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성공적인  SW 사업 수행을 위한ㅇㅇㅇㅇ  ㄴㅉ프로세스 프레임워크 및 적용사례 2008. 9  SW Quality Insight Session 2 2008.09.25
목차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개요 1.  국제 표준 프로세스 현황 2.  선진국의 발주관리 프로세스 현황 3.  국내  SW 발주관리 프로세스의 역사 4. SW 사업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 5. SW 발주관리 표준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6.  프레임워크 구성내용 7.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8.  공공부문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도입효과  9.  발주관리 프로세스 관점의 사업 유형 정의 II.  프로세스 컨설팅 방법론 10.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컨설팅 방법론 11.  SW 발주관리 컨설팅 수행 방법론 구성요소 12.  현황 분석 모델 - Consulting Step 1, 2, 3, 4 III.  프로세스 컨설팅 적용사례 13.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컨설팅 적용사례  14.  컨설팅 적용 방향 - The Case : XX 부  15.  적용 사례에 대한 교훈 및 개선점 IV .  향후 발전방향 16.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개선사업 추진체계 및 목표 17.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Village 18. SW 공학기술센터의 프로세스 컨설팅 발전방향
1.  국제 표준 프로세스 현황  SW  획득관리 관련 국제 표준 프로세스들이 많이 존재하나 국내 도입되어 활용하고 있는 사례들은  CMMi, ISO 155504, 12207, ISO 90000 series  등이 있음 < SW  획득관리 관련 국제 표준 동향  > Page-1
2.  선진국의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현황 ISO/IEC 12207(’95) 의 국내화     IEEE/EIA 12207(’98) 미국 JIS X 0160:1996(ISO/IEC 12207  번역본 ) 의 국내화    SLCP-JCF’98:  감사 프로세스의 강화 일본 V-model  ISO/IEC 12207 과의 호환성 검토 독일 <  선진국의  SW 사업 수명주기 표준 프로세스  > Page-2
3.  국내  SW 발주관리 프로세스의 역사 2003 년 SW 발주관리 통합 프레임워크 개발 프레임워크 개발 SW  발주관리 프로세스개발 제도화 및  표준화 교육 및  지원자료 개발 2004 년 표준 프로세스 사용자 별 프로세스 개발 테일러링 프로세스 /  세부프로세스 개발 시범적용 실시 2005 년  ~ 2006 년 산업표준 채택 (TTAS KO-09_0038) SW 사업관리감독에관한일반기준 제도화 ( 정통부 고시 제 2006-39 호 ) 부처 시범적용 ( 헌법재판소 ,  국방부 ,  정통부 등 ) 2007 년 국가표준 채택 (KICS KO-09_0038) 전문 교육교재 및 기타 홍보자료 개발 시범 적용 컨설팅 수행 ( 통일부 ,  정통부 ,  문광부 ) 도구 개발 및 보급 2008 년 ~ SW 발주관리 적용툴 개발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전문가 교육  Page-3
4.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  ( 지경부 고시 )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은 공공부문  SW 사업에 적용함에 있어 필요한 세부사항을 정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 SW 사업의 전과정에 걸친 프로세스와 각 프로세스별 활동 및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절차 ,  산출물 ,  고려사항 ,  관련법령 등을 제시    공공부문  SW 사업 발주관리 표준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는  ISO12207 을 기반으로 개발 되었으며  SW 개발에 필요한 모든 프로세스 ,  활동 및 작업들의 집합과 관계를 정의한 구조 핵심수명주기 프로세스 지원수명주기 프로세스 조직수명주기 프로세스 발주 프로세스 공급 프로세스 개발 프로세스 운영 프로세스 유지보수 프로세스 정보전략계획 프로세스 문서화 프로세스 형상관리 프로세스 품질보증 프로세스 검증 프로세스 확인 프로세스 합동검토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기반구조 프로세스 프로세스개선 프로세스 인적자원 프로세스 정보화 기획 프로세스 성과관리 프로세스 감리 프로세스 문제해결 프로세스 Page-4
5. SW 사업 발주관리 표준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Page-5 제안요청서검토 제안서 준비 계약 및 변경 사업수행계획수립 실행 및 통제 검토 및 평가 납품 및 종료 5.1  발주 프로세스 5.2  공급 프로세스 계약 관점 계획관점 5.4  운영프로세스 5.6  정보전략계획 프로세스 운영 준비 시스템 운영 운영시험 사용자 지원 공학관점 6.3  품질보증 프로세스 5.3  개발 프로세스 5.5  유지보수 프로세스 개발준비 소프트웨어설치 소프트웨어인수지원 시스템요구사항분석 시스템구조설계 시스템통합 소프트웨어요구사항 분석 소프트웨어 구조설계 소프트웨어 상세설계 소프트웨어코딩 및 단위시험 유지보수준비 유지보수 분석 시스템 유지보수 유지보수 검토 / 승인 소프트웨어 이전 소프트웨어 폐기 운영관점 관리준비 관리계획 수립 관리 실행 및 통제 검토 및 평가 종결 7.1  관리 프로세스 관리 관점 7.2  기반구조 프로세스 7.4  인적자원 프로세스 6.  지원수명주기 프로세스 6.1  문서화 프로세스 6.2  형상관리 프로세스 품질관리관점 6.4  검증 프로세스 6.5  확인 프로세스 6.6  합동검토 프로세스 6.7  감리 프로세스 6.8  문제해결 프로세스 7.6  성과관리 프로세스 7.3  프로세스 개선 프로세스 프로세스 정립 프로세스 평가 프로세스 개선 5.  핵심수명주기 프로세스 7.  조직 수명주기 프로세스 발주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 및 변경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기획 관점 7.5  정보화기획 프로세스 소요제기 기본계획 수립 시행계획 수립 정보전략계획준비 현행 시스템 분석 목표 시스템 정의 이행계획 수립 시스템자격시험 소프트웨어 통합 소프트웨어 자격시험
6.  프레임워크 구성내용 <  공공부문  SW 사업 발주관리표준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전체 구성  > 핵심  (Primary)  수명주기 지원 (Supporting)  수명주기 조직 (Organizational)  프로세스 발주 (Acquisition)  프로세스 공급 (Supply)  프로세스 개발 (Development)  프로세스 운영 (Operation)  프로세스 유지보수 (Maintenance)  프로세스 정보전략계획 (Information Strategic Planning)  프로세스 문서화 (Documentation)  프로세스 형상관리 (Configuration Mgmt.)  프로세스 품질보증 (Quality Assurance)  프로세스 검증 (Verification)  프로세스 확인 (Validation)  프로세스 합동검토 (Joint Review)  프로세스 감리 (Audit)  프로세스 문제해결 (Problem Resolution)  프로세스 관리 (Management)  프로세스 기반구조 (Infrastructure)  프로세스 프로세스 개선 (Process Improvement)  프로세스 인적자원 (Human Resource)  프로세스 정보화기획 (Information Programming)  프로세스 성과관리 (Performance Mgmt.)  프로세스 Page-6 178 개 88 개 20 개 3 개 39 26 6 조직 32 23 8 지원 107 39 6 핵심 작업 활동 프로세스 수명주기
7.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 예시 ) 1. 발주 프로세스 2.  공급 프로세스 3.  개발 프로세스 발주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 및 변경 인수 및 종료 제안 준비 계약 및 변경 사업수행 계획 수립 사업 실행 및 통제 납품 및 종료 제안요청서 입찰공고 계약서 형상 통제 형상 상태 감독 실물 형상 실사 기능 형상 실사 변경처리 문제해결 Milestone 사업관리 계획 수립 사업관리 실행 및 통제 산출물 검토 및 평가 요구사항 정의 분석 및 설계 코딩 및 단위시험 자격시험 수행 인도 준비 D-1 D-2 D-3 D-4 자격시험 준비 4. 형상관리 5. 변경처리 형상 관리 계획 품질실사 품질보증 계획 합동검토 발주계획서 사업관리계획서 인수 계획서 인수시험 결과보고서 사업종료보고서 사업수행계획서 제안서 인수 확인서 요구사항 기술서 SW 설계기술서 데이터베이스 설계기술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기술서 요구사항추적표 SW  코드 SW  단위시험 계획서 자격시험계획서 자격시험결과보고서 형상상태보고서 형상실사보고서 인도요약서 형상관리계획서 형상상태보고서 실물형상실사보고서 기능형상실사보고서 변경요청서 합동검토결과보고서 문제보고서 품질보증계획서 품질실사보고서 계약서 사업 현황 보고서 , Issue Tracker, Risk Tracker 6. 품질보증 7. 합동검토 8. 문제해결 A C D E B <  프로젝트 관리 및 수행 절차  > Page-7
