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오픈소스 GIS 실습 (2)
OSGeo 한국어지부
Ver.1.0
유병혁
강의 순서
1. 좌표계(CRS) 이해하기
2.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좌표계
 지리적 객체를 위치시키는데 사용되는 좌표 기반 체계
 CRS (Coordinate Reference System: 좌표참조체계)
 SRS (Spatial Reference System: 공간참조체계)
[이미지 출처] Coordinate systems and projections for beginners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
 Geographic Coordinate System (GCS)
 지구상에 위치를 정의하는데 3차원의 구면을 이용하는 좌표계
 한 지점은 경도(longitude)와 위도(latitude) 값으로 지정
 위도와 경도는 지구 중심에서 지표면 상에 지점까지 측정된 각
 흔히 도(degrees)로 표시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적도(赤道, Equator): 위도의 기준이 되는 선
 '赤(붉을 적)' ->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적도를 붉은 색으로 표현
 위도가 0˚인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은 북위, 남쪽은 남위로 구분
[이미지 출처] A Plan To Replace Geographic Coordinates on Earth With Unique Strings of Three Words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본초 자오선(本初子午線, Prime Meridian) : 경도의 기준이 되는 선
 자오선: 중국 12지(支)의 자(子)의 방향인 북과, 오(午)의 방향인 남을 연결하는 선
[이미지 출처] A Plan To Replace Geographic Coordinates on Earth With Unique Strings of Three Words [이미지 출처] The Chinese animal zodiac system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본초 자오선(本初子午線, Prime Meridian)
 영국 런던 그리니치 구(舊) 왕립 천문대(Royal Observatory,
Greenwich)를 지나는 자오선을 1884년부터 본초 자오선 지정
 경도 0˚의 자오선을 기준 -> 동쪽은 동경, 서쪽은 서경으로 구분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우리나라
 북위 33°~43°, 동경 124°~132°에 위치
 지구 타원체(Earth Ellipsoid)
 위도와 경도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
 지구의 모습을 실제와 가깝게 나타낸 회전 타원체
 지구는 완전한 구(球) X
 적도반지름이 극반지름보다 약간 긴 일그러진 타원체
 과거에는 각 국가별로 최적화된 지역(Local) 지리좌표계 선호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Bessel 1841 타원체
 일제시대의 영향으로 일본에서 쓰던 타원체를 그대로 사용
 데이텀(Datum): 지구 중심의 위치 정의
 데이텀이 해당 국가 쪽으로 치우쳐져 있어 측위 오차 발생! -> Tokyo 데이텀
[이미지 출처] Datums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 타원체
 미국이 군사 및 GPS 운용을 목적으로 구축한 지구 타원체
 GRS80(Geodetic Reference System 1980) 타원체
 국제 측지학 및 지구물리학 연합(IUGG: International
UnionofGeodesyandGeophysics)에서 채택한 지구 타원체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투영좌표계
 Projected Coordinate System (PCS)
 지리좌표를 평면 상에 투영한 좌표계
 하나의 타원체를 투영하는데 다양한 방식의 투영법이 존재
[이미지 출처] Map Projections - types and distortion patterns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메르카토르 도법 (Mercator projection)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투영좌표계
 측량원점(origin)
 좌표가 평면 상에 투영 -> 지정된 단위 (미터, 피트)로 X, Y 값 표시
 이 때 (0,0) 지점에 해당되는 지점
[이미지 출처] What are projected coordinate systems?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투영좌표계
 우리나라 측량원점(origin)
 서부원점: 북위 38도선과 동경 125도선의 교차점
 중부원점: 북위 38도선과 동경 127도선의 교차점
 동부원점: 북위 38도선과 동경 129도선의 교차점
 동해원점: 북위 38도선과 동경 131도선의 교차점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투영좌표계
 우리나라 측량원점(origin)
 측량원점을 사용하면 대부분의 영역이 X, Y값에서 –부호
 -부호 좌표가 발생되지 않도록 각 원점에 X 200,000m, Y좌표는 600,000m 가산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투영법 정의
 레이어 좌표계:
 레이어명 우클릭 > Set Layer CRS
 Korea 2000 / East Belt2010
 EPSG: 5187
 (유의) Set Layer CRS를 변경한다고
좌표계를 변환하는 것이 아님!
