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aBoost를 이용한 Face Recognition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
2007152025 신요섭
00Introduction
어떠한 대상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식할 대상에 대한 특징이 입력되어야 함
대상에 대한 공통적인 특징을 찾아내기 위해서 ‘학습’과정이 필요함
AdaBoost는 이러한 학습과정을 통해 정확한 분류기를 만들기 위한 알고리즘
영상 인식
00Introduction
P.Viola & M.Jones
Rapid Object Detection using a Boosted Cascade of Simple Features, 2011
P.Viola & M.Jones
Robust Real-Time Face Detection, 2004
01AdaBoost?
적응형 부스팅 알고리즘
Boosting Algorithm
약한 분류기를 반복적으로 이용해 강한 분류기를 만들어내는 알고리즘
Adaptive Boosting Algorithm
잘못 검출된 데이터에 가중치를 주어 정확도를 높이는 부스팅 알고리즘
AdaBoost
01AdaBoost
h 약분류기
α 가중치(신뢰도)
T 분류기의 개수
f(x) 강분류기
01AdaBoost
   "
t=1;"
    강분류기 f(x) = empty;"
 "
    while (1 to T) {"
        과정1) 모든 약분류기에 대해, 모든 학습 샘플들을 테스트한다."
        과정2) 최소 에러를 보였던 약분류기 ht 를 선택한다."
        과정3) 과정 1, 2에 근거하여 약분류기의 가중치 wt를 계산한다."
       "
        과정4) 강 분류기를 다음과 같이 업그레이드 한다."
              새 강분류기  = 이전 단계의 강분류기 + wt * ht"
       "
        과정5) 모든 학습 샘플에 대해 강분류기의 정확도 테스트."
        과정6) t++"
     }"
‣ Adaboost process
02HaarFilter
edge
line
4-rectangled
‣ Haar Filter
• Haar Filter를 다양한 크기로 변화시켜 영상에서 비교를 수행
• Haar like Feature 는 검정영역의 밝기와 흰 영역의 밝기 차이
를 의미함.
• 예를 들어, 필터를 통과한 경우 1, 그렇지 않은 경우 0으로 분
류할 수 있음
• 필터를 통과한 영상의 부분을 feature라고 지칭함.
• 이 feature들은 해당 부분을 인식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이 됨.
02Haar-likeFeature
Sub-windowSub-window
• 영상의 특징을 검출해내기 위한 feature 선택
edge
line
4-rectangled
24*24 크기의 이미지에서 5개의 필터를 이용하여 학습
하기 위한 Sub-window의 개수는 180,000개 이상이고
학습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검출에 필요한 적절
한 적은 수의 필터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03IntegralImage
‣ Integral Image (적분영역)
• 영상에는 무수히 많은 영역이 존재 (24*24픽셀의 영상에 5가지의 Haar 필터를 적용한
다면 영역의 수는 180,000개에 달함)
• Haar Filter를 계산할때마다 이러한 영역의 픽셀 수를 일일이 계산한다면 연산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므로 각 점에서의 적분영역을 미리 계산해 두어 연산 시간을 줄임.
D 영역의 픽셀 수 :
(A+B+C+D) - (A+B) - (A+C) +A
A B
C D
P4
P1 P2
P3
0
04Cascading
1 2 3 4
T T T
F F F F
T
Reject Sub-window
All Sub-windows
Further
Processing
05OpenCV에서AdaBoost의활용
‣ feature 학습
영상에서 원하는 부분을 검출해내기 위해서는 positive 이미지와 negative 이미지를 이
용한 학습을 수행해야 함. -> OpenCV에서 제공되는 createsamples 프로그램 이용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Positive 이미지와 Negative 이미지의 예
학습된 데이터는 xml 형식으로 추출됨.
05OpenCV에서AdaBoost의활용
‣ 인식
OpenCV에는 학습과 인식에 관한 AdaBoost 알고리즘이 모두 라이브러리로 구현되어
있으므로, 학습후 추출된 xml형식의 분류기를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원하는 부분을 인식
하는 프로그램 제작이 가능함.
05OpenCV에서AdaBoost의활용
‣ OpenCV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분류기:
06결론
Viola가 제안한 이 방법은 학습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나 그에 반해 인식
속도는 굉장히 빠른 방법으로, 실시간으로 영상에서 특징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좋은 방법임.
