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ebsite Evaluation 책을 사고 파는 인터넷 서점 북코아 (www.bookoa.com) 인간공학 1 st Term Project 4 조 황보환 이병철 백예인 서정우 이동욱
2. 목차 (1) 기업 개요 및 선정 배경 (2) 프로젝트 목적 (3) 조사 방법 User Profile Heuristic Evaluation Result 유사 사이트 비교 분석 Benchmark (1) 결론 (2) 참고문헌 (3) Q&A
3. 북코아 소개 ( 주 ) 샤캄에서 운영중인 국내 최대의 온라인 중고 서적 거래 사이트 안전결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중고 서적을 판매하려는 개인 판매자 혹은 헌책방 사업자와 구매자간의 거래를 지원 온 , 오프라인 마케팅과 사회환원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점차 인지도를 높이고 있음 플러스프로 광고등록 (Keyword ‘ 중고책’ ) 전체 등록된 책 3063407 권 전일 등록된 책 4320 권 회원 수 432028 명 판매자 수 22321 명 사이트 주소 http://www.bookoa.com < 출처 : 북코아 (2008. 10. 12)>
4. 온라인 중고책거래 시장 동향 높은 성장률 “ 2005 년 처음 생긴 북코아는 해마다 성장률이 200% 에 이른다 . 누구나 판매자로 등록해 자신의 책을 팔 수 있고 , 올라와 있는 책들을 검색해 원하는 책을 살 수 있다 . … 매일 5 천여 권의 책들이 새롭게 등록되고 , 그 절반 수준의 책들이 팔려나간다 . “ – 한겨레신문 , 2008. 10. 10. “ 중고책을 이용해서 하게 되면 정가 대비 한 30%, 비싸도 40% 정도면 책을 살 수 있는거죠 . 한 학기에 10 만원 정도면 그 책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아주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요 . “ - YTN, 2008. 9. 28. “ 김성동 / 온라인 중고서적업체 팀장 : 6 개월 목표를 첫 달에 오픈하자마자 달성을 했어요 . 그만큼 저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중고에 대한 호응도가 높더라고요 . “ – SBS, 2008. 9. 19. 대학생의 중고책 수요 증가 고물가 시대의 해결책
5. 기업 환경분석 Company & Competitor 구매 희망자 개인 판매자 미니북샵 ( 헌책방 ) Target Customer buy & sell Critical Success Factor Business Model 자체 상품 공급 On/Off line 여부 온라인 서점 (Ex : 알라딘 ) O Online 기존의 중고 서점 X Offline 온라인 중고 서점 ( 북코아 ) X Online Online Homepage 기능 강화 이용자수 증가
7. 프로젝트 방법 Evaluation Framework - User Profile Analysis - Heuristic Approach Usability Evaluation Checklists Suggestion & Conclusion Framework - Direction Setting - Benchmark Approach - Solution Deduction
8. User Profile 이용목적 주요 이용기능 Homepage 문제 발생시 비용 형태 중요도 개인고객 중고서적 구매 및 판매 도서검색 , 마이북코아 , 결제관련 Process 수요손실 ( 大 ), 공급손실 ( 中 ), 소비자 기업이미지 하락 0.5 중고서점 영업주 중고서적 판매 미니북샵 , 결제관련 Process 공급손실 ( 大 ) 업계이미지 하락 0.4 기업 / 단체 중고서적 대량 구매 대량구매 대량구매 Process 는 전화로 이루어진다 . Homepage 와의 연계성은 크지 않음 0.1
9. 10 가지 평가요소 설정 Contents Visual Clarity Functionality Consistency Feedback Structure Navigation Openness Usability Help
10. 1. Contents Checklists 디자인이 목표한 고객에 어필하는가 ? 컨텐츠가 사이트의 목적을 반영하는가 ? 컨텐츠가 사용자의 필요와 기대에 부합하는가 ? 특정한 컨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는가 ? 많은 양의 정보를 가진 사이트에서 검색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가 ? Contents 영역은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양과 질 , 해당 정보가 유저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정도를 모두 포함한다 . 많은 양의 도서 DB 에 유저가 접근해야하는 북코아의 홈페이지에서는 사이트의 내용과 정보들이 정확하고 유저들의 필요를 만족하는지의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
11. 1. Contents P1. 검색의 옵션이 한정적이다 . 검색 엔진의 옵션이 낮은 가격 순을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 일반적으로 지원되는 작가이름을 통한 검색이 지원되지 않는다 .