해당 레이어의 원래 좌표계를 설정!
+proj=tmerc
+lat_0=38 +lon_0=129
+k=1
+x_0=200000 +y_0=600000
+ellps=GRS80
+towgs84=0,0,0,0,0,0,0
+units=m
+no_defs
 EPSG: European Petroleum Survey Group(유럽석유조사그룹) 약어 | https://epsg.io/5187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현재] 국토정보플랫폼 표준 좌표계
 출처: http://www.osgeo.kr/17
좌표계 EPSG
서부원점 (Korea 2000 / West Belt 2010) 5185
중부원점 (Korea 2000 / Central Belt 2010) 5186
동부원점 (Korea 2000 / East Belt 2010) 5187
동해(울릉)원점 (Korea 2000 / East Sea Belt 2010) 5188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투영법 정의
 프로젝트 좌표계:
 프로젝트 > 프로젝트 속성 > 좌표계
 Enable ‘on the fly’ CRS
transformation (OTF)
 프로젝트 좌표계 변경: 하단 바로가기
 WGS 84
 EPSG: 4326
+proj=longlat
+datum=WGS84
+no_defs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투영법 정의
 현재 투영 정의
 상단 메뉴에서 벡터 > 데이터 관리 도구 > 현재 투영 정의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투영법 정의
 레이어명 우클릭 > 다른 이름으로 저장 > 좌표계 변경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투영법 정의
 좌표계가 없는 레이어가 불러와졌을 때
 상단 메뉴에서 설정 > 옵션 > 좌표계
 새 레이어를 위한 좌표계 > 기본 CRS 사용 > EPSG:5187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벡터 > 지오메트리 도구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좌표, 길이, 면적, 둘레 속성값추가
[이미지 출처] GeoHealth Mapping GIS Training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동부원점 (Korea 2000 / East Belt 2010) EPSG:5187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동부원점 (Korea 2000 / East Belt 2010) EPSG:5187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중부원점 (Korea 2000 / Central Belt 2010) EPSG:5186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프로젝트 좌표계: 중부원점)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중부원점 (Korea 2000 / Central Belt 2010) EPSG:5186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프로젝트 좌표계: 중부원점)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서부원점 (Korea 2000 / West Belt 2010) EPSG:5185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프로젝트 좌표계: 서부원점)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서부원점 (Korea 2000 / West Belt 2010) EPSG:5185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프로젝트 좌표계: 서부원점)
 투영좌표계
 우리나라 측량원점(origin)의 위치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2.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 QGIS OpenLayers, TMS for Korea 플러그인
 QGIS ‘플러그인 아키텍처(Plug-in Architecture)’
 플러그인 추가 탑재를 통해 기존 QGIS에 새로운 기능들을 간단히 통합
 파이썬(Python) 언어를 통해 새로운 플러그인 개발환경 제공
 2018년 3월 현재 QGIS 파이썬 플러그인 저장소에 835개 등록
 상단 메뉴에서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2.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 QGIS OpenLayers, TMS for Korea 플러그인
 OpenLayers 플러그인 (25종)
 OpenStreetMap (2), Google Maps (4), Bing Maps (3), OSM/Stamen (4),
 Wikimedia Maps (2), OSM/Thunderforest (9), Apple Maps (1)
 TMS for Korea 플러그인 (24종) | OSGeo 한국어지부 이민파님 개발
 NGII Maps (5), Daum Maps (5), VWorld Maps(4),
 Naver Maps (5), Olleh Maps (5)
