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0
2016.02.15
V1.0
A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2016.02.15
한철희(chhanz)
https://chhanz.github.io
1
1. RDX Device DLPAR 방법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UN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2
1. RDX Device DLPAR 방법
1) RDX Device DLPAR (1/2)
Unit 1. RDX Device DLPAR
• USB Device 의 최상위 부모 장치를 찾아서 삭제를 진행합니다.
• 현재 테스트 환경은 USB Hub Card (4 Port)에 RDX Device 및 CD-ROM Device 를 사용 중입니다.
• #rmdev –Rdl usb0
• #rmdev –Rdl usbhc0
• 진행 후 DLPAR 진행
3
1. RDX Device DLPAR 방법
1) RDX Device DLPAR (2/2)
Unit 1. RDX Device DLPAR
• HMC > 동적 논리 파티셔닝 > 물리적 어댑터 > 이동 또는 제거
• DLPAR가 될 Card, Device Select
• 이동될 파티션 선택 진행 후 <확인>
4
1. RDX Device DLPAR 방법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UN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5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RDX mksysb Backup (1/3)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 Backup DEVICE or FILE [ /dev/usbms0 ] à RDX Device 선택
• 하위 옵션은 기존 Tape mksysb Backup 과 동일한 옵션입니다.
• 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옵션에 따라 설정 후 Backup 진행합니다.
6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RDX mksysb Backup (2/3)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 위와 같이 UDF File System 을 생성하면서 mksysb Backup 이 진행됩니다.
• mksysb 진행중에 /dev/usbms0 465.76 465.73 1% 16091 1% /tmp/mksysb.9699448/_udfs.969448 와 같은 File System 이 Mount
됩니다. 위 Filesystem 은 mksysb 완료 후 정상적으로 Umount 진행 될 것 입니다.
7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RDX mksysb Backup (3/3)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 /tmp/mksysb.<mksysb Backup Number>/_mksysb. <mksysb Backup Number>
• 위 경로의 파일을 tail Command 로 확인을 하면 현재 mksysb Backup이 어떤 File 을 Backup 받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8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1/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 SMS Menu 로 진입합니다.
9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2/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Select Boot Options 선택
2. Select Install/Boot Device 선택
10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3/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List all Devices 혹은 Tape Menu 선택
2. (Tape Menu 선택시 )USB Device 선택
3. USB Disk 선택
11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4/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Normal Mode Boot 선택
2. Yes 선택
3. mksysb Restore 진행
12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5/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기존 mksysb Restore 과정과 동일 합니다.
2. System Console 선택 후 Language 선택합니다.
13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6/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정상적으로 Restore 진행 되었습니다.
14
1. RDX Device DLPAR 방법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UN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15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1) RDX JFS2 Filesystem 생성
Unit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 /dev/usbms0 인식 후 USB Disk JFS2 Filesystem 으로 Format 진행합니다.
16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2) RDX JFS2 Filesystem Mount 및 Backup (1/2)
• usbms0 의 JFS2 Filesystem 을 Mount 진행합니다.
• 현재 Test 환경에서는 /usb Mount Point
사용하였습니다.
• 이후 /usb Filesystems 으로 mksysb image File이
생성되도록 mksysb 를 진행합니다.
(기존 mksysb Backup 과 동일합니다.)
Unit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17
1. RDX Device DLPAR 방법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UN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18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1)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1/3)
Unit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 RDX Device 에 저장된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합니다.
• #smitty > Softwar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 Alternate Disk Installation 선택
19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1)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2/3)
Unit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 #smitty > Softwar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 Alternate Disk Installation > Install
mksysb on an Alternate Disk 선택
• Target Disk 에 Alternate Disk Device 입력
• Device or image name 에 사용될 mksysb file 경로
입력
20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1)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3/3)
Unit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 alt_disk 생성 완료 후 Bootlist 변경하여 Booting
Test 진행하였습니다.
• 이와 같이 정상적으로 mksysb image file 로
생성된 alt_disk 로 Booting 진행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1
1. RDX Device DLPAR 방법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UN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22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1)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1/3)
Unit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 위와 같이 RDX 의 mksysb image 를 이용하여 nim mksysb Resource 로 등록합니다.
23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1)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2/3)
Unit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 #smitty nim > Perform NIM Administration Tasks > Manage Resources > Define a Resource 선택
• 등록된 mksysb Resource 를 이용하여 spot 을 추출합니다.
24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1)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3/3)
Unit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 #smitty > Perform NIM Softwar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Tasks > Install and Update Software >
Install the Base Operating System on Standalone Clients 선택
• [Install Client Select] 선택 >> [등록한 mksysb] 선택 > 위 화면과 같이 설정 후 Restore 준비
• 이후 Target Server 의 설정 후 기존의 nim Client Restore 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하시면 됩니다.
25
감사합니다
한철희
https://chhanz.github.io

