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학교 시청각실, 체육관과 운동장의 혁신 방향
Play AT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디지털 교육의 시대 시청각실은 계속 필요한가? 아니면 어떻게 바꾸어야 할까?
학교에서 사진, 슬라이드 필름, 동영상을 활용한 역사는 10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1911(메이지 44)년 일본 문부성(현·문부 과학성)은
통속교육조사위원회를 설치했는데 이 위원회의 임무 중에는 「환등기 영화 및 활동 사진, 필름의 선정・제조・설명서의 편집」이 있었다. 통속교육이란
현재의 사회교육에 해당한다. 2차 대전 후 연합국군총사령부(GHQ) 산하 민간정보교육국(CIE)이 일본 각지에서 일본의 문화사상을 개조하기 위한
「나토코 영사 사업」이라 불린 영화 상영 사업을 추진했다. 일본이 미군정으로부터 주권을 회복한 후 일본의 도도부현이 자체적으로 사회교육활동
촉진에 영화를 이용하였다. 쇼와 시대 초기부터 학교에서 시청각 교재를 상영할 수 있는 시청각실이 등장했다. 초기는 「OHP(오버 헤드 프로젝터)」나
환등기를 주로 사용했다. 종종 시청각실은 외국어 교육용 카세트를 틀 수 있는 어학연습실로도 활용했다. 일본 학제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은 한국
학교도 마찬가지였다. 현재 학교의 시청각실에서는 주로 컴퓨터와 연결한 프로젝터로 동영상을 스크린에 비추고 있다. 시청각실을 살펴보면 정면
무대 겸 스크린과 음향과 조명, 영상을 조정하는 조정실, 적당한 차음 또는 방음처리와 암막 커튼, 계단형 좌석이 특징이다. 현대에 들어서는 ICT
기술을 교육 현장에서 적극활용하게 되면서 교실에도 컴퓨터와 대형 모니터나 스마트보드, 심지어 단초점 빔 프로젝터와 스피커까지 설치되고 있다.
어느 교실에서나 간단하게 영상자료를 상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시청각실은 중규모 이상 집단 상영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공간
이용이 급격히 줄게 되면서 변화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현재 일본문부과학성은 학교의 시설정비 계획을 위한 지침에서 시청각실 정비와 관련하여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일본 문부과학성 학교 정비 계획 중 시청각실 관련 지침
(1) 유사한 시청각 기능을 갖는 다른 실 · 공간과 역할 분담 및 연결, 향후 기기의 갱신을 고려하면서 각종 기기를 특성 등에 따라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면적과 형태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6) 시청각 기기를 분산 배치하는 경우 시청각 교실의 계획에 준해, 각종 시청각 교육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실·공간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지침에 따라 최근 일본의 학교에서는 도서미디어센터(도서관, 컴퓨터실이 결합된 형태) 내에 시청각시설을 갖추거나, 광폭학습계단, 중앙 광장형
공간, 능동학습교실(미래형 교실) 또는 컴퓨터실에 대형 스크린과 빔 프로젝터, 스피커 등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시청각실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들이 등장하고 있다. 시청각실을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정 계단형 좌석이 아니라 접이 수납이 가능한 가구식 계단 좌석을 설치하여
수납 후 평면 바닥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도록 한 학교들도 늘어나고 있다. 또는 계단형 좌석을 설치하지 않고 평면 바닥으로 조성하되 뒷 좌석 시청
편의를 위해 곳곳에 보조 모니터나 다중 스크린을 설치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2) 각 학생이 영상을 보기 쉽게 스크린, TV 등 기기나 학생의 좌석을 배치할 수 있는 면적과 형상으로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지침에 따라 시청각실을 전면 스크린을 바라보고 길게 계단형으로 좌석을 배치한 형태가 아니라 시청각실을 횡으로 길게 마련하고 스크린과
좌석을 수평으로 길게 배치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거나 부채꼴로 시청각실을 조성하거나 다중 스크린을 설치하거나 보조 모니터를 추가하는 학교
역시 늘어나고 있다.
이외 일반적인 시청각실 관련 지침은 아래와 같다.
(3) 양호한 음향 환경이되도록 공간의 형상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각종 시청각 교재의 작성, 편집, 보관 및 각종 시청각 기기·기재의 점검, 조정, 수리, 보관 등을 위한 준비실, 조정실, 작업실 등의 공간을 아울러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이중 바닥, 바닥 피트 내 배선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래 교육과 기술 환경에 맞게 시청각실을 변화시킨 학교가 일본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미국의 맥길대학이 제시한 사례를 보면 계단형 좌석의 각 단
폭을 넓히고 팀별 테이블을 배치하고, 좌석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하거나 곳곳에 전원 콘센트나 스크린과 모니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서 ICT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그룹 프로젝트와 팀 발표, 토론이 원할한 시청각실로 바꾸고 있다.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공간재구조화에서 체육관은 자주 중요성이 간과되면서 전국 어느 학교나 비슷한
형태와 구조로 만들어지고 있다. 체육관은 면적 비중이 높지만 사용율이 떨어진다.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지만 그에 적합하게 구축되지 않는다. 보통 별관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접근성과 이용율이 떨어진다.학교의 체육관은 가끔 강당이나
공연장으로도 활용되지만 그 이상의 활동과 수업을 위해서는 보다 섬세한 체육관
디자인과 변화가 필요하다.
학교 체육관의 도전과제와 변화
첫 번째 대형 체육관을 유지하는 데 드는 많은 에너지 비용을 줄여야 한다.
두 번째 학생수가 줄어드는 것에 맞춰 경제적인 규모의 체육관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대부분 농구, 배구, 베드민턴, 탁구, 종종 태권도 등 종목형 스포츠에 맞춰져 있다. 현대교육의 흐름을 따른 학교의 체육관들은
익스트림 스포츠, 스포츠 댄스, 가요 댄스, 요가, 무용 등 다양한 신체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열망을 지원해 한다.
네 번째 체육관을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 주민들의 보다 다양한 잠재적 스포츠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 번째 미세먼지, 폭염, 잦은 악천후로 실내 활동 공간 수요에 대응해야 한다.
여섯 번째 대형 공간의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 다기능, 다목적화하해야 한다.
일곱 번째 체육관을 본관동으로부터 연결성, 접근성을 높여 이용율을 높여야 한다.
이와 같은 도전에 직면한 세계의 현대 학교의 체육관들은 다음과 같이 변화하고 있다.
- 천창, 고측창을 설치하여 자연 채광 도입
- 반지하(Sunken) 체육관 또는 지하 체육관을 건축하고 옥상을 활동공간으로 활용
- 또는 필로티 구조로 체육관을 만들어 하부 공간을 활용
- 체육관을 강당, 공연장, 행사장 점심 식사 시간 식당으로 활용
- 학교 중심 커뮤니티 영역으로 체육관 근접 배치 연결
- 체육관과 다른 공간의 연결과 접근성 확대를 위해 측면 광폭 개구부(연결 통로 또는 문) 설치
- 측면 개구부와 연결된 관람좌석 설치 또는 이동식(접이식) 좌석 설치
- 드물지만 학년에 맞춘 복수의 소규모 체육관으로 공간 분리
- 칸막이, 슬라이딩 파티션, 대형 커텐 등을 활용한 가변적인 공간 분리와 확장
- 학생수의 감소에 맞춘 경제적인 소규모 체육관 설치
- 층고가 높은 체육관의 경우 고가 육상 트랙 또는 고가 동선 설치
- 무대 접근성과 폭을 넓이기 위해 측면 광폭 무대 설치
- 다양한 놀이와 스포츠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방과 후 오픈 짐(Open Gym) 도입
- 암벽타기, 수직 미로, 등반 막대, 수직 봉, 그네 등 수직 놀이시설 설치
채광
신체활동 공간
건물의 배치와 향을 고려하여 최대한 일광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고측창, 천창,
통창벽 등을 설치하여 자연채광을 최대한 유입한다. 단, 하절기 지나친 일광을
차단할 차양 또는 브라인드, 차양막 등 조치를 병행한다.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가변 분리
체육관 공간 분리 커튼
위 : 체육관 공간 분리 파티션
아래 : 체육관 공간 분리 커튼
체육관 공간 분리 회전 슬라이딩 간벽
체육관에서 2개 반 이상의 동시 수업을 위해 분리 커튼 또는 가변벽을 설치하여 이용 효율을 높인다.