 (유의) ‘프로젝트 좌표계’를 사용 중인 오픈레이어의 ‘레이어 좌표계’로 맞출 것!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2.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감 사 합 니 다

More Related Content

PDF
지리정보체계(GIS) - [2] 좌표계 이해하기
PDF
지리정보체계(GIS) - [1] GIS 데이터 유형, 구조 알기
PDF
QGIS 실습 (총 7차시)
PDF
Qgis 기초 2019
PDF
[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
PPTX
QGIS 활용
PDF
[QGIS] 수치지도를 이용한 DEM 생성과 지형분석
PDF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지리정보체계(GIS) - [2] 좌표계 이해하기
지리정보체계(GIS) - [1] GIS 데이터 유형, 구조 알기
QGIS 실습 (총 7차시)
Qgis 기초 2019
[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
QGIS 활용
[QGIS] 수치지도를 이용한 DEM 생성과 지형분석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What's hot (20)

PPTX
오픈소스GIS를 활용한 서버기반 공간분석과 시각화
PPTX
QGIS 기초
PPTX
공간정보거점대학 1.geo server_고급과정
PPTX
오픈소스GIS 개발 일반 강의자료
PPTX
공간정보아카데미 - 오픈소스GIS 분석가과정 - QGIS 공간분석일반
PDF
PostGIS 시작하기
PDF
Q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입문(1일 6시간)
PPTX
LX 공간정보아카데미 PostGIS 강의자료
PPTX
GeoServer 기초
PPTX
QGIS 고급 및 PyQGIS - 김기웅, 임영현
PDF
PyQGIS 개발자 쿡북(PyQGIS Developer Cookbook) 한국어 판
PDF
오픈소스 GIS 실습 (5)
PDF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1 공간정보시스템개요
PDF
Q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입문 ver.1.0
PPTX
S04 파크랩 DSLab.1기: 카토그램 (Cartogram)
PPTX
공간정보아카데미 QGIS 기초 (2017.5)
PPTX
Open Source GIS 기초교육 4일차 - GeoServer 기초 2014년 7월판
PDF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11 공간정보의 구축
PPTX
공간정보 거점대학 - OpenLayers의 고급 기능 이해 및 실습
PPTX
QGIS 소개 및 ArcMap과의 비교
오픈소스GIS를 활용한 서버기반 공간분석과 시각화
QGIS 기초
공간정보거점대학 1.geo server_고급과정
오픈소스GIS 개발 일반 강의자료
공간정보아카데미 - 오픈소스GIS 분석가과정 - QGIS 공간분석일반
PostGIS 시작하기
Q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입문(1일 6시간)
LX 공간정보아카데미 PostGIS 강의자료
GeoServer 기초
QGIS 고급 및 PyQGIS - 김기웅, 임영현
PyQGIS 개발자 쿡북(PyQGIS Developer Cookbook) 한국어 판
오픈소스 GIS 실습 (5)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1 공간정보시스템개요
Q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입문 ver.1.0
S04 파크랩 DSLab.1기: 카토그램 (Cartogram)
공간정보아카데미 QGIS 기초 (2017.5)
Open Source GIS 기초교육 4일차 - GeoServer 기초 2014년 7월판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11 공간정보의 구축
공간정보 거점대학 - OpenLayers의 고급 기능 이해 및 실습
QGIS 소개 및 ArcMap과의 비교
Ad

Similar to 오픈소스 GIS 실습 (2) (20)

PPTX
6장 공간패턴을읽으면세상이보인다.최종
PPTX
인포그래픽스 데이터분석과 저널리즘 6장 공간패턴을읽으면세상이보인다
PPTX
QGIS-공간패턴을읽으면세상이보인다.
PPTX
6장 공간패턴을 읽으면 세상이 보인다
PPT
Gis개론
PDF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3 지구의형상과좌표체계
PPTX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QGIS 개요 및 기초
PPTX
Python qgis advanced
PPTX
Proj4를 이용한 좌표계 변환
PPTX
[FOSS4G] uDig Desktop GIS
PDF
오픈소스 GIS 실습 (5)
PDF
오픈소스 GIS 실습 (1)
PDF
Java 기반의 오픈 소스 GIS를 지원하는 국내 공간 DBMS 드라이버 개발
PPTX
[FOSS4G Korea 2016] Workshop - Advanced GeoServer
PDF
야생동물(Brown bear) 행동권 · 서식지 분석하기
PPTX
FORGIS-SERVER 사용자 교육
PDF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4 항공사진의 이해
PPTX
오픈소스기반 상용소프트웨어 GXT의 적용사례
PDF
1 QGIS intro
PDF
스마트폰 기반의 TS 측량 지원시스템 개발
6장 공간패턴을읽으면세상이보인다.최종
인포그래픽스 데이터분석과 저널리즘 6장 공간패턴을읽으면세상이보인다
QGIS-공간패턴을읽으면세상이보인다.
