)
PDF
B camp brochure v1-final version
PDF
Mvp kickstart tool kits 1.3
[비지니스 모델 워크북-인쇄용 ver3.2] - 기업가정신문화센터
프리토타이핑 - 완벽한 우리의 아이디어, 시장에서 바로 테스트하기
브랜드시스템디자인
공유경제 시작학교 워크북
비즈니스모델 젠 (Business Model Zen) 소개
How to startup 02- 5factors
린 스타트업 - 기술창업 워크북 Ver2.5 - 기업가정신 문화센터
기업가정신과 혁신
01 첫 번째_모임
비즈니스모델 차별화 전략 (What to Differentiate)
일본전산이야기
BM 발굴 프로젝트 - [제1편] 없던 것을 찾아라
BM 발굴 프로젝트 - 비즈니스 모델편(개인 비즈니스 모델 포함)
B camp brochure v1-final version
Mvp kickstart tool kits 1.3
Ad

Viewers also liked (18)

PDF
[Stp] 크라운 해태제과
PDF
[FeverStudio] 에브리타운 확장 전략 : "멀티 플랫폼, 디바이스를 넘어서!"
PDF
Conference Link mini_Session1
PPTX
[오픈컨텐츠랩] 에너지 국제개발협력 비즈니스 과정 (아이브릿지)
PPTX
Problem statement
PPTX
캔버스
PPTX
4조 8월활동미션
PDF
How to start a startup 1-10강
PPTX
[STP] 'Market O'
PDF
플랫폼 강의 노트 Lecture 05
PDF
나와 “상관 있는” 범죄 이야기 @강은경 경찰청 과학수사센터 경감
PPTX
"The problem is we don't understand the problem": Problem Framing as a tool t...
PPTX
PLM and ESE
PDF
[작가와의 산책 : 지금 당장 마케팅 공부하라(구자룡 저, 한빛비즈)] 특강 강의 자료
PPSX
Problem Statement 06 BENEFICIARY - Who exactly will benefit from the proposal
PDF
BMGEN talk in Korea
PDF
Blue ocean strategy
PDF
비즈니스모델캔버스 활용 Fin 2014_0508
[Stp] 크라운 해태제과
[FeverStudio] 에브리타운 확장 전략 : "멀티 플랫폼, 디바이스를 넘어서!"
Conference Link mini_Session1
[오픈컨텐츠랩] 에너지 국제개발협력 비즈니스 과정 (아이브릿지)
Problem statement
캔버스
4조 8월활동미션
How to start a startup 1-10강
[STP] 'Market O'
플랫폼 강의 노트 Lecture 05
나와 “상관 있는” 범죄 이야기 @강은경 경찰청 과학수사센터 경감
"The problem is we don't understand the problem": Problem Framing as a tool t...
PLM and ESE
[작가와의 산책 : 지금 당장 마케팅 공부하라(구자룡 저, 한빛비즈)] 특강 강의 자료
Problem Statement 06 BENEFICIARY - Who exactly will benefit from the proposal
BMGEN talk in Korea
Blue ocean strategy
비즈니스모델캔버스 활용 Fin 2014_0508
Ad

Similar to How to startup# 03 business model (20)

PPTX
reinventing your business model
PDF
startup is not business plan-7
PPTX
비즈니스모델강의자료
PDF
[비즈니스 모델 디자인과 린스타트업 활동] 2주차.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PPTX
[창업에듀]05. 비즈니스모델 놓쳐서는 안 되는 비즈니스모델 점검 핵심
PPTX
09. 놓쳐서는 안 되는 비즈니스모델 점검 핵심
PDF
[2013년 9월 24일] 중소기업의 비즈니스모델 혁신
PDF
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1
PDF
2강. 아이디어 검증과 커뮤니티 참여
PDF
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2
PDF
What is business model?-비즈니스 모델이란?