가변 분리
신체활동 공간
접이식 가변 벽체 또는 분리 커튼은 쉽게 기동할 수 있어야 한다.
고가 트랙
층고가 높은 체육관 상부에 고가 육상트랙 또는 고가 동선을 설치하고, 이를 학교의 다른 공간과
연결하여 이용율을 높이거나 접근성을 높인다. 때로 고가 육상트랙은 관람 공간으로도 활용한다.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관람석
체육관에 고정 계단형
좌석 또는 접이식 이동
관람석 설치.
* 종종 계단형 관람석을
측면 광폭 개구부와 연결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측면 광폭 개구부
체육관의 측면 광폭
개구부를 통해 지면 또는
기존 건물동과 연결성,
접근성을 최대한 높일 때
체육관의 활용도가 높이질
뿐 아니라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성큰 체육관
지면보다 가라앉은 성큰
(Sunken)체육관으로
조성하여 체육관의
높이를 낮추고, 옥상을
활동 공간으로 조성한다.
성큰 체육관은 지면에서
접근성을 높이고, 관람석
또는 계단의 붕괴
위험성을 낮춘다. 또한
외부에서 체육관 내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안전을 강화한다.
놀이 시설
- 밧줄 링
- 벽면 미로
- 암벽 등반
- 등반 사다리
무용, 체조, 요가 지원
- 요가, 무용, 댄스 등을 위해 벽면
미러 (미러 필름 사용)
- 요가가 가능한 바닥
- 피트니스를 위해 일부 천장
구조물
- 오픈 짐을 위한 바닥 라인 등
다목적 고기능 바닥
* 여학생들을 위한 신체활동 지원
필요
무용, 체조, 요가 지원
- 요가, 무용, 댄스 등을 위해 벽면 미러 (미러 필름 사용)
- 요가가 가능한 바닥
- 오픈 짐을 위한 바닥 라인 등 다목적 고기능 바닥
* 여학생들을 위한 신체활동 지원 필요
측면 무대
입구 반대쪽에 획일적인 무대
설치 보다는
채광 또는 광폭의 무대면 확보를
위해 측면 무대 설치
* 단 이때 주 출입구 위치 고려
외부 계단과 옥상 놀이시설
외부계단과 옥상놀이터
외부계단과 옥상 세팍타쿠루장
체육관 배치와 연결 참조
- 체육관 1층 식당과 케노피 구역을 본관 교사동과 연결
- 체육관 2층 체육관 플로워로 광폭다목적 계단을 통해 접근
- 본관과 체육관 동은 아뜨리움 공간으로 접합, 광장형 공간으로 활용
체육관 배치와 연결 참조
- 체육관 1층 식당과 케노피 구역을 본관 교사동과 연결
- 체육관 2층 체육관 플로워로 양측 슬로프나 계단을 통해 접근
- 본관과 체육관 동은 아뜨리움 공간으로 접합, 광장형 공간으로 활용
체육관 배치와 연결 참조
- 체육관동의 배치에 따라 본관동과 접합 방식 , 연결방식 변동 필요.
- 체육관동의 위치를 정문쪽에 부지 방향과 수평으로 배치하고
- 수평으로 본관 연결 방식도 고려 필요.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운동장의 학습 정원화
학교 운동장 재구조화의 배경
- 학교운동장 사용의 불균형
학교운동장 접근과 사용, 공간과 활동자원의 제공 사이에 불균형이 존재한다. 학교 운동장에서 남자 아이들이 여자
아이들보다 2.5배 더 많은 공간을 장악한다. 기존 학교 운동장의 배치와 전통적 구조는 남성성 중심의 운동과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결국 성차별로 이어진다. 축구나 구기 외 다른 취향이나 요구를 가진 상당수 학생들이나 여학생들, 어린
학생들의 참여를 제한한다.
- 야외 활동과 교육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 필요
운동장을 보다 포괄적이고 경험적인 교육과 활동이 가능한 자원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학교 운동장의
변화는 단지 놀이시설의 확충이나 개선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안전 공간, 학교운동장을 구성하는 각종 재료와 요소, 기타
(공간, 시설) 자원을 변화시켜 실제로 안전한 활동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 스페인 엥겔 나바로 빈센트(Ángel Navarro Vicente)의 학교운동장 재구조화에 대한 2018년 9월 아라곤 주정부가
개최한 교육혁신 국제회의에서 발표. 엥겔 나바로는 스페인 북동부 아라곤 지역 사라고사에서 “Sport : Fun and
Enjoyment”라는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주 정부로부터 1등 학교 상을 수상했다.
- 아동 체력 및 피지컬 리터러시 저하.
인터넷, 모바일 게임에 학생들이 몰두하는 경향이 있고, 학생들의 신체적 활동을 자극하기에 지루하고 충분치 않은
학교운동장 때문에 동서양을 물분하고 많은 국가에서 아동들의 비만율이 증가하고, 체력이 저하했다. 또한 피지컬 리터러시
(Physical Literacy), 즉 신체적 조절능력과 지형지물에 대한 파악, 대응 능력 등 다양한 신체적 능력이 저하되었다.
학교 야외 공간의 가치 – 구성주의적, 경험적 학습과 놀이 공간
정원과 학교 숲을 통한 학습은 학교 운동장이 학습과 놀이에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하게 되면서 탄생했다. 현대 아동들은 누릴 수 있는 물리적
경계가 축소되었다. 안전에 대한 우려, 관리 강화, 고도로 구조화된 생활, 자유 놀이 시간 단축, 디지털 오락 의존은 가정 생활에서 어린이가 외부
환경에 접근하는 데 장애가 된다. 학교야말로 도시에서 아이들을 자연과 다시 연결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과 지도 및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학교의 야외 공간은 아이들에게 더 많은 자기 주도적 기회와 비구조화된 시간 사용을 허락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어린이는
적절한 교사의 지도 하에 적절한 수준의 신체적 모험을 안전하게 경험할 수 있다.
야외 활동은 아이들이 자연과 밀접하게 연결되며 자라도록 한다. 나무, 식물 및 기타 천연 재료와 접촉함으로써 아이들은 자연과 그 과정을
독립적으로 발견 할 수 있다. 야외 환경은 어린이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고, 상상력을 자극하고, 탐험을 유도하고, 발달 능력을 지원 할 수
있어야 한다. 아이들은 도구, 열린 공간, 야외 환경과 상호 작용할 기회가 필요하다. 학교 운동장은 풍부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며 실내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을 확장하고 심화 할 수 있어야 한다.
학교운동장을 격한 신체 활동과 획일적인 놀이 장비로 제한하는 것은 제한적 경험밖에 제공할 수 없다. 모래, 물, 흙, 식물은 다양한 재료로
구조화되지 않은 창의적 탐구를 강조하는 개방적이고 비구조적이 자연주의적 놀이를 위한 설정이 필요하다. 학교 운동장은 단순히 스포츠
공간이 아니라 놀이와 종목형 스포츠 이외의 다양한 신체적 활동을 포괄하는 장소이자 사교의 장소, 보다 다양한 야외 활동의 공간이어야 한다.
학교에서 야외 활동의 가치와 효과
설문 조사에 참여한 어린이의 95%가 야외 학습이 더 즐겁다고 답했다.
90%는 더 행복하고 건강해지는 느낌을 받는다고 답했다.
72%의 어린이가 다른 동료들과 야외에서 더 친밀해졌고 답했다.
학교의 93%는 야외 학습이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 시킨다고 답했다.
92%의 학교가 학생들의 건강과 웰빙을 향상 시킨다고 답했다.
학교의 85%에서 학생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92%의 학교는 야외 학습이 교사의 건강과 복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다.
69 %는 전문성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
학교의 83% 이상이 야외 활동이 더 적극적인 놀이, 더 나은 놀이의 질, 더 많은 사회적 상호 작용 및 더 많은 휴식 시간의
즐거움으로 이어 졌다고 보고했다.
