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윤리적 소비?    윤리적 소비란 나의 소비 행위가 다른 사람, 사회, 환경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고려하여 소비하는 것을 뜻한다.<2011윤리적 소비 공모전>
윤리적 소비!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구매 결정에 영향을 준다고 답한 비율은 62%,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추가 지불 의향을 밝힌 응답자는 18% 에 이르렀다.<포레스터리서치, 2009>“하지만 잘 모르거니와 비쌀 것 같아서 실제로 구매하지는 않는다.”윤리적 소비에 대한 생각이 직접적인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는?! 보라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윤리적 소비 확산 캠페인 브랜드 ‘보라’
  BORA는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는 '윤리적 소비 확산 캠페인' 브랜드입니다.  기존의 생산•소비에 대한 고민을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내어 윤리적 소비의 가치를 세상에 알리고 모두가 즐겁게 실천할 수 있도록 합니다.  BORA는 일상의 작은 움직임으로 인해 희망차게 변화된 세상을 꿈꾸고 있습니다.
사회적 기업과 함께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1. BAG FOR THE FUTURE보라와 함께윤리적 제품의 생산과 소비가 만들어내는 가슴 따뜻한 순환을 눈으로 보여주기
1. BAG FOR THE FUTURE _5th BORABOMB패션쇼
7. Afrique, Mon Afrique“세계 난민의 날을 기념하는 윤리적 패션”A.M.A Project 아프리카 난민 작가들과 함께 만드는 윤리적 패션 마음 속 깊이 자리잡은 고향, 아프리카를 생각하며 그린 작품이 담긴 <Afrique, monAfrique (아프리카, 나의 아프리카)> 티셔츠 판매 수익금은 ‘이주 여성 작가 양성 프로젝트’및 이주 여성의 아이들을 위한 ‘자문화 교육 프로젝트’로 돌아가 경제적 자립과 더 나은 작품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 조성 윤리적 패션을 지향하는 ‘오르그닷’과 이주 여성의 자립을 지원하는 ‘에코팜므’, 두 사회적 기업의 새로운 상생 콜라보레이션캠페인단의 역할- 온라인 및오프라인 홍보 프로젝트의 의미를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컨텐츠 개발 및 오프라인 행사 지원
사람들에게 알리는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2. HOPE FOR ENERGY
4. 2011 세계 공정무역의 날_FAIR TRADE YOUR WORLD“사람을 위한 무역, Fair Trade Your World!”세계 공정 무역의 날유럽공정무역상점 네트워크에서 1995년부터 해오던 행사를 2002년부터 전세계적으로 넓혀 국제공정무역연합(WFTO)에 가맹한 세계 70개국 300여 단체에서 매년 5월의 둘째 주 토요일에 공정무역을 알리기 위해 공정무역 제품 전시 및 판매, 시식회, 음악 연주회, 운동 경기, 행렬 등 다양한 행사를진행함.일시 및 장소- 일시: 2011년 05월 14일 토요일,  AM 11:00 ~ PM 05:00 장소: 덕수궁 돌담길(서울 중구 정동)6. 2011 소셜이노베이션 캠프“기술의 발전을 공익적인 사회변화로 연결할 수는 없을까요?”- IT와 윤리적 소비의 만남 윤리적 소비를 더 쉽게, 즐겁게, 편하게 만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모바일 웹 서비스)‘바른쇼핑’ 개발 희망제작소,해피빈, 다음세대재단이 주최한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에 참가하여 전문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등과 프로젝트 진행기간 2011년 05월 21일~06월 19일
우리가 경험하는
1. BAG FOR THE FUTURE다양한 방법으로 선물을 마련하며 윤리적 소비를 체험ex) 7일의 기적, 마포희망장터 등 독특한 방법으로 물물교환, 협력적 소비를 체험
