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정수형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설명
sbyte 부호 있는 8비트 정수
short 부호 있는 16비트 정수
int 부호 있는 32비트 정수
long 부호 있는 64비트 정수
18. 정수형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설명
byte 부호 없는 8비트 정수
ushort 부호 없는 16비트 정수
uint 부호 없는 32비트 정수
ulong 부호 없는 64비트 정수
C에서 unsigned int라 적어줬던 것을 떠올리면 돼요!
byte는 조금 다른 것에 주의해요.
19. 부동 소수점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설명
float 32비트 부동소수점 숫자
double 64비트 부동소수점 숫자
decimal 128비트 고정밀 부동 소수점
21. 변수 선언 방법
<데이터 타입> <변수명>;
변수 선언 방법은 C와 같아요.
한 번에 여러 변수를 선언할 수도 있고.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해줄 수도 있어요.
22. 상수 선언 방법
const <데이터 타입> <변수명> = <값>;
상수 선언 방법도 C와 같아요.
그냥 데이터 타입 앞에 const를 적어주면 돼요.
다만, 상수는 중간에 값을 변경할 수 없으니
초기값을 적어줘야 해요.
(스포일러: readonly라는 것도 있어요.
나중에 설명할게요!)
23. 배열 선언 방법
<타입>[] <변수명> = new <타입>[개수];
배열 선언 방법은 C와는 조금 달라요.
C에서는 대괄호를 변수명 오른편에 썼지만
C#에선 타입의 오른편에 쓰고 개수를
정해주지는 않아요.
다만 선언해주고 new 키워드를 이용해
배열의 크기를 정해줄 수 있어요.
24. 배열 선언 방법
<타입>[,] <변수명> = new <타입>[개수, 개수];
다차원 배열도 만들 수 있어요.
C에서 했던 것처럼 만들 수 있지만, C엔 없는
다른 방법이 존재해요.
왼쪽처럼 콤마로 구분해서 다차원 배열을
만들 수도 있어요.
25. 배열 선언 방법
<타입>[][] <변수명> = new <타입>[개수][];
C에서 썼던 방식대로 만들 수도 있어요.
다만 이 경우엔 배열의 배열이기 때문에 배열
속의 배열을 다시 new로 만들어줘야 해요.
자세한 건 예시코드를 보면서 살펴보아요!
26. 지금까지 여러 가지 선언 방법들을 알아보았어요.
변수와 상수 선언은 C와 비슷했어요.
배열은 new 키워드를 통해 만들 수 있었어요.
이제 자세한 건 CSharp_yesei_01.cs 파일을 같이 보면서 살펴보아요!
28. 조건문
C와 같은 모습을 갖추고 있어요.
C와 같이 if, else가 있고. switch도 있어요
CSharp_yeshi_2.cs 파일을 보면서 같이 살펴보아요.
29. 반복문
역시 C와 같은 모습을 갖추고 있어요.
C와 같이 for, while, do-while이 있어요.
하지만 C엔 없는 foreach 반복문도 있어요!
30. foreach문
foreach문은 Python의 for ~ in ~과 비슷해요.
foreach (<타입> <변수명> in <배열>) 의 꼴로 사용할 수 있어요.
(스포일러: 배열 등엔 배열 말고도 다른 게 들어갈 수 있지만. 일단 우리가 배운 건 배열밖에
없으니 지금은 넘어가요)
39. 과제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점검하고자 퀴즈를 준비했어요.
퀴즈는 오늘 23시 59분까지 풀어 주시면 돼요.
▪이번 시간에 알아본 내용으로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과제도 있어요.
문제 하나당 한 소스파일을 작성해주시면 돼요.
각 소스파일의 이름은 과제1, 과제2, 과제3이나 문제1, 문제2, 문제3 등 자유롭게 적어 주시
면 돼요.
▪과제는 의무적인 건 아니에요!
하셔도 되고 안 하셔도 돼요. 자유롭게, 부담 안가지셔도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