학교의 절반 이상이 교내 괴롭힘이 줄어들었다고 했다.
야외 학습의 영향으로 73%의 학교가 공식적인 실내 학습 시간과 휴식 시간에 학생들의 행동이 개선되었다고 답했다.
학교의 절반 이상에서 학업 성적이 상승했다. 모
학교의 절반은 학교 시간 외에 지역 사회가 참여하면서 기물 파손 행위가 감소했다.
학교 부지 사용이 더 다양해졌다고 보고 했다.
조사에 참여한 교사의 90%가 야외 학습이 교육 과정 전달에 유용하다고 답했다. 이뿐 아니라
- 영국에서 실시한 Landscapes National School Grounds Survey 및 Natural Connections Project Report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운동장의 학습정원화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융펀제 학교(Grundshule am Jungfernsee)의 운동장
이 학교의 야외공간은 주차장 구역, 펜스 다용도 구기장 구역, 잔듸 조경 마당, 암벽타기 구역,달리기 트랙, 상자 텃밭 구역, 2
개의 놀이터 구역, 차양과 넓은 평상이 있는 쉼터 등 9개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또한 각 구역에는 구역별 용도에 맞게 각각
창고, 육상 대기장소, 수세공간, 건강쉼터 등 목재 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텃밭 파라솔 벤치, 잔디 정원의 콘크리트
좌석, 건물동 옆 좌석, 놀이터 나무 벤치 등 곳곳에 앉을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포천 추산 초등학교 부천 소명 여고
지역의 생태와 식생을 반영한 학교 숲(학습 정원) 조성
학교 숲 또는 학교 정원은 대도시에서 열섬 효과를 저감할 수 있는 쾌적한 녹지를 제공한다.학교 숲은 그늘 형성, 소음 감소, 시선 차단, 생물 다양성 증대,
동물, 새, 곤충 서식지 조성, 먼지 감소, 기후 개선, 빗물 침투, 휴식 공간 조성, 교류 공간 조성, 신체 활동 촉진, 자연 탐험, 도시 비오툽 형성, 학생과 주민의
회복 및 이완 효과를 촉진한다. 학습정원은 포괄적인 환경 교육을 실시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이다. 학교 정원 가꾸기의 중요한 목표는 학생들이 함께
일하고 책임을 지는 것을 소개하는 것이다. 즉, 날씨, 원예, 퍼머컬쳐, 곤충 및 식물 관찰, 요리, 환경, 지리 교육까지 다양한 주제를 결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한다.특별히 입체적 지형을 포함하는 공간으로 조성한다.
근접한 숲과 놀이시설 연결
지역의 공원, 모험놀이터와 통합된 학교
영국 세필드 지역 샬로우 초등학교(Sharrow School)는 녹색 지붕과 지열 펌프 및 유리 패널과 같은 여러 가지 지속 가능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학교에는
학교 운동장이 따로 없다. 도시의 중심에 있는 마운트 플레 공원 바로 앞에 학교가 있기 때문이다. 공원을 낮 동안 학교 운동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공원의
이용도가 높아졌다. 공원은 예전보다 청결해졌고 안전한 장소가 되었다. 학교가 공원과 함께 도심 공동체의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공원 옆에는
하이필드 모험 놀이터까지 있으니 이 보다 더 좋을 수 없다. 그렇다고 학교에 야외 공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학교 건물 앞 뒤로 크고 작은 놀이
구역들과 텃밭 정원이 있고, 작은 구기장도 측면에 있다. 학교 건물에서 공원을 시원하게 내려다 볼 수 있다. 1층 교실은 물론 2층 교실에서도 외부로 직접
나갈 수 있도록 테라스와 녹화 옥상과 야외로 연결된 야외 계단이 마련되어 있어 아이들이 햇빛과 주변 자연의 멋진 전망을 수시로 즐기고 야외로 나갈 수
있다.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야외 교실들
보스턴 스쿨야드 이니셔티브(BSI)는 야외교실 디자인 가이드를 작성하여 배포하는 등 학교 운동장에서 야외 교실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BSI 는
야외 교실은 3~5 명을 단위로 하는 4 개 그룹의 사교, 관찰, 활동, 학습이 가능한 공간으로 조성할 것을 조언하고 있다. 따라서 야외 교실 주변에서 탐색,
자연 재료 수집, 실험, 관찰, 비교, 기록, 측정, 작업과 활동, 청취, 비교,착석이 가능하도록 학교 운동장의 다른 요소들과 어울리게 디자인 하도록 조언하고
있다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제주 종달 초등학교
강릉 경포 초등학교
야외 공간에서 미술, 음악, 제작, 과학(관찰), 독서 등 다양한 수업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좌석과 야외 칠판, 테이블과 필용에 따라
그늘을 포함하는 야외 교실을 교사동 가까이에 조성한다. 야외 교실은 주변의 다양한 자연재료의 수집, 관찰, 기록, 청취가 가능한
자연 환경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자연 요소들을 배치한다.
야외 창작, 창의 공간
야외에 예술, 창작, 제작을 지원하는 공간을 조성한다. 특히 실내 예술 창작 교실과 연계성을 고려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조성하고, 저학년 저학년의 창의력을 표현할 수 있는 모래 놀이터, 흙 놀이터는 물 놀이 공간과 결합하여 조성한다. 야외 창작 공간은
딱딱한 평평한 바닥으로 배설한다.
신체 활동을 촉진하는 비구조적 자연주의 놀이 기구
좋은 학교 운동장은 종목 스포츠 외에도 비공식 스포츠 활동이 가능해야 한다. 일련의 장애물 이동 놀이기구, 보행 능력과 도약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디딤돌, 트램 폴린, 균형 감각을 키울 수 있는 복합적인 균형대, 범프, 자연 지형으로 구현된 도랑과 등반 둔덕, 신체 조정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밧줄 그물 놀이, 질주 유도선, 지구력과 근력을 키울 수 있는 등반 장대, 공간적 탐색이 가능한 놀이 터널과 건축적 놀이 공간 외 놀이 고목,
창의적 표현이 가능한 흙 놀이터나 모래 놀이터 등 전통적 놀이기구가 아닌 비구조적인 자연물로 만든 자연주의 놀이터로 조성한다. 단 이러한
놀이 기구들을 설치한 놀이 구역들은 연령대를 고려하여 3 개 이상의 구역으로 나누어 분산 배치하고, 가능한 운동장 내 자연 지형, 정원 요소 등
주변 환경 요소들과 단절되지 않고 어울리도록 조성한다.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Ontwerp Lutgardiscollege
새로운 놀이터는 여러 개의 '놀이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섬은 연령대에 맞는 놀이시설과 미니 축구장으로 구성되었다. 경계가 분명하지 않지만
자연스럽게 연령대를 구분하다. 언덕에는 꽃 혼합물이 뿌려졌고 관목도 심었다. 놀이터 전체에 25 그루의 나무도 심어 향후 그늘진 구역을 만든다.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진주 대곡초등학교
서울 신현 초등학교 해남 화산 초등학교
운동장 가구들 – 다용도 블럭
런던 사우스홀의 빌리어스 고등학교(Villiers High School in Southall, London)는 1300명의 학생 수에 비해 마음껏 뛰어 놀거나 밖으로 나가 즐길 외부공간이 부족했다. 학교
운동장과 외부 공간이 부족했기 때문에 종종 학생들 사이에 자리 다툼이 일어났다. 게다가 일반적인 학교 놀이시설들은 막상 고등학생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 학교 운동장
개선을 담당한 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 출신 디자이너 클라라 가거로(Clara Gaggero)는 학생들과 함께 콘크리트 우수관 같은 블럭 구조물을 운동장 곳곳에 쌓아서
그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이 구조물은 우선 쉴 수 있는 쉼터이자 등반놀이기구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공간이나 영역을 갖고 싶은 아이들의 잠재적 욕망을 만족시켰다.
