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공공부문  R&D 장비의 효율적 활용방안 2006. 11. 06( 월 ) 구  중  억 “ R&D 장비 공동활용 활성화 포럼 ”
공공부문  R&D 장비 확충 · 고도화 현황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목차
1.  공공부문  R&D 장비 확충 · 고도화 현황   새로운 연구장비는 새로운 연구 프론티어를 창출하고 ,  기술혁신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 연구기반조성 분야의 국가 R&D 사업 비중 (’01) 31.2% -> (’05) 25.4% ’ 07 년 국가 R&D 사업 예산 조정 · 배분 장비 · 인프라구축 사업은 필수소요 위주로 조정 · 반영하고 ,  신규사업은 억제 연구기반조성  R&D  투자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 ,  신규사업은 억제
1.  공공부문  R&D 장비 확충 · 고도화 현황   매트릭스 형태의 연구장비 확충 · 고도화 계획수립 사전기획을 통해 연구장비 확충 · 고도화 예산확보 매트릭스 형태의 비즈니스 및 마케팅을 통해 다각화 추진
1.  공공부문  R&D 장비 확충 · 고도화 현황   연구장비 확충 · 고도화의 효율적인 추진방안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공동활용 시험 · 검사 및 분석 · 실험 등을 목적으로 직원 이외의 자가 기관의 동의를 얻어 연구장비를 직접 사용하거나 직원의 도움을 받아 사용하는 것 연구장비의 특성과 사용자 수준에 따라 분석의뢰와 본인 직접분석을 통해 공동활용 간접공동활용 공인기관 · 검사용 장비를 중심으로 주로 공인시험․검사 등을 의뢰 직접공동활용 일반 · 특수목적용 장비를 중심으로 주로 분석 · 실험 등에 활용 공인시험 · 검사  장비의 간접공동활용 ,  일반 · 특수 장비의 직접공동활용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외부사용주체별 연구장비 공동활용 계획수립 필요 중소기업 애로기술 해결 등 사회적 기여 강화 공급자 위주로 고객을 기다리기 보다 수요자 위주로 고객을 찾아가는 인식전환 필요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 중소기업청 , ’05.12) 이용비용 고가 (29.9%) 이용 대기 시간이 너무 길다 (19.4%) 시험 · 검사 장비 보유기관 소재파악 어려움 (15.1%) 필요한 시험 · 검사 장비 부재 (9.3%) 이용절차 복잡 (7.0%) 중소기업의 외부 시험 · 검사장비 활용 시 애로요인  (1)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시험 · 연구 개방장비 이용에 대한 중소기업 만족도 조사 ( 중소기업특별위원회 , ’05.9) 인지경로  :  보유기관 직원 및 권유 (31.1%) 이용용도  :  인증 · 허가 등록을 위한 시험 · 검사 (37.0%) 이용회수  : 10 회 이상 (36.7%) 소요기간  : 1 주일 이내 (51.8%) 장비확인경로  :  전화상담 (41.0%),  직접방문 (32.3%) 이용신청  :  직접방문 (52.5%),  전화신청 (33.9%) 외부이용기관 거리  : 1 시간 이내 (49.1%) 불편사항  :  장비사용 가능 일정 불투명 (35.6%) 애로사항  :  기기 담당자의 해당기기 이해부족 등 (18.1%) 건의사항  :  필요장비 부족 해소 (27.4%),  장비사용료 절감 (19.4%) 중소기업의 외부 시험 · 검사장비 활용 시 애로요인  (2)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장비 이용실태조사 ( 중소기업청 , ’05.9) 외부의 연구개발장비 상시적 이용 (45.4%) 연구개발장비 주요 이용기관  :  전문시험연구기관 (31.3%) 애로사항  :  적합한 활용기관 부재 (27.3%).  비용과다 (20.3%),  장비정보 부족 (20.3%)  등 중소기업의 외부 시험 · 검사장비 활용 시 애로요인  (3)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산 · 학 · 연 협력 현황조사 ( 산업자원부 , ’04.5) 물리적인 요소 ( 우수한 인프라 ,  지리적 접근성 ) 보다 수행자의 자세 ( 마인드 ) 가 가장 중요 공통된 이해관계 (39.6%) 협력파트너의 적극적인 자세 (25.3%) 협력파트너의 우수한 인프라 (17.2%) 중소기업들이 고가연구장비를 활용하는 목적은 시장적 특성과 기술적 문제의 특성으로 인하여 장기적인 연구개발의 성격보다는 현장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기 