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변경 내용을 확인하는 git diff
git diff // 워킹 디렉토리와 스테이징(index) 비교
git diff [파일명] // 워킹 디렉토리와 스테이징(index)의 지정 파일 비교
git diff [커밋명] [커밋명]
git diff [브랜치명] [브랜치명]
git diff [브랜치명] [원격저장소]/[브랜치명]
52. PR을 하는데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규칙이 있다
1. 원래 저장소를 내 저장소에 복제(fock)한다.
이 저장소를 로컬에 다운로드(clone or pull)한다
2. 원래 저장소 주소를 upstream로 설정한다. (내 저장소 주소는 origin)
3. 개발용 브랜치(ex> develop 등)를 생성합니다.
(fork된 저장소는 일반적으로 master 브랜치에서는 개발하지 않습니다.)
4. 개발을 진행후 내 저장소에 업로드합니다. (commit - push)
5. 원래 저장소 pull request를 요청하고, 보통 코드 리뷰를 진행합니다.
6. PR이 merge되면 내 저장소의 master를 upstream 저장소에서 pull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