8.  공공부문  SW  발주관리프로세스도입 효과 Page-8 수주자 측면 발주자 측면 발주자 주도의 사업운영 1 발주자  관리능력 개선 2 표준화된 절차 및 산출물 제공으로 관리 용이성 증대 3 체크리스트를 통한  사업 통제 및 모니터링 가능 4 표준화된 산출물의 재사용성 5 초기 투자비용이 요구되나 사업의 품질 확보 가능 1 기존의 비효율적 작업 및 중복작업 개선 가능 2 표준화된 산출물 및 양식 제공으로 자체 표준화 가능 3 표준화된 산출물의 재사용성 4 발주관리 프로세스
9.  발주관리 프로세스 관점의 사업유형 정의  SW 와 관련된 사업유형은  SW 개발 ,  유지보수 사업 , ISP  사업  3 가지로 구분되며 ,  각 사업의 특성에 맞게 프로세스를 테일러링 하여 사용하여야 함 운영 유지보수 정보전략 계획 SW 개발 1.  정보전략계획 준비 2.  현행 시스템 분석 3.  목표 시스템 정의 4.  이행계획 수립 1.  개발준비 2.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3.  분석 및 설계 4.  코딩 및 단위시험 5.  통합 테스트 6.  인수 준비 1.  유지보수 준비 2.  유지보수 분석 3.  시스템 유지보수 4.  유지보수 검토 및 승인 5. SW  이전 및 폐기 1.  운영준비 2.  운영시험 3.  시스템 운영 4.  사용자 지원 ISP 사업 발주 SW 개발 사업 발주 유지보수 사업 발주 <  사업유형의 발주흐름  > Page-9
10. SW 사업 발주관리 프로세스 컨설팅 방법론  (SWABOK)     준비 ,  계획 단계는 대상 사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    실행 단계에서는 대상 사업이 발주관리 지침에 준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멘터링을 제공하고 ,  조직 표준 프로세스 정립 / 개선 지원    종료단계를 통해 컨설팅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사항 도출 Page-10 Mobilization 컨설팅 수행자 컨설팅 대상기관 Diagnosing( 진단 ) Planning( 기획 ) Supporting Project Execution Supporting Process Improvement Closing 프로세스 평가 발주준비 RFP  준비 계약 및 변경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프로세스 정립  /  개선 대상 사업 이해 준 비 계 획 실 행 종 료 현황 분석 프로젝트 프로세스 정의 컨설팅 수행방안 정의 상세  Work Plan  수립 프로세스 적용 맨터링 정기적 사업 수행 점검 프로세스 정립  /  개선 지원 컨설팅 결과 분석 개선사항 도출
11. SW 발주관리 컨설팅 수행 방법론  (SWABOK)  구성요소 1. Mobilization 대상 사업 이해 컨설팅 수행 환경 구축 2. Planning 컨설팅 세부 수행 방안 정의 Work Plan  수립 [Diagnosing] 3. Awareness 대상 조직 검토 자료 정의 참조모델  / Best Practice  식별 현황 분석 계획 관련 이해당사자 교육 [Diagnosing] 4. Analysis 자료 분석 인터뷰 설문조사  (awareness/satisfaction) Gap & Indication  도출  (capability) 현황 분석 결과 보고 [Diagnosing] 5. Recommendation 프로세스 테일러링 지원 프로세스 아키텍처 정립 7. Quick-Win 대상 사업 프로세스 적용 선지원 [Diagnosing] 6. Defining 컨설팅 수행 방안 및 분석 결과 검토 컨설팅 수행 방향성 수립 8. Process Improvement 프로세스 정의 원칙 수립 지원 세부 프로세스 정의 지원 9. Project Execution 프로세스 적용 맨터링 정기적 사업 수행 점검 회의 워크샵 10. Closing 대상 사업 종료 시범 적용 결과 분석 개선사항 도출 준비 계획 실행 종료 AS IS  분석 To-Be  제시 *SWABOK : SoftWare Acquisition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Page-11
   현황 분석 절차 Step I Awareness ( 인지 ) Step II Analysis ( 분석 ) Step III Recommendation ( 권고 ) Step IV Defining ( 정의 ) 현황 분석의 범위를 정하고 ,  이를 수행하기 위한 계획 수립 관련 이해 당사자 교육 제공 현황 분석  ( 자료 ,  설문 ,  인터뷰 )  수행과 이를 기반으로 현황 분석 결과 도출 현황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프로세스 구성 및 조직 표준 프로세스 아키텍처 정의 현황 분석 결과 ,  프로젝트 프로세스 ,  표준 프로세스 아키텍처를 검토하고 ,  시범 사업 집중 관리 영역 및 수행 전략 도출 검토자료 목록 현황분석 계획  ( 현황분석 프레임워크 포함 ) 교육 자료 현황 분석 계획 수립 관련 이해당사자 교육 검토 대상 자료 , Best Practice  정의 자료 분석 ,  설문 조사 ,  인터뷰 Gap & Indication  도출 분석 결과 보고 프로세스 테일러링 프로세스 아키텍처 정립 시범 사업 수행 방향성 정립 워크샵 워크샵 보고서 확정된 산출물 ) 설문 조사 결과 현황분석  Worksheet 현황분석 결과 보고서 프로젝트 프로세스 구성  ( 안 ) 프로세스 아키텍처  ( 안 ) 12.  현황 분석 모델 Page-12
Consulting Step 1.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목적  (WHY) 컨설팅을 효과적 /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반 마련  :  대상 조직 및 컨설턴트 간 상호 이해 수행 범위  (WHAT) 대상 조직 / 사업에 대한 기본정보 확보 및 이해 대상 조직과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에 대한 이해 및 합의 도출 발주 프로세스 개선 및 적용에 대한 대상 조직의 확약 (commitment)  획득 프로세스 개선 및 적용에 참여할 대상 조직 실무자 교육 제공 컨설팅 수행환경 구축 [ 결과 산출물 ]  컨설팅 범위 정의서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프로세스 현황 진단 수행 개념 및 원칙  (HOW) 컨설팅의 목적 및 내용에 대한 상호 이해가 가장 우선되어야 함 컨설팅 수행에 있어 주어진 제약사항 하에서 대상 조직의 니즈를 수용해야 하므로 ,  중점적으로 수행할 컨설팅 영역을 찾는 것이 중요함 컨설팅 수행 제약사항  :  컨설턴트 리소스 제약 ,  컨설팅 시범사업 수행 기간 제약 ,  프로세스 중점 (vs.  기술 중점 )  등 프로세스 개선 및 적용에 참여할 실무자 뿐만 아니라 ,  참여 실무자의 상위관리자로부터의 확약 (commitment)  획득이 성공적인 컨설팅 수행의 필수 요소임 수행 시점  (WHEN) [ 시작조건 ]  컨설팅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직후 [ 종료조건 ]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에 대한 합의 및 이해 관계자의 확약 획득 시 Page-13 준비 정립 적용 종료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정의 조직의 확약 획득 발주 관리  교육 수행 컨설팅 수행환경 구축
Consulting Step 1.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역할 및 책임  (WHO)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프로세스 현황 진단 Page-14 준비 정립 적용 종료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   사업계획서 또는 사업신청서 컨설팅 사업 신청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Kick-off  미팅 컨설팅 소개 자료 제공   Kick-off  미팅 참여 조직  /  사업 관련 문서 검토    조직  /  사업 관련 문서 관련 정보 제공 설문 조사 설문지 배포        설문 작성 결과 제공 설문지 작성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정의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제안 기본 컨설팅 목표 및 범위 제시      고객의 니즈 및 목표 제시 조직의 니즈 및 목표 정의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합의 합의된 컨설팅 목표 및 범위   조직의 확약 (commitment)  획득 고객기관의 참여 및 필요 자원 제안 고객 참여 및 필요 자원 제시   필요한 자원에 대한 승인 발주관리 교육 수행 교육 수행 교육 자료 제공   교육 참여 컨설팅 수행환경 구축 환경 설정    작업 환경 ( 회의실 ,  네트워크 등 )  제공 환경 설정 지원
