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숙하지만 낯선 이름, 블로거

          성미산 마을 연속강좌
        마을과 블로그, 그리고 블로거

              2008.11.
 장상미 amy@action.or.kr http://episode.or.kr
장면1. 홈페이지 vs 블로그?
장면 2. 게시판 vs 블로그?
장면 3. 기자 vs 블로거?

“기자나 블로거나 모두 정보를 생산한다. 하지만 생산하는 정보의 유형이 서로 다르다.
또 그런 것이 서로의 역할이다. 한번의 행사로 모든 것을 평가할 수는 없지만, IT 기기 분
야에서만큼은 분명 블로거들이 생산해 내는 정보의 양과 깊이에 ‘기자’들이 힘겨워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더구나 기자 간담회라는 행사를 통해 ‘독점적으로’ 정보를 받아 기
사를 작성하든 시절도 끝나가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블로거 간담회가 일반화하고 있
는 추세다. 국내에서도 기자간담회와 블로거 간담회가 비록 시간차이는 있어도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비슷한 형식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다. 간담회만 놓고 보면 기자와 블로거
가 똑같은 소스로 기사를 작성해야 하는 취재경쟁이 시작된 것이다.”

http://bloter.net/archives/8491
2008.11.23 블로터닷넷 [기자와 블로거의 차이]          저널리즘 vs 블로기즘


                블로그는 자기관여적이고, 자기투사적인 주관성이 깊이 내재된 글을
                쓴다는 점에서 '개인적인 공간'이지만, 기존의 저널리즘의 객관성이
                표상하는 가짜 담론(그 당파성의 기만)을 깨뜨리는 미디어적 의미,
                대안적인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는 점에서, 그리고 새로운 웹 콘텐츠
                의 생산 소비 유통방식을 생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공적이다.

                http://minoci.net/616
                2008.10.01 민노씨
자, 그러니까 블로그가 뭐냐면..

             블로그(Blog 혹은 Web log)란 Web(웹)과 Log(로그)를 합친 낱말로, 스스로가
             가진 느낌이나 품어오던 생각, 알리고 싶은 견해나 주장 같은 것을 웹에다 일기
             (로그)처럼 차곡 차곡 적어 올려서, 다른 사람도 보고 읽을 수 있게끔 열어 놓
             은 글모음이다. 보통 시간의 순서대로 가장 최근의 글부터 보이며 여러사람이
             쓸 수 있는 게시판(BBS)과는 달리 한사람 혹은 몇몇소수의 사람만이 글을 올
             릴 수 있다. 이렇게 블로그를 소유해 관리하는 사람을 블로거라고 한다. 블로그
             는 개인적이면서도 때에 따라서는 기존의 어떤 대형 미디어에 못지않은 힘을
             인터넷을 통해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1인 미디어'라고도 부른다.

             http://ko.wikipedia.org/wiki/%EB%B8%94%EB%A1%9C%EA%B7%B8
             위키피디아


웹(web) 로그(log)의 줄임말로, 1997년 미국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새로 올
리는 글이 맨 위로 올라가는 일지(日誌)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이런 이름이 붙
었다. 일반인들이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일기·     칼럼·기사 등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출판·  개인방송·   커뮤니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일종의 1인 미디어이다.
http://100.naver.com/100.nhn?docid=771364
네이버 백과사전
메타블로그

                                   소통


           팀블로그             트랙백
팟캐스트
                     CCL



                    댓글
         RSS                      웹2.0
개방



               공유
                         블로거기자
블로깅 하는 법?

