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  Special Educational Needs 김 성 남
인지심리 행동주의  –  관찰가능한  S-R 의 관계 구성주의 ■   Piaget:  물리적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의 구성 ■   Vygotsky: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인지기능의 발달과 지식의 구성 인지주의 ■   정보처리이론 :  정보의 등록 ,  처리 ,  저장 ,  인출의 과정을 지식습득의 과정으로 비유 인지발달론은 학습이론 이상의 철학으로 자리잡았으며 ,  교육의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  교실 실제에서는 아직도 행동주의적인 철학 또는 기법이 우세한 상황이다 .
인지심리 - 특수교육 적용 행동주의 - 응용행동분석 등의 기법으로 발전 새로운 기술 및 행동의 습득 ,  강화 부적응 행동의 감소 방법 등으로 사용 컴퓨터에 의한 피드백 ,  에듀테인먼트 분야에 적용 인지발달론 인지발달의 촉진 ,  추상적 사고의 중요성 강조 ,  학습자 스스로의 지식 구성 강조 인지발달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대두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학습공학의 적용 정보처리이론 인지 기술 또는 인지 전략의 습득과 교수 강조 정보처리 과정에서의 결함 또는 어려움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인지 전략을 교수
Mental Retardation(2002) 정신지체란  지적기능 과 개념적 ,  사회적 ,  실질적   적응기술 에서 상당한 제한이 나타나는 장애이며 ,  이는  18 세 이전에 시작된다 . 5 가지 필수적인 가정 (1)  현재 기능상의 제한은 반드시 개인의 또래 연령집단과 개인이 속한 문화적 배경을 포함한  지역사회 환경의 맥락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 (2)  타당한 평가는 문화적 .  언어적 다양성뿐 아니라 의사소통 ,  감각 ,  운동 ,  행동상의 차이점도 고려하여야 한다 . (3)  개인이 지닌  제한점은 흔히 강점과 함께 나타난다 . (4)  개인이 지닌 제한점을 묘사하는 목적은 필요한 지원의 프로파일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 (5)  적절한 개별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면 정신지체인의 삶의 기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될 것이다 (AAMR).
[DSM-IV] 의 소아 아동기 정신장애 분류 정신지체 학습장애 운동기능장애 의사소통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자폐 ,  레트 ,  소아기 붕괴성 ,  아스퍼거증후군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품행장애 ,  반항성 장애 급식 및 섭취 장애 :  이식증 ,  반추장애 등 틱장애 배설장애 :  유분증 ,  유뇨증 기타장애 :  분리불안장애 ,  선택적 함구증 ,  반응성애착장애 등
자폐성 장애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결함 의사소통의 결함 제한되고 반복적이며 ,  상동증적인 행동 · 관심 · 활동들 Mind Blindness: Theory of Mind Difficult in Social Understanding Difficult in Other Mind(mental state  –  Ex. Intention, Emotion, Belief)
학습장애 셈하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 등 특정한 분야에서 학습상 장애를 지니는 자 ( 특교법 ) 학습장애란 구어나 문어의 사용이나 이해와 관련된  기본적 정보처리과정의 장애 를 말한다 .  이 같은 정보처리과정의 문제는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 · 수학 등의 기능 수행과 관련한 심각한 어려움을 통해 나타난다 .  학습장애는 지각장애 · 뇌손상 · 미소뇌기능이상 · 난독증 · 발달적 실어증 등의 상태를 포함한다 .  하지만 ,  시각장애 · 청각장애 · 운동장애 · 정신지체 · 정서장애로 인한 학습결손이나 환경적 · 문화적 · 경제적 결핍으로 인한 학습결손은 학습장애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미국 장애아동교육법 ).
시각장애 시각계의 손상이 심하여 시각기능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거나 보조공학기기의 지원을 받아야 시각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시각에 의한 학습이 곤란하여 특정의 광학기구ㆍ학습매체 등을 통하여 학습하거나 촉각 또는 청각을 학습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람 ( 특수교육법 ) 이들이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화면의 콘텐츠를 처리하여 정보를 음성합성 (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 )  프로그램이나 점자정보단말기로 보내는 화면낭독프로그램에 의존한다 .