이 단순하지만 튼튼한 사각 블럭 구조물들을 곳곳에 분산 배치했기 때문에 학생들은 서로 방해 받지 않고 자신만의 놀이나 공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학교는 학생들이 블럭을
칠할 수 있게 하거나, 그래피티를 그릴 수 있게 허락했다. 블럭 디자인 작업에 참여한 학생 그룹들은 각각 자신들이 디자인 작업에 관여한 블럭에 대해 주인의식과 자부심을 갖고
관리하기 시작했다.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운동장 가구, 개별 공간 제공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운동장 가구, 운동장 데크
4
학교에는 교실과 운동장 외에도 다양한 휴식 공간 또는 생활 공간이 필요하다.
청소년기 학교는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생활공간이기도 하다.
운동장 데크 ,휴식, 기타 활동공간
학교 뒷 마당의 활용 – 사교와 휴식, 놀이의 공간화
학교 뒷 공간의 활용
다용도 펜스 구기장
대형 축구장이나 단독 농구장이 아닌 축구, 농구, 배구, 핸드볼 등 다양한 구기 종목에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을 포함하는 중소규모의 다목적의
펜스 구기장과 다양한 목적을 위한 열린 공간을 병행 조성한다.
펜스 축구장을 도입해서 공간 확보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환경과생태를 지키는 교사모임에서 이런 가이드 참조하면서 국내 상황에 맞는
학교운동장과 야외교실, 야외 활동 안내서 만들어보시면 어떨까요?
베를린 녹색 학교 운동장의 디자인
환경에 대한 미래의 가치와 행동이 형성되는 것은 바로 여기다.학교운동장은 휴식과 배움의 장
소, 경험의 세계, 소통의 장소, 놀이, 스포츠, 운동의 장소로 변해야 한다. 또한 학생을 위한 생활
공간이자 비율이 높은 열린 공간이다. 도시에서 학교 운동장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데 있어
녹지와 생태적 가치가 높다.
- 야외 공간 설계의 디자인 열린 공간 설계는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
상이, 경험의 강도, 가변성, 접근성, 활동 촉진, 지형 차별화, 성별 요구, 연령별 다른 용도, 다기
능 , 최소 차단, 분산형 빗물 관리, 소규모 영역별 디자인, 지속 가능한 재료, 움직이는 물체의 배
치, 토종 관목 식재, 지형 변조, 행동 영역, 여유 공간, 자연 체험 영역, 비공식 스포츠 활동,
날씨로부터 보호, 소음 방지, 야외 학습 교실, 울타리, 운동장 가구, 낮은 벽, 운동장 편의시설(
개수대, 야외 조리대, 파고라, 야외 전기) 등
*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소규모 구역 분할
(야외 공간은 소규모 공간일수록 운동, 휴식, 학습, 탐색에 대한 요구를 더 충족시킨다. 경계목이
아니더라도 언덕, 움푹 들어간 곳, 울타리 및 관목 등으로 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천연 소재로 만든 놀이기구
나무, 돌, 바위, 흙, 물, 모래 및 진흙과 같은 자연적인 놀이 요소와 통합된 놀이공간 조성
* 후퇴 지역, 태양 및 비 대피
태양과 비를 피해 휴식하며 머물 수 있는 차양과 좌석 및 기타 운동장 가구와 나무 그늘을
제공하는 후퇴 구역
* 식물 조경
소음 및 프라이버시 보호, 먼지 저감, 습도 보존, 햇빛과 열 차단, 강수량의 지연된 침투, 자연 체
험, 활동 공간 조성, 인지적 경험, 생물 다양성, 텃밭, 화훼, 웰빙 촉진, 계절 체험
* 연못 지양 (유지관리 부담이 큼)
* 야외 창작과 창의 공간
제작공방에서 바로 연결되는 야외 제작 공간 또는 저학년의 창의력을 표현할 수 있는 모래 놀이터(물 놀이 공간 결합)
* 안전 통제 능력 개발
학생들은 학교 운동장에서 자유롭지만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어야 하되, 책임감 있게 안전을 통제하며 행동하는 법을 배울 수 있어야 한다.
학교 놀이터가 놀이터 장비 제조업체의 카탈로그에 있는 장비와 시설로만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유지
학교 운동장은 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과 함께 유지하도록 권장하여야 한다. 단, 수목 관리나 놀이기구 보수 등 기술유지 관리는 별도의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한다.
* 투수성 포장
투수성 포장은 도시 우수의 처리와 지하수 형성에 기여한다. 잔디, 돌, 자갈, 잔디 블록 결합 자전거 주차장 등을 추천하고, 배수 포장은
적합치 않음.
* 학교 숲
학교 숲 또는 학교 정원은 대도시에서 열섬 효과를 저감 할 수 있는 쾌적한 녹지를 제공하며, 그 이점은 아래와 같다. 그림자 형성, 소음 감소,
시선 차단, 생물 다양성 증가, 동물, 새, 곤충 서식지 조성, 먼지 감소, 기후 개선, 빗물 침투, 휴식 공간 조성, 교류 공간 조성, 공간 형성, 신체
활동 촉진, 자연 탐험, 도시 비오툽 형성, 회복 및 이완 효과 촉진한다. 원은 포괄적인 환경 교육을 실시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이다. 학교 정원
가꾸기의 중요한 목표는 학생들이 함께 일하고 책임을 지는 것을 소개하는 것이다. 그들은 함께 학교 정원에서 어떤 프로젝트를 구현할
것인지,이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누가 어떤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 할 것인지 계획한다. 토양에서 날씨, 원예, 퍼머컬쳐, 곤충 및 식물
관찰, 요리, 환경 교육까지 다양한 주제를 결합할 수 있다. * 베를린에는 300개의 학교정원을 조성하고, “
베를린 학교 정원의 날 및 학교 정원
”
대회 를 개최한다.
* 운동장 좌석들
라운딩 벤치, 데크 의자, 좌석 벽, 이동식 좌석, 해먹, 해변 의자, 나무 줄기, 원형 극장, 계단형 좌석, 큰 돌, 평상, 대형 데크
* 스포츠 및 운동
좋은 학교 운동장은 야외 수업 뿐 아니라 종목 스포츠 외에도 비공식 스포츠 활동이 가능해야 한다. 이뿐 아니라 비공식 활동을 위한 개방
공간을 남겨두어야 한다. 장애물 이동, 펜스로 보호된 다목적 소형 구기장, 디딤돌, 균형대, 범프, 도랑, 계단, 침몰 경로, 질주 유도선,
인공지형 등과 결합 가능.