6장 공간패턴을 읽으면 세상이 보인다
Gis개론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3 지구의형상과좌표체계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QGIS 개요 및 기초
Python qgis advanced
Proj4를 이용한 좌표계 변환
[FOSS4G] uDig Desktop GIS
오픈소스 GIS 실습 (5)
오픈소스 GIS 실습 (1)
Java 기반의 오픈 소스 GIS를 지원하는 국내 공간 DBMS 드라이버 개발
[FOSS4G Korea 2016] Workshop - Advanced GeoServer
야생동물(Brown bear) 행동권 · 서식지 분석하기
FORGIS-SERVER 사용자 교육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4 항공사진의 이해
오픈소스기반 상용소프트웨어 GXT의 적용사례
1 QGIS intro
스마트폰 기반의 TS 측량 지원시스템 개발
Ad

More from Byeong-Hyeok Yu (19)

PPTX
S03 파크랩 DSLab.1기: 도형 속성 (Geometry attributes)
PPTX
QGIS: 위성영상을 사용한 개벌지(clear-cut) 탐지 및 매핑
PPTX
S02 파크랩 DSLab.1기: 벡터 데이터 모델(Vector data models)
PPTX
S01 파크랩 DSLab.1기: 지리 데이터 모델(Geographic data models)
PPTX
Resolutions and Sensors of Satellites
PPTX
공간정보 스터디 2주차
PPTX
공간정보 스터디 1주차
PDF
오픈드론맵 한국어 사용자 지침서
PDF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국립공원 경관 질 모형 개선 연구
PDF
오픈소스를 활용한 영상처리 세미나
PDF
지리정보체계(GIS) - [4] QGIS를 이용한 밀도 추정
PDF
지리정보체계(GIS) - [3] Open GeoData 처리
PDF
R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야생동물 행동권(HR) 분석
PDF
오픈소스 GIS 실습 (4)
PDF
공간정보 분야 드론 활용사례 및 오픈드론맵(OpenDroneMap) 소개
PDF
QGIS 3.0 새 기능 둘러보기
PDF
오픈소스 GIS 실습 (3)
ODP
OpenDroneMap과 QGIS를 이용한 드론 영상처리 소개
PDF
FOSS4G Korea 2016: 국립공원 훼손지 조사를 위한 UAV와 오픈소스 지리공간 소프트웨어 활용
S03 파크랩 DSLab.1기: 도형 속성 (Geometry attributes)
QGIS: 위성영상을 사용한 개벌지(clear-cut) 탐지 및 매핑
S02 파크랩 DSLab.1기: 벡터 데이터 모델(Vector data models)
S01 파크랩 DSLab.1기: 지리 데이터 모델(Geographic data models)
Resolutions and Sensors of Satellites
공간정보 스터디 2주차
공간정보 스터디 1주차
오픈드론맵 한국어 사용자 지침서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국립공원 경관 질 모형 개선 연구
오픈소스를 활용한 영상처리 세미나
지리정보체계(GIS) - [4] QGIS를 이용한 밀도 추정
지리정보체계(GIS) - [3] Open GeoData 처리
R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야생동물 행동권(HR) 분석
오픈소스 GIS 실습 (4)
공간정보 분야 드론 활용사례 및 오픈드론맵(OpenDroneMap) 소개
QGIS 3.0 새 기능 둘러보기
오픈소스 GIS 실습 (3)
OpenDroneMap과 QGIS를 이용한 드론 영상처리 소개
FOSS4G Korea 2016: 국립공원 훼손지 조사를 위한 UAV와 오픈소스 지리공간 소프트웨어 활용

오픈소스 GIS 실습 (2)

  • 1. 오픈소스 GIS 실습 (2) OSGeo 한국어지부 Ver.1.0 유병혁
  • 2. 강의 순서 1. 좌표계(CRS) 이해하기 2.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 3.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좌표계  지리적 객체를 위치시키는데 사용되는 좌표 기반 체계  CRS (Coordinate Reference System: 좌표참조체계)  SRS (Spatial Reference System: 공간참조체계) [이미지 출처] Coordinate systems and projections for beginners