저시력 장애의 증상 흐리지거나 뿌연 시력으로 낮은 민감성 중심 시야의 손실로 시야의 주변 부위만 보이는 상태  주변 시야의 손실 ( 터널 시야 ) 로 시야의 중심 부위만 보이는 상태  시야의 다른 부분의 손실  야맹증 ,  대비감각의 감소 ,  빛에 대한 민감성 등과 같은 기타 장애들 저시력의 학습자들은 컴퓨터 사용 시 화면상의 정보를 확대하는 기술에 의존
색맹  or  색약 가장 흔한 경우가 적녹색맹 빨강이나 녹색을 볼 수 없는 것이 아니라 ,  두 가지 색을 함께 구별해 내는 것이 어려움 빨강과 초록이 노랑이나 오렌지색등과 섞여 있으면 혼란스러워 함 파랑색은 가장 영향을 덜 받는 색
청각장애 청력 손실이 심하여 보청기를 착용해도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 또는 곤란한 상태이거나 ,  청력이 남아 있어도 보청기를 착용해야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청각에 의한 교육적 성취가 어려운 사람 보청기나 인공와우 시술을 통하여 잔존청력을 사용하는 많은 청각장애 학생들은 볼륨조절이나 오디오 출력을 청각 보조장치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
지체장애 지체장애는 체간 기능의 장애로 체간을 지지할 수 없거나 곤란한 상태 상지의 기능장애로 필기가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정도 ,  하지의 기능장애로 보행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정도를 의미 마비장애 / 절단장애 / 뇌성마비 등
장애와 연령 ,  상황적 요인을 함께 고려한 분류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으로 물리적 ,  감각적 ,  인지적 손상을 입은 사람  새로운 정보기술의 산물이나 서비스로부터 혜택을 받지만 물리적 ,  감각적 ,  인지적인 능력이 쇠퇴하는 고령자  팔이 부러지거나 ,  안경을 잃어버린 사람처럼 일시적인 장애를 겪는 사람  시끄러운 환경에서 작업을 하거나 다른 작업으로 인해 두 손을 모두 사용하는 사람처럼 특정한 환경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
정보사용성에 따른 구분 시력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 ( Without Vision )  이는 시각장애 가운데 맹인과 운전을 하고 있는 중인 사람과 같이 상황적으로 시각을 다른 곳에 사용하고 있는 사람 ,  그리고 암흑 속에 있는 사람 등이 해당된다 .  시력이 낮은 사용자 ( With Low Vision ) 이는 약시자나 야맹증이 있는 경우 ,  안개 속에 있는 사람 등 상황적으로 잘 안보이는 사람이 해당된다 .  청력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 ( With No Hearing )  농인 청각장애인과 매우 큰 소음 속에 있어서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사람과 소리를 낼 수 없는 상황 ( 예 ,  도서관이나 회의석상 등 ) 에 있는 사람이 모두 해당된다 .   청력이 낮은 사용자 ( With Limited Hearing )  난청인 청각장애인과 소음 속에 있어서 다른 소리가 잘 안들리는 상황에 있는 사람이 해당된다 .
양손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자 ( With Limited Manual Dexterity )  지체장애가 있는 사람과 우주복이나 방화복 등을 입고 있거나 심하게 흔들리는 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어서 손을 잘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사람 등이 이에 해당된다 .  인지능력이 제한된 사용자 ( With Limited Cognition )  인지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과 주의집중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있는 사람이나 심리적 공황상태에 있는 사람 ,  알코올에 의해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사람 등이 모두 해당된다 .  읽기 능력이 결손된 사용자 ( Without Reading )  인지장애 또는 학습장애가 있는 사람과 다른 언어권 또는 문화권에 있던 사람으로 읽기를 배울 수 없었던 사람 ,  읽는데 필요한 도구 ( 예컨대 ,  돋보기 같은 것 ) 를 일시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등이 이에 해당된다 .
Impairment Simulator( 시각 , 청각 )