[행복한 블로깅 10강령]

1. 블로그 사이트를 위해서 블로깅 하지 마세요. 자신을 위해 블로깅 하세요.
2. 오래 운영하도록 하세요. 많은 기록보다 꾸준하고 오래 된 기록이 가치 있습니다.
3. 조급하게 채우려 하지 마세요. 블로그는 바삐 채우는 곳이 아니라 시간과 함께 쌓이는 곳입니
다.
4. 싸우지 마세요. 좋은 글만 보고 좋은 사람만 만나세요.
5. 새로운 것을 바라지 마세요. 부족함으로 블로깅의 즐거움을 쌓고, 이미 만난 인연으로 행복을
느끼시기 바랍니다.
6. 블로그 사이트 너머에는 블로거가 있음을 잊지 마세요. 글의 표현보다 블로거가 표현하고자 하
는 마음을 읽으세요.
7. 내 글은 소중합니다. 마찬가지로 남의 글도 그들에게는 소중하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8. 다른 사람의 실수를 탓하기보다는 도와주도록 하세요.
9. 항상 나눔의 마음을 가지세요. 정보는 함께 나눌수록 힘이 됩니다.
10. 이래야 블로그라는 생각은 버리세요. 블로그의 의미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과 주위 사람의 의
미입니다. 블로그의 의미에 맞추지 말고 자신의 의미와 자신의 행복에 맞추어 블로깅 하세요.

http://www.dal.kr/blog/archives/000331.html
2004.03.04 김중태문화원
블로깅 하는 법?


[성공적인 블로깅을 위한 필수요소]

Reading: 많이 읽어야 하는 것은 기본. 다른 블로거의 글을 많이 읽어야 자신의 목소리가 생겨나는
법이지요.
Research: 블로깅 활동을 단기적인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면, 자신이 잘 아는 분야에 관해 블로깅
한다해도 얼마 지나지 않아 블로깅 소재가 떨어질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블로깅하는 분야에
관해 항상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Writing: 정기적인 글쓰기가 중요합니다. 하루에 한번/여러번, 일주일에 한번 또는 몇번 같은 식의
나름대로의 규칙을 정해놓고 이를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같이 규칙을 정해 놓고 따라 나가면
블로그를 읽는 독자의 입장에서도 어느정도 분량의 정보를 얻게 될지 미리 예상할 수 있어 좋고 블
로깅 하는 입장에서도 게을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좋습니다.
Relationship Building: 다른 블로거의 글에 댓글을 남긴다든지 또는 트랙백을 건다든지 하는 것을
통해 블로그를 중심으로한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것입니다.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라고도 불리는
블로그 본연의 특징이기도 하고 또 자신의 블로그를 아껴주는 사람을 늘려 나가는 길이기도 합니다.

http://www.weblognara.com/161
2005.12.08 블로그나라 가 Paul Chaney의 포스트를 정리
블로깅 하는 법?


[성공적인 블로깅을 위한 10가지 방법]

1. 자신이 관심을 가진 분야에 대해 얼마나 깊은 열정과 애정이 있는지를 표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 건조한 느낌의 딱딱한 문장보다는 글쓴이의 캐릭터와 인간미가 느껴지는 글을 쓰는 것이 좋다.
3. 덧글에는 가능한 한 답글을 쓰도록 하고 친절한 어투로 견해를 표현하는 것이 좋다.
4. 다른 블로거의 글을 많이 읽고 자신의 글에 링크를 걸고 트랙백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좋다.
5. 메타 블로그 사이트를 적극 활용한다.
6. 오프라인 모임의 기회가 있다면 종종 참석하는 것이 좋다.
7. 자주 글을 포스팅해야 하고 적어도 1년 이상 지속성을 가져야 한다.
8. 레퍼러를 꾸준히 파악하고 어떤 링크를 통해 자신의 블로그를 방문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9. 가끔은 사람들에게 재미를 주는 것이 좋다.
10. 좋은 블로거라면 감정 조절 능력이 있어야 한다.

http://www.zdnet.co.kr/itbiz/column/anchor/hsryu/0,39030308,39156323,00.htm
2007.03.23 류한석
블로깅 하는 법?



[블로그와 시민운동(7) : 미디어로서의 블로그]

시민단체도 다르지 않다. 최근에 블로그를 운영하는 시민단체들이 하나둘씩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블로그에 가보면 이야기는 없고, 보도자료와 성명서만 잔뜩 쌓여 있는걸 발견할 수
있다. 그것도 아래아한글에서 긁어왔다는 것이 한눈에 보이는..... 이렇게 해서는 사람들과
의 관계가 형성되지도 않고, 신뢰가 쌓이지도 않는다.