위한 공정개선 수준 향상이 다수 연구장비의 단순활용 단계를 넘어 연구 · 측정 · 가공 · 생산장비 등의 활용에 대한 결과해석과 조건설정 ,  원인분석 등의 다양한 전문가의 조언과 컨설팅이 필요 산 · 학 · 연 협력의 성공요인  (1)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정부연구기관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방안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05.10) 중소기업 기술협력의 핵심 성공요인 파트너 지리적 위치  :  동일지역 (76%) 파트너 회합빈도  :  주  1 회 이상 (55%) 기술협력 수행주체  :  중소기업 주도 (51%) 과제 수행방법  :  공동기술개발 (47%) 산 · 학 · 연 협력의 성공요인  (2)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연구장비 공동활용 촉진방안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시험 · 연구장비 종합상담 콜센터 구축 · 운영  (1) 대학 ,  연구소 등 장비 집적시설의 연구장비 전문가를 멘토 (mentor) 로 활용하여 종합상담 및 공동이용 촉진 Know-Who 를 활용한 종합상담창구 마련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시험 · 연구장비 종합상담 콜센터 구축 · 운영  (2) 전국 및 지역 단위 또는 장비 및 분야 단위 기능 수행 Ask-an-expert  및  24/7  서비스 제공 Know-Who 를 활용한 종합상담창구 마련 A 대학 B 출연 ( 연 ) C 센터 이용자 요구 지역센터 통합센터 이용자 요구 연구장비 전문가 풀 연구장비 DB Q&A, FAQ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동종 · 유사 장비간 전문협의회 구성 · 운영  (1) 투과전자현미경 (TEM)  장비의 국내 보유는  250 여대로 추정 실질적으로 공동활용가능 장비는  50~80 여대로 추정 ’ 06 년  3 월 조사 · 집계 기준 인적 네트워크  및 공동이용 클러스터 구축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동종 · 유사 장비간 전문협의회 구성 · 운영  (2) 공통지원서비스 (Shared Service)  및 전문가 활용 지원 이론 및 실습 교육을 통해 기술지원수준 제고 정보교류 활성화를 통해 활용도 제고 인적 네트워크  및 공동이용 클러스터 구축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공공기관의 전문시험 · 분석센터를 육성 · 지원 패키지 /One-Stop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경비 ( 인건비 등 )  지원 K 연구원  S 센터 운영사례 RoHS, REACH  등 중소기업의 무역장비 해소 지원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산업체 현장의 맞춤형 전문기술교육 실시 자체적으로 시험․분석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수준에 한계 분석장비의 체계적인 원리 및 실제 응용법을 교육함으로써 ,  효율적으로 분석업무 종사 도모 첨단 고급 실험장비의 활용 및 분석의 응용 능력배양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장비 사용료 할인 혜택 확대 및 다원화 전북테크노파크  지역혁신기관 공동장비를 활용한 업체에게 사용료를 일부 지원 ( 업체당  1 회 지원금은 장비사용료의  50% 이내로 최대  100 만원 까지 지원 ) 경기도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산업 패밀리 클러스터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지역 내 연구장비 집적시설의 공동활용 시 사용료 일부지원 한국전기연구원 창원지역 내 중소기업이 공동활용시  1 개업체당 최대  2 백만원 감면 / 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중소기업에 대해 재료비를 차감한 할인율 적용 (50%) 중소기업 이용자의 접근성 향상 및 활용도 제고
제언   공공기관이 고객이라는 인식 하에서 현장 마케팅 및 소프트 지원 강화 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대상 (object) 중심의 인식  관계 (relation) 중심의 인식 Partnership Competition
감사합니다 .