More Related Content

PDF
[오픈소스컨설팅]클라우드기반U2L마이그레이션 전략 및 고려사항
PPTX
ERP 프로젝트 수행방법론-SAP_v1.2.pptx
PDF
MariaDB 마이그레이션 - 네오클로바
PDF
(발표자료) CentOS EOL에 따른 대응 OS 검토 및 적용 방안.pdf
PPTX
03. 유닉스에서 리눅스 전환 사례
PDF
VIOS in action with IBM i
PPTX
Room 1 - 6 - Trần Quốc Sang - Autoscaling for multi cloud platform based on S...
PDF
Introduction to Docker storage, volume and image
[오픈소스컨설팅]클라우드기반U2L마이그레이션 전략 및 고려사항
ERP 프로젝트 수행방법론-SAP_v1.2.pptx
MariaDB 마이그레이션 - 네오클로바
(발표자료) CentOS EOL에 따른 대응 OS 검토 및 적용 방안.pdf
03. 유닉스에서 리눅스 전환 사례
VIOS in action with IBM i
Room 1 - 6 - Trần Quốc Sang - Autoscaling for multi cloud platform based on S...
Introduction to Docker storage, volume and image

What's hot (20)

PDF
Spectrum Scale Best Practices by Olaf Weiser
PDF
Db2 for z/OS and FlashCopy - Practical use cases (June 2019 Edition)
PPTX
Advanced Ops Manager Topics
PDF
Oracle RAC 12c (12.1.0.2) Operational Best Practices - A result of true colla...
PDF
NFV VNF Architecture
PDF
Delight: An Improved Apache Spark UI, Free, and Cross-Platform
PDF
(2014년) Active Active 데이터센터
PDF
Red Hat OpenShift -- Innovation without limitation.pdf
PDF
Ceph and RocksDB
PDF
VMware - HCX - Architecture and Design .pdf
PDF
[웨비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수행 시 가장 많이 하는 질문 Top 10!
ODP
Transparent Hugepages in RHEL 6
PDF
2021.02 new in Ceph Pacific Dashboard
PDF
Using all of the high availability options in MariaDB
PDF
Ceph -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PPT
Red hat linux 9 ppt2003
PDF
[IBM 서버] 노후서버는 왜 교체해야 하는가
PDF
왜 컨테이너인가? - OpenShift 구축 사례와 컨테이너로 환경 전환 시 고려사항
ODP
Introduction to Ansible
PDF
Episode 2 DB2 pureScale Installation, Instance Management &amp; Monitoring
Spectrum Scale Best Practices by Olaf Weiser
Db2 for z/OS and FlashCopy - Practical use cases (June 2019 Edition)
Advanced Ops Manager Topics
Oracle RAC 12c (12.1.0.2) Operational Best Practices - A result of true colla...
NFV VNF Architecture
Delight: An Improved Apache Spark UI, Free, and Cross-Platform
(2014년) Active Active 데이터센터
Red Hat OpenShift -- Innovation without limitation.pdf
Ceph and RocksDB
VMware - HCX - Architecture and Design .pdf
[웨비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수행 시 가장 많이 하는 질문 Top 10!
Transparent Hugepages in RHEL 6
2021.02 new in Ceph Pacific Dashboard
Using all of the high availability options in MariaDB
Ceph -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Red hat linux 9 ppt2003
[IBM 서버] 노후서버는 왜 교체해야 하는가
왜 컨테이너인가? - OpenShift 구축 사례와 컨테이너로 환경 전환 시 고려사항
Introduction to Ansible
Episode 2 DB2 pureScale Installation, Instance Management &amp; Monitoring
Ad