8. 이면지 노트 만들기 워크샵“이면지를 활용한 노트를 우리 손으로 만들어 보자!”취지  이면지와 같이, 그 쓰임을 다 하지 못하고 있는 물건이나 자원을 단순한 재사용이 아닌 더 나은 방법으로의 활용, 즉 ‘업사이클링’ 체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물건을 손수 만들어봄으로써 제품의 생산 과정과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워크샵을 통해 만들어진 노트는 네팔으로 공정여행을 떠나는 캠페인단원이 학용품이 부족한 현지 사정을 배려해 직접 전달일시 및 장소  일시: 2011년 07월 23일 토요일, PM 03:00 ~ PM 06:00- 장소: 홍대 앞 커뮤니티 카페 ‘슬로비’ (서울 마포구 동교동)의의- 생활 속에서 쉽게 낭비되거나 버려지는 자원을 누구나 얼마든지 직접 할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깨달으며 자원과 환경, 제품의 생산과정부터 폐기과정, 그리고 그것을 소비하는 우리의 생활 태도에 대해 되돌아보는 계기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9. 윤리적 파티_6th BORABOMB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새로운 시도
“윤리적 소비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새로운 캠페인 방식을 시도하다.”단순한 홍보 캠페인을 뛰어넘어 네트워킹 파티, 패션쇼, 일일주점, 어플리케이션 제작등 새롭고 다양하게 윤리적 소비에 다가가는 방식을 시도했다. - 다양한 이해관계자(청년, 윤리적 생산자, 관련단체)가 참여하는 열린 구조의 캠페인- 누구든, 어디에서든, 언제든일상적인 방법으로 실천할 수 있는 캠페인- 청년이 가지고 있는 강점(참신한 아이디어, 소셜 미디어 활용력, 발랄함)이 살아있는 재미있는 캠페인- 주도하는 청년과윤리적 생산자, 참여하는시민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캠페인- 지속가능, 응용가능한 형태로서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되는 캠페인
네트워크 형성
“윤리적 소비의 네트워크를 형성” 청년 중심의 캠페인단BORA 모집 및 활동 시작
윤리적 소비 청년 네트워킹 파티 BORABOMB & BORATALK 시작- 다양한 활동을 바탕으로 관련 분야의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과의 관계 형성-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활발한 홍보와 소통(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청년 캠페인단의 활동 가능 영역과 원활한 구조 등을 실험
“윤리적 소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지만, -   청년외의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파급력 부족소셜 미디어에 의존한 결과그 외의 소통채널은 소홀하거나, 소셜미디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소외되는 한계 발생
윤리적 소비를 모르는 사람은?윤리적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윤리적 소비자(캠페인단)와 윤리적 생산자(사회적 기업)가 함께 캠페인을 진행”오르그닷,에코팜므 등의 사회적 기업과 BAG FOR THE FUTURE, AMA 등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슬로비, 스몰토크프로젝트, 리틀파머스와 같은 윤리적 소비가 가능한 공간을 활용해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정보를 서로 전달하며 소통 각종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윤리적 상품이 생산되고 사회에 가치가 퍼지는 과정을 직접 경험캠페인단이 소비자와 생산자 각각의 입장에서 윤리적 소비를 바라보고 고민하는 기회를 가짐. 스스로의 변화
“우리 스스로 윤리적 소비를 받아들이다” 윤리적 소비를 확산시키는 활동을 하고 있지만, 윤리적 소비를 가장 많이 하게 된 이는 바로 캠페인단- 6개월의 활동으로 캠페인단의 생활과 소비습관이 변화함을 몸소 체험함. 농활(콩세알나눔마을), 이면지 노트 워크샵 등을 통해 일상 속에서 윤리적 소비를 생각하고, 실천하게 됨. 윤리적 소비 매장에서 물건을 구입하거나 식사를 하고, 자발적으로 윤리적 소비라고 생각하는 매장이나 상품을 찾아보고, 정보를 서로 공유 가족, 친구나 지인 등 주변에 ‘빅이슈’ 잡지를 선물하는 등 소소하지만 조금씩 자신의 커뮤니티 안에서 스스로 윤리적 소비를 알리는 매개체가 되어 파급력을 키워가게 됨.