PDF
개발자, 창업을 꿈꾸다 - 쫄지마창업스쿨 2015 시즌1
PDF
Business model
PPT
20061130 Business Model의 이해와 활용(2)
PDF
BMI (Business Model Innovation)
PDF
[창업&예비창업자] 소자본 창업 성공 전략
PDF
Idea to-business-process-3
PDF
린분석 with 레진코믹스 ( Lean Analytics with Lezhin Comics )
PPTX
융합의학 서비스디자인 / 비즈니스 모델링
PDF
[창업자&예비창업자] SWOT분석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검증
reinventing your business model
startup is not business plan-7
비즈니스모델강의자료
[비즈니스 모델 디자인과 린스타트업 활동] 2주차.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창업에듀]05. 비즈니스모델 놓쳐서는 안 되는 비즈니스모델 점검 핵심
09. 놓쳐서는 안 되는 비즈니스모델 점검 핵심
[2013년 9월 24일] 중소기업의 비즈니스모델 혁신
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1
2강. 아이디어 검증과 커뮤니티 참여
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2
What is business model?-비즈니스 모델이란?
개발자, 창업을 꿈꾸다 - 쫄지마창업스쿨 2015 시즌1
Business model
20061130 Business Model의 이해와 활용(2)
BMI (Business Model Innovation)
[창업&예비창업자] 소자본 창업 성공 전략
Idea to-business-process-3
린분석 with 레진코믹스 ( Lean Analytics with Lezhin Comics )
융합의학 서비스디자인 / 비즈니스 모델링
[창업자&예비창업자] SWOT분석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검증

More from 종익 주 (15)

PDF
How to startup 10 aufheben(지양)
PDF
How to startup 09 scale
PDF
How to startup 08 growth
PDF
How to startup 07 analysis
PDF
How to startup 06 workaholic
PDF
How to startup 05 product
PDF
How to startup 01 mind set
PDF
Startup is "Not 학문(Academic)"-10
PDF
Startup is "Not Opinion Driven"-9
PDF
Startup is "Not Management"-8
PDF
Startup is not a club-6
PDF
Startup is not 형식-5
PDF
Startup is Not 대기업 축소판-4
PDF
startup is not Idea-3
PDF
Startup is not 창업-2
How to startup 10 aufheben(지양)
How to startup 09 scale
How to startup 08 growth
How to startup 07 analysis
How to startup 06 workaholic
How to startup 05 product
How to startup 01 mind set
Startup is "Not 학문(Academic)"-10
Startup is "Not Opinion Driven"-9
Startup is "Not Management"-8
Startup is not a club-6
Startup is not 형식-5
Startup is Not 대기업 축소판-4
startup is not Idea-3
Startup is not 창업-2

How to startup# 03 business model

  • 1. -Startup Series Part 2- [주종익의“How To” Startup # 3] Business Model 1. What 우리 삶의 대부분은 매일 매일 출제되는 인생의 문제를 푸는 일이다. 따라서 인생은 달리 말하면 문제집의 문제를 평생 풀어나가는 것이다. 인류의 역사는 문제를 잘 풀어나간 사람들의 역사이다. 이제까지 출제된 문제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한눈에 볼 수 있게 누군가 만들었다면 최고의 Best Seller 가 되었을 것이다. “Plan”이란 단어의 어원은 지도나 사진과 같이 평평한 평면에 무언가를 묘사한다는 뜻에서 왔다. 이렇듯이 평평한 표면을 라틴어로 “Planum”이라 하며 여기서 Planning 이란 말이 나왔다. 무언가 잘 풀리지 안는 문제가 있을 때 인간들은 평평한 판때기 위에 문제점을 일목요연하게 요약하여 한눈에 들어오는 그림 같은 것을 만들어 내려는 노력을 하였다. 이것이 Business Model 개념의 출발점 이다 Business Plan 은 회사 경영의 중요한 내용을 Text 위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문서이다. Business model 은 Business plan 의 핵심 요소이다. 대기업에서는 business plan 을 만들지만 Startup 은 Business Model 이 면 된다. 이와 같이 Startup 을 어떻게 잘 운영 할 것인가를 한 장의 판때기 (Canvas) 위에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이 Business Model Canvas 이다. 누구에게/무엇을/어떤 자원을 이용하여 만들어서/어떻게/얼마만큼/팔아서 /이익을 얼마만큼 남길 것인가를 한 장의 표에 만든 것이 Business Model Canvas 다.
