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활법률, JSP프로그래밍 6-5
2014학년도 2 학기 3 학년 1 교시
2과목 JSP 프로그래밍 (36~60) 43. 클라이언트 요청 정보에서 이름이 “user-agent”인 헤더의 값을
읽고자 한다. 다음 중 올바른 서블릿 코드는 무엇인가? (2점)
① request.getParameter(“user-agent”);
② request.getHeader(“user-agent”);
③ response.getParameter(“user-agent”);
④ application.getInitParameter(“user-agent”);
44. 다른 페이지(to.jsp)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음 밑줄 부분에 들어
가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 (3점)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
<HTML>
<BODY>
</BODY>
</HTML>
① <jsp:forward response.sendRedirect(“to.jsp”); %>
② < response.sendRedirect(“to.jsp”); >
③ <%= response.sendRedirect(“to.jsp”) %>
④ <% response.sendRedirect(“to.jsp”); %>
45. 아래의 두 JSP 페이지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밑줄 부분에
공통으로 들어가야 할 내장 객체는 무엇인가? (4점)
...
<HTML>
<BODY>
<% String str=“Hello”;
%>
<%= str %>
</BODY>
</HTML>
...
<%
.print(“<HTML>”);
.print(“<BODY>”);
String str= “Hello, JSP”;
.print(str);
.print(“</BODY>”);
.print(“</HTML>);
%>
① out
② cout
③ response
④ System.out
46. 페이지 a에서 페이지 b를 include하거나 b로 forward가 일어난
후에 요청이 처리되었다. 이때 두 페이지 사이에서만 공유되
는 내장 객체는 무엇인가? (2점)
① pageContext
② request
③ session
④ application
47. 정적 인클루드는 JSP 페이지를 서블릿으로 번역하기 전에 지정
된 텍스트 파일을 먼저 삽입하는 것이다. 이 기능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3점)
① <%@ include file =“파일이름” %>
② <jsp:include page =“페이지이름” />
③ <c:import url =“url주소” />
④ <%@ taglib import=“클래스이름” %>
48. 쿠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점)
① 클라이언트가 만들어 서버로 보내는 데이터이다.
② 클라이언트의 상태 관리를 위한 데이터이다.
③ 쿠키는 요청 헤더 또는 응답 헤더에 담겨 전송된다.
④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저장되는 데이터이다.
출제위원:방송대 김희천
출제범위:교재전체(해당 멀티미디어강의 포함)
36. 서블릿이 실행되기 위한 환경의 구성 요소로 볼 수 없는 것은?
(4점)
① 자바 실행 환경
② 웹 서버
③ 서블릿 컨테이너
④ 자바 스크립트(JavaScript)
37. 다음 중 POST 요청 방식을 설명한 것은? (3점)
① 서버에서 요청 URL에 지정된 자원을 삭제하도록 요청
② 간단한 데이터를 URL 뒤에 추가하여 자원을 요청
③ 데이터를 요청 메시지의 몸체에 포함시켜 전송하면서 요청
④ 프록시가 동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
38. 다음 중 JSP를 이용한 웹 응용의 개발 도구에 해당하는 것은?
(3점)
① Tomcat ② Eclipse
③ Apache Server ④ MySQL
39. JSP 태그의 종류와 형태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4점)
① 선언 <%! ... %>
② 표현식 <%= ... />
③ 스크립트릿 <%-- ... --%>
④ 지시어 <jsp:태그이름 ... %>
40. 아래 내용에 관한 설명이다. 올바른 것은? (2점)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
① JSP 페이지에서 사용할 자바 클래스를 지정한다.
② JSP 페이지 자신의 문자인코딩을 지정한다.
③ 스크립트 요소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정한다.
④ 응답 문서의 MIME 타입과 문자인코딩 방법을 지정한다.