Consulting Step 2.  발주 · 관리 프로세스 현황 진단 목적  (WHY) 대상 조직 프로세스의 강점과 약점을 식별하여 조직의 현재 능력 파악 현 조직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개선활동 식별 조직의 개발 ,  발주 ,  유지보수 과정에 존재하는 위험요소 식별 수행 범위  (WHAT) 진단 범위  :  현황 진단은  SW  사업과 관련된 프로세스 영역에 한정하며 ,  각 프로세스 영역에 대해 품질 구성요소 ( 프로세스 ,  사람 ,  기술 관점 ) 를 고려하여 조직의 수준을 평가함 진단 활동  :  현황 진단은 크게 계획 ,  진단 수행 ,  결과 보고 활동으로 구성됨 SCAMPI* 를 기반으로 현황진단 프로세스를 구성함 [ 결과 산출물 ]  현황진단  worksheet,  현황진단 결과 보고서 * SCAMPI : Standard CMMI Appraisal Method for Process Improvement. CMMI  모델을 기반으로 조직의 프로세스 품질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의 공식적인 평가 방법 .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프로세스 현황 진단 Page-15 준비 정립 적용 종료
Consulting Step 2.  발주 · 관리 프로세스 현황 진단 수행 개념 및 원칙  (HOW) 현황진단의 상세 수준은 대상 조직의 현재 프로세스 정립 및 적용 수준과 컨설팅 목표에 따라 달라짐 조직의 체계적인 발주 프로세스 개선 / 정립이 컨설팅의 우선 목표이거나 조직의 현재 프로세스 수준이 높은 경우 ,  상세한 수준으로 현황 진단을 수행해야 개선 영역을 도출 가능함 대상 조직의 사업을 성공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컨설팅 목표이고 조직의 현재 프로세스 수준이 높지 않은 경우 ,  상위 수준의 현황 진단만으로도 필요한 수준의 평가가 가능함 본 문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현황진단 방안은 두번째 경우에 보다 중점을 두고 설명하고 있음  ( 첫번째의 경우 , SCAMPI 와 같은 공식적인 진단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 ) 조직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상 조직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필요함 현황 진단에 필요한 자료의 제공 인터뷰 대상자의 시간 할애  ( 인터뷰 수행 ,  현황 진단 결과 검증 등의 활동 참여 필요 ) 현황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컨설팅 범위 정의서’가 갱신되어야 함 식별된 개선사항에 대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  이를 기반으로 컨설팅 중점 영역을 재조정 수행 시점  (WHEN) [ 시작조건 ]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에 대한 합의 및 이해 관계자의 확약 획득 후 공급자가 선정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함 [ 종료조건 ]  현황 진단 결과 보고 직후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프로세스 현황 진단 Page-16 준비 정립 적용 종료
Consulting Step 2.  발주 · 관리 프로세스 현황 진단 역할 및 책임  (WHO)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프로세스 현황 진단 Page-17 준비 정립 적용 종료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현황진단 계획 수립 현황진단 계획 수립 현황진단 계획   현황진단 계획 승인 문서 분석 문서 수집    문서 자료 제공 분석 대상 자료 제공 문서 분석 인터뷰 수행 인터뷰 수행 인터뷰 참석 Gap & Indication  도출 현황진단 결과 사전 검증 현황진단 결과 보고서 ( 초안 )  작성 현황진단 결과 보고서 ( 초안 )  발표      현황진단 결과 검토 의견 제공 현황진단 결과 검토 현황진단 결과 보완 현황진단 결과 보고 현황진단 결과 보고 현황진단 결과 보고서 발표  
Consulting Step 3.  정립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정립 목적  (WHY) 조직 차원의 표준화된 발주 프로세스의 개선 또는 정립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대효과 커뮤니케이션 체계 확립을 통해 업무 효율 향상 품질체계 정립을 통해 시스템 품질 확보 사업에 대한 가시성 확보를 통해 사업성공율 향상 사업 경험의 자산화  ( 지식 공유 ) 수행 범위  (WHAT) 프로세스 정의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 및 조직의 특성 식별 조직 프로세스에 포함될 프로세스 영역 선정 ,  생명주기 및 활동 순서 정의 ,  역할 및 입 / 출력물 정의 조직 프로세스 수행에 필요한 표준 양식 및 가이드라인 / 체크리스트 개발 [ 결과 산출물 ]  프로세스 정의서 ,  관련 프로세스 자산  ( 표준 양식 ,  가이드라인 ,  체크리스트 등 ) 수행 시점  (WHEN) [ 시작조건 ]  현황진단 결과 도출 및 프로세스 개선 / 정립에 대한 범위 합의 후 [ 종료조건 ]  개선 / 정립된 조직 프로세스 및 관련 프로세스 자산 정의 후 프로세스 정립 Page-18 준비 정립 적용 종료
Consulting Step 3.  정립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정립 수행 개념 및 원칙  (HOW)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정립은  [ 공공부문  SW  발주 프로세스 실행모델 ] 을 기반으로 수행함 [ 공공부문  SW  발주 프로세스 실행모델 ] 은  [ 공공부문  SW 사업 발주 . 관리 표준 프로세스 ], ISO/IEC12207, CMMI, ISO/IEC15504, PMBOK  등의 표준 참조모델을 기반으로 공공기관에서 실제 사업에 적용 가능하도록 만든 실행 가능한 참조모델임 조직 프로세스가 조직에 맞게 정립되기 위해서는 조직 내부 인원의 참여가 핵심임 조직 프로세스 정의 시 조직 내부  인원이 직접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  ( 컨설턴트와 같이 작업 ) 프로세스 정의 작업을 같이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  내부 인원에 의한 충분한 검토 필요 대상 사업에 준하는  프로세스 정립 조직의 표준 프로세스는  다양한 사업의 특성에 따라  한 개 이상이 정의될 수 있음 본 문서에서는 시범 대상 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세스 정립에 국한함 프로세스 정립 Page-19 준비 정립 적용 종료
Consulting Step 3.  정립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정립 역할 및 책임  (WHO) 프로세스 정립 Page-20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사업 / 조직 환경 식별 추가 자료  &  정보 요청   사업 / 조직 특성 파악    필요 자료  &  정보 제공 요청받은 자료 제공 여부 판단 프로세스 정의 프로세스 선정    프로세스 선정 협의   프로세스 선정 활동 참여 프로세스 / 활동 순서 정의    프로세스 / 활동 순서 협의   프로세스 / 활동 순성 정의 활동 참여 세부항목 정의    세부항목 협의   세부항목 정의 활동 참여 프로세스 정의서 작성 프로세스 정의서 제공      검토의견 제공 프로세스 정의서 검토 프로세스 정의서 보완  프로세스 자산 개발 프로세스 자산 개발 프로세스 자산 제공      검토의견 제공 프로세스 자산 검토 프로세스 자산 보완 반복 수행 반복 수행 준비 정립 적용 종료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목적  (WHY) 시범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지원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지원을 통한 기대효과 사업에 대한 가시성 확보를 통해 납기준수율 제고 품질체계 적용을 통해 시스템 품질 확보 실무자 발주 관리 역량 강화 SW 공공구매 제도 / 지침에 대한 만족도 향상 SW 공공구매 제도 / 지침 적용 우수사례 (Best Practice)  도출 수행 범위  (WHAT) 발주 프로세스 기반의 활동에 대한 컨설팅 수행 각 단계별로 법 / 제도 지원 ,  사전검토 수행 ,  사업관리 맨터링 ,  품질활동 지원 측면의 컨설팅 수행 [ 결과 산출물 ]  발주자 / 공급자 산출물 ,  산출물 검토의견 ,  회의록 ,  품질실사보고서 등 프로세스 적용 발주 계획 수립 제안요청서 준비 및 공급자 선정 사업관리계획 수립 사업관리 수행 및 통제 산출물 검토 및 평가 인수 및 종료 발주 프로세스 단계 단계별 컨설팅 활동 유형 Page-21 준비 정립 적용 종료 법 / 제도 지원 사전검토 수행 사업관리 맨터링 품질활동 지원 프로세스 적용  컨설팅 발주와 관련된 법 / 제도 정보 지원 법 / 제도 관점에서 산출물 검토 단계별 활동에 대한 사전점검 관련 정보 ( 표준 , 양식 등 )  제공 / 검토 사업관리계획 작성 지원 / 검토 사업 현황검토 회의 참여 사업 관리 도구 사용 지원 산출물 검토  ( 요구사항 초점 ) 품질 실사 수행 발주준비 인수 및 종료 공급자 관리 계약 및 변경 RFP  