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청소년 자기 길 찾기 프로젝트
길 위에서 길을 찾다.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진로탐색 프로젝트
   1. 전체사업의 개요           3

   2. 사업 기획 배경           4

   3. 바라는 목적             5

   4. 예상 결과물             8




                              목차
   5. 사업운영 원칙 및 방향       9

   6. 세부 프로그램 및 일정       10
1. 전체사업 개요
                                                              3



   전체사업 개요

    ㆍ신청사업명
        길 위에서 길을 찾다 – 청소년 자기 길 찾기 프로젝트

    ㆍ사업대상
        16세 - 18세 청소년

    ㆍ사업기간
        2012. 7. ~ 11. (5개월) / 방학 기간 중 주 2회, 방학 이후 주 1회(주말)

    ㆍ사업주체
        공간민들레
2. 사업 기획 배경
                                                               4



   사업 기획 배경
  ‘진로교육=직업체험 or 정보전달’이라는 편견이 큽니다.
  물론 직업교육이 진로를 찾는 데 자극이 되기도 하고, 실제로 직업을 찾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
  만 청소년기 너무 직업교육에 갇혀서, 진로 찾기라는 큰 숲에는 접근하지 못하고 수박 겉핥기 같은 체험과
  정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 반복의 고리를 끊어내도 된다는 실천적인 근거를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진로교육과 관련한 프로그램과 자료는 넘처납니다.
  보고서나 자료는 넘쳐나도록 많습니다. 그리고 관련 프로그램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자료나 프로그램들을 통섭적으로 바라보고 맥락 속에서 연결해내는 작업은 시도되지 않았습니다. 긴 호흡
  을 전제로 관련 자료나 활동을 연결해내서 아이들과 작업해내는 실천 작업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번 사업을 계기로 그 연결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대안교육과 공교육의 진로교육경험을 접목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여 기존의 진로교육 형식을 뛰어넘는 상상력이 필요합니다. 대안교육진영은 존재의
  가벼움을 장점으로 새로운 시도들을 활발하게 펼쳐왔습니다. 이런 경험과 공교육진영의 경험이 서로 만나
  는 시도를 이번 사업에서 해보려 합니다.
3. 바라는 목적
                                                                   5



   바라는 목적
                                                        교사들
  진로교육에 대한 ‘발상의 전환’을 만들어 내고자 합니다.
  ‘모든 교육은 곧 진로교육입니다.’ 일상에서 주어지는 모든 자극들이 실제로 ‘진로’를 결정하게 만듭니다.
  그러므로 어쩌면 모든 교육이 진로교육일 뿐 아니라 모든 일상이 진로교육일 수도 있습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청소년들의 일상을 진로, ‘자기 길 찾기’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디자인해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진
  로교육이라는 사실을 환기시키고자 합니다.




  진로교육의 로드맵을 만들고자 합니다.
  ‘자기 길 찾기’ 과정, 즉 진로교육의 과정을 지도로 만들고자 합니다. 이 사업은 총 10개월 동안 자기 길 찾
  기를 위한 다양한 경험과 사유를 할 예정입니다. 그 과정 안에서 어떤 자극이 주어지고, 주위 사람들은 어
  떤 역할을 할지가 꼼꼼하게 기록되고 검토되고 검증될 예정입니다. 특히 대안학교 청소년, 일반학교 청소
  년, 위탁학교 청소년이 그 대상이 되므로 아이들 유형에 맞춘 로드맵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3. 바라는 목적
                                                                6



   바라는 목적
                                                    교사들

  진로교육허브의 필요성과 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 사업의 전 과정에서 중요하게 이뤄지는 것이 제도권, 비제도권을 망라한 진로교육전문가들의 자문과 피드
  백을 받고, 각 기관이 가진 자원들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각자의 영역에서 열심히 하고는 있지만 서로 공유되지 못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자료, 프로그램, 인적자원 등
  다양한 인프라를 망라하고 정리해, 여러 현장들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사업을 네트워크 방식으
  로 진행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진로교육이 진학 및 취업을 넘어서 삶 전체를 바라보는 과정이어야 하고, 한 현장에서 모든 것을 풀어내기에
  는 역부족이므로 하여 공간민들레는 현재 수준별, 단계별, 상활 별 각기 다른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많은 현
  장의 진로교육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함께 풀어낼 수 있는 허브 역할을 해서 청소년들의 자기 길 찾기에 기여
  하고자 합니다.
3. 바라는 목적
                                                                7



