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
Most read
활성 사용자(Active User) 개념잡기
온라인 분석이 모바일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웹 분석에서는 사용하지 않던 생소한 용어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활성 사용자’입니다.
웹 분석에서는 방문수(Visit), 방문자수(Visitor) 등의 용어로 사이트의 방문횟수를 측정하지만,
앱 분석에서는 DAU(Daily Active User), WAU(Weekly Active User), MAU(Monthly Active User)라는 지표명으로
앱 사용현황을 파악합니다.
‘기간’ Active User는 ‘기간’별 앱을 사용한 사용자수
방문수는 다른 말로 세션(Session)이라고도 하는데요, ‘세션’은 쉽게 말해서 ‘총 방문한 횟수’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이 세션은 방문할 때마다 또는 앱을 실행할 때마다 증가하는 수치로 보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기업이 입장에서 궁금한 건 실제 우리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입니다. 분석 서비스 업체에서는
이 사용자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디바이스마다 UUID(Unique User ID)를 부여하여 조건 기간마다 단 1회만 측정하여
사용자 수를 판단합니다. 하루 동안의 사용자 수를 판단하는 ‘DAU’를 측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세션수 기준으로는 3번 방문을 했기 때문에 3회가 측정되겠지만, DAU는 하루 동안의 중복을 제거한 최초 1회 방문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홍길동이란 한 명의 사용자가 오늘 들어왔다”라는 의미로 1건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한 주간 사용자 수를 판단하는 ‘WAU’는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동일 사용자가 여러 번 사용하더라도
첫 실행만을 파악하여 주간 사용자를 파악합니다.
‘MAU’는 한 달간 동일 사용자가 여러 번 사용하더라도 첫 실행만을 파악하여 월간 사용자를 파악합니다.
App
Launch
홍길동 6/23 1:00
App
Launch
App
Launch
6/23 3:00 6/23 5:00
6월 23일
세션수 : 3
App
Launch
홍길동 6/23 1:00
App
Launch
App
Launch
6/23 3:00 6/23 5:00
6월 23일
DAU : 1
App
Launch
홍길동 6/23 (화)
App
Launch
App
Launch
6/25 (목) 6/27 (토)
6월 넷째 주
WAU : 1
App
Launch
홍길동 6/3
App
Launch
App
Launch
6/14 6/27
6월
MAU : 1
활성 사용자(Active User) 개념잡기
그래서 일반적으로 사용자 수에 대한 데이터를 조회하면 방문수 > MAU > WAU > MAU 순의 규모를 가지게 됩니다.
( WISETRACKER > 일/주/월 사용자수 리포트 )
또한, 이 지표를 활용해서 사용자들의 앱 의존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Stickiness(점착성)이라고 하는데요, 측정방식은 DAU/MAU 또는 WAU/MAU를 계산한 값입니다.
위 이미지의 데이터를 예로 들면 5월 한 달간 DAU는 201,055, MAU는 124,877로,
Stickiness = 201,055 / 124,877 = 1.6 이라는 값이 나옵니다.
즉, 사용자당 월 평균 우리 앱을 이용하는 횟수는 1~2회 정도로 앱 사용주기가 짧은 편은 아니며,
특정 니즈에 의해 간헐적으로 사용되는 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앱 비즈니스마다 (게임vs커머스) Stickiness는 차이 날 수 있지만, Stickiness의 추세가 감소하는지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작성자. 와이즈트래커 김명재
http://www.wisetracker.co.kr
http://www.facebook.com/wisetracker

More Related Content

PDF
서비스 기획자의 데이터 분석
PPTX
실전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소셜데이팅 이음은 이렇게 한다
PDF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 퍼널분석과 코호트분석
PDF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만들기 - 마이리얼트립
PDF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데이터분석 시작하기
PDF
스타트업은 데이터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개정판)
PPTX
로그 기깔나게 잘 디자인하는 법
PDF
[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좋다는 건 알겠는데 좀 써보고 싶소. 데이터! - 넘버웍스 하용호 대표
서비스 기획자의 데이터 분석
실전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소셜데이팅 이음은 이렇게 한다
스타트업 데이터분석 - 퍼널분석과 코호트분석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 만들기 - 마이리얼트립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데이터분석 시작하기
스타트업은 데이터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개정판)
로그 기깔나게 잘 디자인하는 법
[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좋다는 건 알겠는데 좀 써보고 싶소. 데이터! - 넘버웍스 하용호 대표

What's hot (20)