41. 톰캣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였다. web.xml 파일이나 .tld
파일은 다음 중 어디에 위치하는 것이 적당한가? (3점)
① [웹어플리케이션폴더]META-INF
② [웹어플리케이션폴더]WEB-INF
③ [웹어플리케이션폴더]WEB-INFclasses
④ [웹어플리케이션폴더]WEB-INFlib
42. 아래 폼으로부터 나오는 요청을 서블릿을 이용해 처리하고자
할 때, HelloServlet 클래스에서 구현해야 하는 메서드는 무엇
인가? (2점)
<form action="HelloServlet" method="get">
<input type="text" name="name">
<input type="submit" value="OK">
</form>
① init()
② start()
③ doPost()
④ doGet()
2. 생활법률, JSP프로그래밍 6-6
2014학년도 2 학기 3 학년 1 교시
49. 아래 소스를 보면 from.jsp에서 to.jsp로 포워딩이 일어난다.
from.jsp를 요청했을 때, 클라이언트가 보는 최종 실행 결과는
무엇인가? (3점)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
<HTML>
<BODY>
from의 앞<br>
<jsp:forward page="to.jsp" />
from의 뒤<br>
</BODY>
</HTML>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
<HTML>
<BODY>
여기는 to.jsp
</BODY>
</HTML>
from.jsp to.jsp
① form의 앞
from의 뒤
② from의 앞
여기는 to.jsp
from의 뒤
③ 여기는 to.jsp
④ 여기는 to.jsp 페이지
50. 다음 중 클라이언트가 보낸 쿠키를 읽기 위한 문장은 무엇인가?
(cookie는 쿠키 객체, cookies는 쿠키 배열이다) (2점)
① cookies = request.getCookies();
② request.getHeader(“cookie”);
③ cookie = new Cookie(“이름”, “값”);
④ response.addCookie(cookie);
51. 세션에 대한 일반적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4점)
① 하나의 웹 브라우저에서 들어오는 연관된 일련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세션을 사용한다.
② 웹 브라우저당 1개의 세션이 유지된다.
③ 세션의 기본 유효시간은 클라이언트가 정해야 한다.
④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면 세션은 삭제된다.
52. 로그아웃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세션을 삭제하려고 한다. 다음
중 세션을 삭제하는 문장에 해당하는 것은? (3점)
① session.invalidate();
② session.getAttribute(“logout”);
③ session.setAttribute(“login”, “userid”);
④ session.setMaxInactiveInterval(-1);
53. 아래 표준 액션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3점)
<jsp:useBean id=“meminfo class=“member.Customer”/>
① 이름이 meminfo인 자바빈 객체를 사용(또는 생성)하겠다는
것이다.
② 객체의 유형은 member 클래스 내부에 정의된 Customer
클래스이다.
③ 이 객체는 해당 페이지와 같은 request 객체를 공유하는 페
이지들에서 접근 가능하다.
④ 이 객체는 해당 페이지가 속한 세션이 종료될 때까지 유지
되고 사용될 수 있다.
54. JSP를 실행하기 위한 환경이 설치된 후에, JSP 페이지에서
MySQL과 연동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추가로 설치해
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3점)
① Connector/J (JDBC 드라이버)
② ResultSet (클래스)
③ java.sql (클래스 패키지)
④ EL (표현 언어)
55. 템플릿 데이터 내부에서 사용할 때, 다음 코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스크립트 요소는 무엇인가? (2점)
<jsp:getProperty name="meminfo" property="age" />
① <% response.print(meminfo.getName(“age”)); %>
② <% System..print(meminfo.getName(“age”)); %>
③ <%= meminfo.getAge( ) %>
④ <%= meminfo.setName(“age”) %>
56. 다음 페이지를 실행할 때 결과가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2점)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
<% request.setAttribute("name", "Jimmy"); %>
<HTML>
<BODY>
a : ${requestScope.name} <br>
b : ${requestScope['name']} <br>
c : ${requestScope["name"]} <br>
d : <%=request.getParameter("name") %> <br>
</BODY>
</HTML>
① a가 표시되는 줄 ② b가 표시되는 줄
③ c가 표시되는 줄 ④ d가 표시되는 줄
57. 표현 언어에서 자바 메서드를 사용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taglib
지시어를 사용할 때, uri 속성의 값이 의미하는 것은? (2점)
