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群千師 교육2.0 v0.9avCorea.kr대표 유영진
대한민국 교육의 현주소한계에 이른 사교육비 부담입시로 중심이 넘어가버린 공교육과 사교육대학을 졸업해도 취업은 보장되지 않는다.전인교육에서도 한없이 멀어져 가고 있다.비싼 사교육은 창의적인 인재를 길러내는가?
웹이 진화하고 있다교육도 진화하고 있는가?
성장이나 개선이 진화인가?웹2.0의 키워드 = 참여 + 공유 + 개방 + 집단지성 + 협업교육에 참여가 일어나면?학생도 학부모도 기관도 단체도 기업도 교육에 참여한다.교육과 관련된 모든 콘텐츠를 누구나 활용이 가능하면?교육 인프라가 개방된다면?교육에 집단지성이 이루어진다면?교육에 협업이 일어난다면?
천군천사천개의 무리와 천명의 스승
천개의 로컬 블로거스피어와 천명의 블로거스승그 사람의 삶은 어떻게 될까요? 단순한 지식의 전달로는 설명할 길이 없는 사회 속 존재로의 안내의 전체 과정이 매끄럽게 완수된다고 봅니다.한 개인이 조화롭고 풍족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가늠하기 힘든 커뮤니티와 살아있는 스승들이 필요합니다. 가까이는 가족과 이웃, 동창, 종교단체, 봉사단체를 넘어서 온라인을 통해 접근되는 많은 커뮤니티 구성원들, 그리고 그들이 블로그를 통해 기본 구성의 일부를 맡게 된다면 많은 변화가 가능합니다.
획일화된 소수와 다양한 다수실제로 획일화된 소수보다는 직간접으로 중첩된 매우 많은 커뮤니티군과 많은 스승이 있는 것이 한 개인의 온전한 삶에는 더 바람직합니다.
비용과 완성도아날로그 공간 만으로는 한 개인의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의 충족과 완성이 부족할 수 밖에 없습니다. 우선 오프라인에서는 그 시간과 비용이 너무 높습니다. 이에 따라 그것을 감당할 수 있는 일부에게 혜택이 집중되거나 많은 것을 희생해서 무리하게 소모를 강요당합니다. 또는 모두 포기하고 사회의 부품처럼 살아가도록 강압되는 것을 보게 됩니다.
가능성과 기술디지털에서는 이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단지 우리가 오랜 아날로그 사고에서 벗어나는 것만 있다면 가까운 시일 내에 우리는 이 플랫폼을 보게될 것입니다. 그 중심 도구로서는 현재 블로그가 가장 유력합니다. 디지털마인드로 오프라인에 접속하면 많은 자원들이 필요한 시점에 묶여서 제공될 수 있고 한가지 일을 해결할 수 있는 수많은 기술의 조합들이 기다립니다.
1. 블로그기반LMS와 평생학습가. 분량 : 상호작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엄청나게 필요합니다.나. 조립 : 해당 콘텐츠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상황에 맞추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제공되어야 합니다.다. 관계 : 학습이 콘텐츠의 전달로 끝나지 않고 인간관계로 발전될 수 있어야 합니다.라. 비용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비용으로 해결될 수 있어야 합니다.
문제해결을 위한 보유자원이러한 모든 조건에 근접한 지구상의 자원은 현재로는 블로그 밖에는 없습니다. 실시간으로 최적화된 정보제공은 시맨틱웹을 거쳐 플랫폼이 될 것입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만나는 미래의 비전문화를 다루었으면 하고 현실의 문제점에서 출발합니다. 제게는 그 현실적인 문제의 문화요소가 교육입니다. 저는 여섯아이의 아빠입니다. 비용을 떠나서 여섯아이의 소중한 시간을 점유하고 있는 교육이라는 것의 실체와 아이들의 행복 사이에서 저는 많은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의 교육이라는 것이 개인부담 비용은 높으면서도 그 내용이 개인의 행복에 촛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 아니라 대학경쟁을 위한 맞춤교육이라는데서 마음이 불편합니다. 그러면서도 비용을 지불하는 측과 교육을 받는 측의 자유도는 매우 낮습니다.