명심하자. 사람들은 이야기를 원한다. 성명서와 보도자료가 나오기까지의 과정에 관한 이
야기를 듣고 싶어한다. 과정은 아무것도 모르는데 결과만을 알려주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성명서에 담지 못하고, 보도자료에 담지 못하는 수많은 이야기들을 네티즌들과 나누는 것,
시민단체가 블로그에서 해야 할 일들이다.

http://actiontools.or.kr/blog/136
2007/12/16 00:03 조아신
블로깅 하는 법?


[내가 블로깅 하는 법]

심심해서 무언가 끄적거려 보려다
블로그는 생산적이고 유익한 컨텐츠를 생산해야 한다는 강박에 포기하거나
블로그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아 좀 산뜻하게 꾸며보고 싶어서
이리저리 궁리하다가 결국 제자리
이런 저런 이슈들에 관해 적어보려다 데일까봐 포기
작업하고 있는 음악이나 올려볼까 하다가 아껴두고 싶은
실은 까일까 두려운 욕심에 취소
이런 악순환을 거쳐 결국
어차피 오는 사람도 없잖아라며 방치

http://gamjay.egloos.com/2162659
2008.11.12 Gamjay
블로깅 하는 법?



  “도구가 목적 위에 서고 허상이 권위가 되어버리는 현상은
  아주 손쉽게 자리잡을 수 있다. (순위경쟁과 유명 블로그
  에 던져주는 떡고물 정도면 충분히 이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두터운 탑이 되어 오래도록 군림
  할 수 있다. 포장은 내용물보다 중요해진다. 사람들이 그
  것을 인식하더라도 어쩔 수 없게되는, 인식하지 못하는 사
  람도 점점 많아지게 되는 시스템으로 자리잡게 된다.“

  http://nooegoch.net/287
  2008.11.10 nooe [인기있는 블로거가 되기 힘든 이유]
다시, 장면 2.
즐겁게 블로깅 하세요.




http://channy.tistory.com/239
2008.03.16 윤석찬 [Hello Blogger 블로그 중독 테스트]
“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
                바이바이^^


          끝. 감사합니다^^

장상미 amy@action.or.kr http://episode.or.kr

More Related Content

PDF
블로그 블로그정보입력
PDF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_블로그_활용방법
PDF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하기 & 개요
PPT
How to blog - longrun하는 블로그에 대하여
PDF
S3.part.2.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워드프레스
PPTX
블로그와 트위터, 어떻게 시작할까
PDF
Blog GUide Book Ver2.0
PPT
구글 문서도구, 버즈 분석
블로그 블로그정보입력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_블로그_활용방법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하기 & 개요
How to blog - longrun하는 블로그에 대하여
S3.part.2.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워드프레스
블로그와 트위터, 어떻게 시작할까
Blog GUide Book Ver2.0
구글 문서도구, 버즈 분석

Viewers also liked (19)

PPT
PPTX
Calendar 2009 pp07
PDF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녹색연합20100222
PDF
소통과만남온라인의가능성(20080103 녹색연합)
PDF
소셜네트워크가가꾸는숲 생명의숲20100426
PPTX
Habitat 2010
PDF
정말어려운이야기 여성운동과뉴미디어(20100107 여성연합)
PDF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이화리더십200910
PDF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PDF
소셜테크랩
PPT
Transportation
PPTX
Grammar nouns plural and possessive
PDF
소셜테크랩
PPTX
Inside the earth
PDF
비영리 활동가에게 유용한 웹서비스
PDF
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
PDF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원고)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PDF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Calendar 2009 pp07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녹색연합20100222
소통과만남온라인의가능성(20080103 녹색연합)
소셜네트워크가가꾸는숲 생명의숲20100426
Habitat 2010
정말어려운이야기 여성운동과뉴미디어(20100107 여성연합)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이화리더십20091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소셜테크랩
Transportation
Grammar nouns plural and possessive
소셜테크랩
Inside the earth
비영리 활동가에게 유용한 웹서비스
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원고)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Ad

Similar to 익숙하지만낯선이름,블로거(200811 성미산마을강의안) (20)