<%@ taglib prefix="elfunc" uri="ElFunctions" %>
① web.xml 파일의 위치를 알려줌
② 메서드 정보를 기술한 TLD 파일을 식별할 수 있게 함
③ 함수를 정의한 자바 클래스의 이름을 의미함
④ 메서드를 호출할 때 사용할 접두어를 의미함
58. 아래 코드에서 prop은 스크립트릿에서 정의된 Map 유형의 변수
이다. 밑줄 부분에 들어가야 할 적당한 것은 무엇인가? (2점)
<c:set var="info" value="<%=prop%>" scope="request" />
<c:set target= property="host" value="localhost" />
① “prop” ② ${prop}
③ “${info}” ④ <%=info%>
59. JSTL의 코어 라이브러리에서 예외 처리에 사용되는 태그는 무
엇인가? (3점)
① <c:catch> ② <c:out>
③ <c:import> ④ <c:forEach>
60. 웹 어플리케이션 구조에 MVC 패턴을 적용할 때, 컨트롤러의
역할에 해당하는 것은? (2점)
①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함
②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HTML 문서를 만듦
③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처리를 지시하고, 결과를 받아 전달함
④ 통일된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해 공통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함
5. 2016학년도 2 학기 3 학년 1 교시
생활법률, JSP프로그래밍 6-4
36. JSP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4점)
① JSP는 Java 언어에 기초한 웹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② JSP 기술은 플랫폼에 종속적인 면이 강하다.
③ JSP 페이지는 서버에서 처리된다.
④ JSP 기술을 이용하여 동적 웹 문서를 만들 수 있다.
37. JSP 태그의 종류와 형태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4점)
① 지시어 <%@ ... %>
② 표현식 <%= ... %>
③ 스크립트릿 <jsp:tagName ... />
④ 주석 <%-- ... --%>
38. JSP 페이지 실행 결과의 버퍼링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3점)
① 버퍼링은 클라이언트로 보낼 응답을 먼저 출력 버퍼에 기록
해 두는 것이다.
② 버퍼링을 사용하면 전체적인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③ 버퍼에 일단 기록된 내용은 삭제하거나 수정될 수 없다.
④ 버퍼의 용량은 적당해야 하며 너무 크면 자원이 낭비된다.
39. JSP 페이지에 대한 클라이언트 요청의 처리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올바른 것은? (2점)
① JSP 페이지에 상응하는 애플릿이 존재하는가를 확인한다.
② JSP 페이지를 서블릿에 등록시키고 start( ) 메소드를 실행
한다.
③ 서블릿 프로그램으로의 변환과 컴파일 작업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 마다 매번 필요하다.
④ 상응하는 서블릿을 실행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다.
40. 서블릿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GET 방식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구현해야 하는 서비스 메소드는 무엇인가? (4점)
① get( )
② goGet( )
③ doGet( )
④ DoGet( )
41. HTTP 요청 방식 중 GET과 POST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2점)
① POST 방식은 상대적으로 보안에 취약하다.
②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내려면 POST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③ GET 방식은 단순한 질의나 검색을 할 때 사용된다.
④ URL에 쿼리 문자열을 붙여 요청하는 것은 GET 방식이다.
42. 아래의 기능과 관련이 있는 JSP의 내장 객체는 무엇인가? (4점)
- addCookie() : 쿠키의 추가
- setStatus() : 상태코드의 설정
- getWriter() : 출력 스트림 객체의 생성
- sendRedirect() :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
① cookie
② session
③ request
④ response
43. forward나 include 액션 태그를 사용하여 페이지 a에서 페이지
b를 실행시켜 요청을 처리할 때, 페이지 a에서는 request 객체에
속성을 저장하여 페이지 b에 데이터를 넘겨줄 수 있다. 이때 속
성의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메소드는 정확히 무엇인가? (2점)
① setAttribute(Object)
② setAttribute(String, Object)
③ setParameter(String, Object)
④ setInitParameter(String)
44. 다음 중 JSP의 내장 객체가 아닌 것은? (3점)
① cookie ② out
③ request ④ response
45. 아래 소스를 보면 from.jsp에서 to.jsp로 포워딩이 일어난다.