학교 놀이터는 신체적 활동을 장려하고 기본적인 신체 동작 기술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균형, 신체 조정, 집중력, 지구력, 도약, 지형
및 위험 판단 능력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능한 자연 지형과 놀이기구를 혼합한다. 활동 마운트, 스윙, 미끄럼틀, 균형대,
스케이팅, 다용도 구기장, 탁구, 밧줄 놀이, 트램 폴린, 축구, 질주 유도선, 모래밭, 흙 놀이터, 물 놀이 구역 등

More Related Content

PDF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PDF
School of community
PDF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PDF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PDF
Future green smart school
PDF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School of community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Future green smart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What's hot (20)

PDF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PDF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PDF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PDF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PDF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PDF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PDF
미래 학교의 도서관과 식당의 공간 디자인과 배치, 공간 활용 등 변화 경향과 사례들 구성.pdf
PDF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PDF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PPTX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PDF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PDF
Sustainable green school
PDF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미래 학교의 도서관과 식당의 공간 디자인과 배치, 공간 활용 등 변화 경향과 사례들 구성.pdf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Sustainable green school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Ad

Similar to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16)

PDF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PDF
'인구감소는 학교를 어떻게 바꾸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학교제도와 건축 변화를 중심으로 소개하는 자료
PDF
Kindergarten space design
PDF
Campus as space services
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PDF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PDF
미사교 보고서최종
PDF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PPTX
쌓기 놀이
DOCX
보고서 진짜 최종
PDF
학교 시설복합화의 이해와 사전기획에 대해 일본과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 20240623.pdf
PPTX
Gandhiphil
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PDF
2023632030-윤선혜-유아교육과정평가 계획 및 운영.pdf
PDF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사례집 : 양정여자고등학교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인구감소는 학교를 어떻게 바꾸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학교제도와 건축 변화를 중심으로 소개하는 자료
Kindergarten space design
Campus as space services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미사교 보고서최종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쌓기 놀이
보고서 진짜 최종
학교 시설복합화의 이해와 사전기획에 대해 일본과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 20240623.pdf
Gandhiphil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2023632030-윤선혜-유아교육과정평가 계획 및 운영.pdf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사례집 : 양정여자고등학교
Ad

More from Seongwon Kim (12)

PDF
국가건축정책위원회-미래교육플랫폼 최종보고서-학교조성방안연구- 용역 보고서.pdf
PDF
수변공간의 이해와 디자인, 그리고 시민활동에 대해 정리한 강의 자료-20240728.pdf
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국가건축정책위원회-미래교육플랫폼 최종보고서-학교조성방안연구- 용역 보고서.pdf
수변공간의 이해와 디자인, 그리고 시민활동에 대해 정리한 강의 자료-20240728.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 1. 학교 시청각실, 체육관과 운동장의 혁신 방향 Play AT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 2. 디지털 교육의 시대 시청각실은 계속 필요한가? 아니면 어떻게 바꾸어야 할까? 학교에서 사진, 슬라이드 필름, 동영상을 활용한 역사는 10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1911(메이지 44)년 일본 문부성(현·문부 과학성)은 통속교육조사위원회를 설치했는데 이 위원회의 임무 중에는 「환등기 영화 및 활동 사진, 필름의 선정・제조・설명서의 편집」이 있었다. 통속교육이란 현재의 사회교육에 해당한다. 2차 대전 후 연합국군총사령부(GHQ) 산하 민간정보교육국(CIE)이 일본 각지에서 일본의 문화사상을 개조하기 위한 「나토코 영사 사업」이라 불린 영화 상영 사업을 추진했다. 일본이 미군정으로부터 주권을 회복한 후 일본의 도도부현이 자체적으로 사회교육활동 촉진에 영화를 이용하였다. 쇼와 시대 초기부터 학교에서 시청각 교재를 상영할 수 있는 시청각실이 등장했다. 초기는 「OHP(오버 헤드 프로젝터)」나 환등기를 주로 사용했다. 종종 시청각실은 외국어 교육용 카세트를 틀 수 있는 어학연습실로도 활용했다. 일본 학제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은 한국 학교도 마찬가지였다. 현재 학교의 시청각실에서는 주로 컴퓨터와 연결한 프로젝터로 동영상을 스크린에 비추고 있다. 시청각실을 살펴보면 정면 무대 겸 스크린과 음향과 조명, 영상을 조정하는 조정실, 적당한 차음 또는 방음처리와 암막 커튼, 계단형 좌석이 특징이다. 현대에 들어서는 ICT 기술을 교육 현장에서 적극활용하게 되면서 교실에도 컴퓨터와 대형 모니터나 스마트보드, 심지어 단초점 빔 프로젝터와 스피커까지 설치되고 있다. 어느 교실에서나 간단하게 영상자료를 상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시청각실은 중규모 이상 집단 상영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공간 이용이 급격히 줄게 되면서 변화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현재 일본문부과학성은 학교의 시설정비 계획을 위한 지침에서 시청각실 정비와 관련하여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 3. 일본 문부과학성 학교 정비 계획 중 시청각실 관련 지침 (1) 유사한 시청각 기능을 갖는 다른 실 · 공간과 역할 분담 및 연결, 향후 기기의 갱신을 고려하면서 각종 기기를 특성 등에 따라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면적과 형태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6) 시청각 기기를 분산 배치하는 경우 시청각 교실의 계획에 준해, 각종 시청각 교육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실·공간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지침에 따라 최근 일본의 학교에서는 도서미디어센터(도서관, 컴퓨터실이 결합된 형태) 내에 시청각시설을 갖추거나, 광폭학습계단, 중앙 광장형 공간, 능동학습교실(미래형 교실) 또는 컴퓨터실에 대형 스크린과 빔 프로젝터, 스피커 등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시청각실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들이 등장하고 있다. 시청각실을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정 계단형 좌석이 아니라 접이 수납이 가능한 가구식 계단 좌석을 설치하여 수납 후 평면 바닥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도록 한 학교들도 늘어나고 있다. 또는 계단형 좌석을 설치하지 않고 평면 바닥으로 조성하되 뒷 좌석 시청 편의를 위해 곳곳에 보조 모니터나 다중 스크린을 설치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2) 각 학생이 영상을 보기 쉽게 스크린, TV 등 기기나 학생의 좌석을 배치할 수 있는 면적과 형상으로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지침에 따라 시청각실을 전면 스크린을 바라보고 길게 계단형으로 좌석을 배치한 형태가 아니라 시청각실을 횡으로 길게 마련하고 스크린과 좌석을 수평으로 길게 배치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거나 부채꼴로 시청각실을 조성하거나 다중 스크린을 설치하거나 보조 모니터를 추가하는 학교 역시 늘어나고 있다. 이외 일반적인 시청각실 관련 지침은 아래와 같다. (3) 양호한 음향 환경이되도록 공간의 형상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각종 시청각 교재의 작성, 편집, 보관 및 각종 시청각 기기·기재의 점검, 조정, 수리, 보관 등을 위한 준비실, 조정실, 작업실 등의 공간을 아울러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이중 바닥, 바닥 피트 내 배선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래 교육과 기술 환경에 맞게 시청각실을 변화시킨 학교가 일본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미국의 맥길대학이 제시한 사례를 보면 계단형 좌석의 각 단 폭을 넓히고 팀별 테이블을 배치하고, 좌석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하거나 곳곳에 전원 콘센트나 스크린과 모니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서 ICT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그룹 프로젝트와 팀 발표, 토론이 원할한 시청각실로 바꾸고 있다.
  • 15. 학교공간재구조화에서 체육관은 자주 중요성이 간과되면서 전국 어느 학교나 비슷한 형태와 구조로 만들어지고 있다. 체육관은 면적 비중이 높지만 사용율이 떨어진다.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지만 그에 적합하게 구축되지 않는다. 보통 별관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접근성과 이용율이 떨어진다.학교의 체육관은 가끔 강당이나 공연장으로도 활용되지만 그 이상의 활동과 수업을 위해서는 보다 섬세한 체육관 디자인과 변화가 필요하다.
  • 16. 학교 체육관의 도전과제와 변화 첫 번째 대형 체육관을 유지하는 데 드는 많은 에너지 비용을 줄여야 한다. 두 번째 학생수가 줄어드는 것에 맞춰 경제적인 규모의 체육관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대부분 농구, 배구, 베드민턴, 탁구, 종종 태권도 등 종목형 스포츠에 맞춰져 있다. 현대교육의 흐름을 따른 학교의 체육관들은 익스트림 스포츠, 스포츠 댄스, 가요 댄스, 요가, 무용 등 다양한 신체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열망을 지원해 한다. 네 번째 체육관을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 주민들의 보다 다양한 잠재적 스포츠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 번째 미세먼지, 폭염, 잦은 악천후로 실내 활동 공간 수요에 대응해야 한다. 여섯 번째 대형 공간의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 다기능, 다목적화하해야 한다. 일곱 번째 체육관을 본관동으로부터 연결성, 접근성을 높여 이용율을 높여야 한다. 이와 같은 도전에 직면한 세계의 현대 학교의 체육관들은 다음과 같이 변화하고 있다. - 천창, 고측창을 설치하여 자연 채광 도입 - 반지하(Sunken) 체육관 또는 지하 체육관을 건축하고 옥상을 활동공간으로 활용 - 또는 필로티 구조로 체육관을 만들어 하부 공간을 활용 - 체육관을 강당, 공연장, 행사장 점심 식사 시간 식당으로 활용 - 학교 중심 커뮤니티 영역으로 체육관 근접 배치 연결 - 체육관과 다른 공간의 연결과 접근성 확대를 위해 측면 광폭 개구부(연결 통로 또는 문) 설치 - 측면 개구부와 연결된 관람좌석 설치 또는 이동식(접이식) 좌석 설치 - 드물지만 학년에 맞춘 복수의 소규모 체육관으로 공간 분리 - 칸막이, 슬라이딩 파티션, 대형 커텐 등을 활용한 가변적인 공간 분리와 확장 - 학생수의 감소에 맞춘 경제적인 소규모 체육관 설치 - 층고가 높은 체육관의 경우 고가 육상 트랙 또는 고가 동선 설치 - 무대 접근성과 폭을 넓이기 위해 측면 광폭 무대 설치 - 다양한 놀이와 스포츠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방과 후 오픈 짐(Open Gym) 도입 - 암벽타기, 수직 미로, 등반 막대, 수직 봉, 그네 등 수직 놀이시설 설치
  • 17. 채광 신체활동 공간 건물의 배치와 향을 고려하여 최대한 일광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고측창, 천창, 통창벽 등을 설치하여 자연채광을 최대한 유입한다. 단, 하절기 지나친 일광을 차단할 차양 또는 브라인드, 차양막 등 조치를 병행한다.