More Related Content

PPTX
Paper Presentation
PPT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현황과 전략
PDF
출연(연)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윤리경영 실행방안
PPT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PDF
인적자원개발의 재조명
PPTX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PPTX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R&D 지원체계 개편안
PDF
특허청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
Paper Presentation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현황과 전략
출연(연)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윤리경영 실행방안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인적자원개발의 재조명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R&D 지원체계 개편안
특허청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

Similar to 공공부문 R&D장비의 효율적 활용방안 (20)

PDF
빅데이터 윈윈 컨퍼런스-빅데이터생태계 확산전략
PPTX
창조경제와 지역 R&D 정책 및 발전방향
PDF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PDF
중소 제조기업 보급용 한국형 스마트공장 플랫폼 구축 및 시범적용
PDF
NIPA, 현장애로기술지원 및 기술상용화 성공사례 및 사업 소개
PPTX
0. biz patent based company technology info service_180510
PDF
[이노비즈] 2014년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소개
PPTX
수요자 중심의 R&D를 실현하는 디자인
PDF
정보분석과 E-리서치 kisti techno readers digest
PDF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PDF
2023 과학벨트 기술사업화 역량강화(R&BD) 연구개발계획서.pdf
PDF
[과실연 제73차 아침마당 발제자료] 미래를 위한 전략_박기영 과실연 호남권 공동대표, 순천대 생물학과 교수
PDF
[제94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한국에 창조와 미래가 있는가?_순천대 생물학과 박기영 교수
PDF
4차 산업혁명과 기술·산업 발전전략 (kdi 이성호)
PDF
[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계획서 작성 및 선정평가 요령
PDF
Iot 중심의-융합산업-전망
PDF
[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소개
PDF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PDF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PDF
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
빅데이터 윈윈 컨퍼런스-빅데이터생태계 확산전략
창조경제와 지역 R&D 정책 및 발전방향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중소 제조기업 보급용 한국형 스마트공장 플랫폼 구축 및 시범적용
NIPA, 현장애로기술지원 및 기술상용화 성공사례 및 사업 소개
0. biz patent based company technology info service_180510
[이노비즈] 2014년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소개
수요자 중심의 R&D를 실현하는 디자인
정보분석과 E-리서치 kisti techno readers digest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2023 과학벨트 기술사업화 역량강화(R&BD) 연구개발계획서.pdf
[과실연 제73차 아침마당 발제자료] 미래를 위한 전략_박기영 과실연 호남권 공동대표, 순천대 생물학과 교수
[제94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한국에 창조와 미래가 있는가?_순천대 생물학과 박기영 교수
4차 산업혁명과 기술·산업 발전전략 (kdi 이성호)
[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계획서 작성 및 선정평가 요령
