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Floating Action Button
(플로팅 액션 버튼)
++
기능/사용정의
 서비스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을
호출할 수 있고 화면상에 떠 있는 액션버튼
액션/반응
 디폴트 고정상태에서 사용자의 액션이 가해질 경우
애니메이션 효과가 가미된 머테리얼 시트로 확장
표준크기(Google UX Guideline 기준)
 표준 버튼: 56 X 56dp
 미니 버튼: 40 X 40dp
플로팅 액션버튼
(디폴트 고정상태)
표준 사이즈 플로팅 액션 버튼
 버튼 크기: 56 X 56dp
 버튼 내 Icon 크기: 24 X 24dp
미니 사이즈 플로팅 액션 버튼
 버튼 크기: 40 X 40dp
 버튼 내 Icon 크기: 24 X 24dp
이러지 말자!
 한 화면에는 하나 이상의 플로팅 액션 버튼을 제공하는 것은
지양함
이러지 말자!
 다음과 같이 부정적이며, 추상적이며, 사소해보일 수 있는
버튼은 권장하지 않음
 보관, 휴지통
 구체적이지 못한 액션
 각종 경고 및 에러
 볼륨조절, 글꼴색상 변경 등
 원형을 벗어난 버튼형태는 사용하지 않음
 삼차원 형태를 취하지 않음
이렇게 하자!
 플로팅 액션 버튼은 긍정적인 액션을 위주로
직관적이고 구체적인 의미를 풍겨야 함
 생성, 즐겨찾기, 공유, 탐색 등
화면의 특성에 맞는 버튼 정의
 플로팅 액션 버튼은 탭바와 같이 측면간 이동을
하는 화면에서 서로 다른 기능으로 제공가능
 기존 플로팅 액션 버튼이 사라지고 새로운 플로팅
버튼이 나타나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해야 함
 화면간 이동 시 플로팅 액션버튼의 위치와 크기는
동일해야 함
툴바로 확장되는 플로팅 액션버튼
 플로팅 액션 버튼은 서비스 공통기능을 호출할 때
툴바 형태로 확장될 수 있음
 확장된 툴바에는 텍스트, 검색필드 또는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기능들이 추가될 수 있음
 확장된 툴바는 화면을 상/하단으로 스크롤 시 기존
플로팅 액션 버튼 형태로 복귀함
 확장된 툴바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은 연관성이 있
어야함
단축 다이얼로 확장되는 플로팅 액션버튼
 플로팅 액션 버튼 터치 시 관련성 높은 기능들이
상단으로 확장될 수 있음
 기능 확장 시 기존 디폴트 고정버튼은 화면 내 같
은 자리에 위치해야 함
 기능 확장 시 기존 디폴트 고정버튼은 확장된 기능
영역을 닫는 기능을 하거나 해당 서비스에서 일반
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으로 변경됨
머테리얼 시트로 확장되는 플로팅 액션버튼
 플로팅 액션 버튼 터치 시 단일 머테리얼 시트로
확장될 수 있음
 확장된 머테리얼 시트에는 다양한 액션이 포함될
수 있음
전체화면으로 확장되는 플로팅 액션버튼
 플로팅 액션 버튼 터치 시 화면 전체를 뒤덮는 새
로운 머테리얼 시트를 제공할 수 있음
 화면 전체를 뒤덮는 새로운 머테리얼 시트를 제공
하는 경우 기존 사용자가 화면 위에 또 다른 화면
이 뒤덮힌 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효과를 가미함
이러지 말자!
 제한된 수를 초과하거나 지나치게 제약된 수의 기능을
포함하지 않음
 확장된 머테리얼 시트는 디폴트 고정 플로팅 액션 버튼을
가려서는 안됨
 연관성 없는 기능들을 몰아넣지 않음
 안드로이드에서 흔히 사용되는 “더 보기” 메타포를 사용하지
않음
대화면 사이즈에서의 플로팅 액션 버튼
 플로팅 액션 버튼은 각각의 머테리얼 시트의 경계
에 위치시킴
 한 화면에 하나 이상의 플로팅 액션 버튼을 제공하
지 않음
 플로팅 액션 버튼은 연관성없는 머테리얼 시트에
배치하지 않음
믿거나 말거나!
 플로팅 액션 버튼은 누구에 의해서, 언제부터 사용
되기 시작한 것일까?
 2011년 후반 ~ 2012년도 “Path”라는 소셜 네트워
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추측)
 당시 “Path”는 플로팅 액션 버튼, 사이드 메뉴, 타임
라인, 감정 표시하기 등과 같이 획기적인 UI/UX로
화자가 되었으며, 심리학적 근거(신뢰할 수 있는 관
계의 수 50명150명)를 들어 제한된 친구들과의
친밀한 커뮤니케이션에 목적을 둔 서비스로 폐쇄
형 소셜네트워킹 서비스의 참조 모델이었음
 현재 플로팅 액션 버튼은 Android의 UX 가이드라
인에 공식적으로 포함된 항목이며 iOS 뿐만아니라
PC/모바일 웹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음
감사합니다.
(참조: Google Developer)

