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HP 시작하기 - II
웹 데이터 베이스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이 윤 환, yoonani72@gmail.com
2. 배열(Array)
• 배열 (http://ko.wikipedia.org/wiki/배열)
o 컴퓨터 과학에서 배열은 번호(인덱스)와 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들
로 이루어진 자료 구조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배열에는 같은 종류
의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값의 번호가 곧 배열의 시작점
으로부터 값이 저장되어 있는 상대적인 위치가 된다. 대부분의 프로
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 구조로, 기본적
인 용도 외에 다른 복잡한 자료 구조들을 표현하기 위해서 또는 행
렬, 벡터 등을 컴퓨터에서 표현하는 용도 등으로도 사용된다.
• 배열의 선언과 할당
o $array[0] = “Professional”;
o $array[arr] = “Preprocessor”;
o $array = array(“Professional”, “Hypertext”, “Preprocessor”);
o $array = array(“first” => “Professional”);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이 윤 환, yoonani72@gmail.com
3. • 배열의 종류
o 일반 배열(Index사용 : 숫자에 의한 접근)
• 배열 할당
o $fruit = array(“사과”, “배”, “복숭아”, “딸기”);
• 배열 사용
o $fruit[0];
o 연관 배열(Key 사용 : 문자열로 접근)
• 배열 할당
o $phone = array(“home” => “123-4567”, “office” => “765-4321”);
• 배열 사용
o $phone[“home”];
o Example : arrex.php
• array array ( [mixed ...])
o Returns an array of the parameters. The parameters can be given
an index with the => operator.
• bool print_r ( mixed expression [, bool return] )
o Prints human-readable information about a variable
o Example : print_r.php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이 윤 환, yoonani72@gmail.com
4. 함수
• 함수(function)
o 함수는 한번 정의될 수 있는 코드 블록이며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
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o 함수는 반환값, 함수 이름, 전달 인자, 함수 내용으로 구성.
o 모듈화하여 알기 쉽고 구조화된 응용 프로그램 작성.
• 자주 반복되어야 하는 코드를 함수로 만들어 한 곳에 저장하
고 프로그램의 필요한 곳에서 호출하여 사용한다.
function 함수 이름 (매개변수의 리스트) {
함수 본문
return 반환값
} // 함수 정의
호출시 함수 이름(전달인자의 리스트)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이 윤 환, yoonani72@gmail.com
6. • 전달 인자의 여러가지 성질
o Passed by reference
• 일반적으로 전달인자에 의해 값이 전달되는 것은 값에 의한
전달을 하나 참조에 의한 전달이 필요할 때 함수 선언시 전달
인자의 이름 앞에 “&”를 붙힌다.
• Example : cbr.php
o 기본 전달 인자
• 호출시 해당 인자를 호출하지 않아도 기본값처럼 인식되는 전
달 인자를 만들수 있다.
• 선언시 전달인자 = “기본값”의 형태로 선언한다.
• Example : dparam.php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이 윤 환, yoonani72@gmail.com
7. 변수의 범위와 수명
• 변수의 범위는 프로그램
의 어떤 부분에서 변수를
액세스 할 수 있는지 결정
한다.
o global 변수명, Local
$GLOBALS[“변수명”]
o Example : globals.php
• 정적 변수 : 한번만 초기화
되고 계속 값을 유지한다. Global
o static 변수명
o Example : static.php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이 윤 환, yoonani72@gmail.com
8. 반복문(Loop)
• for : 전통의 반복문
o for문은 전통의 반복문으로 조건식이 참인 상황에서만
반복 수행할 문을 수행한다.
o for문은 진입조건 Loop이며 그 의미는 처음에 for문에
진입하기 위해서 조건식이 참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즉
진입시(처음부터) 조건식이 거짓이면 Loop를 수행하
지 않는다.
for(초기식 ; 조건식 ; 증감식) {
반복수행할 Code Block
}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이 윤 환, yoonani72@gmail.com
12. 조건식만 존재하는 반복문 – while
• while문은 역시 반복문으로 조건식이 참인 상황에서만 반
복 수행할 문을 수행한다.
• 코드 블록 내에서 조건의 대상이 상태가 변하여 false가
되면 반복 블록을 탈출한다.
• while 역시 진입조건 Loop이다
while(조건식) {
반복수행할 Code Block
}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이 윤 환, yoonani72@gmail.com
14. 조건문
• 양자 택일문 - if
o if문은 전통의 조건 처리문으로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두가지만
을 판단하여 처리하는 문이다.
o if문은 확장 사용하여 다중 조건 처리가 가능하다. (else if 사용)
if (조건) {
조건이 참일때 실행할 Code Block
} else {
조건이 거짓일때 실행할 Code Block
}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이 윤 환, yoonani72@gmail.com
17. • 다중 택일문 switch
o switch문은 다중 택일문으로 조건의 상황에 따른 실행
코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한다.
o if문과의 차이는 if는 조건이 참과 거짓만을 구분하는 비
해 조건의 상태에 따른 구분을 한다.
switch (조건) {
case 경우 1:
문장;
break;
…
default :
문장;
break;
}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이 윤 환, yoonani72@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