2. 천군천사 플랫폼을 이루는 다섯 유형의 블로깅 모드가. 학습자 나. 교육콘텐츠 제공자 다. 교습자라. 커리큘럼 기획자(묶으미)가 필요
가. 학습자배우는 학생입장에서는 기존의 이러닝시스템과 유사합니다. 생방송과 또는 동영상으로 교육을 받게 되고 자료파일을 참고하거나 강의와 동기화해서 보는 기능은 어찌보면 이미 있던 이러닝서비스와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물론 블로그 기반이므로 미연시스타일의UCNOVEL 같은 것을 활용하면 학생의 반응에 따라 다른 경로를 갖는 약간의 조작은 가능할 것도 같습니다.
나. 교육콘텐츠 제공자차이의 시작은 가장 기반을 이루는 블로그 입니다. 각 하단은 블로그의 포스트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교수의 블로그 포스트가 주축이 되고 학습자의 블로그 포스트가 연계되며 댓글과트랙백으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 입니다.거기에서 그치지 않고 그 분석으로 인증(라이프로깅)하는 부분이 덧붙게 됩니다.기존 LMS와의 큰 차이점이라면 SNS가 기본 도입되어 있고 라이프로깅에 기반하는 서비스 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기능이 덧붙게 됩니다.
다. 교습자콘텐츠를 직접 생산하지 않아도 있는 콘텐츠를 조립하고 분해해서 학습자에게 맞추어 교육하는 블로거를 말합니다. 이들은 관련된 내용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리고 인터넷생방송과 메신저 등을 활용하여 가르치게 됩니다. 메신저는 이미 화이트보드와 화면동시보기를 넘어서 상대방 화면을 컨트롤하는 것과 화상채팅등 기능을 무제한으로 붙여나가고 있습니다.교육콘텐츠 작성자와 교습자가 분리되어 있는 곳에서 느낄 수 있듯이 각 포스트는 특정 카테고리에만 묶이지 않습니다. 한개의 학습요소는 여러가지의 조합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정제되어 교습순간을 위해 대기한다는 의미입니다.
라. 커리큘럼 기획자(묶으미)이 부분은 학습전문가가 직접 하는 방법도 있고 개인정보분석을 통해 시스템이 개인 성향을 고려해서 만들어 내는 방법도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많은 전문가의 노하우가 결집되어 있는 살아있는 시스템이 담당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에 관여되는 커뮤니티지성(또는 커뮤니티컴퓨팅)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기로 합니다. 예를 들어 개인의 온라인 궤적정보와 애니어그램을 활용해서 개인의 성향을 분석한 다음에 그에 맞추어 콘텐츠의 선택, 배열, 제공방식을 결정하는 존재가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게다가 학습자가 새로 맞딱뜨린 상황에 맞아야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현재 요구사항에 대한 반응도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 커리큘럼 매트릭스가 필요하게 됩니다.이러한 과정에는 학교와 단체 기관, 그리고 개인도 관여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커리큘럼 생성관리서비스를 통해 각 회사는 각 회사 나름의 입사 평가과정을 만들 수도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마. 자원제공 도우미기존 학습자와 정부지원 및 일부 장학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던 자원이 투명한 장학시스템에 의해 지원됩니다. 이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투명한 장학시스템첫째, CSR 방식둘째, 사회적기업셋째, 국가 차원넷째, 웹2.0 방식의 자원마련롱테일에 기초한 장학시스템... 어떻게 보십니까?
첫째, CSR 방식의 접근각 자원제공자는 자신의 이익에 맞는 해당콘텐츠 또는 교습자에 대한 지원을 하는 방식입니다. 기존 교육, 사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자원을 학습자가 지불하지 않도록 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접근방식예상에는 이러한 접근방식은 오프라인의 인턴제도를 연계해서 지원하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회적기업의 기반을 이루는 직간접 인력을 단지 인력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일원을 훈련하는 과정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셋째, 국가 차원의 접근.의무교육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동일한 비용을 디지털에 투자한다면 매우 효율높은 시스템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넷째, 웹2.0 방식의 자원마련뭔가 규모가 있는 곳의 한방에 의지하는 것이 아닌 십시일반에 기초한 계 같은 시스템이 장학시스템에는 더 잘 맞는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롱테일에 기초한 장학시스템... 어떻게 보십니까?
3. 블로그와 교육에 사용될 수 있는 그 밖의 많은 방법들...가. 블로그나. 위키다. 메일링리스트라. 실시간 현장생방송마. 메신저바. 오프라인 장소
가. 블로그블로그는 그 콘텐츠의 정확한 정의와 콘텐츠 재사용을 위한 많은 요건들을 만족합니다.