"
진행해야 할 프로젝트는 큰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하고 눈을 검출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
하지 않고 오직 영상에서 눈을 검출하고 눈의 감긴정도만을 알아내야 하므로 이 방법을 사
용하면 더욱더 빠른 수준의 검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OpenCV에 학습부터 인식까지의 알고리즘이 전부 라이브러리로 구현되어 있으므로, 적
절한 학습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면 인식 자체는 비교적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07Reference
[1] P.Viola & M.Jones, Rapid Object Detection using a Boosted Cascade of Simple Features, 2011
[2] P.Viola & M.Jones, Robust Real-Time Face Detection, 2004
[3] 정병우 & 박기영, 객체검출을 위한 빠르고 효율적인 Haar-Like 피쳐 선택 알고리즘, 2013
[4] 정종률 & 최종욱, AdaBoost 학습을 이용한 얼굴 인식, 2003
[5] http://heidi88.blogspot.kr/2014/01/boosting.html, “Boosting 알고리즘”
[6] http://en.wikipedia.org/wiki/Haar-like_features, “WIKIPEDIA: Haar-like features”
[7] http://blogs.burnsidedigital.com/2009/04/using-haar-cascades-and-opencv-in-as3/, “Using
Haar Cascades and OpenCV in AS3"
[9] http://hlena33.blog.me/30025530042, “AdaBoost로 XML만드는 방법입니다”
[8] http://cafe.naver.com/opencv/28587, “초보자도 이해할만한 AdaBoost 설명”
[10] http://readme.skplanet.com/?p=4308, “얼굴인식 기술을 소개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PPTX
卒論執筆・スライド作成のポイント
PPTX
音源分離における音響モデリング(Acoustic modeling in audio source separation)
PDF
やさしく音声分析法を学ぶ: ケプストラム分析とLPC分析
PDF
Priorに基づく画像/テンソルの復元
PPTX
ImageJを使った画像解析実習〜大量の画像データに対する処理の自動化〜
PDF
ベイズ主義による研究の報告方法
PDF
ImageJを使った画像解析実習-色の解析-
PDF
MLOpsの概要と初学者が気をつけたほうが良いこと
卒論執筆・スライド作成のポイント
音源分離における音響モデリング(Acoustic modeling in audio source separation)
やさしく音声分析法を学ぶ: ケプストラム分析とLPC分析
Priorに基づく画像/テンソルの復元
ImageJを使った画像解析実習〜大量の画像データに対する処理の自動化〜
ベイズ主義による研究の報告方法
ImageJを使った画像解析実習-色の解析-
MLOpsの概要と初学者が気をつけたほうが良いこと

What's hot (20)

PDF
Active Learning 入門
PPTX
SSII2020 [OS2-02] 教師あり事前学習を凌駕する「弱」教師あり事前学習
PPTX
優れた研究論文の書き方
PDF
医療情報の発見的&系統的文献検索
PDF
時系列分析による異常検知入門
PDF
【DL輪読会】How Much Can CLIP Benefit Vision-and-Language Tasks?
PDF
[DL輪読会]Discriminative Learning for Monaural Speech Separation Using Deep Embe...
PDF
アジャイル品質のパターンとメトリクス Agile Quality Patterns and Metrics (QA2AQ) 20240225
PPTX
PubMedBERT: 生物医学NLPのための事前学習
PDF
Introduction to YOLO detection model
PPTX
Active Learning と Bayesian Neural Network
PPTX
基底変形型教師ありNMFによる実楽器信号分離 (in Japanese)
PDF
#FTMA15 第一回 鬼コース 全PDF
PDF
統計的係り受け解析入門
PDF
【DL輪読会】Unpaired Image Super-Resolution Using Pseudo-Supervision
PDF
組み合わせテストの落とし穴〜有則と無則〜
PDF
オントロジーとは?
PDF
局所特徴量と統計学習手法による物体検出
PDF
はじめての「R」
PDF
画像解析の基礎知識
Active Learning 入門
SSII2020 [OS2-02] 教師あり事前学習を凌駕する「弱」教師あり事前学習
優れた研究論文の書き方
医療情報の発見的&系統的文献検索
時系列分析による異常検知入門
【DL輪読会】How Much Can CLIP Benefit Vision-and-Language Tasks?
[DL輪読会]Discriminative Learning for Monaural Speech Separation Using Deep Embe...