More Related Content

PDF
인지장애와 학습을 위한 보조공학의 적용
PDF
배려하는 디자인이란
PDF
특수교육과 스마트러닝
PPTX
교육행정
PDF
팀플1발표
PPTX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PDF
2조 인터랙 최종Ppt
PDF
SW연구/선도학교 대상 교사 연수 프로그램
인지장애와 학습을 위한 보조공학의 적용
배려하는 디자인이란
특수교육과 스마트러닝
교육행정
팀플1발표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2조 인터랙 최종Ppt
SW연구/선도학교 대상 교사 연수 프로그램

Viewers also liked (18)

PDF
Kt&g 포트폴리오 최종_그린나래
PDF
Skinner p1 지리지리한교공_ 4조
PDF
ET Journal
PDF
행동주의 Ppt
PDF
[KGIT_EWD]class03 0322
PPTX
강의법
PDF
RESTful API
PDF
사회복지사를 위한 DSM-5 소개자료
PPT
2012 02 ecomTIM: Inbound Marketing- SEO is more than SEO
PDF
Ur-Energy January 2013 Corporate Presentation
PDF
The lies we tell our code, LinuxCon/CloudOpen 2015-08-18
PDF
Presentación de Joakim Borgström en IAB Conecta 2012
PPTX
2012-03 Search Congress Community Management Workshop
PPTX
2011 11 DCU keynote- changing landscape of social media
PPTX
Google Plus For Business
PPTX
October 2011 Ur-Energy Corporate Presentation
PDF
May 2012 Ur-Energy Corporate Presentation
PPT
Study skills powerpoint
Kt&g 포트폴리오 최종_그린나래
Skinner p1 지리지리한교공_ 4조
ET Journal
행동주의 Ppt
[KGIT_EWD]class03 0322
강의법
RESTful API
사회복지사를 위한 DSM-5 소개자료
2012 02 ecomTIM: Inbound Marketing- SEO is more than SEO
Ur-Energy January 2013 Corporate Presentation
The lies we tell our code, LinuxCon/CloudOpen 2015-08-18
Presentación de Joakim Borgström en IAB Conecta 2012
2012-03 Search Congress Community Management Workshop
2011 11 DCU keynote- changing landscape of social media
Google Plus For Business
October 2011 Ur-Energy Corporate Presentation
May 2012 Ur-Energy Corporate Presentation
Study skills powerpoint
Ad

Similar to 제2강 Understanding of Special Needs (20)

PPTX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PDF
청각장애의 이해
PDF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PDF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PDF
청각장애인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가이드북
DOCX
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
DOCX
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
PPTX
서울문성초 학부모 연수(2014 11-27)
PDF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PDF
제46회 전국교육자료전 작품제작 설명서
PPTX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PPTX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PPT
학령기 문제행동
PDF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PDF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PDF
Rainbow Project 보고서
PDF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PDF
교육심리 - 10장 생활지도 및 상담 (요약본)
PDF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PPTX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학습부진 탈출을 위한 뇌기반 수업원리(함께 걷는 아이들 특강)
청각장애의 이해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하정은 2000 음악 학습장애 개선방안
청각장애인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가이드북
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
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
서울문성초 학부모 연수(2014 11-27)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제46회 전국교육자료전 작품제작 설명서
상암중 학부모 강연(2014 9-26)
인천함박초등학교 특강(2013 12-3)
학령기 문제행동
박선영 2006 adhd 전통음악지도방안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Rainbow Project 보고서
김경미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_과잉행동장애_아동의_균형_및_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교육심리 - 10장 생활지도 및 상담 (요약본)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경인교대 뇌친화적 교수학습원리40과 학습부진의 이해 연수(최최종)(2014 7-04)
Ad

More from 김 성남 (10)