Iot 중심의-융합산업-전망
[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소개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
Ad

공공부문 R&D장비의 효율적 활용방안

  • 1. 공공부문 R&D 장비의 효율적 활용방안 2006. 11. 06( 월 ) 구 중 억 “ R&D 장비 공동활용 활성화 포럼 ”
  • 2. 공공부문 R&D 장비 확충 · 고도화 현황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목차
  • 3. 1. 공공부문 R&D 장비 확충 · 고도화 현황 새로운 연구장비는 새로운 연구 프론티어를 창출하고 , 기술혁신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 연구기반조성 분야의 국가 R&D 사업 비중 (’01) 31.2% -> (’05) 25.4% ’ 07 년 국가 R&D 사업 예산 조정 · 배분 장비 · 인프라구축 사업은 필수소요 위주로 조정 · 반영하고 , 신규사업은 억제 연구기반조성 R&D 투자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 , 신규사업은 억제
  • 4. 1. 공공부문 R&D 장비 확충 · 고도화 현황 매트릭스 형태의 연구장비 확충 · 고도화 계획수립 사전기획을 통해 연구장비 확충 · 고도화 예산확보 매트릭스 형태의 비즈니스 및 마케팅을 통해 다각화 추진
  • 5. 1. 공공부문 R&D 장비 확충 · 고도화 현황 연구장비 확충 · 고도화의 효율적인 추진방안
  • 6.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공동활용 시험 · 검사 및 분석 · 실험 등을 목적으로 직원 이외의 자가 기관의 동의를 얻어 연구장비를 직접 사용하거나 직원의 도움을 받아 사용하는 것 연구장비의 특성과 사용자 수준에 따라 분석의뢰와 본인 직접분석을 통해 공동활용 간접공동활용 공인기관 · 검사용 장비를 중심으로 주로 공인시험․검사 등을 의뢰 직접공동활용 일반 · 특수목적용 장비를 중심으로 주로 분석 · 실험 등에 활용 공인시험 · 검사 장비의 간접공동활용 , 일반 · 특수 장비의 직접공동활용
  • 7.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외부사용주체별 연구장비 공동활용 계획수립 필요 중소기업 애로기술 해결 등 사회적 기여 강화 공급자 위주로 고객을 기다리기 보다 수요자 위주로 고객을 찾아가는 인식전환 필요
  • 8.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 중소기업청 , ’05.12) 이용비용 고가 (29.9%) 이용 대기 시간이 너무 길다 (19.4%) 시험 · 검사 장비 보유기관 소재파악 어려움 (15.1%) 필요한 시험 · 검사 장비 부재 (9.3%) 이용절차 복잡 (7.0%) 중소기업의 외부 시험 · 검사장비 활용 시 애로요인 (1)
  • 9.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시험 · 연구 개방장비 이용에 대한 중소기업 만족도 조사 ( 중소기업특별위원회 , ’05.9) 인지경로 : 보유기관 직원 및 권유 (31.1%) 이용용도 : 인증 · 허가 등록을 위한 시험 · 검사 (37.0%) 이용회수 : 10 회 이상 (36.7%) 소요기간 : 1 주일 이내 (51.8%) 장비확인경로 : 전화상담 (41.0%), 직접방문 (32.3%) 이용신청 : 직접방문 (52.5%), 전화신청 (33.9%) 외부이용기관 거리 : 1 시간 이내 (49.1%) 불편사항 : 장비사용 가능 일정 불투명 (35.6%) 애로사항 : 기기 담당자의 해당기기 이해부족 등 (18.1%) 건의사항 : 필요장비 부족 해소 (27.4%), 장비사용료 절감 (19.4%) 중소기업의 외부 시험 · 검사장비 활용 시 애로요인 (2)
  • 10.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장비 이용실태조사 ( 중소기업청 , ’05.9) 외부의 연구개발장비 상시적 이용 (45.4%) 연구개발장비 주요 이용기관 : 전문시험연구기관 (31.3%) 애로사항 : 적합한 활용기관 부재 (27.3%). 비용과다 (20.3%), 장비정보 부족 (20.3%) 등 중소기업의 외부 시험 · 검사장비 활용 시 애로요인 (3)
  • 11.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산 · 학 · 연 협력 현황조사 ( 산업자원부 , ’04.5) 물리적인 요소 ( 우수한 인프라 , 지리적 접근성 ) 보다 수행자의 자세 ( 마인드 ) 가 가장 중요 공통된 이해관계 (39.6%) 협력파트너의 적극적인 자세 (25.3%) 협력파트너의 우수한 인프라 (17.2%) 중소기업들이 고가연구장비를 활용하는 목적은 시장적 특성과 기술적 문제의 특성으로 인하여 장기적인 연구개발의 성격보다는 현장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기 위한 공정개선 수준 향상이 다수 연구장비의 단순활용 단계를 넘어 연구 · 측정 · 가공 · 생산장비 등의 활용에 대한 결과해석과 조건설정 , 원인분석 등의 다양한 전문가의 조언과 컨설팅이 필요 산 · 학 · 연 협력의 성공요인 (1)