More Related Content

PDF
Matlab 틀린그림찾기 동홍석얼짱조
PDF
3D터치가 뭐길래!
PDF
조작 가능한 시간
PDF
대문(大門)
PDF
프로그레시브 웹앱(Pwa)
PDF
안드로이드 기본 컴퍼넌트 커스터마이징
PDF
2017 디자인 트렌드 from adobe
PDF
Frog design & mobile entertainment system
Matlab 틀린그림찾기 동홍석얼짱조
3D터치가 뭐길래!
조작 가능한 시간
대문(大門)
프로그레시브 웹앱(Pwa)
안드로이드 기본 컴퍼넌트 커스터마이징
2017 디자인 트렌드 from adobe
Frog design & mobile entertainment system

Viewers also liked (12)

PPTX
3Com 3C401010
PPTX
3Com 7000-10132
PDF
Norton Bevel System - Brochure
PDF
Healthchain. TFG Grado Ingeniería Informática.
PPTX
Dia internacional de la mujer!!
PPTX
3Com 3C1CSRVA
PDF
2017 ifma presentation pdf
PDF
Gibi acessibilidade
PPTX
Bible Studies for Life - Connecting at Every Age
PDF
Digitemb
PPTX
3Com 3C96010C-AC
PDF
Formica Infiniti
3Com 3C401010
3Com 7000-10132
Norton Bevel System - Brochure
Healthchain. TFG Grado Ingeniería Informática.
Dia internacional de la mujer!!
3Com 3C1CSRVA
2017 ifma presentation pdf
Gibi acessibilidade
Bible Studies for Life - Connecting at Every Age
Digitemb
3Com 3C96010C-AC
Formica Infiniti
Ad

More from Woncheol Lee (12)

PDF
Material design update 3 Backdrop
PDF
Material design update 2: Bottom app bar
PDF
Material design_update 1_material system and motion
PDF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Haptic 기술
PDF
Placeholder
PDF
iphone x 대응현황 및 미대응 사례를 통한 이슈사항 예측
PDF
바이오 정보보호 가이드라인
PDF
상품 및 제품 제시방법에 따른 사용자 태도조사
PDF
스마트폰 앱 접근권한 개인정보보호 안내서
PDF
주의(Attention)에 따른 컨텐츠의 가치
PDF
머티리얼 디자인(material design)
PDF
Wi-Fi certified miracast
Material design update 3 Backdrop
Material design update 2: Bottom app bar
Material design_update 1_material system and motion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Haptic 기술
Placeholder
iphone x 대응현황 및 미대응 사례를 통한 이슈사항 예측
바이오 정보보호 가이드라인
상품 및 제품 제시방법에 따른 사용자 태도조사
스마트폰 앱 접근권한 개인정보보호 안내서
주의(Attention)에 따른 컨텐츠의 가치
머티리얼 디자인(material design)
Wi-Fi certified miracast
Ad