PDF
[팝콘 시즌1] 박동혁 : 마케터에게 필요한 Data Literacy
PDF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기본 개념: 지표, Funnel 등 데이터를 이해하기 위한 멘탈 모델(Mental Model)
PDF
Log design
PDF
데이터 기반 성장을 위한 선결 조건: Product-Market Fit, Instrumentation, 그리고 프로세스
PDF
그로스 해킹 & 데이터 프로덕트 (Growth Hacking & Data Product) - 고넥터 고영혁 (Gonnector Dylan Ko)
PDF
[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모바일 게임 로그 데이터 분석 이야기 - 엔터메이트 공신배 팀장
PDF
UX Academy 18th 네이버 쇼핑 UX/UI 개선 프로젝트
PDF
[데이터야놀자2107] 강남 출근길에 판교/정자역에 내릴 사람 예측하기
PDF
Little Big Data #1. 바닥부터 시작하는 데이터 인프라
PDF
린분석 with 레진코믹스 ( Lean Analytics with Lezhin Comics )
PDF
개발자를 위한 (블로그) 글쓰기 intro
PDF
어떻게 하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될 수 있나요?
PDF
BigQuery의 모든 것(기획자, 마케터, 신입 데이터 분석가를 위한) 입문편
PDF
[메조미디어] 2023 모바일게임 업종 분석 리포트
PDF
TF에서 팀 빌딩까지 9개월의 기록 : 성장하는 조직을 만드는 여정
PDF
(개정) 알면 알수록 어려운 서비스 기획 뽀개기!
PDF
UX Academy 20th 애플 건강앱 UX/UI 개선 프로젝트
PPTX
하이퍼커넥트에서 자동 광고 측정 서비스 구현하기 - PyCon Korea 2018
PDF
성장을 좋아하는 사람이, 성장하고 싶은 사람에게
PDF
개인화 추천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팝콘 시즌1] 박동혁 : 마케터에게 필요한 Data Literacy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기본 개념: 지표, Funnel 등 데이터를 이해하기 위한 멘탈 모델(Mental Model)
Log design
데이터 기반 성장을 위한 선결 조건: Product-Market Fit, Instrumentation, 그리고 프로세스
그로스 해킹 & 데이터 프로덕트 (Growth Hacking & Data Product) - 고넥터 고영혁 (Gonnector Dylan Ko)
[우리가 데이터를 쓰는 법] 모바일 게임 로그 데이터 분석 이야기 - 엔터메이트 공신배 팀장
UX Academy 18th 네이버 쇼핑 UX/UI 개선 프로젝트
[데이터야놀자2107] 강남 출근길에 판교/정자역에 내릴 사람 예측하기
Little Big Data #1. 바닥부터 시작하는 데이터 인프라
린분석 with 레진코믹스 ( Lean Analytics with Lezhin Comics )
개발자를 위한 (블로그) 글쓰기 intro
어떻게 하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될 수 있나요?
BigQuery의 모든 것(기획자, 마케터, 신입 데이터 분석가를 위한) 입문편
[메조미디어] 2023 모바일게임 업종 분석 리포트
TF에서 팀 빌딩까지 9개월의 기록 : 성장하는 조직을 만드는 여정
(개정) 알면 알수록 어려운 서비스 기획 뽀개기!
UX Academy 20th 애플 건강앱 UX/UI 개선 프로젝트
하이퍼커넥트에서 자동 광고 측정 서비스 구현하기 - PyCon Korea 2018
성장을 좋아하는 사람이, 성장하고 싶은 사람에게
개인화 추천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Ad

Viewers also liked (20)

PPTX
Google Analytics 가이드 (한국어)
PDF
리텐션율 의미와 산출방법
PDF
오늘 밤부터 쓰는 google analytics (구글 애널리틱스, GA)
PDF
게임 지표 이해하기
PDF
서버 성능에 대한 정의와 이해
PDF
Mobile issue report -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 분석
PDF
안드로이드에서 플러리를 쉽게 사용하기
PDF
한류 SNS :be.inus 제안서
PDF
React Redux React Native
PDF
콘텐트 마케팅 - 글로벌 챔피언을 향하여 (발췌)
PPTX
Performance Testing using Loadrunner
PDF
2016 중국 BAT 투자현황 분석보고
PPTX
모바일/온라인 게임의 매출시뮬레이션
PDF
AWS 모바일 서비스로 성공하는 모바일 앱 만들기 (윤석찬) - AWS Webiniar 2015
PDF
한국 에듀테크 스타트업 성장 수치 및 2016년 전략
PDF
모바일 스타트업이 경험한 모바일 앱 마케팅
PDF
모바일 광고 개론
PDF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PDF
H/W 규모산정기준
PDF
IT 이노베이션 센터 이야기 - AWS Lambda를 활용한 개발 스폰서십 확보편
Google Analytics 가이드 (한국어)
리텐션율 의미와 산출방법
오늘 밤부터 쓰는 google analytics (구글 애널리틱스, GA)
게임 지표 이해하기
서버 성능에 대한 정의와 이해
Mobile issue report - 한국 모바일게임 시장 분석
안드로이드에서 플러리를 쉽게 사용하기
한류 SNS :be.inus 제안서
React Redux React Native
콘텐트 마케팅 - 글로벌 챔피언을 향하여 (발췌)
Performance Testing using Loadrunner
2016 중국 BAT 투자현황 분석보고
모바일/온라인 게임의 매출시뮬레이션
AWS 모바일 서비스로 성공하는 모바일 앱 만들기 (윤석찬) - AWS Webiniar 2015
한국 에듀테크 스타트업 성장 수치 및 2016년 전략
모바일 스타트업이 경험한 모바일 앱 마케팅
모바일 광고 개론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H/W 규모산정기준
IT 이노베이션 센터 이야기 - AWS Lambda를 활용한 개발 스폰서십 확보편
Ad