  • 20. 가변 분리 체육관 공간 분리 커튼 위 : 체육관 공간 분리 파티션 아래 : 체육관 공간 분리 커튼 체육관 공간 분리 회전 슬라이딩 간벽 체육관에서 2개 반 이상의 동시 수업을 위해 분리 커튼 또는 가변벽을 설치하여 이용 효율을 높인다.
  • 21. 가변 분리 신체활동 공간 접이식 가변 벽체 또는 분리 커튼은 쉽게 기동할 수 있어야 한다.
  • 22. 고가 트랙 층고가 높은 체육관 상부에 고가 육상트랙 또는 고가 동선을 설치하고, 이를 학교의 다른 공간과 연결하여 이용율을 높이거나 접근성을 높인다. 때로 고가 육상트랙은 관람 공간으로도 활용한다.
  • 26. 관람석 체육관에 고정 계단형 좌석 또는 접이식 이동 관람석 설치. * 종종 계단형 관람석을 측면 광폭 개구부와 연결
  • 28. 측면 광폭 개구부 체육관의 측면 광폭 개구부를 통해 지면 또는 기존 건물동과 연결성, 접근성을 최대한 높일 때 체육관의 활용도가 높이질 뿐 아니라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29. 성큰 체육관 지면보다 가라앉은 성큰 (Sunken)체육관으로 조성하여 체육관의 높이를 낮추고, 옥상을 활동 공간으로 조성한다. 성큰 체육관은 지면에서 접근성을 높이고, 관람석 또는 계단의 붕괴 위험성을 낮춘다. 또한 외부에서 체육관 내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안전을 강화한다.
  • 30. 놀이 시설 - 밧줄 링 - 벽면 미로 - 암벽 등반 - 등반 사다리
  • 31. 무용, 체조, 요가 지원 - 요가, 무용, 댄스 등을 위해 벽면 미러 (미러 필름 사용) - 요가가 가능한 바닥 - 피트니스를 위해 일부 천장 구조물 - 오픈 짐을 위한 바닥 라인 등 다목적 고기능 바닥 * 여학생들을 위한 신체활동 지원 필요
  • 32. 무용, 체조, 요가 지원 - 요가, 무용, 댄스 등을 위해 벽면 미러 (미러 필름 사용) - 요가가 가능한 바닥 - 오픈 짐을 위한 바닥 라인 등 다목적 고기능 바닥 * 여학생들을 위한 신체활동 지원 필요
  • 33. 측면 무대 입구 반대쪽에 획일적인 무대 설치 보다는 채광 또는 광폭의 무대면 확보를 위해 측면 무대 설치 * 단 이때 주 출입구 위치 고려
  • 34. 외부 계단과 옥상 놀이시설 외부계단과 옥상놀이터
  • 36. 체육관 배치와 연결 참조 - 체육관 1층 식당과 케노피 구역을 본관 교사동과 연결 - 체육관 2층 체육관 플로워로 광폭다목적 계단을 통해 접근 - 본관과 체육관 동은 아뜨리움 공간으로 접합, 광장형 공간으로 활용
  • 37. 체육관 배치와 연결 참조 - 체육관 1층 식당과 케노피 구역을 본관 교사동과 연결 - 체육관 2층 체육관 플로워로 양측 슬로프나 계단을 통해 접근 - 본관과 체육관 동은 아뜨리움 공간으로 접합, 광장형 공간으로 활용
  • 38. 체육관 배치와 연결 참조 - 체육관동의 배치에 따라 본관동과 접합 방식 , 연결방식 변동 필요. - 체육관동의 위치를 정문쪽에 부지 방향과 수평으로 배치하고 - 수평으로 본관 연결 방식도 고려 필요.
  • 44. 학교 운동장 재구조화의 배경 - 학교운동장 사용의 불균형 학교운동장 접근과 사용, 공간과 활동자원의 제공 사이에 불균형이 존재한다. 학교 운동장에서 남자 아이들이 여자 아이들보다 2.5배 더 많은 공간을 장악한다. 기존 학교 운동장의 배치와 전통적 구조는 남성성 중심의 운동과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결국 성차별로 이어진다. 축구나 구기 외 다른 취향이나 요구를 가진 상당수 학생들이나 여학생들, 어린 학생들의 참여를 제한한다. - 야외 활동과 교육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 필요 운동장을 보다 포괄적이고 경험적인 교육과 활동이 가능한 자원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학교 운동장의 변화는 단지 놀이시설의 확충이나 개선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안전 공간, 학교운동장을 구성하는 각종 재료와 요소, 기타 (공간, 시설) 자원을 변화시켜 실제로 안전한 활동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 스페인 엥겔 나바로 빈센트(Ángel Navarro Vicente)의 학교운동장 재구조화에 대한 2018년 9월 아라곤 주정부가 개최한 교육혁신 국제회의에서 발표. 엥겔 나바로는 스페인 북동부 아라곤 지역 사라고사에서 “Sport : Fun and Enjoyment”라는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주 정부로부터 1등 학교 상을 수상했다. - 아동 체력 및 피지컬 리터러시 저하. 인터넷, 모바일 게임에 학생들이 몰두하는 경향이 있고, 학생들의 신체적 활동을 자극하기에 지루하고 충분치 않은 학교운동장 때문에 동서양을 물분하고 많은 국가에서 아동들의 비만율이 증가하고, 체력이 저하했다. 또한 피지컬 리터러시 (Physical Literacy), 즉 신체적 조절능력과 지형지물에 대한 파악, 대응 능력 등 다양한 신체적 능력이 저하되었다.
  • 45. 학교 야외 공간의 가치 – 구성주의적, 경험적 학습과 놀이 공간 정원과 학교 숲을 통한 학습은 학교 운동장이 학습과 놀이에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하게 되면서 탄생했다. 현대 아동들은 누릴 수 있는 물리적 경계가 축소되었다. 안전에 대한 우려, 관리 강화, 고도로 구조화된 생활, 자유 놀이 시간 단축, 디지털 오락 의존은 가정 생활에서 어린이가 외부 환경에 접근하는 데 장애가 된다. 학교야말로 도시에서 아이들을 자연과 다시 연결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과 지도 및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학교의 야외 공간은 아이들에게 더 많은 자기 주도적 기회와 비구조화된 시간 사용을 허락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어린이는 적절한 교사의 지도 하에 적절한 수준의 신체적 모험을 안전하게 경험할 수 있다. 야외 활동은 아이들이 자연과 밀접하게 연결되며 자라도록 한다. 나무, 식물 및 기타 천연 재료와 접촉함으로써 아이들은 자연과 그 과정을 독립적으로 발견 할 수 있다. 야외 환경은 어린이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고, 상상력을 자극하고, 탐험을 유도하고, 발달 능력을 지원 할 수 있어야 한다. 아이들은 도구, 열린 공간, 야외 환경과 상호 작용할 기회가 필요하다. 학교 운동장은 풍부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며 실내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을 확장하고 심화 할 수 있어야 한다. 학교운동장을 격한 신체 활동과 획일적인 놀이 장비로 제한하는 것은 제한적 경험밖에 제공할 수 없다. 모래, 물, 흙, 식물은 다양한 재료로 구조화되지 않은 창의적 탐구를 강조하는 개방적이고 비구조적이 자연주의적 놀이를 위한 설정이 필요하다. 학교 운동장은 단순히 스포츠 공간이 아니라 놀이와 종목형 스포츠 이외의 다양한 신체적 활동을 포괄하는 장소이자 사교의 장소, 보다 다양한 야외 활동의 공간이어야 한다.