Floating action button

  • 2. 기능/사용정의  서비스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을 호출할 수 있고 화면상에 떠 있는 액션버튼 액션/반응  디폴트 고정상태에서 사용자의 액션이 가해질 경우 애니메이션 효과가 가미된 머테리얼 시트로 확장 표준크기(Google UX Guideline 기준)  표준 버튼: 56 X 56dp  미니 버튼: 40 X 40dp 플로팅 액션버튼 (디폴트 고정상태)
  • 3. 표준 사이즈 플로팅 액션 버튼  버튼 크기: 56 X 56dp  버튼 내 Icon 크기: 24 X 24dp
  • 4. 미니 사이즈 플로팅 액션 버튼  버튼 크기: 40 X 40dp  버튼 내 Icon 크기: 24 X 24dp
  • 5. 이러지 말자!  한 화면에는 하나 이상의 플로팅 액션 버튼을 제공하는 것은 지양함
  • 6. 이러지 말자!  다음과 같이 부정적이며, 추상적이며, 사소해보일 수 있는 버튼은 권장하지 않음  보관, 휴지통  구체적이지 못한 액션  각종 경고 및 에러  볼륨조절, 글꼴색상 변경 등  원형을 벗어난 버튼형태는 사용하지 않음  삼차원 형태를 취하지 않음
  • 7. 이렇게 하자!  플로팅 액션 버튼은 긍정적인 액션을 위주로 직관적이고 구체적인 의미를 풍겨야 함  생성, 즐겨찾기, 공유, 탐색 등
  • 8. 화면의 특성에 맞는 버튼 정의  플로팅 액션 버튼은 탭바와 같이 측면간 이동을 하는 화면에서 서로 다른 기능으로 제공가능  기존 플로팅 액션 버튼이 사라지고 새로운 플로팅 버튼이 나타나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해야 함  화면간 이동 시 플로팅 액션버튼의 위치와 크기는 동일해야 함
  • 9. 툴바로 확장되는 플로팅 액션버튼  플로팅 액션 버튼은 서비스 공통기능을 호출할 때 툴바 형태로 확장될 수 있음  확장된 툴바에는 텍스트, 검색필드 또는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기능들이 추가될 수 있음  확장된 툴바는 화면을 상/하단으로 스크롤 시 기존 플로팅 액션 버튼 형태로 복귀함  확장된 툴바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은 연관성이 있 어야함
  • 10. 단축 다이얼로 확장되는 플로팅 액션버튼  플로팅 액션 버튼 터치 시 관련성 높은 기능들이 상단으로 확장될 수 있음  기능 확장 시 기존 디폴트 고정버튼은 화면 내 같 은 자리에 위치해야 함  기능 확장 시 기존 디폴트 고정버튼은 확장된 기능 영역을 닫는 기능을 하거나 해당 서비스에서 일반 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으로 변경됨
  • 11. 머테리얼 시트로 확장되는 플로팅 액션버튼  플로팅 액션 버튼 터치 시 단일 머테리얼 시트로 확장될 수 있음  확장된 머테리얼 시트에는 다양한 액션이 포함될 수 있음
  • 12. 전체화면으로 확장되는 플로팅 액션버튼  플로팅 액션 버튼 터치 시 화면 전체를 뒤덮는 새 로운 머테리얼 시트를 제공할 수 있음  화면 전체를 뒤덮는 새로운 머테리얼 시트를 제공 하는 경우 기존 사용자가 화면 위에 또 다른 화면 이 뒤덮힌 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효과를 가미함
  • 13. 이러지 말자!  제한된 수를 초과하거나 지나치게 제약된 수의 기능을 포함하지 않음  확장된 머테리얼 시트는 디폴트 고정 플로팅 액션 버튼을 가려서는 안됨  연관성 없는 기능들을 몰아넣지 않음  안드로이드에서 흔히 사용되는 “더 보기” 메타포를 사용하지 않음
  • 14. 대화면 사이즈에서의 플로팅 액션 버튼  플로팅 액션 버튼은 각각의 머테리얼 시트의 경계 에 위치시킴  한 화면에 하나 이상의 플로팅 액션 버튼을 제공하 지 않음  플로팅 액션 버튼은 연관성없는 머테리얼 시트에 배치하지 않음
  • 15. 믿거나 말거나!  플로팅 액션 버튼은 누구에 의해서, 언제부터 사용 되기 시작한 것일까?  2011년 후반 ~ 2012년도 “Path”라는 소셜 네트워 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추측)  당시 “Path”는 플로팅 액션 버튼, 사이드 메뉴, 타임 라인, 감정 표시하기 등과 같이 획기적인 UI/UX로 화자가 되었으며, 심리학적 근거(신뢰할 수 있는 관 계의 수 50명150명)를 들어 제한된 친구들과의 친밀한 커뮤니케이션에 목적을 둔 서비스로 폐쇄 형 소셜네트워킹 서비스의 참조 모델이었음  현재 플로팅 액션 버튼은 Android의 UX 가이드라 인에 공식적으로 포함된 항목이며 iOS 뿐만아니라 PC/모바일 웹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