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PatchGAN
기존 Discriminator (DCGAN 참고)
→ 이미지 전체를 보고 True / False 판별
Discriminator using PatchGAN
→ 이미지 전체에서 특정 Patch 부분을 보고
그 부분이 True/False 판별
Model Architecture
👉 High frequency correctness(detail한 영역),
CGAN Loss랑 같이 사용하면 정답이랑 조금 다르지만,
실제 같은 이미지를 생성
6. Model Architecture
Ck
CDk
Conv(kernel_size=(4, 4), stride=2) - BatchNorm - ReLU
Conv(kernel_size=(4, 4), stride=2) - BatchNorm - Dropout(ratio=0.5) - ReLU
Conv2D(stride=2)
Encoder & Discriminator의 Downsample에 적용
Decoder의 Upsample에 적용
12. Loss Function
Total Loss = Conditional GAN Loss + L1 Loss
low-frequency correctness → Blur한 이미지 생성
→ original 영상 - generation 영상 사이의
Euclidean distance를 최소화 하는 방향에 집중,
(영상의 평균 성분[low-frequency])
13. Training
Jitter
Weight Initialized
Image(256, 256) → Resize(286, 286) → RandomCrop(256, 256)
👉 Data Augmentation 해주는 효과
mean=0, std = 0.2 in Gaussian Distribution
*jitter : 디지털 펄스 신호 파형이 시간축 상으로 흐틀어지는 현상. (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