준비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수행 범위  (WHAT) 단계별 법 / 제도 지원 측면의 컨설팅 활동 프로세스 적용 Page-22 준비 정립 적용 종료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수행 범위  (WHAT) 단계별 사전검토  /  사업관리 맨터링  /  품질활동 지원 측면의 컨설팅 활동 Page-23 프로세스 적용 준비 정립 적용 종료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수행 개념 및 원칙  (HOW) 공학적인 (Engineering)  관점보다는 관리적인 (Management or Process)  관점에 중점을 두고 컨설팅 수행 사전검토 ,  사업관리 ,  품질활동 ( 품질실사 )  등 공학적인 관점에서는 요구사항 및 요구사항과 관련된 산출물의 정합성 검증에 중점을 둠 프로세스 성숙도가 낮은 조직의 경우 ,  기본적인 사업 관리 체계를 갖추고 이를 통해 관리 가시성을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고 컨설팅 수행 예 )  구체적인 사업관리계획의 작성 ,  주기적인 현황 검토 회의의 수행 ,  정형적인 추적체계 사용 등 프로세스 성숙도가 높은 조직의 경우 ,  현황 진단 결과를 토대로 중점영역을 선정하고 이에 따라 컨설팅 역량 집중 필요 수행 시점  (WHEN) [ 시작조건 ]  현황진단 결과 도출 및 프로세스 개선 / 정립에 대한 범위 합의 후  원칙적으로는 프로세스 정립 활동과 병렬적으로 수행 가능 가능하다면 프로세스 정립 후 정립된 프로세스에 따라 시범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 종료조건 ]  시범사업의 종료 프로세스 적용 Page-24 준비 정립 적용 종료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역할 및 책임  (WHO) 프로세스 적용 Page-25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발주계획 수립 지원 사전검토 관련 법 / 제도 ,  발주계획서 양식 제공   사전검토 참여    발주계획서 검토 의뢰 발주계획서 작성 발주계획서 검토 검토의견 제공   발주계획서 보완 RFP 준비 및 공급자 선정 지원 사전검토 관련 법 / 제도 , RFP  양식 제공   사전검토 참여    RFP  검토 의뢰 RFP  작성 RFP  검토 검토의견 제공   RFP  보완 공급자 선정 및 계약 사업관리계획 수립 지원 사전검토 활동 가이드 ,  사업관리계획서 양식 제공 / 검토   사전검토 참여 사업관리계획 작성 지원    사업관리계획 검토 의뢰 사업관리계획서 작성 사업관리계획 검토 검토의견 제공   사업관리계획 보완 준비 정립 적용 종료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역할 및 책임  (WHO) 프로세스 적용 Page-26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사업관리 수행 및 통제 지원 사전검토 활동 가이드 ,  관련 양식 제공 / 검토   사전검토 참여 사업 통제 지원 사업 수행 및 통제    품질실사 수행 요청 품질실사 수행 품질실사 보고서 제공   산출물 검토 및 평가 지원 사전검토 활동 가이드 ,  관련 양식 제공 / 검토   사전검토 참여    산출물 검토 의뢰 산출물 작성 산출물 검토 검토의견 제공   산출물 보완 인수 및 종료 지원 사전검토 활동 가이드 ,  관련 양식 제공 / 검토   사전검토 참여 인수활동 지원 인수 활동 수행 반복 수행 반복 수행 준비 정립 적용 종료
Consulting Step 4.  종료  :  컨설팅 수행결과 분석 목적  (WHY) 컨설팅 수행 성과 분석 컨설팅 시범사업에 대한 개선사항 식별 공공부문  SW 사업 발주 . 관리 표준 프로세스 개선사항 식별 수행 범위  (WHAT) 고객만족도 조사 시범사업 사후검토 시범적용 효과 분석 및 개선사항 식별 [ 결과 산출물 ]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  사후검토 회의록 ,  컨설팅 수행결과 보고서 등 컨설팅 수행결과 분석 Page-27 준비 정립 적용 종료
Consulting Step 4.  종료  :  컨설팅 수행결과 분석 수행 개념 및 원칙  (HOW) 대상사업 초기에 정의된 컨설팅 목표를 기반으로 수행결과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 대상사업이 단기간에 수행되는 점을 감안하여 정량적인 분석 수준을 결정해야 함 .  정량적 결과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활동이 사업 진행에 관리 오버헤드로 작용함 .  중요한 영역에 대해 한정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표준 프로세스 및 시범사업에 대한 개선사항은 컨설팅 수행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함 수행 시점  (WHEN) [ 시작조건 ]  대상 사업의 종료  ( 컨설팅 범위에 속하는 모든 활동의 종료 ) [ 종료조건 ]  컨설팅 수행결과 보고서의 승인 역할 및 책임  (WHO) 컨설팅 수행결과 분석 Page-28 준비 정립 적용 종료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고객만족도 조사 고객만족도 양식 배포      고객만족도 평가 결과 제공 고객만족도 평가 시범사업 사후검토 시범사업 사후검토 수행 사후검토 회의록   시범사업 사후검토 참여 시범적용 효과 분석 및 개선사항 식별
13.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컨설팅 적용사례 Page-29 LOG 분석기 EDMS,  침입차단시스템 리포팅툴 ,  메일감사시스템 분리 발주 2007.9.14~12.20 2007.10.23~11.30 2007.8.17~12.29 기간 ITA  및 지식행정시스템 확대구축 사업 정책관리서비스 안정화 및  U- 행정서비스 지원사업 정보시스템 개선사업 사업명 XX 부 XX 부 XX 부 구분
14.  컨설팅 적용 방향 해당기관에 맞는 표준 프로세스의 정립 및 적용을 통해  SW 공공구매제도 / 지침의 확산 기반을 마련하고 ,  해당기관의 사업을 성공적으로 지원 .  아울러 , SW 공공구매제도 및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세부지침 적용을 통해 모범사례 발굴 ,  확산 Page-30
The Case :  개요 시범사업 개요 사업명  : XX 부 정보시스템 개선사업  ( 업무관리시스템 고도화  &  네트워크 개선 ) 사업예산  : 2,703,000,000 원 ( 부가세포함 ) 업무관리시스템 고도화 사업 사업기간  : 2007.8.17 ~ 2007.12.29 (4.5 개월 ) 사업범위  (SW 개발 및 커스터마이징 )  부내 정보시스템간 연계  :  업무관리시스템 ,  통일행정포탈 ,  지시관리시스템 ,  전자결재시스템 업무관리시스템 기능 개선  : XX 부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  정보제공을 위한 메신저 개발 통일행정포탈 기능 개선  :  메인화면 수정 , QnA  또는  Helpdesk  기능 추가 지식관리시스템 기능 개선  :  업무카드분류체계 반영 전자결재시스템 기능 개선  :  데이터 이관 ,  메신저 알림서비스 추가 [ 분리발주 ]  리포팅툴 ,  메일감사 시스템  (106 백만원 ) 네트워크 개선 사업 사업기간  :  사업자 선정 및 계약 후  5 개월  ( 예정 ,  현재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 중 ) 사업범위  ( 인프라 구축 및  SW  구매 ) 네트워크 구축 침입차단 ( 방지 )  시스템 도입 IP  및 망 관리 시스템 도입 PMS  및 통합  PC  보안 시스템 도입 보안  USB  관리 시스템 도입 사무용  PC  구매 보안 메일 시스템 도입 [ 분리발주 ] PC  보안  SW (60 백만원 ) –  현재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 중 Page-31
The Case :  사업 개요 주요 일정  &  현재 진행 상황 주 사업  ( 업무관리시스템 고도화 ) 현재 통합테스팅 진행 중 차주 중 감리 수행 예정 선 구현 후 문서화  ( 발주자와 공급자 간 합의 ) SW  분리발주 리포팅툴 ,  매일감사시스템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 발주 수행됨 Page-32
The Case :  컨설팅 활동 요약 Page-33
The Case :  준비단계  (1) 컨설팅 활동 XX 부 컨설팅  Kick-off 사업계획서 검토 ‘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검토 XX 부 프로세스 현황 진단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정의 발주관리 교육 수행 사업 특징 저예산 및 촉박한 일정으로 공급자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음  ( 긴급발주 ) 다양한 시스템을 연계하는 사업으로 사업 참여자 및 관련 이해당사자가 많음 관리적인 측면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계획이 중요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설계가 중요 공급자의 관리 · 개발 방법론  :  관리기법 /1 (Method/1) 고객 기관의 컨설팅 요구사항 SW  분리발주 방안에 대한 검토 ,  사업진행 방향 ,  방안 등 프로젝트 관리기술에 대한 지원 공급자의 사업관리 오버헤드 최소화  ( 예산 ,  정해진 일정에 비해 사업범위가 큼 ) Page-34 준비 정립 적용 종료