from.jsp를 요청했을 때,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되는 최종 HTML
문서의 내용은 무엇인가? (2점)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
<HTML>
<BODY>
from의 앞<br>
<jsp:forward page="to.jsp" />
from의 뒤<br>
</BODY>
</HTML>
from.jsp
<%@ page contentType="text/html;charset=euc-kr"
trimDirectiveWhitespaces="true" %>
<HTML>
<BODY>
여기는 to.jsp
</BODY>
</HTML>
to.jsp
① form의 앞 ② <HTML>
여기는 to.jsp <BODY>
from의 뒤 여기는 to.jsp
</BODY>
</HTML>
③ <HTML> ④ <HTML>
<BODY> <BODY>
from의 앞<br> from의 앞<br>
여기는 to.jsp <HTML>
from의 뒤<br> <BODY>
</BODY> 여기는 to.jsp
</HTML> </BODY>
</HTML>
from의 뒤<br>
</BODY>
</HTML>
46. JSP 페이지를 서블릿으로 변환하기 전에, 지정된 파일의 내용을
먼저 복사하여 해당 위치에 삽입할 때 사용되는 JSP 요소는
무엇인가? 이것은 공통으로 사용되는 스크립트 요소나 페이지
헤딩을 포함시킬 때 사용된다. (3점)
① <%@ include file=“파일 이름” %>
② <%@ taglib file=“파일 이름” %>
③ <jsp:include file=“파일 이름” />
④ <jsp:include import=“파일 이름” />
2과목 JSP프로그래밍 (36~60)
출제위원:방송대 김희천
출제범위:교재전체 (해당 멀티미디어강의 포함)
6. 2016학년도 2 학기 3 학년 1 교시
생활법률, JSP프로그래밍 6-5
47. 아래 including.jsp 페이지를 요청했을 때,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
에서 표시되는 결과는 무엇인가? (3점)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
<HTML>
<BODY>
<h3>before including</h3>
<jsp:include page=“included.jsp” flush=“false” />
<h3>after including</h3>
</BODY>
</HTML>
including.jsp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HTML>
<BODY>
<h3>included</h3>
</BODY>
</HTML>
included.jsp
① included ② before including
included
③ included
after including
④ before including
included
after including
48. 위 47번 문제의 JSP 페이지에서 나타나 있는 요소로만 짝지어진
것은? (4점)
① 스크립트릿과 표현 언어
② 템플릿 텍스트와 내장 객체
③ 액션 태그와 지시어
④ 지시어와 스크립트릿
49. 쿠키에 관한 일반적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3점)
① 클라이언트가 만들어 서버로 보내는 데이터이다.
② 클라이언트가 웹 사이트를 다시 방문할 때 저장해 두었던
쿠키를 전송한다.
③ 쿠키는 HTTP 요청 몸체나 응답 몸체에 담겨 전송된다.
④ 서버 컴퓨터에 저장되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는 저장되지
않는다.
50. 로그인/로그아웃을 구현하기 위해 쿠키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다음 중 로그아웃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작업은 무엇인가? (3점)
① 로그인 상태의 확인을 위해 사용될 쿠키를 생성함
② 출력 버퍼를 플러쉬하여 응답 헤더를 변경할 수 없게 함
③ 같은 도메인에 있는 다른 호스트들과 쿠키를 공유하기 위해
쿠키의 도메인을 재설정 함
④ 쿠키의 유효시간을 0으로 만들어 쿠키를 삭제함
51. 클라이언트의 상태 관리에 사용되는 세션에 관한 일반적 설명
이다. 잘못된 것은? (3점)
① 세션은 웹 컨테이너에 저장되는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이다.
② 세션의 유효시간이란 세션이 처음 생성되어 삭제될 때까지의
기간이다.