  • 4.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  Geographic Coordinate System (GCS)  지구상에 위치를 정의하는데 3차원의 구면을 이용하는 좌표계  한 지점은 경도(longitude)와 위도(latitude) 값으로 지정  위도와 경도는 지구 중심에서 지표면 상에 지점까지 측정된 각  흔히 도(degrees)로 표시
  • 5.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적도(赤道, Equator): 위도의 기준이 되는 선  '赤(붉을 적)' ->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적도를 붉은 색으로 표현  위도가 0˚인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은 북위, 남쪽은 남위로 구분 [이미지 출처] A Plan To Replace Geographic Coordinates on Earth With Unique Strings of Three Words
  • 6.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본초 자오선(本初子午線, Prime Meridian) : 경도의 기준이 되는 선  자오선: 중국 12지(支)의 자(子)의 방향인 북과, 오(午)의 방향인 남을 연결하는 선 [이미지 출처] A Plan To Replace Geographic Coordinates on Earth With Unique Strings of Three Words [이미지 출처] The Chinese animal zodiac system
  • 7.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본초 자오선(本初子午線, Prime Meridian)  영국 런던 그리니치 구(舊) 왕립 천문대(Royal Observatory, Greenwich)를 지나는 자오선을 1884년부터 본초 자오선 지정  경도 0˚의 자오선을 기준 -> 동쪽은 동경, 서쪽은 서경으로 구분
  • 8.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9.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10.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11.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우리나라  북위 33°~43°, 동경 124°~132°에 위치  지구 타원체(Earth Ellipsoid)  위도와 경도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  지구의 모습을 실제와 가깝게 나타낸 회전 타원체  지구는 완전한 구(球) X  적도반지름이 극반지름보다 약간 긴 일그러진 타원체  과거에는 각 국가별로 최적화된 지역(Local) 지리좌표계 선호
  • 12.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Bessel 1841 타원체  일제시대의 영향으로 일본에서 쓰던 타원체를 그대로 사용  데이텀(Datum): 지구 중심의 위치 정의  데이텀이 해당 국가 쪽으로 치우쳐져 있어 측위 오차 발생! -> Tokyo 데이텀 [이미지 출처] Datums
  • 13.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지리좌표계(GCS) 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 타원체  미국이 군사 및 GPS 운용을 목적으로 구축한 지구 타원체  GRS80(Geodetic Reference System 1980) 타원체  국제 측지학 및 지구물리학 연합(IUGG: International UnionofGeodesyandGeophysics)에서 채택한 지구 타원체
  • 14.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투영좌표계  Projected Coordinate System (PCS)  지리좌표를 평면 상에 투영한 좌표계  하나의 타원체를 투영하는데 다양한 방식의 투영법이 존재 [이미지 출처] Map Projections - types and distortion patterns
  • 15.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메르카토르 도법 (Mercator projection)
  • 16.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투영좌표계  측량원점(origin)  좌표가 평면 상에 투영 -> 지정된 단위 (미터, 피트)로 X, Y 값 표시  이 때 (0,0) 지점에 해당되는 지점 [이미지 출처] What are projected coordinate systems?