Similar to [AIX] RDX Device Backup Guide (20)

PPTX
저장장치
PPTX
Ssscon forensic pt
PPTX
caanoo Device driver
PPT
백업을 위한 USB운영체제 완료세미나
PPT
FalconStor CDP Case Study
PPT
FalconStor Korea CDP Case Study
PDF
Second.s 분석 by_송형주
PPTX
cdit hci zerto '소통하는 세미나' 소개자료(201705)
PPTX
RAID 테스트
PPT
Ceph Day Seoul - Bring Ceph to Enterprise
PDF
SSD 개념 및 활용_Wh oracle
PDF
Osc4.x installation v1-upload
PDF
(OCI 탐험일지) 블록 볼륨 생성
PDF
델파이 소스코드의재발견
PDF
리눅스커널-디바이스드라이버_모듈_프로그래밍
PDF
Tableau TD3 Korean Manual
PDF
[Tizen Talk 2016 in Seoul] 바닥서부터 만들어보는 타이젠
PDF
IBM Spectrum Protect Plus Overview
PPTX
Chapter5 embedded storage
PPTX
Chapter5 embedded storage
저장장치
Ssscon forensic pt
caanoo Device driver
백업을 위한 USB운영체제 완료세미나
FalconStor CDP Case Study
FalconStor Korea CDP Case Study
Second.s 분석 by_송형주
cdit hci zerto '소통하는 세미나' 소개자료(201705)
RAID 테스트
Ceph Day Seoul - Bring Ceph to Enterprise
SSD 개념 및 활용_Wh oracle
Osc4.x installation v1-upload
(OCI 탐험일지) 블록 볼륨 생성
델파이 소스코드의재발견
리눅스커널-디바이스드라이버_모듈_프로그래밍
Tableau TD3 Korean Manual
[Tizen Talk 2016 in Seoul] 바닥서부터 만들어보는 타이젠
IBM Spectrum Protect Plus Overview
Chapter5 embedded storage
Chapter5 embedded storage
Ad

More from CheolHee Han (6)

PDF
oVirt installation guide_v4.3
PDF
IBM PowerKVM Install Guide
PDF
AIX - LVM 이란?
PDF
Windows MSCS 운영 및 기타 설치 가이드
PDF
Windows 2003 MSCS 설치 가이드
PDF
Windows 2008 MSCS 설치 가이드
oVirt installation guide_v4.3
IBM PowerKVM Install Guide
AIX - LVM 이란?
Windows MSCS 운영 및 기타 설치 가이드
Windows 2003 MSCS 설치 가이드
Windows 2008 MSCS 설치 가이드