The Case :  준비단계  (2) 조직 프로세스 현황 진단 XX 부 프로세스 관련 자산 (‘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등 )  검토 인터뷰 및 설문조사 수행 Process People Technology 품질 관점 별 조직 성숙도 수준 발주 프로세스 영역별 조직 성숙도 수준 대체적으로 프로세스 성숙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됨 정보화 사업 관련 상위 수준의 지침이 존재하나 ,  사업 관리 실무를 위한 절차 ,  역할  &  책임 ,  표준 양식 정의 미흡 조직 지침이 실무에 부분적 또는 일관성 없이 적용되고 있음 정보화 관련 업무량에 비해 담당인원이 매우 부족하다고 실무자들이 생각하고 있음 사업관리를 위한 지원 도구 사용하고 있지 않음 시사점 대외적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RFP  준비 ,  제안서 평가 ,  계약 등의 공급자 선정과 관련된 활동의 성숙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음 형상관리 ,  품질보증 등 사업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원 활동의 성숙도 수준은 비교적 낮음 실질적인 공급자 관리 활동의 성숙도 수준도 낮은 편임 시사점 Page-35 준비 정립 적용 종료
The Case :  준비단계  (3) 컨설팅 수행 범위 조직 프로세스 정립  (‘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 개정 ) SW 사업 관련 법 / 제도 고려사항 반영 소프트웨어사업 관리 감독에 관한 일반 기준 및 세부 지침 준수 관련 프로세스 자산 ( 표준 산출물 양식 ,  가이드라인 ,  체크리스트 등 )  개발 [ 고객 요구사항 ] 업무 순서 ,  역할 및 책임 ,  산출물을 명시적으로 정의하여 수행 가능한 프로세스 정립 필요 관리적인 오버헤드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간결한 프로세스 정립 필요 프로세스 적용 발주 프로세스 기반의 활동에 대한 컨설팅 수행 각 단계별로 법 / 제도 지원 ,  사전검토 수행 ,  사업관리 맨터링 ,  품질활동 지원 측면의 컨설팅 수행 법 / 제도 지원  :  발주와 관련된 법 / 제도 정보 지원 및 산출물 검토 사전검토 수행  :  단계별 활동에 대한 사전 점검 ,  관련 정보 ( 표준 ,  양식 등 )  제공 또는 검토 사업관리 맨터링  :  사업관리계획 작성 지원 / 검토 ,  사업 현황검토 회의 참여 품질활동 지원  :  산출물 ( 관리 산출물 위주 ,  요구사항 관리 관점의 기술 산출물 )  검토 ,  품질 실사  [ 고객 요구사항 ] 공급의 관리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공급자가 사용하는 방법론 ,  표준 양식 우선 사용 Page-36 준비 정립 적용 종료
The Case :  준비단계  (4) 발주 . 관리 교육 수행 교육자료 제공 별도의 집체교육 수행하지 않고 ,  방문시 일대일 맨터링 수행함 [  발주 . 관리 표준 프로세스 교육  ] Page-37 준비 정립 적용 종료 식별번호 교육 명 교육 내용 PRO-01 SW 품질과 프로세스 SW 의 중요성 및 특성 , SW 품질 개선 원칙 PRO-02 관리 감독 일반 기준 및 세부 지침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 기준 ,  공공부문  SW 사업 발주‧관리 표준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PRO-03 발주관리 프레임워크 발주 프로세스 ,  공급 프로세스 ,  개발 및 기타 프로세스 ,  생명주기 관점 프로세스  PRO-04 세부기법  -  프로젝트 관리 및  프로세스 테일러링 프로세스 테일러링을 통한 계획서 작성 개요 ,  발주  ( 관리 )  계획서 항목별 작성 기법 PRO-05 세부기법  -  요구사항 관리 및 개발 요구사항 관리 개요 ,  요구사항 명세 ,  추적 ,  변경 관리 ,  요구사항 품질 및 검토 ,  요구사항 식별 PRO-06 세부기법  -  검증 및 확인 검증 및 확인  (Verification & Validation)  개요 ,  소프트웨어 인스펙션 , SW 테스팅
The Case :  정립단계  (1) 조직 프로세스 정립  - XX 부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 개정 제  1  장 총 칙 제 1 조 ( 목적 ) 제 2 조 ( 용어의 정의 ) 제  2  장 기본 원칙 제 3 조 ( 적용범위 ) 제  3  장 발주준비단계 제 4 조 ( 정보화사업 추진 방안 및  요구사항 상세화 ) 제 5 조 ( 정보시스템 요구사항 정의 ) 제 6 조 ( 기본  SW 요구사항 정의 ) 제 7 조 ( 인수전략정의 ) 제 8 조 ( 발주계획서 작성 ) 제  4  장 제안요청서 준비 단계 제 9 조 ( 제안요구사항 문서화 ) 제 10 조 ( 계약조건 정의 ) 제 11 조 ( 공급자 선정 기준 및 절차수립 ) 제  5  장 계약 및 변경 단계 제 12 조 ( 입찰 공고 ) 제 13 조 ( 제안서 평가 ) 제 14 조 ( 공급자 선정 ) 제 15 조 ( 계약협상 및 체결 ) 제 16 조 ( 계약변경 ) 제  6  장 공급자 관리 단계 제 17 조 ( 사업수행계획서의 검토 및 승인 ) 제 18 조 ( 공급자 계약이행 점검 ) 제 19 조 ( 사업 관리 ) 제 20 조 ( 합동검토 ) 제 21 조 ( 감리 ) 제 22 조 ( 공급자와 협력 ) 제  7  장 인수 및 종료단계 제 23 조 ( 인수준비 ) 제 24 조 ( 검수 및 인수시험 ) 제 25 조 ( 인수 및 사업종료 ) 제 26 조 ( 성과관리 ) 제  8  장 하자 및 유지보수단계 제 27 조 ( 하자 및 유지보수 ) 제  9  장 보칙 제 28 조 ( 기타사항 ) [ 별첨 1]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 [ 별첨 2]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 테일러링 내역 [ 별첨 3]  발주계획서 서식 [ 별첨 4]  제안요청서 서식 [ 별첨 5]  사업수행계획서 서식 [ 별첨 6]  사업관리계획서 서식 [ 별첨 7]  인수계획서 서식 [ 별첨 8]  인수시험 결과보고서 서식 [ 별첨 9] Lessons Learned Report  서식 [ 별첨 10]  합동검토 결과보고서 서식 [ 별첨 11]  변경요청서 서식 [ 별첨 12]  문제보고서 서식 [ 별첨 13]  사업수행계획서검토  Checklist [ 별첨 14]  요구사항정의종료  Checklist [ 별첨 15]  분석및설계종료  Checklist [ 별첨 16]  코딩및단위시험종료  Checklist [ 별첨 17]  자격시험준비종료  Checklist XX 부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  ( 개정 ) Page-38 준비 정립 적용 종료
The Case :  정립단계  (2) 조직 프로세스 정립  -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 Page-39 준비 정립 적용 종료
The Case :  정립단계  (3) 조직 프로세스 정립  -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 테일러링 기준 및 내역 프로세스 정립에 대한 고객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최소한의 프로세스 영역 선정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필수 프로세스 영역 선정 )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과 세부지침 간 매핑 XX 부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와 세부지침 간 매핑 Page-40 준비 정립 적용 종료 일반 기준 세부지침 1~3 조 N/A 4 조 발주준비 5.1.1  발주준비 5 조 제안요청서 준비 5.1.2  제안요청서 준비 6 조 계약 및 변경 5.1.3  계약 및 변경 6.2.3  형상 통제 7 조 공급자 관리 5.1.4  공급자 관리 7.1  관리 8 조 사업 관리 5.1.4  공급자 관리 7.1  관리 9 조 합동검토 6.6  합동검토 6.9  문제해결 10 조 감리 6.7  감리 11 조 인수 및 종료 5.1.5  인수 및 종료 12 조 성과관리 7.6  성과관리 13 조 기타사항 N/A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 세부지침 STD.ACQ.PRE  발주준비 5.1.1  발주준비 STD.ACQ.RFP  제안요청서 준비 5.1.2  제안요청서 준비 STD.ACQ.CON  계약 및 변경 5.1.3  계약 및 변경 6.2.3  형상 통제 STD.ACQ.PP  사업관리 계획 수립 5.1.4  공급자 관리 7.1.1  관리 준비 7.1.2  관리계획 수립 7.6  성과관리 STD.ACQ.EC  사업관리 실행 및 통제 5.1.4  공급자 관리 7.1.3  관리 실행 및 통제 7.6  성과관리 STD.ACQ.RE  산출물 검토 및 평가 5.1.4  공급자 관리 7.1.4  검토 및 평가 STD.ACQ.ACC  인수 및 종료 5.1.5  인수 및 종료 7.1.5  종료 STD.CP  변경처리 6.2.3  형상 통제 STD.JR  합동검토 6.6  합동검토 STD.AU.AUP  감리 6.7  감리 STD.PR  문제해결 6.9  문제해결