나. 위키교육에 사용되는 모든 콘텐츠는 누구나 함께 추가 변경 삭제할 수 있는 위키방식이 적합합니다. 본 프로젝트의 각 단계에 해당되는 모든 참여자가 함께 업데이트 하는데에위키는 최적입니다. 위키 뿐만 아니라 기타 2.0 시맨틱웹 들이 본 프로젝트를 지원하게 될 것입니다.
다. 메일링리스트참여자간의 관계를 돈독하게 해주고 각 콘텐츠의 이력을 각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학생간 선후배간의 교류에도 점점 더 좋아질 것 같습니다.
라. 실시간 현장생방송LMS의 비동기동영상도 교육과정에 많은 도움을 주지만 이제는 무료로도 제공되는 무료 실시간 현장생방송 솔루션들은 동기화된 원격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많은 자본을 가진 곳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개개인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단계라는 점에서 매우 유용합니다.이는 향후 교육UCC로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도 매력이 있습니다.
마. 메신저교육은 지식전달 뿐만 아니라 많은 현장전문가와의 다양한 연결방식에 해답이 있을 것 같습니다. 부족한 커뮤니케이션을 메꿔줄 수 있습니다.
바. 오프라인 장소온라인만으로는 교육의 많은 부분이 공백으로 남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프라인은 단위시간당 교환 바이트 수로는 최고의 정보들이 오고갑니다. 오프라인 장소라는 자원이 무한하게 제공되기 위해서는 공간2.0의 컨셉이 필요합니다. e와 결합하여 시시각각 조립사용이 가능하게 준비되어 있어야합니다. 시공간 기본단위로 구분된 장소를 필요한 사람들에 의해서 쓰고 관리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맘껏 질문하세요 ^^~유영진cityhntr@gmail.comTwitter.com/cityhntr019-324-0111

More Related Content

PDF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PPTX
소셜웹을 활용한 업무효율향상 910252211
PPTX
블로그기반 비즈니스 910252218
PPTX
남양주e홍보역량 강화방안
PDF
Arogyaka Rajmarg Dr. Shriniwas Kashalikar
PDF
Yashoday A Bestseller For Super Success Dr. Shriniwas Kashalikar
PDF
Aarogyacha Aarasa Bestseller On Health Assessment Dr. Shriniwas Kashalikar
PDF
Hitguj Marathi Bestseller On Superliving Dr. Shriniwas Kashalikar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소셜웹을 활용한 업무효율향상 910252211
블로그기반 비즈니스 910252218
남양주e홍보역량 강화방안
Arogyaka Rajmarg Dr. Shriniwas Kashalikar
Yashoday A Bestseller For Super Success Dr. Shriniwas Kashalikar
Aarogyacha Aarasa Bestseller On Health Assessment Dr. Shriniwas Kashalikar
Hitguj Marathi Bestseller On Superliving Dr. Shriniwas Kashalikar

Viewers also liked (18)

PDF
Arogyasmarana Marathi Bestseller On Superhealth Dr. Shriniwas Kashalikar & Dr...
PDF
Bhovara (Marathi Bestseller Autofiction) Dr. Shriniwas Kashalikar
PDF
Nirogi Mata Dr. Shriniwas Kashalikar
PDF
Tejaswi Drushti Bestseller For Super Eyesight Dr. Shriniwas Kashalikar
PPTX
SocialWeb Battle Open Seminar
PDF
Tanavmuktisathi Upayukta Llekh Bestseller For Stress Management Dr. Shriniwa...
PPTX
지역발전과 소셜미디어 활용
PDF
Namasmaran Bestseller On Superliving Dr. Shriniwas Kashalikar
PPTX
Prezentare IMTO - Krumel
PPTX
협업Os
PPTX
1인창조기업을 위한 디지털경영법
PDF
Forskningsformidling med sosiale medier
PPTX
트위터 소상공인창업마케팅
PPTX
Sbs웨딩페어
PPTX
Update 60
PPTX
SEO si SEM – strategii pentru afaceri oline
PDF
Datacenter Containers - de toekomst ?
PPT
Guia argentina de tratamiento de la EPOC
Arogyasmarana Marathi Bestseller On Superhealth Dr. Shriniwas Kashalikar & Dr...