[AIX] RDX Device Backup Guide

  • 1. 0 2016.02.15 V1.0 A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2016.02.15 한철희(chhanz) https://chhanz.github.io
  • 2. 1 1. RDX Device DLPAR 방법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UN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 3. 2 1. RDX Device DLPAR 방법 1) RDX Device DLPAR (1/2) Unit 1. RDX Device DLPAR • USB Device 의 최상위 부모 장치를 찾아서 삭제를 진행합니다. • 현재 테스트 환경은 USB Hub Card (4 Port)에 RDX Device 및 CD-ROM Device 를 사용 중입니다. • #rmdev –Rdl usb0 • #rmdev –Rdl usbhc0 • 진행 후 DLPAR 진행
  • 4. 3 1. RDX Device DLPAR 방법 1) RDX Device DLPAR (2/2) Unit 1. RDX Device DLPAR • HMC > 동적 논리 파티셔닝 > 물리적 어댑터 > 이동 또는 제거 • DLPAR가 될 Card, Device Select • 이동될 파티션 선택 진행 후 <확인>
  • 5. 4 1. RDX Device DLPAR 방법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UN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 6. 5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RDX mksysb Backup (1/3)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 Backup DEVICE or FILE [ /dev/usbms0 ] à RDX Device 선택 • 하위 옵션은 기존 Tape mksysb Backup 과 동일한 옵션입니다. • 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옵션에 따라 설정 후 Backup 진행합니다.
  • 7. 6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RDX mksysb Backup (2/3)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 위와 같이 UDF File System 을 생성하면서 mksysb Backup 이 진행됩니다. • mksysb 진행중에 /dev/usbms0 465.76 465.73 1% 16091 1% /tmp/mksysb.9699448/_udfs.969448 와 같은 File System 이 Mount 됩니다. 위 Filesystem 은 mksysb 완료 후 정상적으로 Umount 진행 될 것 입니다.
  • 8. 7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RDX mksysb Backup (3/3)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 /tmp/mksysb.<mksysb Backup Number>/_mksysb. <mksysb Backup Number> • 위 경로의 파일을 tail Command 로 확인을 하면 현재 mksysb Backup이 어떤 File 을 Backup 받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 9. 8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1/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 SMS Menu 로 진입합니다.
  • 10. 9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2/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Select Boot Options 선택 2. Select Install/Boot Device 선택
  • 11. 10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3/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List all Devices 혹은 Tape Menu 선택 2. (Tape Menu 선택시 )USB Device 선택 3. USB Disk 선택
  • 12. 11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4/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Normal Mode Boot 선택 2. Yes 선택 3. mksysb Restore 진행
  • 13. 12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5/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1. 기존 mksysb Restore 과정과 동일 합니다. 2. System Console 선택 후 Language 선택합니다.
  • 14. 13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2) RDX mksysb Restore (6/6) Unit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정상적으로 Restore 진행 되었습니다.
  • 15. 14 1. RDX Device DLPAR 방법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UN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 16. 15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1) RDX JFS2 Filesystem 생성 Unit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 /dev/usbms0 인식 후 USB Disk JFS2 Filesystem 으로 Format 진행합니다.
  • 17. 16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2) RDX JFS2 Filesystem Mount 및 Backup (1/2) • usbms0 의 JFS2 Filesystem 을 Mount 진행합니다. • 현재 Test 환경에서는 /usb Mount Point 사용하였습니다. • 이후 /usb Filesystems 으로 mksysb image File이 생성되도록 mksysb 를 진행합니다. (기존 mksysb Backup 과 동일합니다.) Unit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 18. 17 1. RDX Device DLPAR 방법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UN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 19. 18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1)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1/3) Unit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 RDX Device 에 저장된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합니다. • #smitty > Softwar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 Alternate Disk Installation 선택
  • 20. 19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1)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2/3) Unit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 #smitty > Softwar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 Alternate Disk Installation > Install mksysb on an Alternate Disk 선택 • Target Disk 에 Alternate Disk Device 입력 • Device or image name 에 사용될 mksysb file 경로 입력
  • 21. 20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1)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3/3) Unit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 alt_disk 생성 완료 후 Bootlist 변경하여 Booting Test 진행하였습니다. • 이와 같이 정상적으로 mksysb image file 로 생성된 alt_disk 로 Booting 진행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22. 21 1. RDX Device DLPAR 방법 2. RDX mksysb Backup 및 Restore 3. RDX를 이용하여 JFS2 Filesystem Mount 후 mksysb image backup 4. mksysb image file 을 이용한 alt_disk 생성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UNIX System RDX Device Backup Manual
  • 23. 22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1)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1/3) Unit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 위와 같이 RDX 의 mksysb image 를 이용하여 nim mksysb Resource 로 등록합니다.
  • 24. 23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1)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2/3) Unit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 #smitty nim > Perform NIM Administration Tasks > Manage Resources > Define a Resource 선택 • 등록된 mksysb Resource 를 이용하여 spot 을 추출합니다.
  • 25. 24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1)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3/3) Unit 5. nim master 에 mksysb 등록 후 Restore • #smitty > Perform NIM Softwar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Tasks > Install and Update Software > Install the Base Operating System on Standalone Clients 선택 • [Install Client Select] 선택 >> [등록한 mksysb] 선택 > 위 화면과 같이 설정 후 Restore 준비 • 이후 Target Server 의 설정 후 기존의 nim Client Restore 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