보라, 보라
“일상”
“마케팅”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BORA LAB
탐구생활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More Related Content

PDF
20120707 designjam777
PDF
위험을 다스리는 사회 | 김찬호 성공회대 교수
PDF
BORA3기_20111008_노라보라발표
PDF
Code_The_Web_150524_HTML_CSS
PDF
3 Things Every Sales Team Needs to Be Thinking About in 2017
PDF
110914 보라 3기_ot_ppt
PPT
Proxis international development(1)
20120707 designjam777
위험을 다스리는 사회 | 김찬호 성공회대 교수
BORA3기_20111008_노라보라발표
Code_The_Web_150524_HTML_CSS
3 Things Every Sales Team Needs to Be Thinking About in 2017
110914 보라 3기_ot_ppt
Proxis international development(1)

Similar to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20)

PPT
Proxis-International Development
PPT
PROXIS-INTERNATIONAL DEVELOPMENT
PPT
(중등_6차시_활동) 지금 함께 할 수 있어요.ppt
PPTX
윤리적 소비 - 김희주
PDF
Creating shared value _ 2016_0310
PDF
T4 g intro
PDF
소셜 마켓 ・ 품 사업걔획서
PDF
어느 광고대행사의 고백 - 제 1회 ‘새 광고’ 컨퍼런스
PDF
RIVERCRAW_0426
PDF
국내 사회적 활동 기업의 좋은 사례(2014 연말 감동뉴스)
PDF
Social innovation case study 1220_yang
PDF
세계와 도시 1&2 통합호 웹용
PPTX
윤소형
PDF
Gwanak Social Economy book
PDF
추석명절+추천+사회적기업+선물+카탈로그
PDF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0강 아시아 저개발국의 현실과 과제 - 김동훈
PPT
위제너레이션_4장_할아버지세대의협동소비를따르다
PPTX
BORA3기_20111008_선물해보라팀 발표
PDF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4강 사회적기업, 혁신엔진이 관건이다 - 라준영
PDF
서비스디자인
Proxis-International Development
PROXIS-INTERNATIONAL DEVELOPMENT
(중등_6차시_활동) 지금 함께 할 수 있어요.ppt
윤리적 소비 - 김희주
Creating shared value _ 2016_0310
T4 g intro
소셜 마켓 ・ 품 사업걔획서
어느 광고대행사의 고백 - 제 1회 ‘새 광고’ 컨퍼런스
RIVERCRAW_0426
국내 사회적 활동 기업의 좋은 사례(2014 연말 감동뉴스)
Social innovation case study 1220_yang
세계와 도시 1&2 통합호 웹용
윤소형
Gwanak Social Economy book
추석명절+추천+사회적기업+선물+카탈로그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10강 아시아 저개발국의 현실과 과제 - 김동훈
위제너레이션_4장_할아버지세대의협동소비를따르다
BORA3기_20111008_선물해보라팀 발표
청년 체인지메이커 아카데미 ㅡ 4강 사회적기업, 혁신엔진이 관건이다 - 라준영
서비스디자인
Ad

More from bora campaign BY seed:s corporation (14)

PPTX
BORA3기_20111022_신촌보라
PPTX
BORA3_20111022_먹어보라2DO
PPTX
BORA3기_20111022_입어보라팀발표
PDF
보라 3기 1차 교육 _ 페어트레이드코리아그루
PDF
보라 3기 1차 교육 _ 오르그닷
PDF
보라 3기 2차 교육 _ 2_CO-UP 양석원 대표
PDF
보라 3기 2차 교육 _ 1_CO-UP 양석원 대표
PDF
보라 3기 OT 강의 '윤리적소비와 사회적기업'
PPTX
소셜 커뮤니케이션 1팀
PPTX
Bag for the future _Social Design team
PPTX
3월보라워크숍 ppt
PPTX
보라2기 발대식 오리엔테이션_전체ppt
BORA3기_20111022_신촌보라
BORA3_20111022_먹어보라2DO
BORA3기_20111022_입어보라팀발표
보라 3기 1차 교육 _ 페어트레이드코리아그루
보라 3기 1차 교육 _ 오르그닷