Bhovara (Marathi Bestseller Autofiction) Dr. Shriniwas Kashalikar
Nirogi Mata Dr. Shriniwas Kashalikar
Tejaswi Drushti Bestseller For Super Eyesight Dr. Shriniwas Kashalikar
SocialWeb Battle Open Seminar
Tanavmuktisathi Upayukta Llekh Bestseller For Stress Management Dr. Shriniwa...
지역발전과 소셜미디어 활용
Namasmaran Bestseller On Superliving Dr. Shriniwas Kashalikar
Prezentare IMTO - Krumel
협업Os
1인창조기업을 위한 디지털경영법
Forskningsformidling med sosiale medier
트위터 소상공인창업마케팅
Sbs웨딩페어
Update 60
SEO si SEM – strategii pentru afaceri oline
Datacenter Containers - de toekomst ?
Guia argentina de tratamiento de la EPOC
Ad

Similar to 교육2.0 v0.9a (20)

PDF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PDF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PPT
Open Education
PDF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
PPTX
Bigcamp in sxs_wedu
PPT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PDF
Horizon Report 2015 고등교육 에디션 - 주요 교육 기술과 활용 가능성
PPTX
Learning 3.0 시대, 지식·콘텐츠·서비스의 융합 전략 :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민경배
PDF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PDF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PDF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
PDF
Maker education cases in US
DOCX
slideshare use document
PDF
시민학교)소셜네트워크와우리2009 블로터닷넷
PDF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PPTX
매체활용교육
PDF
학부모신문 287호
PDF
Web2.0 guide by_twlog
PDF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PPTX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Open Education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
Bigcamp in sxs_wedu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Horizon Report 2015 고등교육 에디션 - 주요 교육 기술과 활용 가능성
Learning 3.0 시대, 지식·콘텐츠·서비스의 융합 전략 :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민경배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방안(수업준비)
Maker education cases in US
slideshare use document
시민학교)소셜네트워크와우리2009 블로터닷넷
2014학년도u 러닝기반미래교실운영보고pdf
매체활용교육
학부모신문 287호
Web2.0 guide by_twlog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Ad

교육2.0 v0.9a

  • 2. 대한민국 교육의 현주소한계에 이른 사교육비 부담입시로 중심이 넘어가버린 공교육과 사교육대학을 졸업해도 취업은 보장되지 않는다.전인교육에서도 한없이 멀어져 가고 있다.비싼 사교육은 창의적인 인재를 길러내는가?
  • 3. 웹이 진화하고 있다교육도 진화하고 있는가?
  • 4. 성장이나 개선이 진화인가?웹2.0의 키워드 = 참여 + 공유 + 개방 + 집단지성 + 협업교육에 참여가 일어나면?학생도 학부모도 기관도 단체도 기업도 교육에 참여한다.교육과 관련된 모든 콘텐츠를 누구나 활용이 가능하면?교육 인프라가 개방된다면?교육에 집단지성이 이루어진다면?교육에 협업이 일어난다면?
  • 6. 천개의 로컬 블로거스피어와 천명의 블로거스승그 사람의 삶은 어떻게 될까요? 단순한 지식의 전달로는 설명할 길이 없는 사회 속 존재로의 안내의 전체 과정이 매끄럽게 완수된다고 봅니다.한 개인이 조화롭고 풍족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가늠하기 힘든 커뮤니티와 살아있는 스승들이 필요합니다. 가까이는 가족과 이웃, 동창, 종교단체, 봉사단체를 넘어서 온라인을 통해 접근되는 많은 커뮤니티 구성원들, 그리고 그들이 블로그를 통해 기본 구성의 일부를 맡게 된다면 많은 변화가 가능합니다.
  • 7. 획일화된 소수와 다양한 다수실제로 획일화된 소수보다는 직간접으로 중첩된 매우 많은 커뮤니티군과 많은 스승이 있는 것이 한 개인의 온전한 삶에는 더 바람직합니다.
  • 8. 비용과 완성도아날로그 공간 만으로는 한 개인의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의 충족과 완성이 부족할 수 밖에 없습니다. 우선 오프라인에서는 그 시간과 비용이 너무 높습니다. 이에 따라 그것을 감당할 수 있는 일부에게 혜택이 집중되거나 많은 것을 희생해서 무리하게 소모를 강요당합니다. 또는 모두 포기하고 사회의 부품처럼 살아가도록 강압되는 것을 보게 됩니다.