The Case :  적용단계  (1) 적용단계 컨설팅 활동 요약 발주 프로세스 7.6  대상사업 신청 7.25  입찰공고 8.17  사업자 선정 12.17  시험 종료 ( 예정 ) 12.28  사업 종료 ( 예정 ) Page-41 준비 정립 적용 종료 발주 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 및 변경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단계 컨설팅 수행활동 수행활동 입력물 출력물 발주준비 준비단계 수행 활동 XX 부 컨설팅  Kick-off 사업계획서 검토 ‘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검토 XX 부 프로세스 현황 진단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정의 발주관리 교육 제안 및 교재 제공 사업계획서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 설문 답변 Kick-off  미팅 자료 현황진단 결과 컨설팅 범위 발주관리 교육 교재 RFP  준비 RFP  검토의견 제공 법 / 제도 관점 검토 SW  분리발주 내역 검토 제안요청서 제안요청서 검토 의견 계약 및 변경 계약서 표준 양식 제공 계약서 표준 양식
발주 프로세스 The Case :  적용단계  (2) 적용단계 컨설팅 활동 요약 12.17  시험 종료 ( 예정 ) 12.28  사업 종료 ( 예정 ) 7.6  대상사업 신청 7.25  입찰공고 8.17  사업자 선정 Page-42 발주 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 및 변경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준비 정립 적용 종료 단계 컨설팅 수행활동 수행활동 입력물 출력물 공급자  관리 공공부문  SW 발주프로세스 실행모델 교육  ( 사전검토 ) 프로세스 맵 설명 표준 양식 ,  가이드라인 ,  체크리스트 설명 프로세스 맵 개요 및 상세  (9 개  2nd-level, 30 개  3rd-level  프로세스 ) 프로세스  mapping table 관련 표준 양식 ,  가이드라인 ,  체크 리스트 설명  ( 약  40 여종 ) 사업수행계획 작성 지원 및 검토 사업수행계획 및 형상관리 계획 작성 방법 설명 사업수행계획서 검토 WBS  검토 형상관리계획서 초안 작성 및 제공 사업수행 계획 관련 추가 산출물 양식 및 가이드라인 제공 사업수행계획서 및  WBS 2 차 검토 사업수행계획서 기술용역공정계획  WBS 사업수행계획서 검토 의견서 WBS  검토 의견서 형상관리계획서  ( 초안 ) 사업수행계획 관련 표준 양식 ,  가이드라인  (6 종 ) 사업관리 맨터링 사업현황검토 회의 참여 또는 지원   사업진행현황에 대해 모니터링만 수행 사업현황보고서  ( 주간 / 월간 보고서 등 ,  사후 제공받음 ) 요구사항 설계 구현  시험 계획
발주 프로세스 The Case :  적용단계  (3) 적용단계 컨설팅 활동 요약 12.17  시험 종료 12.28  사업 종료 7.6  대상사업 신청 7.25  입찰공고 8.17  사업자 선정 Page-43 발주 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 및 변경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준비 정립 적용 종료 단계 컨설팅 수행활동 수행활동 입력물 출력물 공급자  관리 품질활동 지원 산출물 양식 검토 고객 요구사항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산출물  검토 활동 지원 요구사항정의서 기능요건정의서 프로그램 / 테이블 / 화면 목록 및 명세서 요구사항 대비표 테스트계획서 테스트수행 및 결과보고서  요구사항정의서 양식 검토 의견 인수  종료 감리비 산정 방법 설명 및 관련 자료 제공 사업수행산출물  감리비 산정 관련 자료  (2 종 ) 요구사항 설계 구현  시험 계획
The Case :  종료단계  (1) 컨설팅 적용의 효과 컨설팅 수행내역 ( 정립  &  적용 단계 수행활동 ) 의 커버리지 분석을 통해 잠정적 결과 도출 고객만족도 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 검증 Process People Technology 품질 관점 별 조직 성숙도 수준 발주 프로세스 영역별 조직 성숙도 수준 조직 표준 프로세스 정립을 통해 절차 ,  양식 , R&R  측면의 개선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됨 실무자 지식 수준 측면에서는 발주 . 관리 표준 프로세스의 체계적인 사업관리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관리능력 향상에 기여함 프로세스 적용 측면의 평가는 사업 종료 후 평가 예정 효과 분석 컨설팅이 제공된 시기 상 발주계획 단계 이후 공급자선정 ,  공급자관리 ,  인수및종료 단계의 성숙도가 향상에 기여함 ‘ 관리 오버헤드 최소화’라는 고객의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해 지원요소인 형상관리 ,  품질보증은 기본적인 내용 적용에 한정함 효과 분석 Page-44 준비 정립 적용 종료
The Case :  종료단계  (2) 적용의 효과 – 컨설팅 목표 대비 SW 사업 발주 관리에 대한 조직의 능력 성숙도 향상 SW 사업 발주 관리를 위한 조직의 표준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  관련 프로세스 자산을 확보함 향후 조직에서 프로세스 개선으로 인한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기반 마련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 및 세부지침에 대한 만족도 향상 표준 프로세스를 조직에 맞게 테일러링해서 적용함으로써 이해도 ,  실무 적용성을 증대시킴 표준 프로세스에 대한 인식 개선 실무자의  SW 사업 발주 관리 능력 향상 교육 및 실무 맨터링을 통해 발주 관리 지식 및 경험 이전 Page-45 준비 정립 적용 종료
15.  적용 사례에 대한 교훈 및 개선점 적용결과 - SW 사업 발주 관리에 대한 조직의 능력 성숙도 향상 -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 및 세부지침에 대한 만족도 향상 - SW 사업 발주 관리 능력 향상 교훈 및 개선점 개별 사업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대상조직에 대한 프로세스 개선 지원 필요 XX 부 , XX 부 등 예전에 시범사업을 했던 곳도 내부적으로 전파 안됨 개별 시범사업 성과로는 제도 확산 및 전파의 한계가 있음 개별 사업 중심으로 적용시 체계적으로 정립된 프로세스를 적용하기가 힘듦    당장의 사업 성공을 위해 사업자가 사용하는 관리기법 ,  개발방법론에 맞혀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음 중 . 장기적 지원 필요 개선된 프로세스의 정착에는 오랜 시간 및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가 필요함 조직 내부적으로는 이러한 여력이 없는 곳이 많아 시범사업 등을 통해 지속적인 지원 필요 표준 프로세스 / 양식 자체를 강요하기보다는 근본 취지에 준하여 해석 / 적용 필요 공급사의 능력에 따라 발주관리 프로세스가 다양하게 적용됨 예 )  국내 대형  SI 업체의 경우 자체 프로젝트 관리 및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여 사업을 수행함 발주자가 이를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 충분한 역량을 갖춰야 함 관리 효율성을 위한 도구 지원 필요  프로세스 적용을 위한 노력을 도구 활용을 통해 경감시킬 필요성이 대두됨 프로세스 개선은 시행 초기에 관리 오버헤드가 늘게 되는데 ,  관리 활동을 지원하는 도구를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어 표준 프로세스 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 Page-46
16.  향후 발전방향 –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개선사업 추진체계 및 목표 ·SW 발주관리전문가 교육 실시 ( 연  3 회 총  100 여명 교육 ) ·  발주관리 프로세스 일반용 교재 ·  발주관리 프로세스 강사용 교재 ·  발주관리 프로세스 발표용  sheet ·SW 발주관리 프로세스의  지속적인 개선 (ISO/IEEE, SWEBOK  등  국제표준 개선 및 변경 ,  국내  SW 사업환경 변화 ) ·  사업관리감독일반기준 개선 ·  산업 / 국가 표준 개선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보급  및 활성화를 위한 컨텐츠 개발 ·  알기쉬운 발주관리 ·  시범사업 결과 ( 사례집 ) ·  발주관리적용툴 (’09  완료 ) ·  프로세스 맵 ( 브로마이드 ) ·  프로세스 카드칩 · 프로세스 컨설팅 추진 ·  컨설팅 핸드북 ·  컨설팅 방법론 (SWABOK) ·  컨설팅 양식 ·  컨설팅 사례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보급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활성화 ※  기타는 지자체 ,  교육청 ,  도서관 ,  박물관 ,  대학 ,  금융 ,  병원 등 국방부 ,  정통부 ,  한국수력원자력 ,  해수부 ,  통일부 ,  산림청 ,  법제처 ,  KIPA,  국방부 2,  정통부 2,  헌법재판소 ,  통일부 ,  문광부 ,  정통부 3  한전 KDN,  인천공항공사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개선 Page-47 개선연구 컨텐츠 컨설팅 교육 발주관리  프로세스 - 200 300 500 1,000 명 50 50 100 200 개 2015 년 - 80 170 250 500 명 5 25 30 60 개 2011 년 - 30 90 80 200 명 2 4 14 20 개 2009 년   목 표 10 60 30 100 명 전문가 - 2 - 2 개 정립 지원 - 30 100 170 300 명 인지 - - 14 14 개 프로세스 정립 전파 - 2,000 14,000 4,000 20,000 명 779 249 172 1,200 개 대상 기타 공공 중앙   기타 공공 중앙   비고 발주자 발주기관 구분