12. 1. Contents P2. 검색된 상품을 클릭했을 때 ,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정보가 별 의미 없다 . 중고서점을 방문하는 유저들은 이러한 정보를 별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
13. 1. Contents P3 : ISBN 을 입력하지 않을 경우 책에 대한 데이타가 거의 없게 되어 유저에게 불완전한 정보를 제공한다 . 책 상태에 대한 정보 입력도 부실
14. 2. Visual Clarity Checklists 페이지의 레이아웃이 깔끔하고 , 균형이 잡혀있는가 ? 충분한 여백을 포함하는가 ? 이미지가 부드럽고 깨짐 현상이 있지는 않는가 ? 시각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우선으로 보게 되는가 ? 글자를 알아보기 쉬운가 ? 원하는 상품을 검색했을 때 다양한 수의 상품이 나타나고 , 홈페이지 배너광고 또한 중요한 수입원이 되는 인터넷 쇼핑몰의 경우에는 유저가 홈페이지를 이용하며 느끼게 되는 시각적인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된다 .
15. 2. Visual Clarity P4 : 중고서적을 거래하는 사이트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 가치가 떨어지는 정보들이 무분별하게 나열되어 있다 .
18. 3. Functionality Checklists 기능별로 정의된 용어들이 간단하고 함축적인 방식으로 해당 기능을 의미하는가 ? 각 기능들의 링크는 올바로 작동하며 유저의 혼란을 야기하지 않는가 ? Homepage 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의 올바로 작동여부와 , 유저가 해당 기능이 수행하는 역할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용어 선정은 모든 Homepage 제작에 있어 기본이 되는 사항이다 .
23. 4. Consistency Checklists 일반적으로 쓰이는 용어들로 구성되었는가 ? 기능을 표현하는 용어는 일관적으로 정의되었는가 ? 홈페이지의 레이아웃과 색상 , 글꼴이 일정한가 ? 일관성을 확보하지 못한 홈페이지는 유저의 이용에 있어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 사이트 서핑 과정을 피로하게 만든다 .
26. 4. Consistency P12 : ISBN 으로 검색하면 도서명과 저자 , 출판사 등이 자동으로 채워짐에도 수정할 수 있게 되어있어 임의로 상품의 제목을 변경하게 된다 .
27. 5. Feedback Checklists 유저의 행동에 대해서 적절한 Feedback 을 제공하는가 ? Pointing 이나 Click 에 따른 적절한 Feedback 이 제공되었을 때 , 유저들이 특정 기능의 동작 가능성 및 사이트의 현재 상태를 더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
30. 5. Feedback P15 : 카테고리에 글자 이외의 부분에 Pointing 시 피드백이 부족 . 오작동 가능성
31. 6. Structure Checklists 사이트의 구조가 간단하며 , 불필요한 단계를 최소화하였는가 ? 돌아가기 위해 Browser 의 Back 버튼을 이용해야만 하는 부분이 존재하는가 ? 구조상 스크롤이 너무 길지는 않는가 ? 사이트의 구조가 올바르게 되어있지 않으면 , 홈페이지의 전체적인 일관성을 해칠 가능성이 있고 , 사이트 전반에 대한 유저의 이해도가 떨어지게 된다 .
33. 6. Structure P17 : 사이트맵의 구조와 실제 사이트 메뉴들이 다르거나 , 구현되지 않는 부분들이 있다 .
34. 7. Navigation Checklists Navigation 을 통해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가 ?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메인 화면으로의 회귀 버튼이 존재하는가 ? Navigation 에서의 직접적이고 간편한 검색기능을 제공하는가 ? 짜임새 있는 설계의 Navigation 을 제공하게 되면 , User 들이 사이트상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고 , 주요 기능간에 이동하는 과정도 간편해진다 .
35. 7. Navigation P18 : Navigation 을 통한 Category 이동을 지원하지 않는다 . 또한 Category 창의 위치가 다르며 , 분류체계 또한 축소되어 분류별 도서 목록 이동이 번거롭다 .
36. 8. Openness Checklists 비회원 , 최초방문자의 가입이 용이한가 ? 회원가입을 거치지 않고도 사이트 주요 기능의 이용이 가능한가 ? 홈페이지가 얼마나 개방적으로 설계되었는가에 따라 신상정보의 공개를 꺼리는 고객들의 방문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
37. 8. Openness P19 : 비회원은 기본 검색과 같은 기초적인 기능만 이용 가능하며 , 주요 기능의 대부분은 회원 전용 메뉴라는 경고창이 표시된다 .
38. 9. Usability Checklists 홈페이지의 스크롤이 사용성을 저하할 정도로 길지 않은가 ? Bookmark 와 History 기능을 지원하는가 ? 최초 경험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는가 ? 홈페이지가 유저의 기본적인 사용성과 편의를 만족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처음 사용하는 사람이라도 사이트의 인터페이스와 유저의 인지적 직관이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면 , 쉽게 적응할 수 있다 .