PDF
EBP table
PDF
발달장애와 4차 산업혁명
PDF
소셜미디어 도구를 이용한 정보탐색
PDF
발표자료만들때 알아야할 기본사항들
PDF
유니버셜디자인에 대하여
PDF
21세기의 교육자는 큐레이터
PDF
사회변화와 학습자의 다양성, 그리고 특수교육
PDF
Access technology
PPTX
루게릭’ 눈으로 쓰다(중증장애인에게 AAC는 어떤 의미인가)
PDF
웹2.0 시대, 보조공학의 의미와 발전
EBP table
발달장애와 4차 산업혁명
소셜미디어 도구를 이용한 정보탐색
발표자료만들때 알아야할 기본사항들
유니버셜디자인에 대하여
21세기의 교육자는 큐레이터
사회변화와 학습자의 다양성, 그리고 특수교육
Access technology
루게릭’ 눈으로 쓰다(중증장애인에게 AAC는 어떤 의미인가)
웹2.0 시대, 보조공학의 의미와 발전

제2강 Understanding of Special Needs

  • 1. Technology & Special Educational Needs 김 성 남
  • 2. 인지심리 행동주의 – 관찰가능한 S-R 의 관계 구성주의 ■ Piaget: 물리적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의 구성 ■ Vygotsky: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인지기능의 발달과 지식의 구성 인지주의 ■ 정보처리이론 : 정보의 등록 , 처리 , 저장 , 인출의 과정을 지식습득의 과정으로 비유 인지발달론은 학습이론 이상의 철학으로 자리잡았으며 , 교육의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 교실 실제에서는 아직도 행동주의적인 철학 또는 기법이 우세한 상황이다 .
  • 3. 인지심리 - 특수교육 적용 행동주의 - 응용행동분석 등의 기법으로 발전 새로운 기술 및 행동의 습득 , 강화 부적응 행동의 감소 방법 등으로 사용 컴퓨터에 의한 피드백 , 에듀테인먼트 분야에 적용 인지발달론 인지발달의 촉진 , 추상적 사고의 중요성 강조 , 학습자 스스로의 지식 구성 강조 인지발달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대두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학습공학의 적용 정보처리이론 인지 기술 또는 인지 전략의 습득과 교수 강조 정보처리 과정에서의 결함 또는 어려움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인지 전략을 교수
  • 4. Mental Retardation(2002) 정신지체란 지적기능 과 개념적 , 사회적 , 실질적 적응기술 에서 상당한 제한이 나타나는 장애이며 , 이는 18 세 이전에 시작된다 . 5 가지 필수적인 가정 (1) 현재 기능상의 제한은 반드시 개인의 또래 연령집단과 개인이 속한 문화적 배경을 포함한 지역사회 환경의 맥락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 (2) 타당한 평가는 문화적 . 언어적 다양성뿐 아니라 의사소통 , 감각 , 운동 , 행동상의 차이점도 고려하여야 한다 . (3) 개인이 지닌 제한점은 흔히 강점과 함께 나타난다 . (4) 개인이 지닌 제한점을 묘사하는 목적은 필요한 지원의 프로파일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 (5) 적절한 개별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면 정신지체인의 삶의 기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될 것이다 (AAMR).
  • 5. [DSM-IV] 의 소아 아동기 정신장애 분류 정신지체 학습장애 운동기능장애 의사소통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자폐 , 레트 , 소아기 붕괴성 , 아스퍼거증후군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 품행장애 , 반항성 장애 급식 및 섭취 장애 : 이식증 , 반추장애 등 틱장애 배설장애 : 유분증 , 유뇨증 기타장애 : 분리불안장애 , 선택적 함구증 , 반응성애착장애 등
  • 6. 자폐성 장애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결함 의사소통의 결함 제한되고 반복적이며 , 상동증적인 행동 · 관심 · 활동들 Mind Blindness: Theory of Mind Difficult in Social Understanding Difficult in Other Mind(mental state – Ex. Intention, Emotion, Belief)
  • 7. 학습장애 셈하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 등 특정한 분야에서 학습상 장애를 지니는 자 ( 특교법 ) 학습장애란 구어나 문어의 사용이나 이해와 관련된 기본적 정보처리과정의 장애 를 말한다 . 이 같은 정보처리과정의 문제는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 · 수학 등의 기능 수행과 관련한 심각한 어려움을 통해 나타난다 . 학습장애는 지각장애 · 뇌손상 · 미소뇌기능이상 · 난독증 · 발달적 실어증 등의 상태를 포함한다 . 하지만 , 시각장애 · 청각장애 · 운동장애 · 정신지체 · 정서장애로 인한 학습결손이나 환경적 · 문화적 · 경제적 결핍으로 인한 학습결손은 학습장애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미국 장애아동교육법 ).