17.  향후 발전방향 –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Village Page-48 SW 발주관리프로세스 시스템
18.  향후 발전방향 –  SW 공학기술센터의 프로세스 컨설팅 발전방향 o  현재 사업별로 각각 추진하던  SW 발주관리프로세스 , SW 사업대가 , K 모델 컨설팅 영역을 하나의 패키지로 만들어  정보화사업 토탈 컨설팅  Kit 으로 추진 Page-49 Organization Process Consulting Cost Estimation Consulting Certification Consulting 심사 기준 심사원 관련 자료 K 모델 컨설팅 방법론 적용툴 사례 발주관리 프로세스 SW 개발 유지보수 ISP 사업 대가 인수   K 모델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시험   구현 설계 분석 기획 SW 비용산정 Law Standard KIPA Consulting Area
(SW-PAT; process automation tool) 참고  1.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적용툴  _  2008 년 개발완료 예정 제안요청서검토 제안서 준비 계약 및 변경 사업수행계획수립 실행 및 통제 검토 및 평가 납품 및 종료 5.1  발주 프로세스 5.2  공급 프로세스 계약 관점 계획관점 5.4  운영프로세스 5.6  정보전략계획 프로세스 운영 준비 시스템 운영 운영시험 사용자 지원 공학관점 6.3  품질보증 프로세스 5.3  개발 프로세스 5.5  유지보수 프로세스 개발준비 SW 설치 SW 인수지원 시스템요구사항분석 시스템구조설계 시스템통합 SW 요구사항분석 SW 구조설계 SW 상세설계 SW 코딩 및 단위시험 유지보수준비 유지보수 분석 시스템 유지보수 유지보수 검토 / 승인 SW  이전 SW  폐기 운영관점 관리준비 관리계획 수립 관리 실행 및 통제 검토 및 평가 종결 7.1  관리 프로세스 관리 관점 7.2  기반구조 프로세스 7.4  인적자원 프로세스 6.  지원수명주기 프로세스 6.1  문서화 프로세스 6.2  형상관리 프로세스 품질관리관점 6.4  검증 프로세스 6.5  확인 프로세스 6.6  합동검토 프로세스 6.7  감리 프로세스 6.8  문제해결 프로세스 7.6  성과관리 프로세스 7.3  프로세스 개선 프로세스 프로세스 정립 프로세스 평가 프로세스 개선 5.  핵심수명주기 프로세스 7.  조직 수명주기 프로세스 발주준비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기획 관점 7.5  정보화기획 프로세스 시행계획 수립 정보전략계획준비 현행 시스템 분석 목표 시스템 정의 이행계획 수립 시스템자격시험 SW  통합 SW  자격시험 <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표준 프레임워크  > ■  SW 개발사업 기획관점 관리관점 품질 관리관점 … 소요제기 소요제기 기본계획 수립 계약 및 변경 관리계획 수립 관리 실행 및 통제 검토 및 평가 6.4  검증 프로세스 6.5  확인 프로세스 6.6  합동검토 프로세스 6.7  감리 프로세스 제안요청서 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관점 계약 및 변경 기본계획 수립 클릭 드래그  ~ 클릭 드래그  ~ 프로세스 테일러링 실행하기 8 프로젝트명 프로젝트 현황 입력 기 간 ~ 비 용 사업대가 계산하기 . . . 등록
(SW-PAT; process automation tool) 참고  1.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적용툴  _  2008 년 개발완료 예정 공공부문  SW  발주관리 지원 툴은 발주∙관리 준비 ,  발주∙관리 수행 ,  발주∙관리 지원 ,  조직 자산 관리 영역으로 구분되며  발주∙관리 생성부터 프로젝트 종료까지의 발주관리 업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A.  발주 ∙ 관리 프로젝트 생성 B.  발주 ∙ 관리 프로세스 테일러링 C.  발주 ∙ 관리 계획수립 및 재계획 G.  보고서 작성 I.  데이터 수집 및 측정 H.  산출물 관리 K.  표준 자산 관리 L.  사용자 자산 관리 J.  가상 발주관리 프로젝트 따라하기 F.  발주 ∙ 관리 수행 ( 공급자 관리 ) 공급자 보고 E.  발주 ∙ 관리 수행 ( 발주준비 ~ 계약 체결 ) D.  공급자 관리 계획수립 및 변경 공급자  Version K/O 종료 공급자  version SW 로 발주 담당자에게 보고 시 사용 ※ SW 사업관리감독에관한일반기준 세부지침을 기준으로 관련 정보 제시 ① 발주 ∙ 관리 준비 ② 발주 ∙ 관리 수행 ④ 조직 자산 관리 ③ 발주 ∙ 관리 지원
[Swap; Software Business Acquisition Management Professional ] 참고  2. SW 발주관리프로세스 전문가 교육  _  2008 년 총  100 명 육성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전문가 교육은  보다 전문적이고 실무적으로 강화된  SW 발주전문화 프로그램 o 2008 년도에는  3 일차 교육 (3 회 ) 을 통해  100 여명의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전문가 육성 추진    발주교육 일정 : 7/29,30,31( 완료 ), 9/24,25,26( 완료 ), 11/19,20,21
End of Document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SW 공학단  SW 공학기술센터 배문식 02-2141-5717 [email_address]

More Related Content

PPT
X-Zone - Garantia da Qualidade de Software
PDF
테스트자동화 성공전략
PPTX
A Top Down Approach to End-to-End Testing
PPT
Palestra - Heurísticas e Usabilidade
PDF
Analise de Requisitos Software
PDF
Automação de testes BDD e ATDD
PPT
Effective Software Release Management
PPTX
Business process improvement (special report) presentation
X-Zone - Garantia da Qualidade de Software
테스트자동화 성공전략
A Top Down Approach to End-to-End Testing
Palestra - Heurísticas e Usabilidade
Analise de Requisitos Software
Automação de testes BDD e ATDD
Effective Software Release Management
Business process improvement (special report) presentation

What's hot (20)

PPTX
Introdução ao Domain-Driven Design
PDF
Técnicas de Testes Funcionais Caixa-Preta
PPSX
HP ALM
PDF
Comparativo entre Processos Ágeis
PDF
UI Testing Automation
PPTX
Test Automation in Agile
PDF
Guia do Papel e Responsabilidade do Scrum Master
PDF
Istqb 5-테스트관리-2015-배포
PPT
Testing Centre Of Excellence From AppLabs
PDF
Visual Studio 2015 の新機能: Pex はユニットテストの福音となるか!?
PPTX
ISTQB Foundation Level Basic
PPTX
Noções em teste de software e introdução a automação
PDF
소프트웨어 테스팅
PDF
Test Driven Development (TDD)
PDF
Metodos Ageis
PPTX
Software testing proposal for the software comppany .pptx
PPTX
Chapter 1 - Agile Methodology
PPTX
BDD testing with cucumber
PPT
The Business Analyst And The Sdlc
PPTX
Desenvolvimento orientado a testes - TDD
Introdução ao Domain-Driven Design
Técnicas de Testes Funcionais Caixa-Preta
HP ALM
Comparativo entre Processos Ágeis
UI Testing Automation
Test Automation in Agile
Guia do Papel e Responsabilidade do Scrum Master
Istqb 5-테스트관리-2015-배포
Testing Centre Of Excellence From AppLabs
Visual Studio 2015 の新機能: Pex はユニットテストの福音となるか!?