보라 3기 2차 교육 _ 2_CO-UP 양석원 대표
보라 3기 2차 교육 _ 1_CO-UP 양석원 대표
보라 3기 OT 강의 '윤리적소비와 사회적기업'
소셜 커뮤니케이션 1팀
Bag for the future _Social Design team
3월보라워크숍 ppt
보라2기 발대식 오리엔테이션_전체ppt
Ad

보라3기 OT_1,2기 활동 정리 발표

  • 2. 윤리적 소비? 윤리적 소비란 나의 소비 행위가 다른 사람, 사회, 환경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고려하여 소비하는 것을 뜻한다.<2011윤리적 소비 공모전>
  • 3. 윤리적 소비!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구매 결정에 영향을 준다고 답한 비율은 62%,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추가 지불 의향을 밝힌 응답자는 18% 에 이르렀다.<포레스터리서치, 2009>“하지만 잘 모르거니와 비쌀 것 같아서 실제로 구매하지는 않는다.”윤리적 소비에 대한 생각이 직접적인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는?! 보라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 4. 윤리적 소비 확산 캠페인 브랜드 ‘보라’
  • 5. BORA는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는 '윤리적 소비 확산 캠페인' 브랜드입니다. 기존의 생산•소비에 대한 고민을 재미있는 방식으로 풀어내어 윤리적 소비의 가치를 세상에 알리고 모두가 즐겁게 실천할 수 있도록 합니다. BORA는 일상의 작은 움직임으로 인해 희망차게 변화된 세상을 꿈꾸고 있습니다.
  • 8. 1. BAG FOR THE FUTURE보라와 함께윤리적 제품의 생산과 소비가 만들어내는 가슴 따뜻한 순환을 눈으로 보여주기
  • 9. 1. BAG FOR THE FUTURE _5th BORABOMB패션쇼
  • 10. 7. Afrique, Mon Afrique“세계 난민의 날을 기념하는 윤리적 패션”A.M.A Project 아프리카 난민 작가들과 함께 만드는 윤리적 패션 마음 속 깊이 자리잡은 고향, 아프리카를 생각하며 그린 작품이 담긴 <Afrique, monAfrique (아프리카, 나의 아프리카)> 티셔츠 판매 수익금은 ‘이주 여성 작가 양성 프로젝트’및 이주 여성의 아이들을 위한 ‘자문화 교육 프로젝트’로 돌아가 경제적 자립과 더 나은 작품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 조성 윤리적 패션을 지향하는 ‘오르그닷’과 이주 여성의 자립을 지원하는 ‘에코팜므’, 두 사회적 기업의 새로운 상생 콜라보레이션캠페인단의 역할- 온라인 및오프라인 홍보 프로젝트의 의미를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컨텐츠 개발 및 오프라인 행사 지원
  • 15. 2. HOPE FOR ENERGY
  • 16. 4. 2011 세계 공정무역의 날_FAIR TRADE YOUR WORLD“사람을 위한 무역, Fair Trade Your World!”세계 공정 무역의 날유럽공정무역상점 네트워크에서 1995년부터 해오던 행사를 2002년부터 전세계적으로 넓혀 국제공정무역연합(WFTO)에 가맹한 세계 70개국 300여 단체에서 매년 5월의 둘째 주 토요일에 공정무역을 알리기 위해 공정무역 제품 전시 및 판매, 시식회, 음악 연주회, 운동 경기, 행렬 등 다양한 행사를진행함.일시 및 장소- 일시: 2011년 05월 14일 토요일, AM 11:00 ~ PM 05:00 장소: 덕수궁 돌담길(서울 중구 정동)6. 2011 소셜이노베이션 캠프“기술의 발전을 공익적인 사회변화로 연결할 수는 없을까요?”- IT와 윤리적 소비의 만남 윤리적 소비를 더 쉽게, 즐겁게, 편하게 만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모바일 웹 서비스)‘바른쇼핑’ 개발 희망제작소,해피빈, 다음세대재단이 주최한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에 참가하여 전문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등과 프로젝트 진행기간 2011년 05월 21일~06월 19일
  • 18. 1. BAG FOR THE FUTURE다양한 방법으로 선물을 마련하며 윤리적 소비를 체험ex) 7일의 기적, 마포희망장터 등 독특한 방법으로 물물교환, 협력적 소비를 체험