   바라는 목적
                                                     아이들
  자신과 세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삶의 목표 세우기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기 삶의 중심으로 잡고 싶은 화두, 삶의 목표를 세울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일과 업을 망라하여 어떤 직업, 어떨 일을 하던지 삶 전체의 방향을 잡을 수 있는 기준을 세우고 또 그것을
  스스로 표현해 낼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이러한 삶의 목표는 외부를 통해 주어지는 것
  이 아니라 스스로를 돌아보고 타인을 살피는 과정을 통해 자기 안에서 우러나오는 것이어야 합니다.
  청소년들이 그러한 삶의 목표를 세우는 과정을 돕고자 합니다.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자기 스토리텔링
  청소년 스스로 자신의 성과를 정리해내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자 합니다. 그 결과물은 손에 잡히는 자료
  이기 이전에, 나와 내가 속한 세상을 돌아보고 그 안에서 지금 내가 서 있는 이 자리를 나의 언어로 표현하
  는 것. 그 모든 과정의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는 포트폴리오, 나의 이야기책이 만들어 지기를 원합니다.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것으로 시작해서 이 사업이 자신의 인생에서 어떠한 사건이 되었는지 의미화 하는
  자기 스토리텔링이 되는 것이 마지막의 가장 의미 있는 보고서이자 최종 목적일 것입니다.
4. 예상 결과물
                                                                8



   예상 결과물

  포트폴리오
  일상적으로 진행되는 모든 활동들을 기록하고 그 안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배움 들을 정리할 수 있는 포트
  폴리오를 작성하려 합니다. 이는 단순한 기록물 이상의 의미로, 진행되는 모든 프로그램들을 꼼꼼히 살피
  고 그 안에서 나의 모습을 보다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 있는 도구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결과보고서
  본 사업에서는 활동들의 의미를 개념화 하고 정리해내는 작업을 중요하게 염두 해 두고 있습니다.
  하나하나 개별로 실행했던 의미 있는 경험들을 한 맥락 안에서 이어내는 작업, 그런 연결 작업의 의미 및 효
  과, 결과 등을 외부로 열어 놓고 함께 논의해 가면서 다듬어 가는 작업, 그 작업들이 마지막에 연구보고서
  형식으로 정리되는 것이 최종 방향입니다.
  자체적인 만족의 수준을 넘어서 기존의 진로교육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의미가 담긴 공공적인 결과물을 만
  들어 내고자 합니다.
5. 사업운영 원칙 및 방향
                                                                           9



   사업운영 원칙 및 방향

유관 기관들의 네트워크형 사업이다                     커뮤니티가 활동의 중심이자 원칙이다
<공간민들레가> 센터가 되고, 각 기관 및 시민사회단체, 공교육과   커뮤니티가 활동의 중심축이다. 소그룹 안에서 신뢰관계 형성을 통해
대안교육현장들이 모여 함께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 네트워크사업이다. 서로 격려하고 지지하므로 주체적이며 창의적인 진로 활동의 견인차
                                       역할을 한다.

                   창의적
                  활동단체

     서울시                       문화예술
     교육청                        단체


                  공간민들레
 인턴십                              자원
  현장                             활동가


            장인            부모
6.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10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 명사초청강연            세상 돌아보기                     과정 정리하기
• 자서전 목차 만들기                  • 지나온 과정 살피기
                  • 거인과의 만남                  • 포트폴리오 작성
• 심화인터뷰                       • 5박6일 걷기여행
                  • 인턴십 활동                   • 발표회
• 삶 속 나의 입장정리하기
                                 과정 돌아보기
         나 돌아보기
6.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11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Step Ⅰ. 길 위에 발을 디디며 - 명사 초청강의
  개인의 꿈과 목표가 조금 더 가치 지향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청소년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명사를 모시
  고 이야기를 듣는 자리




  Step Ⅱ. 내가 걸어온 길 - 자서전 목차 만들기
  지금의 나를 이루고 있는 삶의 요소들과 마주한다. '나는 어떻게 살아 왔는가'_ 부모의 삶, 가족 이야기, 나
  의 관심과 흥미,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내가 살아 온 시대는? 등




  Step Ⅲ. 내가 서 있는 길 - 인터뷰를 통한 입장 세우기
  내가 부딪친 사건과 인물(자서전 목차 활용)에 대한 심화 인터뷰를 통해 사회 속에서 자신이 서 있는 위치
  를 확인하고 자신의 입장을 정리해 본다.
6.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12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Step Ⅳ. 길을 찾아서 - 거인과의 만남
  커뮤니티 관심 영역에서 일가를 이룬 거인과의 만남을 통해 내가 가고 싶은 길을 구체적으로 탐색한다.