  • 9. 가능성과 기술디지털에서는 이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단지 우리가 오랜 아날로그 사고에서 벗어나는 것만 있다면 가까운 시일 내에 우리는 이 플랫폼을 보게될 것입니다. 그 중심 도구로서는 현재 블로그가 가장 유력합니다. 디지털마인드로 오프라인에 접속하면 많은 자원들이 필요한 시점에 묶여서 제공될 수 있고 한가지 일을 해결할 수 있는 수많은 기술의 조합들이 기다립니다.
  • 10. 1. 블로그기반LMS와 평생학습가. 분량 : 상호작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엄청나게 필요합니다.나. 조립 : 해당 콘텐츠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상황에 맞추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제공되어야 합니다.다. 관계 : 학습이 콘텐츠의 전달로 끝나지 않고 인간관계로 발전될 수 있어야 합니다.라. 비용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비용으로 해결될 수 있어야 합니다.
  • 11. 문제해결을 위한 보유자원이러한 모든 조건에 근접한 지구상의 자원은 현재로는 블로그 밖에는 없습니다. 실시간으로 최적화된 정보제공은 시맨틱웹을 거쳐 플랫폼이 될 것입니다.
  • 12.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만나는 미래의 비전문화를 다루었으면 하고 현실의 문제점에서 출발합니다. 제게는 그 현실적인 문제의 문화요소가 교육입니다. 저는 여섯아이의 아빠입니다. 비용을 떠나서 여섯아이의 소중한 시간을 점유하고 있는 교육이라는 것의 실체와 아이들의 행복 사이에서 저는 많은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의 교육이라는 것이 개인부담 비용은 높으면서도 그 내용이 개인의 행복에 촛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 아니라 대학경쟁을 위한 맞춤교육이라는데서 마음이 불편합니다. 그러면서도 비용을 지불하는 측과 교육을 받는 측의 자유도는 매우 낮습니다.
  • 13. 2. 천군천사 플랫폼을 이루는 다섯 유형의 블로깅 모드가. 학습자 나. 교육콘텐츠 제공자 다. 교습자라. 커리큘럼 기획자(묶으미)가 필요
  • 14. 가. 학습자배우는 학생입장에서는 기존의 이러닝시스템과 유사합니다. 생방송과 또는 동영상으로 교육을 받게 되고 자료파일을 참고하거나 강의와 동기화해서 보는 기능은 어찌보면 이미 있던 이러닝서비스와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물론 블로그 기반이므로 미연시스타일의UCNOVEL 같은 것을 활용하면 학생의 반응에 따라 다른 경로를 갖는 약간의 조작은 가능할 것도 같습니다.
  • 15. 나. 교육콘텐츠 제공자차이의 시작은 가장 기반을 이루는 블로그 입니다. 각 하단은 블로그의 포스트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교수의 블로그 포스트가 주축이 되고 학습자의 블로그 포스트가 연계되며 댓글과트랙백으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 입니다.거기에서 그치지 않고 그 분석으로 인증(라이프로깅)하는 부분이 덧붙게 됩니다.기존 LMS와의 큰 차이점이라면 SNS가 기본 도입되어 있고 라이프로깅에 기반하는 서비스 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기능이 덧붙게 됩니다.
  • 16. 다. 교습자콘텐츠를 직접 생산하지 않아도 있는 콘텐츠를 조립하고 분해해서 학습자에게 맞추어 교육하는 블로거를 말합니다. 이들은 관련된 내용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리고 인터넷생방송과 메신저 등을 활용하여 가르치게 됩니다. 메신저는 이미 화이트보드와 화면동시보기를 넘어서 상대방 화면을 컨트롤하는 것과 화상채팅등 기능을 무제한으로 붙여나가고 있습니다.교육콘텐츠 작성자와 교습자가 분리되어 있는 곳에서 느낄 수 있듯이 각 포스트는 특정 카테고리에만 묶이지 않습니다. 한개의 학습요소는 여러가지의 조합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정제되어 교습순간을 위해 대기한다는 의미입니다.