アジャイル品質のパターンとメトリクス Agile Quality Patterns and Metrics (QA2AQ) 20240225
PubMedBERT: 生物医学NLPのための事前学習
Introduction to YOLO detection model
Active Learning と Bayesian Neural Network
基底変形型教師ありNMFによる実楽器信号分離 (in Japanese)
#FTMA15 第一回 鬼コース 全PDF
統計的係り受け解析入門
【DL輪読会】Unpaired Image Super-Resolution Using Pseudo-Supervision
組み合わせテストの落とし穴〜有則と無則〜
オントロジーとは?
局所特徴量と統計学習手法による物体検出
はじめての「R」
画像解析の基礎知識
Ad

Similar to Adaboost를 이용한 face recognition (20)

PPTX
Face Feature Recognition System with Deep Belief Networks, for Korean/KIISE T...
PDF
AI 파이프라인과 실전 테스팅 전략
PPTX
Face recognition
PDF
[Paper] eXplainable ai(xai) in computer vision
PPTX
FaceNet: A Unified Embedding for Face Recognition and Clustering
DOCX
august report in korean
PDF
3.unsupervised learing(epoch#2)
PPTX
얼굴인식을 이용한 자동 출결 관리 시스템 .pptx
PPTX
얼굴인식을 이용한 자동 출결 관리 시스템 .pptx
PDF
Image data augmentatiion
PDF
3.unsupervised learing
DOCX
Mosaicer
PPTX
이미지(비디오)를 대상으로 한 빅 데이터 시스템 기술 동향 및 고려사항
PPTX
호서대학교 - 다양한 오픈소스 활용법 (Colab을 이용하여)
DOCX
october report in korean
DOCX
march report in korean.
PPTX
비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필요기술 및 적용사례
PDF
NIST Face Recognition Vendor Test, FRVT
PDF
Amazon Rekognition을 통한 이미지 인식 서비스 구축하기
Face Feature Recognition System with Deep Belief Networks, for Korean/KIISE T...
AI 파이프라인과 실전 테스팅 전략
Face recognition
[Paper] eXplainable ai(xai) in computer vision
FaceNet: A Unified Embedding for Face Recognition and Clustering
august report in korean
3.unsupervised learing(epoch#2)
얼굴인식을 이용한 자동 출결 관리 시스템 .pptx
얼굴인식을 이용한 자동 출결 관리 시스템 .pptx
Image data augmentatiion
3.unsupervised learing
Mosaicer
이미지(비디오)를 대상으로 한 빅 데이터 시스템 기술 동향 및 고려사항
호서대학교 - 다양한 오픈소스 활용법 (Colab을 이용하여)
october report in korean
march report in korean.
비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필요기술 및 적용사례
NIST Face Recognition Vendor Test, FRVT
Amazon Rekognition을 통한 이미지 인식 서비스 구축하기
Ad

Adaboost를 이용한 face recognition

  • 1. AdaBoost를 이용한 Face Recognition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 2007152025 신요섭
  • 2. 00Introduction 어떠한 대상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식할 대상에 대한 특징이 입력되어야 함 대상에 대한 공통적인 특징을 찾아내기 위해서 ‘학습’과정이 필요함 AdaBoost는 이러한 학습과정을 통해 정확한 분류기를 만들기 위한 알고리즘 영상 인식
  • 3. 00Introduction P.Viola & M.Jones Rapid Object Detection using a Boosted Cascade of Simple Features, 2011 P.Viola & M.Jones Robust Real-Time Face Detection, 2004
  • 4. 01AdaBoost? 적응형 부스팅 알고리즘 Boosting Algorithm 약한 분류기를 반복적으로 이용해 강한 분류기를 만들어내는 알고리즘 Adaptive Boosting Algorithm 잘못 검출된 데이터에 가중치를 주어 정확도를 높이는 부스팅 알고리즘 AdaBoost
  • 5. 01AdaBoost h 약분류기 α 가중치(신뢰도) T 분류기의 개수 f(x) 강분류기
  • 6. 01AdaBoost    " t=1;"     강분류기 f(x) = empty;"  "     while (1 to T) {"         과정1) 모든 약분류기에 대해, 모든 학습 샘플들을 테스트한다."         과정2) 최소 에러를 보였던 약분류기 ht 를 선택한다."         과정3) 과정 1, 2에 근거하여 약분류기의 가중치 wt를 계산한다."        "         과정4) 강 분류기를 다음과 같이 업그레이드 한다."               새 강분류기  = 이전 단계의 강분류기 + wt * ht"        "         과정5) 모든 학습 샘플에 대해 강분류기의 정확도 테스트."         과정6) t++"      }" ‣ Adaboost process
  • 7. 02HaarFilter edge line 4-rectangled ‣ Haar Filter • Haar Filter를 다양한 크기로 변화시켜 영상에서 비교를 수행 • Haar like Feature 는 검정영역의 밝기와 흰 영역의 밝기 차이 를 의미함. • 예를 들어, 필터를 통과한 경우 1, 그렇지 않은 경우 0으로 분 류할 수 있음 • 필터를 통과한 영상의 부분을 feature라고 지칭함. • 이 feature들은 해당 부분을 인식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이 됨.