  • 2. Business Model Canvas 를 만든 Alexander Osterwaler 나 Customer Development 이론을 개발한 Steve blank 등이 그래도 가장 이 분야의 선구자들이기 때문에 이들을 중심으로 설명을 진행 하려고 한다.
  • 3. 2. Business Model 로 모든 일 끝내라 Startup Founder 는 Business Model 의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Business Model 하나로 모든 것을 끝내라 목표와 전략도 이것으로 수립하고 회의도 이것으로 하고 일의 진행 사항과 결과도 이것으로 평가하고 VC 앞에서 Pitch 도 이것으로 하고 경진대회 신청서도 이것으로 쓰고 모든 의사 결정도 이것을 기준으로 하라. 검증-수정-검증-수정의 과정을 10 회이상 진행 하여 얻어진 변화된 Business Model 을 순서대로 벽에 붙여놓고 우리의 Business Model 이 어떻게 변경되어왔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우리의 대응 책은 무엇인지 Team 원들과 밤새도록 토론하라 그러면 성공은 눈 앞에 있게 된다. 3. “Belief”의 세계에서 “It is”의 세계로 It is 는 “~이다”의 세계다. 진리는 “~이다”의 세계다. 종교의 세계는 믿음의 세계이다. 지난 1500 년동안 종교의 세계를 It is 의 세계임을 증명하기 위해 수없이 많은 노력을 하였으나 믿음은 It is 가 될 수 없음을 오캄(William Occam)이 선언한 이후로 종교는 믿음의 세계로 남게 되었다. 하느님은 믿음이다. Business 와 종교는 다른 것이다. Business Model 은 시작할 때는 Belief 의 세계다. 항상 내 생각이 옳다고 믿는 믿음으로 출발한다. 백발백중 실패다. 고객의 생각과 나의 생각이 일치할 때 비로서 진리의 세계로 접근하게 된다. Business Model 을 It is 의 세계로 만들라. Business Model 은 가정의 세계다. 가정을 수 많은 검증을 통해서 It is 의 세계로 무한이 접근할 때 성공이 손끝에 닿을 것이다. 4. 9 Block 의 기본 구조 9 Block Business Model 은 Out Bound 와 In Bound 의 구조로 되어있다. 9 Block 의 Value Proposition 을 중심으로 오른쪽부분은 Outbound 고 왼쪽은 In Bound 의 구조로 되어있다. 이것만 알고 있어도 전체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 4. 훨씬 수월하다. Value Proposition 은 제품으로 (Product) 그 가치를 표시한다. In bound 요소들은 Product 를 만들기 위한 요소들이다. Out Bound 요소들은 만들어진 Product 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요소들이다. 따라서 In Bound 요소 보다는 Out bound 요소들이 훨씬 중요하고 Out Bound 요소들만 잘 이해하면 In Bound 요소들은 비교적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다. 억지로 중요도를 나눈다면 나는 Out bound 70% in Bound 30%로 중요도를 주고 싶다. 왜냐하면 Out Bound 는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요소가 없는 반면 In Bound 는 내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는 요소들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 공부 할 때도 이런 비율로 Out Bound 요소들을 이해하는데 시간을 많이 할애하기 바란다. 물론 In Bound Out Bound 요소로 나눈 것도 나의 생각이고 70:30 도 나의 생각이니 생각이 다른 사람은 달리 생각해도 좋다. 5. Product/Market Fit Solution/Problem Fit MVP/Archetype (Persona)
  • 5. 9 Block 의 각 요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모두 다 언급할 수 없으니 별도의 공부를 하기 바란다. 그러나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Out Bound 의 요소 중에 몇 가지 핵심 개념만 생각해보도록 하겠다. 뭐니뭐니해도 9 Block 에서는 Customer Segmentation 과 Value Proposition 이 제일 중요하다. 어쩌면 전부 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누구에게(Customer Segmentation) 무엇을 (Value Proposition) 팔 것인가는 Business 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시장 이나 고객이 원하고 필요로 하고 요구하는 물건을 만들어야 한다. 내가 좋아하는 물건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이것을 Product/Market Fit 라한다. 고객이 뭘 원하는지 어떠한 불편을 겪고 있는지 무엇을 주면 기뻐하고 즐거워하고 행복해 하는지를 파악하여 해결해준다는 뜻에서 Problem/Solution Fit 이라고도 한다. 