  Step Ⅴ. 길을 떠나다 - Internship 프로그램
  커뮤니티 단위로 인턴십 대상 찾기, 섭외, 인턴십 과정, 평가 등을 진행




  Step Ⅵ. 길 위에서 - 걷기 여행
  커뮤니티 멤버들과 함께 자신의 길 찾기 과정을 돌아보고 점검

More Related Content

PDF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관악청소년자활지원관 - 직업체험 드림터 매뉴얼
PDF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자료
PPTX
열정과 겸손을 갖고 생각을 실천하는 사람
PDF
동화 Kt&amp;g
PDF
1강 공유
PDF
다울림 상상드림공모전
PDF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행복한교육실천모임
PDF
2018 planning goodnanum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관악청소년자활지원관 - 직업체험 드림터 매뉴얼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자료
열정과 겸손을 갖고 생각을 실천하는 사람
동화 Kt&amp;g
1강 공유
다울림 상상드림공모전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행복한교육실천모임
2018 planning goodnanum

Similar to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웹업로드 추가모집 (20)

PPTX
길 위에서 길을 찾다 -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젝트
PPTX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추가모집
PDF
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PPTX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웹업로드 추가모집-V2
PPT
2012 0313 allnet_descrip
PDF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매뉴얼
PDF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PPT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3차 공유회 : SCEP을 활용한 진로교육
PPTX
Project salmon part 2
PDF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안산YWCA
PPT
진로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
PDF
[동그라미재단]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learn project) 사례집
PPTX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인턴십프로젝트 2011년 2기 OT자료
PDF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4차 공유회 : J.U.C 페스티벌 청소년 인턴 프로젝트
PDF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 결과공유회 발표자료 아름다운학교
PDF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6차 공유회 : 유스바람개비
PDF
2016 SPEAKS Conference
PDF
동그라미재단 결과 공유회 자료 1
PDF
2012 0622 seoul_allnet_now3
PDF
창조캠퍼스 설명회
길 위에서 길을 찾다 -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젝트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추가모집
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웹업로드 추가모집-V2
2012 0313 allnet_descrip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3차 공유회 : SCEP을 활용한 진로교육
Project salmon part 2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안산YWCA
진로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
[동그라미재단]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learn project) 사례집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인턴십프로젝트 2011년 2기 OT자료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4차 공유회 : J.U.C 페스티벌 청소년 인턴 프로젝트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 결과공유회 발표자료 아름다운학교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6차 공유회 : 유스바람개비
2016 SPEAKS Conference
동그라미재단 결과 공유회 자료 1
2012 0622 seoul_allnet_now3
창조캠퍼스 설명회
Ad

More from SeungTae Bae (7)

PPTX
덕산지역아동센터
PPT
청년협업농장
PPTX
갓골생태농업연구소
PPTX
2012년 삼선재단 지역청년활동가 인턴십 보고서-강화뉴스
PDF
청년협업농장
PPT
2012년 삼선재단 지역청년활동가 인턴십 보고서-청년협업농장
PPTX
Dixit 설명
덕산지역아동센터
청년협업농장
갓골생태농업연구소
2012년 삼선재단 지역청년활동가 인턴십 보고서-강화뉴스
청년협업농장
2012년 삼선재단 지역청년활동가 인턴십 보고서-청년협업농장
Dixit 설명
Ad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웹업로드 추가모집