Similar to 활성 사용자(Active user) 개념잡기 (6)

PDF
Fingraph service 20130201
PDF
사용자분석 @코더스하이세미나
PDF
UserHabit 서비스소개서(2015 2Q)
PDF
모바일 앱(App) 통계분석 '앱랭커' 서비스 소개서
PPTX
[Gastudy.net] Google Analytics basic
PPTX
유저해빗(UserHabit) 서비스 소개서 요약본
Fingraph service 20130201
사용자분석 @코더스하이세미나
UserHabit 서비스소개서(2015 2Q)
모바일 앱(App) 통계분석 '앱랭커' 서비스 소개서
[Gastudy.net] Google Analytics basic
유저해빗(UserHabit) 서비스 소개서 요약본

활성 사용자(Active user) 개념잡기

  • 1. 활성 사용자(Active User) 개념잡기 온라인 분석이 모바일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웹 분석에서는 사용하지 않던 생소한 용어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활성 사용자’입니다. 웹 분석에서는 방문수(Visit), 방문자수(Visitor) 등의 용어로 사이트의 방문횟수를 측정하지만, 앱 분석에서는 DAU(Daily Active User), WAU(Weekly Active User), MAU(Monthly Active User)라는 지표명으로 앱 사용현황을 파악합니다. ‘기간’ Active User는 ‘기간’별 앱을 사용한 사용자수 방문수는 다른 말로 세션(Session)이라고도 하는데요, ‘세션’은 쉽게 말해서 ‘총 방문한 횟수’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이 세션은 방문할 때마다 또는 앱을 실행할 때마다 증가하는 수치로 보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기업이 입장에서 궁금한 건 실제 우리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입니다. 분석 서비스 업체에서는 이 사용자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디바이스마다 UUID(Unique User ID)를 부여하여 조건 기간마다 단 1회만 측정하여 사용자 수를 판단합니다. 하루 동안의 사용자 수를 판단하는 ‘DAU’를 측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세션수 기준으로는 3번 방문을 했기 때문에 3회가 측정되겠지만, DAU는 하루 동안의 중복을 제거한 최초 1회 방문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홍길동이란 한 명의 사용자가 오늘 들어왔다”라는 의미로 1건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한 주간 사용자 수를 판단하는 ‘WAU’는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동일 사용자가 여러 번 사용하더라도 첫 실행만을 파악하여 주간 사용자를 파악합니다. ‘MAU’는 한 달간 동일 사용자가 여러 번 사용하더라도 첫 실행만을 파악하여 월간 사용자를 파악합니다. App Launch 홍길동 6/23 1:00 App Launch App Launch 6/23 3:00 6/23 5:00 6월 23일 세션수 : 3 App Launch 홍길동 6/23 1:00 App Launch App Launch 6/23 3:00 6/23 5:00 6월 23일 DAU : 1 App Launch 홍길동 6/23 (화) App Launch App Launch 6/25 (목) 6/27 (토) 6월 넷째 주 WAU : 1 App Launch 홍길동 6/3 App Launch App Launch 6/14 6/27 6월 MAU : 1
  • 2. 활성 사용자(Active User) 개념잡기 그래서 일반적으로 사용자 수에 대한 데이터를 조회하면 방문수 > MAU > WAU > MAU 순의 규모를 가지게 됩니다. ( WISETRACKER > 일/주/월 사용자수 리포트 ) 또한, 이 지표를 활용해서 사용자들의 앱 의존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Stickiness(점착성)이라고 하는데요, 측정방식은 DAU/MAU 또는 WAU/MAU를 계산한 값입니다. 위 이미지의 데이터를 예로 들면 5월 한 달간 DAU는 201,055, MAU는 124,877로, Stickiness = 201,055 / 124,877 = 1.6 이라는 값이 나옵니다. 즉, 사용자당 월 평균 우리 앱을 이용하는 횟수는 1~2회 정도로 앱 사용주기가 짧은 편은 아니며, 특정 니즈에 의해 간헐적으로 사용되는 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앱 비즈니스마다 (게임vs커머스) Stickiness는 차이 날 수 있지만, Stickiness의 추세가 감소하는지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작성자. 와이즈트래커 김명재 http://www.wisetracker.co.kr http://www.facebook.com/wisetrac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