  • 46. 학교에서 야외 활동의 가치와 효과 설문 조사에 참여한 어린이의 95%가 야외 학습이 더 즐겁다고 답했다. 90%는 더 행복하고 건강해지는 느낌을 받는다고 답했다. 72%의 어린이가 다른 동료들과 야외에서 더 친밀해졌고 답했다. 학교의 93%는 야외 학습이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 시킨다고 답했다. 92%의 학교가 학생들의 건강과 웰빙을 향상 시킨다고 답했다. 학교의 85%에서 학생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92%의 학교는 야외 학습이 교사의 건강과 복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다. 69 %는 전문성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 학교의 83% 이상이 야외 활동이 더 적극적인 놀이, 더 나은 놀이의 질, 더 많은 사회적 상호 작용 및 더 많은 휴식 시간의 즐거움으로 이어 졌다고 보고했다. 학교의 절반 이상이 교내 괴롭힘이 줄어들었다고 했다. 야외 학습의 영향으로 73%의 학교가 공식적인 실내 학습 시간과 휴식 시간에 학생들의 행동이 개선되었다고 답했다. 학교의 절반 이상에서 학업 성적이 상승했다. 모 학교의 절반은 학교 시간 외에 지역 사회가 참여하면서 기물 파손 행위가 감소했다. 학교 부지 사용이 더 다양해졌다고 보고 했다. 조사에 참여한 교사의 90%가 야외 학습이 교육 과정 전달에 유용하다고 답했다. 이뿐 아니라 - 영국에서 실시한 Landscapes National School Grounds Survey 및 Natural Connections Project Report
  • 50. 융펀제 학교(Grundshule am Jungfernsee)의 운동장 이 학교의 야외공간은 주차장 구역, 펜스 다용도 구기장 구역, 잔듸 조경 마당, 암벽타기 구역,달리기 트랙, 상자 텃밭 구역, 2 개의 놀이터 구역, 차양과 넓은 평상이 있는 쉼터 등 9개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또한 각 구역에는 구역별 용도에 맞게 각각 창고, 육상 대기장소, 수세공간, 건강쉼터 등 목재 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텃밭 파라솔 벤치, 잔디 정원의 콘크리트 좌석, 건물동 옆 좌석, 놀이터 나무 벤치 등 곳곳에 앉을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
  • 53. 포천 추산 초등학교 부천 소명 여고 지역의 생태와 식생을 반영한 학교 숲(학습 정원) 조성 학교 숲 또는 학교 정원은 대도시에서 열섬 효과를 저감할 수 있는 쾌적한 녹지를 제공한다.학교 숲은 그늘 형성, 소음 감소, 시선 차단, 생물 다양성 증대, 동물, 새, 곤충 서식지 조성, 먼지 감소, 기후 개선, 빗물 침투, 휴식 공간 조성, 교류 공간 조성, 신체 활동 촉진, 자연 탐험, 도시 비오툽 형성, 학생과 주민의 회복 및 이완 효과를 촉진한다. 학습정원은 포괄적인 환경 교육을 실시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이다. 학교 정원 가꾸기의 중요한 목표는 학생들이 함께 일하고 책임을 지는 것을 소개하는 것이다. 즉, 날씨, 원예, 퍼머컬쳐, 곤충 및 식물 관찰, 요리, 환경, 지리 교육까지 다양한 주제를 결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한다.특별히 입체적 지형을 포함하는 공간으로 조성한다.
  • 55. 지역의 공원, 모험놀이터와 통합된 학교 영국 세필드 지역 샬로우 초등학교(Sharrow School)는 녹색 지붕과 지열 펌프 및 유리 패널과 같은 여러 가지 지속 가능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학교에는 학교 운동장이 따로 없다. 도시의 중심에 있는 마운트 플레 공원 바로 앞에 학교가 있기 때문이다. 공원을 낮 동안 학교 운동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공원의 이용도가 높아졌다. 공원은 예전보다 청결해졌고 안전한 장소가 되었다. 학교가 공원과 함께 도심 공동체의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공원 옆에는 하이필드 모험 놀이터까지 있으니 이 보다 더 좋을 수 없다. 그렇다고 학교에 야외 공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학교 건물 앞 뒤로 크고 작은 놀이 구역들과 텃밭 정원이 있고, 작은 구기장도 측면에 있다. 학교 건물에서 공원을 시원하게 내려다 볼 수 있다. 1층 교실은 물론 2층 교실에서도 외부로 직접 나갈 수 있도록 테라스와 녹화 옥상과 야외로 연결된 야외 계단이 마련되어 있어 아이들이 햇빛과 주변 자연의 멋진 전망을 수시로 즐기고 야외로 나갈 수 있다.
  • 57. 야외 교실들 보스턴 스쿨야드 이니셔티브(BSI)는 야외교실 디자인 가이드를 작성하여 배포하는 등 학교 운동장에서 야외 교실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BSI 는 야외 교실은 3~5 명을 단위로 하는 4 개 그룹의 사교, 관찰, 활동, 학습이 가능한 공간으로 조성할 것을 조언하고 있다. 따라서 야외 교실 주변에서 탐색, 자연 재료 수집, 실험, 관찰, 비교, 기록, 측정, 작업과 활동, 청취, 비교,착석이 가능하도록 학교 운동장의 다른 요소들과 어울리게 디자인 하도록 조언하고 있다
  • 60. 제주 종달 초등학교 강릉 경포 초등학교 야외 공간에서 미술, 음악, 제작, 과학(관찰), 독서 등 다양한 수업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좌석과 야외 칠판, 테이블과 필용에 따라 그늘을 포함하는 야외 교실을 교사동 가까이에 조성한다. 야외 교실은 주변의 다양한 자연재료의 수집, 관찰, 기록, 청취가 가능한 자연 환경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자연 요소들을 배치한다.
  • 61. 야외 창작, 창의 공간 야외에 예술, 창작, 제작을 지원하는 공간을 조성한다. 특히 실내 예술 창작 교실과 연계성을 고려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조성하고, 저학년 저학년의 창의력을 표현할 수 있는 모래 놀이터, 흙 놀이터는 물 놀이 공간과 결합하여 조성한다. 야외 창작 공간은 딱딱한 평평한 바닥으로 배설한다.
  • 62. 신체 활동을 촉진하는 비구조적 자연주의 놀이 기구 좋은 학교 운동장은 종목 스포츠 외에도 비공식 스포츠 활동이 가능해야 한다. 일련의 장애물 이동 놀이기구, 보행 능력과 도약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디딤돌, 트램 폴린, 균형 감각을 키울 수 있는 복합적인 균형대, 범프, 자연 지형으로 구현된 도랑과 등반 둔덕, 신체 조정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밧줄 그물 놀이, 질주 유도선, 지구력과 근력을 키울 수 있는 등반 장대, 공간적 탐색이 가능한 놀이 터널과 건축적 놀이 공간 외 놀이 고목, 창의적 표현이 가능한 흙 놀이터나 모래 놀이터 등 전통적 놀이기구가 아닌 비구조적인 자연물로 만든 자연주의 놀이터로 조성한다. 단 이러한 놀이 기구들을 설치한 놀이 구역들은 연령대를 고려하여 3 개 이상의 구역으로 나누어 분산 배치하고, 가능한 운동장 내 자연 지형, 정원 요소 등 주변 환경 요소들과 단절되지 않고 어울리도록 조성한다.
  • 67. Ontwerp Lutgardiscollege 새로운 놀이터는 여러 개의 '놀이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섬은 연령대에 맞는 놀이시설과 미니 축구장으로 구성되었다. 경계가 분명하지 않지만 자연스럽게 연령대를 구분하다. 언덕에는 꽃 혼합물이 뿌려졌고 관목도 심었다. 놀이터 전체에 25 그루의 나무도 심어 향후 그늘진 구역을 만든다.