  • 17. 라. 커리큘럼 기획자(묶으미)이 부분은 학습전문가가 직접 하는 방법도 있고 개인정보분석을 통해 시스템이 개인 성향을 고려해서 만들어 내는 방법도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많은 전문가의 노하우가 결집되어 있는 살아있는 시스템이 담당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에 관여되는 커뮤니티지성(또는 커뮤니티컴퓨팅)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기로 합니다. 예를 들어 개인의 온라인 궤적정보와 애니어그램을 활용해서 개인의 성향을 분석한 다음에 그에 맞추어 콘텐츠의 선택, 배열, 제공방식을 결정하는 존재가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게다가 학습자가 새로 맞딱뜨린 상황에 맞아야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현재 요구사항에 대한 반응도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 커리큘럼 매트릭스가 필요하게 됩니다.이러한 과정에는 학교와 단체 기관, 그리고 개인도 관여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커리큘럼 생성관리서비스를 통해 각 회사는 각 회사 나름의 입사 평가과정을 만들 수도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 18. 마. 자원제공 도우미기존 학습자와 정부지원 및 일부 장학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던 자원이 투명한 장학시스템에 의해 지원됩니다. 이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19. 투명한 장학시스템첫째, CSR 방식둘째, 사회적기업셋째, 국가 차원넷째, 웹2.0 방식의 자원마련롱테일에 기초한 장학시스템... 어떻게 보십니까?
  • 20. 첫째, CSR 방식의 접근각 자원제공자는 자신의 이익에 맞는 해당콘텐츠 또는 교습자에 대한 지원을 하는 방식입니다. 기존 교육, 사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자원을 학습자가 지불하지 않도록 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 21. 둘째, 사회적기업의 접근방식예상에는 이러한 접근방식은 오프라인의 인턴제도를 연계해서 지원하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회적기업의 기반을 이루는 직간접 인력을 단지 인력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일원을 훈련하는 과정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22. 셋째, 국가 차원의 접근.의무교육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동일한 비용을 디지털에 투자한다면 매우 효율높은 시스템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23. 넷째, 웹2.0 방식의 자원마련뭔가 규모가 있는 곳의 한방에 의지하는 것이 아닌 십시일반에 기초한 계 같은 시스템이 장학시스템에는 더 잘 맞는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롱테일에 기초한 장학시스템... 어떻게 보십니까?
  • 24. 3. 블로그와 교육에 사용될 수 있는 그 밖의 많은 방법들...가. 블로그나. 위키다. 메일링리스트라. 실시간 현장생방송마. 메신저바. 오프라인 장소
  • 25. 가. 블로그블로그는 그 콘텐츠의 정확한 정의와 콘텐츠 재사용을 위한 많은 요건들을 만족합니다.
  • 26. 나. 위키교육에 사용되는 모든 콘텐츠는 누구나 함께 추가 변경 삭제할 수 있는 위키방식이 적합합니다. 본 프로젝트의 각 단계에 해당되는 모든 참여자가 함께 업데이트 하는데에위키는 최적입니다. 위키 뿐만 아니라 기타 2.0 시맨틱웹 들이 본 프로젝트를 지원하게 될 것입니다.
  • 27. 다. 메일링리스트참여자간의 관계를 돈독하게 해주고 각 콘텐츠의 이력을 각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학생간 선후배간의 교류에도 점점 더 좋아질 것 같습니다.
  • 28. 라. 실시간 현장생방송LMS의 비동기동영상도 교육과정에 많은 도움을 주지만 이제는 무료로도 제공되는 무료 실시간 현장생방송 솔루션들은 동기화된 원격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많은 자본을 가진 곳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개개인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단계라는 점에서 매우 유용합니다.이는 향후 교육UCC로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도 매력이 있습니다.
  • 29. 마. 메신저교육은 지식전달 뿐만 아니라 많은 현장전문가와의 다양한 연결방식에 해답이 있을 것 같습니다. 부족한 커뮤니케이션을 메꿔줄 수 있습니다.
  • 30. 바. 오프라인 장소온라인만으로는 교육의 많은 부분이 공백으로 남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프라인은 단위시간당 교환 바이트 수로는 최고의 정보들이 오고갑니다. 오프라인 장소라는 자원이 무한하게 제공되기 위해서는 공간2.0의 컨셉이 필요합니다. e와 결합하여 시시각각 조립사용이 가능하게 준비되어 있어야합니다. 시공간 기본단위로 구분된 장소를 필요한 사람들에 의해서 쓰고 관리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 31. 감사합니다. ^^맘껏 질문하세요 ^^~유영진cityhntr@gmail.comTwitter.com/cityhntr019-3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