39. 9. Usability P20 : 유저가 방문했던 페이지에 대한 기록이 일체 제공되지 않고 , 관련성 없는 정보가 대신 제공된다 .
40. 10. Help Checklists 온라인 상에서 도움말 기능을 제공하는가 ? 유저가 도움을 필요로 할 때 쉽게 접근할 수 있는가 ? 배송정책 등록 등 , 처음 방문하는 유저가 이용하기 힘든 기능들이 있을 수 있으므 로 , 직접적이고 이해할 수 있는 도움말이 상시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
41. 10. Help P21 : 고객센터 , Help, Q&A 등이 일관성 없이 여기저기 흩어져있으며 제각기 수행하는 기능이 조금씩 다르다 .
43. Direction Setting Problem No. Note 이용 중 해당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유저에 따라 중요도를 설정 우선순위 결정 해결의 난이도에 따라 용이성을 설정 해결책 접근 방향 결정 중요도 용이성 < 중요도 > 개인고객 -0.5 중고서적 사업주 -0.4 기업 및 단체 -0.1 < 용이성 > 上 - 제언 수준으로 해결 中 – 아이디어 제시 (Benchmark) 下 – 경영 방침 및 사이트 전반적인 구조와 관련 ( 논의 연기 )
44. Direction Setting P1 P2 P3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3 P14 P15 P16 P17 P18 P19 P20 P21 Problem No. 한정된 검색옵션 불필요한 정보제공 ISBN 미 입력시 정보 불완전 무분별한 나열 거친 이미지 스폰서광고 배너문구의 부적절한 제목 동작하지 않는 링크 Browser 의 Back 기능 이용불가 이용할 수 없는 Q&A 화면 대량구매 - 대량주문 불일치 ISBN 입력 후에도 도서정보 수정가능 도서이미지 Feedback 없음 공지사항 화면 Feedback 없음 카테고리 Feedback 없음 북코아 News 전체보기 없음 사이트맵 불완전 Navigation 에서의 Category 지원 미약 비회원 이용 제약 History 기능 없음 Help 기능 보정 필요 Note 이용 중 해당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유저에 따라 중요도를 설정 우선순위 결정 해결의 난이도에 따라 용이성을 설정 해결책 접근 방향 결정 0.5 0.5 0.5 0.9 0.5 0.5 0.5 0.5 0.9 0.9 0.1 0.5 0.5 0.5 0.5 0.5 0.5 0.5 0.9 0.5 0.9 중요도 中 中 上 中 上 中 上 上 上 上 上 上 中 上 中 上 下 中 下 中 中 용이성
45. Direction Setting P1 P2 P3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3 P14 P15 P16 P17 P18 P19 P20 P21 Problem No. 한정된 검색옵션 불필요한 정보제공 ISBN 미 입력시 정보 불완전 무분별한 나열 거친 이미지 스폰서광고 배너문구의 부적절한 제목 동작하지 않는 링크 Browser 의 Back 기능 이용불가 이용할 수 없는 Q&A 화면 대량구매 - 대량주문 불일치 ISBN 입력 후에도 도서정보 수정가능 도서이미지 Feedback 없음 공지사항 화면 Feedback 없음 카테고리 Feedback 없음 북코아 News 전체보기 없음 사이트맵 불완전 Navigation 에서의 Category 지원 미약 비회원 이용 제약 History 기능 없음 Help 기능 보정 필요 Note 이용 중 해당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유저에 따라 중요도를 설정 우선순위 결정 해결의 난이도에 따라 용이성을 설정 해결책 접근 방향 결정 0.5 0.5 0.5 0.9 0.5 0.5 0.5 0.5 0.9 0.9 0.1 0.5 0.5 0.5 0.5 0.5 0.5 0.5 0.9 0.5 0.9 중요도 中 中 上 中 上 中 上 上 上 上 上 上 中 上 中 上 下 中 下 中 中 용이성
46. Direction Setting P1 P2 P3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3 P14 P15 P16 P17 P18 P19 P20 P21 Problem No. 한정된 검색옵션 불필요한 정보제공 ISBN 미 입력시 정보 불완전 무분별한 나열 거친 이미지 스폰서광고 배너문구의 부적절한 제목 동작하지 않는 링크 Browser 의 Back 기능 이용불가 이용할 수 없는 Q&A 화면 대량구매 - 대량주문 불일치 ISBN 입력 후에도 도서정보 수정가능 도서이미지 Feedback 없음 공지사항 화면 Feedback 없음 카테고리 Feedback 없음 북코아 News 전체보기 없음 사이트맵 불완전 Navigation 에서의 Category 지원 미약 비회원 이용 제약 History 기능 없음 Help 기능 보정 필요 Note 이용 중 해당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유저에 따라 중요도를 설정 우선순위 결정 해결의 난이도에 따라 용이성을 설정 해결책 접근 방향 결정 0.5 0.5 0.5 0.9 0.5 0.5 0.5 0.5 0.9 0.9 0.1 0.5 0.5 0.5 0.5 0.5 0.5 0.5 0.9 0.5 0.9 중요도 中 中 上 中 上 中 上 上 上 上 上 上 中 上 中 上 下 中 下 中 中 용이성
47. Benchmark 대상 사이트 - 국내 최초 개인간 거래 중개 쇼핑몰 - 조원 다수 이용경험 국내 인터넷 서점 최초로 중고샵 오픈 일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 경험과 기간 적절하고 깔끔한 사이트 디자인 - 조원들의 개인적인 이용 경험에 근거 G 마켓 Itemmania etc.