PDF
세상과 소통하는 도구, 블로그(Blog)
PDF
블로그 온라인브랜드디렉터 강정은 20110330
PDF
2008 Kbba Blog Guidebook
PPT
블로그의이해
PDF
100325 소셜웹기초2 포스팅과 인터넷생방 (V 3)
PDF
['09.11.11] 블로그와 인터넷 매체를 활용한 개인브랜드 구축
PDF
비즈니스 블로그 운영_노하우_세미나_발표자료_090507
PDF
개인브랜드사관학교 5강 브랜드블로그
PPTX
블로그의 이해(초급과정 류장성)
PPTX
블로그의 이해(초급과정 류장성)
PPT
5월8일블러그(이강석)
PDF
[Creatip] Blog marketing for your business
PPTX
[2012.04.11] 창경포럼 블로그 강의 [u실록]이 최고의 자산!
PDF
당신의 가치를 시각화하라 블로그
PPT
웹마케팅세미나
PPT
웹마케팅세미나
PPT
[2012.08.06] 프로블로그로 가는 길
PDF
Howtousesns
PPT
091119 박찬우님 1인창조기업 출력용 091117
PDF
블로그 1
세상과 소통하는 도구, 블로그(Blog)
블로그 온라인브랜드디렉터 강정은 20110330
2008 Kbba Blog Guidebook
블로그의이해
100325 소셜웹기초2 포스팅과 인터넷생방 (V 3)
['09.11.11] 블로그와 인터넷 매체를 활용한 개인브랜드 구축
비즈니스 블로그 운영_노하우_세미나_발표자료_090507
개인브랜드사관학교 5강 브랜드블로그
블로그의 이해(초급과정 류장성)
블로그의 이해(초급과정 류장성)
5월8일블러그(이강석)
[Creatip] Blog marketing for your business
[2012.04.11] 창경포럼 블로그 강의 [u실록]이 최고의 자산!
당신의 가치를 시각화하라 블로그
웹마케팅세미나
웹마케팅세미나
[2012.08.06] 프로블로그로 가는 길
Howtousesns
091119 박찬우님 1인창조기업 출력용 091117
블로그 1
Ad

익숙하지만낯선이름,블로거(200811 성미산마을강의안)