  • 1.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청소년 자기 길 찾기 프로젝트
  • 2. 길 위에서 길을 찾다.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진로탐색 프로젝트 1. 전체사업의 개요 3 2. 사업 기획 배경 4 3. 바라는 목적 5 4. 예상 결과물 8 목차 5. 사업운영 원칙 및 방향 9 6. 세부 프로그램 및 일정 10
  • 3. 1. 전체사업 개요 3 전체사업 개요 ㆍ신청사업명 길 위에서 길을 찾다 – 청소년 자기 길 찾기 프로젝트 ㆍ사업대상 16세 - 18세 청소년 ㆍ사업기간 2012. 7. ~ 11. (5개월) / 방학 기간 중 주 2회, 방학 이후 주 1회(주말) ㆍ사업주체 공간민들레
  • 4. 2. 사업 기획 배경 4 사업 기획 배경 ‘진로교육=직업체험 or 정보전달’이라는 편견이 큽니다. 물론 직업교육이 진로를 찾는 데 자극이 되기도 하고, 실제로 직업을 찾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 만 청소년기 너무 직업교육에 갇혀서, 진로 찾기라는 큰 숲에는 접근하지 못하고 수박 겉핥기 같은 체험과 정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 반복의 고리를 끊어내도 된다는 실천적인 근거를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진로교육과 관련한 프로그램과 자료는 넘처납니다. 보고서나 자료는 넘쳐나도록 많습니다. 그리고 관련 프로그램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자료나 프로그램들을 통섭적으로 바라보고 맥락 속에서 연결해내는 작업은 시도되지 않았습니다. 긴 호흡 을 전제로 관련 자료나 활동을 연결해내서 아이들과 작업해내는 실천 작업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번 사업을 계기로 그 연결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대안교육과 공교육의 진로교육경험을 접목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여 기존의 진로교육 형식을 뛰어넘는 상상력이 필요합니다. 대안교육진영은 존재의 가벼움을 장점으로 새로운 시도들을 활발하게 펼쳐왔습니다. 이런 경험과 공교육진영의 경험이 서로 만나 는 시도를 이번 사업에서 해보려 합니다.
  • 5. 3. 바라는 목적 5 바라는 목적 교사들 진로교육에 대한 ‘발상의 전환’을 만들어 내고자 합니다. ‘모든 교육은 곧 진로교육입니다.’ 일상에서 주어지는 모든 자극들이 실제로 ‘진로’를 결정하게 만듭니다. 그러므로 어쩌면 모든 교육이 진로교육일 뿐 아니라 모든 일상이 진로교육일 수도 있습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청소년들의 일상을 진로, ‘자기 길 찾기’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디자인해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진 로교육이라는 사실을 환기시키고자 합니다. 진로교육의 로드맵을 만들고자 합니다. ‘자기 길 찾기’ 과정, 즉 진로교육의 과정을 지도로 만들고자 합니다. 이 사업은 총 10개월 동안 자기 길 찾 기를 위한 다양한 경험과 사유를 할 예정입니다. 그 과정 안에서 어떤 자극이 주어지고, 주위 사람들은 어 떤 역할을 할지가 꼼꼼하게 기록되고 검토되고 검증될 예정입니다. 특히 대안학교 청소년, 일반학교 청소 년, 위탁학교 청소년이 그 대상이 되므로 아이들 유형에 맞춘 로드맵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 6. 3. 바라는 목적 6 바라는 목적 교사들 진로교육허브의 필요성과 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 사업의 전 과정에서 중요하게 이뤄지는 것이 제도권, 비제도권을 망라한 진로교육전문가들의 자문과 피드 백을 받고, 각 기관이 가진 자원들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각자의 영역에서 열심히 하고는 있지만 서로 공유되지 못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자료, 프로그램, 인적자원 등 다양한 인프라를 망라하고 정리해, 여러 현장들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사업을 네트워크 방식으 로 진행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진로교육이 진학 및 취업을 넘어서 삶 전체를 바라보는 과정이어야 하고, 한 현장에서 모든 것을 풀어내기에 는 역부족이므로 하여 공간민들레는 현재 수준별, 단계별, 상활 별 각기 다른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많은 현 장의 진로교육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함께 풀어낼 수 있는 허브 역할을 해서 청소년들의 자기 길 찾기에 기여 하고자 합니다.