48. Benchmark 검색옵션 다양화 (P1) : G 마켓은 정확도와 인기도를 우선적으로 검색 , 유저가 원하는 컨텐츠 혹은 상품과 유사할 확률이 높다 .
64. Additional Suggestion 북코아의 Help 기능 개선 (P21) : 북코아의 Help 기능은 고객센터와의 겹침으로 인해 Inconsistency 의 문제가 발생하지만 , 작은 창을 옆에 띄우는 방식이라 편리한 점이 있다 . 이 점을 살려서 Help 기능을 개선시키는 방안이 있다 . Q&A
65. Conclusion Conclusion 북코아의 홈페이지에 대하여 내린 종합적인 결론은 유저 지향적인 인터페이스의 결여라기 보다는 자사의 핵심역량에 대해 집중되지 못한 사이트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었다 . 서론에서 추론한 북코아의 핵심역량 , 즉 중고책 거래에 집중한 최초의 온라인 서점이라는 점을 부각하기에는 기능적으로 미흡한 부분이 많았다 . 성장을 거듭하여 사업이 궤도에 들어서려 하는 북코아의 실질적인 경쟁자는 헌책방이나 동종의 온라인 중고서적 거래 사이트가 아닌 , 옥션이나 알라딘과 같이 인터넷 쇼핑몰 , 혹은 인터넷 서점에서 부수적으로 운영되는 중고샵이라고 볼 수 있다 . 벤치마크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경쟁자들은 웹 상에서의 집적된 사업 노하우와 경험 , 그리고 더 많은 고객과의 접촉기회를 갖고 있다 . 북코아에 대한 본 프로젝트에서는 현 상황에 대하여 진단해보고 , 벤치마킹 수준의 제안을 하는 것에 그쳤지만 , 북코아가 현 산업구조 속에서 안정적인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벤치마킹을 넘어선 , 중고책 거래에 특화된 사이트 구축을 통하여 독보적인 사업 시스템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
66. Conclusion 프로젝트의 Issue 들에 대하여 북코아의 사업 모형과 현상에 대한 진단에서 시작하여 대안 제시 , 결론 도출에 이르는 흐름을 만들고자 하였지만 , 자료와 능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뜻대로 되지 않은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다 . 진행하며 가장 어려웠던 점들 중의 하나가 관련 자료의 부족이었다 . 인터넷 중고책 거래 시장이 형성된 시점이 비교적 최근이어서 연구자료를 비롯 , 유사 사례에 관한 참고자료들이 부족하였고 , 이로 인해 가중치 설정을 통해 심화된 모형을 만들어보려던 당초의 계획을 수정해야만 했다 . 그래도 수업 시간에 배웠던 웹 사이트 평가의 방법론을 실제로 적용해 볼 기회를 가졌고 , 그로 인해 수업내용에 대해 심도 있게 생각해 볼 수 있었다는 것은 큰 수확이라고 생각한다 . 또한 재기 넘치는 조원들과 모여 열의를 갖고 프로젝트에 임하였고 , 좋은 경험을 공유했다는 점에서 보람을 느낀다 .
67. 참고문헌 및 자료 Homepage usability, Nielsen Jacop 성공하는 웹사이트 , 실패하는 웹사이트 , Nielsen Jacop 사용하기 쉬운 웹사이트가 성공한다 , Nielsen Jacop Usability engineering, Nielsen Jacop www.auction.co.kr www.gmarket.co.kr www.ebay.com www.itemmania.co.kr www.alad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