  • 8. 시각장애 시각계의 손상이 심하여 시각기능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거나 보조공학기기의 지원을 받아야 시각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시각에 의한 학습이 곤란하여 특정의 광학기구ㆍ학습매체 등을 통하여 학습하거나 촉각 또는 청각을 학습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람 ( 특수교육법 ) 이들이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화면의 콘텐츠를 처리하여 정보를 음성합성 (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 ) 프로그램이나 점자정보단말기로 보내는 화면낭독프로그램에 의존한다 .
  • 9. 저시력 장애의 증상 흐리지거나 뿌연 시력으로 낮은 민감성 중심 시야의 손실로 시야의 주변 부위만 보이는 상태 주변 시야의 손실 ( 터널 시야 ) 로 시야의 중심 부위만 보이는 상태 시야의 다른 부분의 손실 야맹증 , 대비감각의 감소 , 빛에 대한 민감성 등과 같은 기타 장애들 저시력의 학습자들은 컴퓨터 사용 시 화면상의 정보를 확대하는 기술에 의존
  • 10. 색맹 or 색약 가장 흔한 경우가 적녹색맹 빨강이나 녹색을 볼 수 없는 것이 아니라 , 두 가지 색을 함께 구별해 내는 것이 어려움 빨강과 초록이 노랑이나 오렌지색등과 섞여 있으면 혼란스러워 함 파랑색은 가장 영향을 덜 받는 색
  • 11. 청각장애 청력 손실이 심하여 보청기를 착용해도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 또는 곤란한 상태이거나 , 청력이 남아 있어도 보청기를 착용해야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청각에 의한 교육적 성취가 어려운 사람 보청기나 인공와우 시술을 통하여 잔존청력을 사용하는 많은 청각장애 학생들은 볼륨조절이나 오디오 출력을 청각 보조장치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
  • 12. 지체장애 지체장애는 체간 기능의 장애로 체간을 지지할 수 없거나 곤란한 상태 상지의 기능장애로 필기가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정도 , 하지의 기능장애로 보행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정도를 의미 마비장애 / 절단장애 / 뇌성마비 등
  • 13. 장애와 연령 , 상황적 요인을 함께 고려한 분류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으로 물리적 , 감각적 , 인지적 손상을 입은 사람 새로운 정보기술의 산물이나 서비스로부터 혜택을 받지만 물리적 , 감각적 , 인지적인 능력이 쇠퇴하는 고령자 팔이 부러지거나 , 안경을 잃어버린 사람처럼 일시적인 장애를 겪는 사람 시끄러운 환경에서 작업을 하거나 다른 작업으로 인해 두 손을 모두 사용하는 사람처럼 특정한 환경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
  • 14. 정보사용성에 따른 구분 시력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 ( Without Vision ) 이는 시각장애 가운데 맹인과 운전을 하고 있는 중인 사람과 같이 상황적으로 시각을 다른 곳에 사용하고 있는 사람 , 그리고 암흑 속에 있는 사람 등이 해당된다 . 시력이 낮은 사용자 ( With Low Vision ) 이는 약시자나 야맹증이 있는 경우 , 안개 속에 있는 사람 등 상황적으로 잘 안보이는 사람이 해당된다 . 청력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 ( With No Hearing ) 농인 청각장애인과 매우 큰 소음 속에 있어서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사람과 소리를 낼 수 없는 상황 ( 예 , 도서관이나 회의석상 등 ) 에 있는 사람이 모두 해당된다 . 청력이 낮은 사용자 ( With Limited Hearing ) 난청인 청각장애인과 소음 속에 있어서 다른 소리가 잘 안들리는 상황에 있는 사람이 해당된다 .
  • 15. 양손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자 ( With Limited Manual Dexterity ) 지체장애가 있는 사람과 우주복이나 방화복 등을 입고 있거나 심하게 흔들리는 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어서 손을 잘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사람 등이 이에 해당된다 . 인지능력이 제한된 사용자 ( With Limited Cognition ) 인지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과 주의집중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있는 사람이나 심리적 공황상태에 있는 사람 , 알코올에 의해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사람 등이 모두 해당된다 . 읽기 능력이 결손된 사용자 ( Without Reading ) 인지장애 또는 학습장애가 있는 사람과 다른 언어권 또는 문화권에 있던 사람으로 읽기를 배울 수 없었던 사람 , 읽는데 필요한 도구 ( 예컨대 , 돋보기 같은 것 ) 를 일시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 등이 이에 해당된다 .