  • 7. 3. 바라는 목적 7 바라는 목적 아이들 자신과 세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삶의 목표 세우기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기 삶의 중심으로 잡고 싶은 화두, 삶의 목표를 세울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일과 업을 망라하여 어떤 직업, 어떨 일을 하던지 삶 전체의 방향을 잡을 수 있는 기준을 세우고 또 그것을 스스로 표현해 낼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이러한 삶의 목표는 외부를 통해 주어지는 것 이 아니라 스스로를 돌아보고 타인을 살피는 과정을 통해 자기 안에서 우러나오는 것이어야 합니다. 청소년들이 그러한 삶의 목표를 세우는 과정을 돕고자 합니다.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자기 스토리텔링 청소년 스스로 자신의 성과를 정리해내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자 합니다. 그 결과물은 손에 잡히는 자료 이기 이전에, 나와 내가 속한 세상을 돌아보고 그 안에서 지금 내가 서 있는 이 자리를 나의 언어로 표현하 는 것. 그 모든 과정의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는 포트폴리오, 나의 이야기책이 만들어 지기를 원합니다.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것으로 시작해서 이 사업이 자신의 인생에서 어떠한 사건이 되었는지 의미화 하는 자기 스토리텔링이 되는 것이 마지막의 가장 의미 있는 보고서이자 최종 목적일 것입니다.
  • 8. 4. 예상 결과물 8 예상 결과물 포트폴리오 일상적으로 진행되는 모든 활동들을 기록하고 그 안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배움 들을 정리할 수 있는 포트 폴리오를 작성하려 합니다. 이는 단순한 기록물 이상의 의미로, 진행되는 모든 프로그램들을 꼼꼼히 살피 고 그 안에서 나의 모습을 보다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 있는 도구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결과보고서 본 사업에서는 활동들의 의미를 개념화 하고 정리해내는 작업을 중요하게 염두 해 두고 있습니다. 하나하나 개별로 실행했던 의미 있는 경험들을 한 맥락 안에서 이어내는 작업, 그런 연결 작업의 의미 및 효 과, 결과 등을 외부로 열어 놓고 함께 논의해 가면서 다듬어 가는 작업, 그 작업들이 마지막에 연구보고서 형식으로 정리되는 것이 최종 방향입니다. 자체적인 만족의 수준을 넘어서 기존의 진로교육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의미가 담긴 공공적인 결과물을 만 들어 내고자 합니다.
  • 9. 5. 사업운영 원칙 및 방향 9 사업운영 원칙 및 방향 유관 기관들의 네트워크형 사업이다 커뮤니티가 활동의 중심이자 원칙이다 <공간민들레가> 센터가 되고, 각 기관 및 시민사회단체, 공교육과 커뮤니티가 활동의 중심축이다. 소그룹 안에서 신뢰관계 형성을 통해 대안교육현장들이 모여 함께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 네트워크사업이다. 서로 격려하고 지지하므로 주체적이며 창의적인 진로 활동의 견인차 역할을 한다. 창의적 활동단체 서울시 문화예술 교육청 단체 공간민들레 인턴십 자원 현장 활동가 장인 부모
  • 10. 6.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10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 명사초청강연 세상 돌아보기 과정 정리하기 • 자서전 목차 만들기 • 지나온 과정 살피기 • 거인과의 만남 • 포트폴리오 작성 • 심화인터뷰 • 5박6일 걷기여행 • 인턴십 활동 • 발표회 • 삶 속 나의 입장정리하기 과정 돌아보기 나 돌아보기
  • 11. 6.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11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Step Ⅰ. 길 위에 발을 디디며 - 명사 초청강의 개인의 꿈과 목표가 조금 더 가치 지향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청소년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명사를 모시 고 이야기를 듣는 자리 Step Ⅱ. 내가 걸어온 길 - 자서전 목차 만들기 지금의 나를 이루고 있는 삶의 요소들과 마주한다. '나는 어떻게 살아 왔는가'_ 부모의 삶, 가족 이야기, 나 의 관심과 흥미,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내가 살아 온 시대는? 등 Step Ⅲ. 내가 서 있는 길 - 인터뷰를 통한 입장 세우기 내가 부딪친 사건과 인물(자서전 목차 활용)에 대한 심화 인터뷰를 통해 사회 속에서 자신이 서 있는 위치 를 확인하고 자신의 입장을 정리해 본다.
  • 12. 6.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12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Step Ⅳ. 길을 찾아서 - 거인과의 만남 커뮤니티 관심 영역에서 일가를 이룬 거인과의 만남을 통해 내가 가고 싶은 길을 구체적으로 탐색한다. Step Ⅴ. 길을 떠나다 - Internship 프로그램 커뮤니티 단위로 인턴십 대상 찾기, 섭외, 인턴십 과정, 평가 등을 진행 Step Ⅵ. 길 위에서 - 걷기 여행 커뮤니티 멤버들과 함께 자신의 길 찾기 과정을 돌아보고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