  • 1.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 블로거 성미산 마을 연속강좌 마을과 블로그, 그리고 블로거 2008.11. 장상미 amy@action.or.kr http://episode.or.kr
  • 3. 장면 2. 게시판 vs 블로그?
  • 4. 장면 3. 기자 vs 블로거? “기자나 블로거나 모두 정보를 생산한다. 하지만 생산하는 정보의 유형이 서로 다르다. 또 그런 것이 서로의 역할이다. 한번의 행사로 모든 것을 평가할 수는 없지만, IT 기기 분 야에서만큼은 분명 블로거들이 생산해 내는 정보의 양과 깊이에 ‘기자’들이 힘겨워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더구나 기자 간담회라는 행사를 통해 ‘독점적으로’ 정보를 받아 기 사를 작성하든 시절도 끝나가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블로거 간담회가 일반화하고 있 는 추세다. 국내에서도 기자간담회와 블로거 간담회가 비록 시간차이는 있어도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비슷한 형식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다. 간담회만 놓고 보면 기자와 블로거 가 똑같은 소스로 기사를 작성해야 하는 취재경쟁이 시작된 것이다.” http://bloter.net/archives/8491 2008.11.23 블로터닷넷 [기자와 블로거의 차이] 저널리즘 vs 블로기즘 블로그는 자기관여적이고, 자기투사적인 주관성이 깊이 내재된 글을 쓴다는 점에서 '개인적인 공간'이지만, 기존의 저널리즘의 객관성이 표상하는 가짜 담론(그 당파성의 기만)을 깨뜨리는 미디어적 의미, 대안적인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는 점에서, 그리고 새로운 웹 콘텐츠 의 생산 소비 유통방식을 생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공적이다. http://minoci.net/616 2008.10.01 민노씨
  • 5. 자, 그러니까 블로그가 뭐냐면.. 블로그(Blog 혹은 Web log)란 Web(웹)과 Log(로그)를 합친 낱말로, 스스로가 가진 느낌이나 품어오던 생각, 알리고 싶은 견해나 주장 같은 것을 웹에다 일기 (로그)처럼 차곡 차곡 적어 올려서, 다른 사람도 보고 읽을 수 있게끔 열어 놓 은 글모음이다. 보통 시간의 순서대로 가장 최근의 글부터 보이며 여러사람이 쓸 수 있는 게시판(BBS)과는 달리 한사람 혹은 몇몇소수의 사람만이 글을 올 릴 수 있다. 이렇게 블로그를 소유해 관리하는 사람을 블로거라고 한다. 블로그 는 개인적이면서도 때에 따라서는 기존의 어떤 대형 미디어에 못지않은 힘을 인터넷을 통해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1인 미디어'라고도 부른다. http://ko.wikipedia.org/wiki/%EB%B8%94%EB%A1%9C%EA%B7%B8 위키피디아 웹(web) 로그(log)의 줄임말로, 1997년 미국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새로 올 리는 글이 맨 위로 올라가는 일지(日誌)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이런 이름이 붙 었다. 일반인들이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일기· 칼럼·기사 등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출판· 개인방송· 커뮤니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일종의 1인 미디어이다. http://100.naver.com/100.nhn?docid=771364 네이버 백과사전
  • 6. 메타블로그 소통 팀블로그 트랙백 팟캐스트 CCL 댓글 RSS 웹2.0 개방 공유 블로거기자
  • 7. 블로깅 하는 법? [행복한 블로깅 10강령] 1. 블로그 사이트를 위해서 블로깅 하지 마세요. 자신을 위해 블로깅 하세요. 2. 오래 운영하도록 하세요. 많은 기록보다 꾸준하고 오래 된 기록이 가치 있습니다. 3. 조급하게 채우려 하지 마세요. 블로그는 바삐 채우는 곳이 아니라 시간과 함께 쌓이는 곳입니 다. 4. 싸우지 마세요. 좋은 글만 보고 좋은 사람만 만나세요. 5. 새로운 것을 바라지 마세요. 부족함으로 블로깅의 즐거움을 쌓고, 이미 만난 인연으로 행복을 느끼시기 바랍니다. 6. 블로그 사이트 너머에는 블로거가 있음을 잊지 마세요. 글의 표현보다 블로거가 표현하고자 하 는 마음을 읽으세요. 7. 내 글은 소중합니다. 마찬가지로 남의 글도 그들에게는 소중하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8. 다른 사람의 실수를 탓하기보다는 도와주도록 하세요. 9. 항상 나눔의 마음을 가지세요. 정보는 함께 나눌수록 힘이 됩니다. 10. 이래야 블로그라는 생각은 버리세요. 블로그의 의미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과 주위 사람의 의 미입니다. 블로그의 의미에 맞추지 말고 자신의 의미와 자신의 행복에 맞추어 블로깅 하세요. http://www.dal.kr/blog/archives/000331.html 2004.03.04 김중태문화원