③ 웹 브라우저당 1개의 세션이 유지된다.
④ 세션의 기본 유효시간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다음 프로그램(request_scope.jsp)을 보고 물음에 답하여라. (52~53)
<%@ page contentType = "text/html; charset=euc-kr" %>
<HTML>
<HEAD>
<TITLE>자바 빈 예제</TITLE>
</HEAD>
<BODY>
< ㄱ id="mem" class="member.MemberInfo" scope=" ㄴ " />
<%
mem.setAge(10);
mem.setName("Jimmy");
%>
<jsp:forward page="scope_test.jsp" />
</BODY>
</HTML>
52. 자바빈 객체의 생성을 위한 액션 태그로서 밑줄 친 ㄱ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당한 것은? (2점)
① useBean
② jsp:useBean
③ setProperty
④ jsp:setProperty
53. 생성된 자바빈 객체를 scope_test.jsp 페이지와 공유하려 한다.
밑줄 친 ㄴ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2점)
① page
② request
③ sessionScope
④ Application
54. 다음 프로그램(el_example2.jsp)을 실행하여 나오는 HTML 폼에
이름을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입력했던 이름이 출력
되어야 한다. 밑줄 부분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당한 것은?
param은 표현 언어의 내장 객체이다. (2점)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
<% request.setCharacterEncoding("euc-kr"); %>
<HTML>
<HEAD><TITLE>param 내장 객체
이용하기</TITLE></HEAD>
<BODY>
<form action="el_example2.jsp" method="post">
이름 : <input type="text" size=20 name="myName" >
<input type="submit" value="확인">
</form>
<p>
이름 : <br>
</BODY>
</HTML>
① ${param.name}
② ${param[name]}
③ ${param.myName}
④ ${param[myName]}
55. 세션을 사용하여 로그아웃을 처리할 때 session 객체 자체를
삭제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을 위해 적당한 것은? (3점)
① session.getAttribute()
② session.setAttribute()
③ session.remove()
④ session.invalidate()
7. 2016학년도 2 학기 3 학년 1 교시
생활법률, JSP프로그래밍 6-6
56. 다음은 JSTL의 코어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예이다.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3점)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
<%@ taglib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html>
<body>
<c:if test="true">
무조건 실행 됩니다.<br>
</c:if>
… …
① prefix="c"
② prefix="core"
③ postfix="catch"
④ postfix="import"
※ 다음은 회원 관리 시스템에서 기존 회원의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메소드이다. 회원의 아이디를 넘겨주면 removeMember( )는
member 테이블에서 해당 회원의 정보를 삭제한다. 물음에
답하여라. (57~58)
… …
public int removeMember(String id) {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String query = “delete from member where id=?”;
int res = 0;
openConnection();
try {
pstmt = con.prepareStatement(query);
pstmt. ㄱ ;
res = pstmt. ㄴ ;
… …
57. 밑줄 친 ㄱ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당한 것은? (2점)
① getString(“id”)
② getString(“pass”)
③ setString(1, id)
④ setString(2, pass)
58. 밑줄 친 ㄴ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당한 것은? (2점)
① executeQuery( );
② executeUpdate( );
③ getParameter("id")
④ sendRedirect("member");
59. MVC 패턴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3점)
① 컨트롤러, 모델, 뷰의 역할이 구분된다.
② 컨트롤러는 클라이언트 요청의 접수와 웹 어플리케이션 전체
의 흐름 제어를 담당한다.
③ 모델은 컨트롤러의 수행 요청을 받아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
한다.
④ 프레젠테이션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이 명확히 혼합되어 있다.
60. 설정 파일을 이용한 커맨드 패턴의 적용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2점)
① 커맨드에 관한 정보를 별도의 설정 파일에 저장한다.
② 서블릿은 실행될 때마다 설정 파일을 읽어 커맨드를 처리한다.
③ 새로운 커맨드를 추가할 경우 소스 코드를 수정하고 다시 컴
파일해야 한다.
④ 새로운 커맨드를 추가할 경우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