  • 19. 8. 이면지 노트 만들기 워크샵“이면지를 활용한 노트를 우리 손으로 만들어 보자!”취지 이면지와 같이, 그 쓰임을 다 하지 못하고 있는 물건이나 자원을 단순한 재사용이 아닌 더 나은 방법으로의 활용, 즉 ‘업사이클링’ 체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물건을 손수 만들어봄으로써 제품의 생산 과정과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워크샵을 통해 만들어진 노트는 네팔으로 공정여행을 떠나는 캠페인단원이 학용품이 부족한 현지 사정을 배려해 직접 전달일시 및 장소 일시: 2011년 07월 23일 토요일, PM 03:00 ~ PM 06:00- 장소: 홍대 앞 커뮤니티 카페 ‘슬로비’ (서울 마포구 동교동)의의- 생활 속에서 쉽게 낭비되거나 버려지는 자원을 누구나 얼마든지 직접 할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깨달으며 자원과 환경, 제품의 생산과정부터 폐기과정, 그리고 그것을 소비하는 우리의 생활 태도에 대해 되돌아보는 계기
  • 24. “윤리적 소비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새로운 캠페인 방식을 시도하다.”단순한 홍보 캠페인을 뛰어넘어 네트워킹 파티, 패션쇼, 일일주점, 어플리케이션 제작등 새롭고 다양하게 윤리적 소비에 다가가는 방식을 시도했다. - 다양한 이해관계자(청년, 윤리적 생산자, 관련단체)가 참여하는 열린 구조의 캠페인- 누구든, 어디에서든, 언제든일상적인 방법으로 실천할 수 있는 캠페인- 청년이 가지고 있는 강점(참신한 아이디어, 소셜 미디어 활용력, 발랄함)이 살아있는 재미있는 캠페인- 주도하는 청년과윤리적 생산자, 참여하는시민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캠페인- 지속가능, 응용가능한 형태로서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되는 캠페인
  • 26. “윤리적 소비의 네트워크를 형성” 청년 중심의 캠페인단BORA 모집 및 활동 시작
  • 27. 윤리적 소비 청년 네트워킹 파티 BORABOMB & BORATALK 시작- 다양한 활동을 바탕으로 관련 분야의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과의 관계 형성-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활발한 홍보와 소통(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청년 캠페인단의 활동 가능 영역과 원활한 구조 등을 실험
  • 28. “윤리적 소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지만, - 청년외의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파급력 부족소셜 미디어에 의존한 결과그 외의 소통채널은 소홀하거나, 소셜미디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소외되는 한계 발생
  • 29. 윤리적 소비를 모르는 사람은?윤리적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 30. “윤리적 소비자(캠페인단)와 윤리적 생산자(사회적 기업)가 함께 캠페인을 진행”오르그닷,에코팜므 등의 사회적 기업과 BAG FOR THE FUTURE, AMA 등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슬로비, 스몰토크프로젝트, 리틀파머스와 같은 윤리적 소비가 가능한 공간을 활용해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정보를 서로 전달하며 소통 각종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윤리적 상품이 생산되고 사회에 가치가 퍼지는 과정을 직접 경험캠페인단이 소비자와 생산자 각각의 입장에서 윤리적 소비를 바라보고 고민하는 기회를 가짐. 스스로의 변화
  • 31. “우리 스스로 윤리적 소비를 받아들이다” 윤리적 소비를 확산시키는 활동을 하고 있지만, 윤리적 소비를 가장 많이 하게 된 이는 바로 캠페인단- 6개월의 활동으로 캠페인단의 생활과 소비습관이 변화함을 몸소 체험함. 농활(콩세알나눔마을), 이면지 노트 워크샵 등을 통해 일상 속에서 윤리적 소비를 생각하고, 실천하게 됨. 윤리적 소비 매장에서 물건을 구입하거나 식사를 하고, 자발적으로 윤리적 소비라고 생각하는 매장이나 상품을 찾아보고, 정보를 서로 공유 가족, 친구나 지인 등 주변에 ‘빅이슈’ 잡지를 선물하는 등 소소하지만 조금씩 자신의 커뮤니티 안에서 스스로 윤리적 소비를 알리는 매개체가 되어 파급력을 키워가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