  • 8. 블로깅 하는 법? [성공적인 블로깅을 위한 필수요소] Reading: 많이 읽어야 하는 것은 기본. 다른 블로거의 글을 많이 읽어야 자신의 목소리가 생겨나는 법이지요. Research: 블로깅 활동을 단기적인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면, 자신이 잘 아는 분야에 관해 블로깅 한다해도 얼마 지나지 않아 블로깅 소재가 떨어질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블로깅하는 분야에 관해 항상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Writing: 정기적인 글쓰기가 중요합니다. 하루에 한번/여러번, 일주일에 한번 또는 몇번 같은 식의 나름대로의 규칙을 정해놓고 이를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같이 규칙을 정해 놓고 따라 나가면 블로그를 읽는 독자의 입장에서도 어느정도 분량의 정보를 얻게 될지 미리 예상할 수 있어 좋고 블 로깅 하는 입장에서도 게을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좋습니다. Relationship Building: 다른 블로거의 글에 댓글을 남긴다든지 또는 트랙백을 건다든지 하는 것을 통해 블로그를 중심으로한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것입니다.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라고도 불리는 블로그 본연의 특징이기도 하고 또 자신의 블로그를 아껴주는 사람을 늘려 나가는 길이기도 합니다. http://www.weblognara.com/161 2005.12.08 블로그나라 가 Paul Chaney의 포스트를 정리
  • 9. 블로깅 하는 법? [성공적인 블로깅을 위한 10가지 방법] 1. 자신이 관심을 가진 분야에 대해 얼마나 깊은 열정과 애정이 있는지를 표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 건조한 느낌의 딱딱한 문장보다는 글쓴이의 캐릭터와 인간미가 느껴지는 글을 쓰는 것이 좋다. 3. 덧글에는 가능한 한 답글을 쓰도록 하고 친절한 어투로 견해를 표현하는 것이 좋다. 4. 다른 블로거의 글을 많이 읽고 자신의 글에 링크를 걸고 트랙백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좋다. 5. 메타 블로그 사이트를 적극 활용한다. 6. 오프라인 모임의 기회가 있다면 종종 참석하는 것이 좋다. 7. 자주 글을 포스팅해야 하고 적어도 1년 이상 지속성을 가져야 한다. 8. 레퍼러를 꾸준히 파악하고 어떤 링크를 통해 자신의 블로그를 방문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9. 가끔은 사람들에게 재미를 주는 것이 좋다. 10. 좋은 블로거라면 감정 조절 능력이 있어야 한다. http://www.zdnet.co.kr/itbiz/column/anchor/hsryu/0,39030308,39156323,00.htm 2007.03.23 류한석
  • 10. 블로깅 하는 법? [블로그와 시민운동(7) : 미디어로서의 블로그] 시민단체도 다르지 않다. 최근에 블로그를 운영하는 시민단체들이 하나둘씩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블로그에 가보면 이야기는 없고, 보도자료와 성명서만 잔뜩 쌓여 있는걸 발견할 수 있다. 그것도 아래아한글에서 긁어왔다는 것이 한눈에 보이는..... 이렇게 해서는 사람들과 의 관계가 형성되지도 않고, 신뢰가 쌓이지도 않는다. 명심하자. 사람들은 이야기를 원한다. 성명서와 보도자료가 나오기까지의 과정에 관한 이 야기를 듣고 싶어한다. 과정은 아무것도 모르는데 결과만을 알려주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성명서에 담지 못하고, 보도자료에 담지 못하는 수많은 이야기들을 네티즌들과 나누는 것, 시민단체가 블로그에서 해야 할 일들이다. http://actiontools.or.kr/blog/136 2007/12/16 00:03 조아신
  • 11. 블로깅 하는 법? [내가 블로깅 하는 법] 심심해서 무언가 끄적거려 보려다 블로그는 생산적이고 유익한 컨텐츠를 생산해야 한다는 강박에 포기하거나 블로그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아 좀 산뜻하게 꾸며보고 싶어서 이리저리 궁리하다가 결국 제자리 이런 저런 이슈들에 관해 적어보려다 데일까봐 포기 작업하고 있는 음악이나 올려볼까 하다가 아껴두고 싶은 실은 까일까 두려운 욕심에 취소 이런 악순환을 거쳐 결국 어차피 오는 사람도 없잖아라며 방치 http://gamjay.egloos.com/2162659 2008.11.12 Gamjay
  • 12. 블로깅 하는 법? “도구가 목적 위에 서고 허상이 권위가 되어버리는 현상은 아주 손쉽게 자리잡을 수 있다. (순위경쟁과 유명 블로그 에 던져주는 떡고물 정도면 충분히 이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두터운 탑이 되어 오래도록 군림 할 수 있다. 포장은 내용물보다 중요해진다. 사람들이 그 것을 인식하더라도 어쩔 수 없게되는, 인식하지 못하는 사 람도 점점 많아지게 되는 시스템으로 자리잡게 된다.“ http://nooegoch.net/287 2008.11.10 nooe [인기있는 블로거가 되기 힘든 이유]
  • 15. “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 바이바이^^ 끝. 감사합니다^^ 장상미 amy@action.or.kr http://episod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