당연히 problem 은 Customer Segmentation 항목이다. 다른 표현으로 하면 Problem 은 Pain(고통) 이고 Solution 은 Pain Killer 이다. 두통을 해결하는 것은 아스피린이다. 비타민을 가져다 주면 두통이 사라지지 않는다. 많은 Startup 들이 비타민을 들고 와서 아스피린이라고 우기고 있다. 내가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가치를 구체적인 실체로 만든 것이 제품 (Product)이다. 이 제품을 만들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가 MVP 이다. 최소한의 기능을 가진 물건이다. MVP 의 목적은 나의 생각과 고객의 생각이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시제품(sample)과 같이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혼동하지 말기 바란다. Customer Segmentation 에서는 나의 고객이 과연 누구인가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고객을 만족시킬 제품과 전략을 수립 하게 된다. 이때 고객을 잘 관찰하고 나의 고객에 대한 명세서를 만들고 이 명세서에 적합한 물건을 모든 Team 원이 만들어야 한다. 이 고객 명세서를 Archetype 또는 Persona 라한다. 그래서 Value Proposition 은 MVP 를 만드는 과정이고 Customer Segmentation 은 Archetype 을 만드는 과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 6. 요약하면 Value Proposition=Product/Solution/MVP/Pain Killer/아스피린 /의사이고 Customer Segmentation 은 Market/Problem/Archetype /Pain /두통/환자 이다 9 Block 을 만들 때 어느 요소부터 시작을 하는 것이 좋으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R&D 기술이 중시되는 경우에는 Vale Proposition Customer Segmentation 순서로 시작을 하고 고객과 시장이 중시되는 일반적인 경우는 보통 Customer Segmentation 그 다음에 Value Proposition 을 작성하는 것이 좋다. 6. Get/Keep/Grow
  • 7. 제품이 만들어 지면 고객에게 알리고 고객을 끌어들여 고객의 숫자를 Zero 에서 Many 로 만드는 일이 중요한 일이다. 이 부분에 관한 요소가 Customer relationships 이다. 고객을 Zero 에서 Many 로 만드는 과정은 4 단계이다. 1. 알리고 2. 고객을 끌어들이고(Get) 3. 한번 끌어들인 고객은 유지하고(Keep) 4. 고객을 유지 하는데 그치지 않고 확대시키는(Grow) 4 개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Get/Keep/Grow 에 관련된 여러 가지 수단을 고민하고 연구하는 요소가 Customer Relationships 이며 특히 최근의 거의 모든 Startup 의 제품은 Web/Mobile 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Web/Mobile 분야의 Get/Keep/Grow 에 관련된 Web/Mobile Analysis(분석)도구 들도 공부하여야 한다. 특히 AARRR 분석 또한 거의 필수적인 항목이다
  • 8. 7. Freemium/Multi Sided Market 최근의 SNS 기반의 Marketing 기법들은 과거 경영학이나 MBA 에서 배운 Marketing 방법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그 중에도 가장 황당한 것 중에 하나가 Viral Marketing 이고 공짜가 대박을 낸다는 사고 방식이다. 신문이나 방송에 광고를 하나도 하지 않고도 천문학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Marketing 이 Viral marketing 이다. 마치 바이러스가 퍼져나가는 것과 같이 순 식간에 퍼져나가는 입 소문 마케팅은 그 위력이 대단하다. 한 사람이 100 명에게 SNS 를 보낸다고 가정하면 4 단계만 거치면 1 억명에게 전달 되는 효과가 있다. 방송광고로 천문학적 돈을 쓰는 것보다도 위력이 더 크다. 더욱더 황당한 것은 공짜가 대박을 친다는 사고 방식이다. 공짜의 Free 와 Premium 을 합성하여 Freemium 이라 한다. 우리가 매일 매일 쓰고 있는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등 어느 하나 돈을 내고 사용하지 않는다. 모두 공짜다. 돈을 내는 사람은 따로 있다. 과거에는 돈을 내고 물건을 사는 사람과 사용자가 동일인 이었다. 그러나 카카오톡은 돈을 내는 사람은 광고주이고 사용자는 일반 Application 사용자다. 공짜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렇게 사용자에게 공짜로 자기의 상품을 제공한 페이스북 카카오톡 구글 트위터는 세계최고의 기업이 되었다. 공짜가 대박을 안겨준 것이다.