  • 72. 서울 신현 초등학교 해남 화산 초등학교
  • 73. 운동장 가구들 – 다용도 블럭 런던 사우스홀의 빌리어스 고등학교(Villiers High School in Southall, London)는 1300명의 학생 수에 비해 마음껏 뛰어 놀거나 밖으로 나가 즐길 외부공간이 부족했다. 학교 운동장과 외부 공간이 부족했기 때문에 종종 학생들 사이에 자리 다툼이 일어났다. 게다가 일반적인 학교 놀이시설들은 막상 고등학생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 학교 운동장 개선을 담당한 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 출신 디자이너 클라라 가거로(Clara Gaggero)는 학생들과 함께 콘크리트 우수관 같은 블럭 구조물을 운동장 곳곳에 쌓아서 그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이 구조물은 우선 쉴 수 있는 쉼터이자 등반놀이기구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공간이나 영역을 갖고 싶은 아이들의 잠재적 욕망을 만족시켰다. 이 단순하지만 튼튼한 사각 블럭 구조물들을 곳곳에 분산 배치했기 때문에 학생들은 서로 방해 받지 않고 자신만의 놀이나 공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학교는 학생들이 블럭을 칠할 수 있게 하거나, 그래피티를 그릴 수 있게 허락했다. 블럭 디자인 작업에 참여한 학생 그룹들은 각각 자신들이 디자인 작업에 관여한 블럭에 대해 주인의식과 자부심을 갖고 관리하기 시작했다.
  • 77. 운동장 가구, 개별 공간 제공
  • 81. 4 학교에는 교실과 운동장 외에도 다양한 휴식 공간 또는 생활 공간이 필요하다. 청소년기 학교는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생활공간이기도 하다. 운동장 데크 ,휴식, 기타 활동공간 학교 뒷 마당의 활용 – 사교와 휴식, 놀이의 공간화
  • 83. 다용도 펜스 구기장 대형 축구장이나 단독 농구장이 아닌 축구, 농구, 배구, 핸드볼 등 다양한 구기 종목에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을 포함하는 중소규모의 다목적의 펜스 구기장과 다양한 목적을 위한 열린 공간을 병행 조성한다.
  • 89. 환경과생태를 지키는 교사모임에서 이런 가이드 참조하면서 국내 상황에 맞는 학교운동장과 야외교실, 야외 활동 안내서 만들어보시면 어떨까요?
  • 90. 베를린 녹색 학교 운동장의 디자인 환경에 대한 미래의 가치와 행동이 형성되는 것은 바로 여기다.학교운동장은 휴식과 배움의 장 소, 경험의 세계, 소통의 장소, 놀이, 스포츠, 운동의 장소로 변해야 한다. 또한 학생을 위한 생활 공간이자 비율이 높은 열린 공간이다. 도시에서 학교 운동장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데 있어 녹지와 생태적 가치가 높다. - 야외 공간 설계의 디자인 열린 공간 설계는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 상이, 경험의 강도, 가변성, 접근성, 활동 촉진, 지형 차별화, 성별 요구, 연령별 다른 용도, 다기 능 , 최소 차단, 분산형 빗물 관리, 소규모 영역별 디자인, 지속 가능한 재료, 움직이는 물체의 배 치, 토종 관목 식재, 지형 변조, 행동 영역, 여유 공간, 자연 체험 영역, 비공식 스포츠 활동, 날씨로부터 보호, 소음 방지, 야외 학습 교실, 울타리, 운동장 가구, 낮은 벽, 운동장 편의시설( 개수대, 야외 조리대, 파고라, 야외 전기) 등 *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소규모 구역 분할 (야외 공간은 소규모 공간일수록 운동, 휴식, 학습, 탐색에 대한 요구를 더 충족시킨다. 경계목이 아니더라도 언덕, 움푹 들어간 곳, 울타리 및 관목 등으로 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천연 소재로 만든 놀이기구 나무, 돌, 바위, 흙, 물, 모래 및 진흙과 같은 자연적인 놀이 요소와 통합된 놀이공간 조성 * 후퇴 지역, 태양 및 비 대피 태양과 비를 피해 휴식하며 머물 수 있는 차양과 좌석 및 기타 운동장 가구와 나무 그늘을 제공하는 후퇴 구역 * 식물 조경 소음 및 프라이버시 보호, 먼지 저감, 습도 보존, 햇빛과 열 차단, 강수량의 지연된 침투, 자연 체 험, 활동 공간 조성, 인지적 경험, 생물 다양성, 텃밭, 화훼, 웰빙 촉진, 계절 체험 * 연못 지양 (유지관리 부담이 큼)
  • 91. * 야외 창작과 창의 공간 제작공방에서 바로 연결되는 야외 제작 공간 또는 저학년의 창의력을 표현할 수 있는 모래 놀이터(물 놀이 공간 결합) * 안전 통제 능력 개발 학생들은 학교 운동장에서 자유롭지만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어야 하되, 책임감 있게 안전을 통제하며 행동하는 법을 배울 수 있어야 한다. 학교 놀이터가 놀이터 장비 제조업체의 카탈로그에 있는 장비와 시설로만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유지 학교 운동장은 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과 함께 유지하도록 권장하여야 한다. 단, 수목 관리나 놀이기구 보수 등 기술유지 관리는 별도의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한다. * 투수성 포장 투수성 포장은 도시 우수의 처리와 지하수 형성에 기여한다. 잔디, 돌, 자갈, 잔디 블록 결합 자전거 주차장 등을 추천하고, 배수 포장은 적합치 않음. * 학교 숲 학교 숲 또는 학교 정원은 대도시에서 열섬 효과를 저감 할 수 있는 쾌적한 녹지를 제공하며, 그 이점은 아래와 같다. 그림자 형성, 소음 감소, 시선 차단, 생물 다양성 증가, 동물, 새, 곤충 서식지 조성, 먼지 감소, 기후 개선, 빗물 침투, 휴식 공간 조성, 교류 공간 조성, 공간 형성, 신체 활동 촉진, 자연 탐험, 도시 비오툽 형성, 회복 및 이완 효과 촉진한다. 원은 포괄적인 환경 교육을 실시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이다. 학교 정원 가꾸기의 중요한 목표는 학생들이 함께 일하고 책임을 지는 것을 소개하는 것이다. 그들은 함께 학교 정원에서 어떤 프로젝트를 구현할 것인지,이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누가 어떤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 할 것인지 계획한다. 토양에서 날씨, 원예, 퍼머컬쳐, 곤충 및 식물 관찰, 요리, 환경 교육까지 다양한 주제를 결합할 수 있다. * 베를린에는 300개의 학교정원을 조성하고, “ 베를린 학교 정원의 날 및 학교 정원 ” 대회 를 개최한다. * 운동장 좌석들 라운딩 벤치, 데크 의자, 좌석 벽, 이동식 좌석, 해먹, 해변 의자, 나무 줄기, 원형 극장, 계단형 좌석, 큰 돌, 평상, 대형 데크 * 스포츠 및 운동 좋은 학교 운동장은 야외 수업 뿐 아니라 종목 스포츠 외에도 비공식 스포츠 활동이 가능해야 한다. 이뿐 아니라 비공식 활동을 위한 개방 공간을 남겨두어야 한다. 장애물 이동, 펜스로 보호된 다목적 소형 구기장, 디딤돌, 균형대, 범프, 도랑, 계단, 침몰 경로, 질주 유도선, 인공지형 등과 결합 가능. 학교 놀이터는 신체적 활동을 장려하고 기본적인 신체 동작 기술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균형, 신체 조정, 집중력, 지구력, 도약, 지형 및 위험 판단 능력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능한 자연 지형과 놀이기구를 혼합한다. 활동 마운트, 스윙, 미끄럼틀, 균형대, 스케이팅, 다용도 구기장, 탁구, 밧줄 놀이, 트램 폴린, 축구, 질주 유도선, 모래밭, 흙 놀이터, 물 놀이 구역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