  • 12.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정부연구기관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방안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05.10) 중소기업 기술협력의 핵심 성공요인 파트너 지리적 위치 : 동일지역 (76%) 파트너 회합빈도 : 주 1 회 이상 (55%) 기술협력 수행주체 : 중소기업 주도 (51%) 과제 수행방법 : 공동기술개발 (47%) 산 · 학 · 연 협력의 성공요인 (2)
  • 13. 2. 공공부문 R&D 장비 공동활용 현황 연구장비 공동활용 촉진방안
  • 14.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시험 · 연구장비 종합상담 콜센터 구축 · 운영 (1) 대학 , 연구소 등 장비 집적시설의 연구장비 전문가를 멘토 (mentor) 로 활용하여 종합상담 및 공동이용 촉진 Know-Who 를 활용한 종합상담창구 마련
  • 15.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시험 · 연구장비 종합상담 콜센터 구축 · 운영 (2) 전국 및 지역 단위 또는 장비 및 분야 단위 기능 수행 Ask-an-expert 및 24/7 서비스 제공 Know-Who 를 활용한 종합상담창구 마련 A 대학 B 출연 ( 연 ) C 센터 이용자 요구 지역센터 통합센터 이용자 요구 연구장비 전문가 풀 연구장비 DB Q&A, FAQ
  • 16.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동종 · 유사 장비간 전문협의회 구성 · 운영 (1) 투과전자현미경 (TEM) 장비의 국내 보유는 250 여대로 추정 실질적으로 공동활용가능 장비는 50~80 여대로 추정 ’ 06 년 3 월 조사 · 집계 기준 인적 네트워크 및 공동이용 클러스터 구축
  • 17.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동종 · 유사 장비간 전문협의회 구성 · 운영 (2) 공통지원서비스 (Shared Service) 및 전문가 활용 지원 이론 및 실습 교육을 통해 기술지원수준 제고 정보교류 활성화를 통해 활용도 제고 인적 네트워크 및 공동이용 클러스터 구축
  • 18.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공공기관의 전문시험 · 분석센터를 육성 · 지원 패키지 /One-Stop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경비 ( 인건비 등 ) 지원 K 연구원 S 센터 운영사례 RoHS, REACH 등 중소기업의 무역장비 해소 지원
  • 19.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산업체 현장의 맞춤형 전문기술교육 실시 자체적으로 시험․분석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수준에 한계 분석장비의 체계적인 원리 및 실제 응용법을 교육함으로써 , 효율적으로 분석업무 종사 도모 첨단 고급 실험장비의 활용 및 분석의 응용 능력배양
  • 20. 3. 공공부문 R&D 장비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장비 사용료 할인 혜택 확대 및 다원화 전북테크노파크 지역혁신기관 공동장비를 활용한 업체에게 사용료를 일부 지원 ( 업체당 1 회 지원금은 장비사용료의 50% 이내로 최대 100 만원 까지 지원 ) 경기도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산업 패밀리 클러스터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지역 내 연구장비 집적시설의 공동활용 시 사용료 일부지원 한국전기연구원 창원지역 내 중소기업이 공동활용시 1 개업체당 최대 2 백만원 감면 / 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중소기업에 대해 재료비를 차감한 할인율 적용 (50%) 중소기업 이용자의 접근성 향상 및 활용도 제고
  • 21. 제언 공공기관이 고객이라는 인식 하에서 현장 마케팅 및 소프트 지원 강화 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대상 (object) 중심의 인식 관계 (relation) 중심의 인식 Partnership Compet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