  • 9. 할 수만 있으면 공짜로 먼저 주라 그러면 그 공짜가 어마어마한 배수로 돈을 벌어 줄 것이다. 깊이 연구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User 와 Payer 가 따로 존재하는 시장 구조를 Multi Sided Market 이라 한다. User 와 Payer 가 단순히 하나씩 있을 때는 Dual Sided Market 이고 둘 이상이 될 때를 Multi Sided Market 이라 한다. SNS Marketing 은 이와 같이 매력적인 Marketing 방법이므로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이용하면 좋겠다. Viral 지수(Coefficient)가 1 보다 크면 성공(대박) 하지만 0.99 만 되어도 망하게 된다. 0.01 이란 작은 숫자가 무슨 의미를 말하는지 잘 이해 하여야 한다. 바이럴 지수가 1 이면 45 도 기울기의 성장 율이 되지만 1.1 만 되어도 Hockey Stick 모양의 Exponential 커브가 된다. 잘 이해가 안되는 분은 다른 책에서 도움 받기 바란다 8. Positioning Startup 을 하고 싶은 사람은 반드시 회사의 Positing 뿐만아니라 제품의 Positioning 에 대한 깊은 생각이 있어야 한다. 자동차에는 Mercedes Benz, BMW, Rolls-Royce 와 같은 차도 있고 Toyota 와 같은 차도 있고 현대 기아와 같은 자동차도 있다. 우리가 느끼는 자동차에 대한 생각이 다르고 그 회사의 이미지가 다르다. 이것이 일종의 Position 이다. 나의 Startup 이 어떤 회사의 이미지와 어떤 이미지의 제품을 생산하여 고객에게 어떤 의미의 회사로 보여지기를 바라는지에 따라 회사의 경영과 제품이 달라 진다. Customer Segmentation 을 할 때 중요한 요소이다.
  • 10. 9. DAC Business Model 에서는 Business 의 요소를 9 개로 제한하다 보니 몇 가지 부족한 점을 보완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가능하면 9 Block 과 같은 형태를 취하는 것이 좋을 뜻하여 9 Block 과 비슷한 모양을 띄는 DAC(Domain Attractiveness Canvas)를 만들었다 내가 하고자 하는 업종(Domain)이 얼마나 매력적인가를 점검해보는 Canvas다. 연애도 상대방이 매력 있는 애인일 때 할만한 가치가 있다. 매력이 없는 Business 를 열심히 Business Model 을 만들고 검증을 하고 MVP 만들고 부산을 떨어봐야 결국 의미가 없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된다면 엄청난 손실이다. DAC 모든 요소를 잘 검토한 후에 Business Model 로 정하여야 되겠지만 그 중에도 Market Size/Market Type/Market Growth/진입장벽/규제/경쟁 관계 등은 세심히 드려다 보아야 한다. 요즈음 그렇게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우버” 가 국가간의 규제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여 곤혹을 치르고 있다. 특히 Trade Off(공유경제와 같은 한쪽이 이득을 보면 한쪽이 손해를 보는)관계일 때는 반드시 손해 보는 쪽에 대한 세심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물론 Business Model 의 내용과 중복되는 면이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으나 별도로 DAC 를 검토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