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2. 깃 저장소 초기화 (init)
$ git init
# Starting a working area
# 현재 작업장에 작업을 진행하겠다는 것을 git에게 알려줘!
# 이 명령어 입력 전까지는 일반 폴더! git과 관계가 없다.
# git init 이후에야 추가적인 깃 명령어들을 줄 수 있다.
39. 3. Commit 대기 (add)
$ git add .
# commit의 대기상태
# 내가 commit하고 싶은, 버전에 반영하고 싶은 파일만! Add
# commit 전에 add가 우선!
# add index.html.erb => 이 파일만 commit 대기
# add . => 모든 파일 commit 대기
41. 4. 버전 만들기 (commit)
$ git commit –m ‘first commit’
# add 파일 (변경 내용)을 first commit이란 버전이름 설정
# commit하면서 기억하고 싶은 message를 함께 적자!
# 스냅 샷!
$ git commit –m ‘내용’
43. 5. 업로드할 github 주소! (remote)
$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 현재 작업하는 workspace를 연결한다!
# 나의 github repository에!
# 그 github repository에 origin이란 별명을 부여!
내 workspace와 주로 동기화하는 메인 repository를
관습적으로 origin이라고 부른다
68. 2. 깃 저장소 초기화 (init)
$ git init
# Starting a working area
# 현재 작업장에 작업을 진행하겠다는 것을 git에게 알려줘!
# 이 명령어 입력 전까지는 일반 폴더! git과 관계가 없다.
# git init 이후에야 추가적인 깃 명령어들을 줄 수 있다.
69. 3. Commit 대기 (add)
$ git add .
# commit의 대기상태
# 내가 commit하고 싶은, 버전에 반영하고 싶은 파일만! Add
# commit 전에 add가 우선!
# add index.html.erb => 이 파일만 commit 대기
# add . => 모든 파일 commit 대기
70. 4. 버전 만들기 (commit)
$ git commit –m ‘first commit’
# add 파일 (변경 내용)을 first commit이란 버전이름 설정
# commit하면서 기억하고 싶은 message를 함께 적자!
# 스냅 샷!
$ git commit –m ‘내용’
71. 5. 업로드할 github 주소! (remote)
$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 현재 작업하는 workspace를 연결한다!
# 나의 github repository에!
# 그 github repository에 origin이란 별명을 부여!
내 workspace와 주로 동기화하는 메인 repository를
관습적으로 origin이라고 부른다
72. 6. Github에 올리기! (push)
$ git push –u origin master
# 내가 아까 remote한 repository는 origin!
# 이 origin을 push!
# 즉 나의 repository의 내용을 업로드 하겠다!
#11:무엇을 누가! 언제! 바꿧는지 파악이 가능하다
내가 코드를 작성했을 때의 전후 내용 파악 + 이전 내용으로 복구가 가능하다
#13:깃을 공유하는 사이트 >> 즉 버전관리를 웹에서 보여주는 사이트 : 다른사람도 볼수있음
소셜 네트워크
그래서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66:즉, 내가 commit한 내용 = 내가 어떻게 버전관리를 했는지의 내역을 github에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게 해줘!
#67:즉, 내가 commit한 내용 = 내가 어떻게 버전관리를 했는지의 내역을 github에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게 해줘!
#68:즉, 내가 commit한 내용 = 내가 어떻게 버전관리를 했는지의 내역을 github에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게 해줘!
#69:git init을하면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라고 나온다
그리고 .git이라는 디렉토리에 깃의 저장소를 초기화했다 라는 말이 나온다.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ls-al을 했을 때 .git이라는 디렉토리가 생김을 확인
.git이라는 디렉토리는 이제 우리가 버전관리를 하게 되면 여러가지 정보들이 생성이 되는데 생성된 정보가 이 디렉토리에 저장
현재 디렉토리를 버전관리 할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