Editor's Notes

  • #3: 행동주의에서는 학습자의 내적 과정을 중시하지 않는다 . 환경과 그에 반응하는 학습자의 행위간의 역학이 중요하다고 본다 . 최근 들어 , 응용행동분석이 인기를 끌고 있으나 , 그 근본철학은 행동주의에 근거를 두고 있다 . Piaget 는 지능을 환경에 대한 생물학적 적응의 한 형태로 보았다 . 생의 초기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주체 ( 개인 ) 와 객체 ( 그를 둘러싼 물리적 환경 ) 와의 상호작용 과정속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을 중요하게 본다 . 자기조절 혹은 자동조절이라는 개념은 이 적응과정에서 적용되는 타고난 기제라고 할 수 있다 . 이에 반해 , Vygotsy 는 자기조절이라는 기제가 처음부터 개인에게 존재한다기 보다는 그러한 기제자체가 사회적 상호작용과정에서 습득되는 것이라 보았다 . 그 주요 도구가 언어 또는 상징적 능력이라 할 수 있다 . 즉 발달과정에서 처음에는 타인조절에 의해 인지적 구성을 하게 되다가 점차 이것이 내면화되어 자기조절로 발전해 나가게 된다고 보았다 . 따라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상황 또는 맥락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 정보처리 이론은 가장 직관적으로 지식 습득 과정과 지식 습득 기제를 설명하고 있다 . 외부자극이 내부로 입력되면 거기에 적절한 처리를 가하여 저장하게 되고 이 지식을 다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 중요한 것은 중앙처리장치라 할 수 있는 통제과정인데 , 이 통제과정을 조절하는 것이 metacognition 이라 할 수 있다 .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자기 조절 (regulation) 이 이 개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 #4: 행동주의는 근본적으로 학습자를 주체로 인정하기 보다는 대상으로 인정할 뿐이다 . 이러한 방법은 단기간의 효과를 가질 수는 있으나 , 장기간의 일반화된 행동의 습득을 가져오기는 힘들다 . 따라서 기계적인 행동의 습득 , 당장의 위험한 행동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 그 적용방법에서도 인지적인 접근과의 조화를 생각해야 한다 . 문제행동의 감소를 위한 전략으로 행동주의적인 방법만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 그 행동에 대한 대안을 습득시키기 위한 방법을 함께 적용하고 , 그러한 목적으로만 행동주의적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발달장애 학생에게 가장 큰 곤란은 추상적 사고가 어렵다는 것이다 . 자기조절 혹은 metacognition 등으로 불리우는 능력의 습득 또는 훈련 ( 인지전략 훈련 ) 이 최근들어 인기를 끌게 된 것은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접근이라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 일반화 또는 전이가 가능해야만 그 기술이 학습된 것이라 볼 수 있다 . 사회적 구성주의에서 강조하는 상황이나 맥락이 적용된 것이 기능적 학습기술의 습득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