  • 17.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투영좌표계  우리나라 측량원점(origin)  서부원점: 북위 38도선과 동경 125도선의 교차점  중부원점: 북위 38도선과 동경 127도선의 교차점  동부원점: 북위 38도선과 동경 129도선의 교차점  동해원점: 북위 38도선과 동경 131도선의 교차점
  • 18.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19. 1. (이론) 좌표계(CRS) 이해하기 -1. 좌표계 이해하기(CRS)  투영좌표계  우리나라 측량원점(origin)  측량원점을 사용하면 대부분의 영역이 X, Y값에서 –부호  -부호 좌표가 발생되지 않도록 각 원점에 X 200,000m, Y좌표는 600,000m 가산
  • 20.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투영법 정의  레이어 좌표계:  레이어명 우클릭 > Set Layer CRS  Korea 2000 / East Belt2010  EPSG: 5187  (유의) Set Layer CRS를 변경한다고 좌표계를 변환하는 것이 아님! 해당 레이어의 원래 좌표계를 설정! +proj=tmerc +lat_0=38 +lon_0=129 +k=1 +x_0=200000 +y_0=600000 +ellps=GRS80 +towgs84=0,0,0,0,0,0,0 +units=m +no_defs  EPSG: European Petroleum Survey Group(유럽석유조사그룹) 약어 | https://epsg.io/5187
  • 21.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현재] 국토정보플랫폼 표준 좌표계  출처: http://www.osgeo.kr/17 좌표계 EPSG 서부원점 (Korea 2000 / West Belt 2010) 5185 중부원점 (Korea 2000 / Central Belt 2010) 5186 동부원점 (Korea 2000 / East Belt 2010) 5187 동해(울릉)원점 (Korea 2000 / East Sea Belt 2010) 5188
  • 22.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투영법 정의  프로젝트 좌표계:  프로젝트 > 프로젝트 속성 > 좌표계  Enable ‘on the fly’ CRS transformation (OTF)  프로젝트 좌표계 변경: 하단 바로가기  WGS 84  EPSG: 4326 +proj=longlat +datum=WGS84 +no_defs
  • 23.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투영법 정의  현재 투영 정의  상단 메뉴에서 벡터 > 데이터 관리 도구 > 현재 투영 정의
  • 24.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투영법 정의  레이어명 우클릭 > 다른 이름으로 저장 > 좌표계 변경
  • 25.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투영법 정의  좌표계가 없는 레이어가 불러와졌을 때  상단 메뉴에서 설정 > 옵션 > 좌표계  새 레이어를 위한 좌표계 > 기본 CRS 사용 > EPSG:5187
  • 26.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27.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벡터 > 지오메트리 도구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좌표, 길이, 면적, 둘레 속성값추가 [이미지 출처] GeoHealth Mapping GIS Training
  • 28.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동부원점 (Korea 2000 / East Belt 2010) EPSG:5187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 29.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동부원점 (Korea 2000 / East Belt 2010) EPSG:5187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 30.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중부원점 (Korea 2000 / Central Belt 2010) EPSG:5186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프로젝트 좌표계: 중부원점)
  • 31.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중부원점 (Korea 2000 / Central Belt 2010) EPSG:5186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프로젝트 좌표계: 중부원점)
  • 32.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서부원점 (Korea 2000 / West Belt 2010) EPSG:5185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프로젝트 좌표계: 서부원점)
  • 33.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지오메트리 컬럼 내보내기/추가  서부원점 (Korea 2000 / West Belt 2010) EPSG:5185  b0010000_polygon.shp (레이어 좌표계: 동부원점. 프로젝트 좌표계: 서부원점)
  • 34.  투영좌표계  우리나라 측량원점(origin)의 위치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1. 투영법 정의
  • 35.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2.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 QGIS OpenLayers, TMS for Korea 플러그인  QGIS ‘플러그인 아키텍처(Plug-in Architecture)’  플러그인 추가 탑재를 통해 기존 QGIS에 새로운 기능들을 간단히 통합  파이썬(Python) 언어를 통해 새로운 플러그인 개발환경 제공  2018년 3월 현재 QGIS 파이썬 플러그인 저장소에 835개 등록  상단 메뉴에서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
  • 36.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2.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 QGIS OpenLayers, TMS for Korea 플러그인  OpenLayers 플러그인 (25종)  OpenStreetMap (2), Google Maps (4), Bing Maps (3), OSM/Stamen (4),  Wikimedia Maps (2), OSM/Thunderforest (9), Apple Maps (1)  TMS for Korea 플러그인 (24종) | OSGeo 한국어지부 이민파님 개발  NGII Maps (5), Daum Maps (5), VWorld Maps(4),  Naver Maps (5), Olleh Maps (5)  (유의) ‘프로젝트 좌표계’를 사용 중인 오픈레이어의 ‘레이어 좌표계’로 맞출 것!
  • 37. 2. (실습) 투영법 정의,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2. 오픈 레이어 활용하기
  • 38.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