  • 8. 02Haar-likeFeature Sub-windowSub-window • 영상의 특징을 검출해내기 위한 feature 선택 edge line 4-rectangled 24*24 크기의 이미지에서 5개의 필터를 이용하여 학습 하기 위한 Sub-window의 개수는 180,000개 이상이고 학습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검출에 필요한 적절 한 적은 수의 필터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 9. 03IntegralImage ‣ Integral Image (적분영역) • 영상에는 무수히 많은 영역이 존재 (24*24픽셀의 영상에 5가지의 Haar 필터를 적용한 다면 영역의 수는 180,000개에 달함) • Haar Filter를 계산할때마다 이러한 영역의 픽셀 수를 일일이 계산한다면 연산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므로 각 점에서의 적분영역을 미리 계산해 두어 연산 시간을 줄임. D 영역의 픽셀 수 : (A+B+C+D) - (A+B) - (A+C) +A A B C D P4 P1 P2 P3 0
  • 10. 04Cascading 1 2 3 4 T T T F F F F T Reject Sub-window All Sub-windows Further Processing
  • 11. 05OpenCV에서AdaBoost의활용 ‣ feature 학습 영상에서 원하는 부분을 검출해내기 위해서는 positive 이미지와 negative 이미지를 이 용한 학습을 수행해야 함. -> OpenCV에서 제공되는 createsamples 프로그램 이용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Positive 이미지와 Negative 이미지의 예 학습된 데이터는 xml 형식으로 추출됨.
  • 12. 05OpenCV에서AdaBoost의활용 ‣ 인식 OpenCV에는 학습과 인식에 관한 AdaBoost 알고리즘이 모두 라이브러리로 구현되어 있으므로, 학습후 추출된 xml형식의 분류기를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원하는 부분을 인식 하는 프로그램 제작이 가능함.
  • 14. 06결론 Viola가 제안한 이 방법은 학습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나 그에 반해 인식 속도는 굉장히 빠른 방법으로, 실시간으로 영상에서 특징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좋은 방법임. " 진행해야 할 프로젝트는 큰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하고 눈을 검출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 하지 않고 오직 영상에서 눈을 검출하고 눈의 감긴정도만을 알아내야 하므로 이 방법을 사 용하면 더욱더 빠른 수준의 검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OpenCV에 학습부터 인식까지의 알고리즘이 전부 라이브러리로 구현되어 있으므로, 적 절한 학습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면 인식 자체는 비교적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 15. 07Reference [1] P.Viola & M.Jones, Rapid Object Detection using a Boosted Cascade of Simple Features, 2011 [2] P.Viola & M.Jones, Robust Real-Time Face Detection, 2004 [3] 정병우 & 박기영, 객체검출을 위한 빠르고 효율적인 Haar-Like 피쳐 선택 알고리즘, 2013 [4] 정종률 & 최종욱, AdaBoost 학습을 이용한 얼굴 인식, 2003 [5] http://heidi88.blogspot.kr/2014/01/boosting.html, “Boosting 알고리즘” [6] http://en.wikipedia.org/wiki/Haar-like_features, “WIKIPEDIA: Haar-like features” [7] http://blogs.burnsidedigital.com/2009/04/using-haar-cascades-and-opencv-in-as3/, “Using Haar Cascades and OpenCV in AS3" [9] http://hlena33.blog.me/30025530042, “AdaBoost로 XML만드는 방법입니다” [8] http://cafe.naver.com/opencv/28587, “초보자도 이해할만한 AdaBoost 설명” [10] http://readme.skplanet.com/?p=4308, “얼굴인식 기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