ISTQB Foundation Level Basic
Noções em teste de software e introdução a automação
소프트웨어 테스팅
Test Driven Development (TDD)
Metodos Ageis
Software testing proposal for the software comppany .pptx
Chapter 1 - Agile Methodology
BDD testing with cucumber
The Business Analyst And The Sdlc
Desenvolvimento orientado a testes - TDD
Ad

Viewers also liked (20)

PDF
ICT 해외사업의실제 (SI사업 편)
PPTX
Dream plaza 사업계획서 (창업리그 최종)
PPTX
2010-11-20 kick off meeting - j*****
PDF
Morley HTML5 and the Future
PDF
Smart operation 애플트리랩
PDF
2015 SINVAS DAY - SINVAS UML(효과적인 정보관리(분석/설계)를 통한 시스템 관리 방안)
PDF
제 3회 DGMIT UI&UX 컨퍼런스 : 미디어 아트 디자인
PPT
Application framework 정의및비교(김일영)_20110609
PPTX
2010-11-20 kick off meeting
PPT
Puma At Large Nce Iii
PDF
Ipl자동화방안제안 애플트리랩
PPTX
About facebook
PPTX
하루에 10번 배포하기 - flickr
PDF
Process
DOCX
PCF Installation Guide
PDF
TOC무료세미나 (KTA 110716)
PDF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PDF
[D2SF] 글로벌 스타트업을 위한 아주 쉬운 법무 기초_오세은_20160105
PPT
Spring MVC
PDF
엔터프라이즈 웹 동향 및 적용사례
ICT 해외사업의실제 (SI사업 편)
Dream plaza 사업계획서 (창업리그 최종)
2010-11-20 kick off meeting - j*****
Morley HTML5 and the Future
Smart operation 애플트리랩
2015 SINVAS DAY - SINVAS UML(효과적인 정보관리(분석/설계)를 통한 시스템 관리 방안)
제 3회 DGMIT UI&UX 컨퍼런스 : 미디어 아트 디자인
Application framework 정의및비교(김일영)_20110609
2010-11-20 kick off meeting
Puma At Large Nce Iii
Ipl자동화방안제안 애플트리랩
About facebook
하루에 10번 배포하기 - flickr
Process
PCF Installation Guide
TOC무료세미나 (KTA 110716)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D2SF] 글로벌 스타트업을 위한 아주 쉬운 법무 기초_오세은_20160105
Spring MVC
엔터프라이즈 웹 동향 및 적용사례
Ad

Similar to 성공적인 Sw사업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및 적용사례 (20)

PPT
프로젝트관리­ 2회(블로그용)
PPTX
ERP 프로젝트 수행방법론-SAP_v1.2.pptx
PPTX
연구개발프로젝트 사전준비
PDF
[AKC2022] 기업의 Digital 전환을 위한 Lean Business Agility 코칭 회고(김태영)
PPT
Project Management
PPT
팀장님 근데 Cmmi가 뭐에여
PPT
LOgistics KPI
PPTX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Output
PPTX
원격지 개발사업 관리가이드 발표20121020
PDF
Consulting framework
PDF
Construction industry and bpm
PPTX
제안업무가이드
PDF
[AIS 2018][Team Practice] CMMI 기반 환경의 애자일-투씨드
PPTX
프로세스 중심 아키텍처의 적용 로드맵
PDF
[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2코스_프로젝트관리
PPT
韩国Ppt高手收集的ppt图表素材[免积分下载]
PPTX
컨설팅 Toolkit Part I
PPTX
정보공학(IE) 방법론.pptx
PPT
프로젝트관리­ 3회
PPT
Ep msession3
프로젝트관리­ 2회(블로그용)
ERP 프로젝트 수행방법론-SAP_v1.2.pptx
연구개발프로젝트 사전준비
[AKC2022] 기업의 Digital 전환을 위한 Lean Business Agility 코칭 회고(김태영)
Project Management
팀장님 근데 Cmmi가 뭐에여
LOgistics KPI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Output
원격지 개발사업 관리가이드 발표20121020
Consulting framework
Construction industry and bpm
제안업무가이드
[AIS 2018][Team Practice] CMMI 기반 환경의 애자일-투씨드
프로세스 중심 아키텍처의 적용 로드맵
[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2코스_프로젝트관리
韩国Ppt高手收集的ppt图表素材[免积分下载]
컨설팅 Toolkit Part I
정보공학(IE) 방법론.pptx
프로젝트관리­ 3회
Ep msession3

More from kisu kim (8)

PDF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PDF
프로그래밍은상상이다(임백준) Chapter5
PDF
웹 사이트의 성능 높이기 Part1
PPT
제안서N School(영상교육영상회의)[1]
PDF
Vista Ux Guide
PDF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 기법 신승식
PDF
초보 Dba를 위한 Sql Server 2005 관리가이드
PDF
.Net Book Zero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프로그래밍은상상이다(임백준) Chapter5
웹 사이트의 성능 높이기 Part1
제안서N School(영상교육영상회의)[1]
Vista Ux Guide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 기법 신승식
초보 Dba를 위한 Sql Server 2005 관리가이드
.Net Book Zero

성공적인 Sw사업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및 적용사례

  • 1. 성공적인 SW 사업 수행을 위한ㅇㅇㅇㅇ ㄴㅉ프로세스 프레임워크 및 적용사례 2008. 9 SW Quality Insight Session 2 2008.09.25
  • 2. 목차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개요 1. 국제 표준 프로세스 현황 2. 선진국의 발주관리 프로세스 현황 3. 국내 SW 발주관리 프로세스의 역사 4. SW 사업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 5. SW 발주관리 표준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6. 프레임워크 구성내용 7.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8. 공공부문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도입효과 9. 발주관리 프로세스 관점의 사업 유형 정의 II. 프로세스 컨설팅 방법론 10.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컨설팅 방법론 11. SW 발주관리 컨설팅 수행 방법론 구성요소 12. 현황 분석 모델 - Consulting Step 1, 2, 3, 4 III. 프로세스 컨설팅 적용사례 13.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컨설팅 적용사례 14. 컨설팅 적용 방향 - The Case : XX 부 15. 적용 사례에 대한 교훈 및 개선점 IV . 향후 발전방향 16.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개선사업 추진체계 및 목표 17.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Village 18. SW 공학기술센터의 프로세스 컨설팅 발전방향
  • 3. 1. 국제 표준 프로세스 현황 SW 획득관리 관련 국제 표준 프로세스들이 많이 존재하나 국내 도입되어 활용하고 있는 사례들은 CMMi, ISO 155504, 12207, ISO 90000 series 등이 있음 < SW 획득관리 관련 국제 표준 동향 > Page-1
  • 4. 2. 선진국의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현황 ISO/IEC 12207(’95) 의 국내화  IEEE/EIA 12207(’98) 미국 JIS X 0160:1996(ISO/IEC 12207 번역본 ) 의 국내화  SLCP-JCF’98: 감사 프로세스의 강화 일본 V-model  ISO/IEC 12207 과의 호환성 검토 독일 < 선진국의 SW 사업 수명주기 표준 프로세스 > Page-2
  • 5. 3. 국내 SW 발주관리 프로세스의 역사 2003 년 SW 발주관리 통합 프레임워크 개발 프레임워크 개발 SW 발주관리 프로세스개발 제도화 및 표준화 교육 및 지원자료 개발 2004 년 표준 프로세스 사용자 별 프로세스 개발 테일러링 프로세스 / 세부프로세스 개발 시범적용 실시 2005 년 ~ 2006 년 산업표준 채택 (TTAS KO-09_0038) SW 사업관리감독에관한일반기준 제도화 ( 정통부 고시 제 2006-39 호 ) 부처 시범적용 ( 헌법재판소 , 국방부 , 정통부 등 ) 2007 년 국가표준 채택 (KICS KO-09_0038) 전문 교육교재 및 기타 홍보자료 개발 시범 적용 컨설팅 수행 ( 통일부 , 정통부 , 문광부 ) 도구 개발 및 보급 2008 년 ~ SW 발주관리 적용툴 개발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전문가 교육 Page-3
  • 6. 4.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 ( 지경부 고시 )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은 공공부문 SW 사업에 적용함에 있어 필요한 세부사항을 정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 SW 사업의 전과정에 걸친 프로세스와 각 프로세스별 활동 및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절차 , 산출물 , 고려사항 , 관련법령 등을 제시  공공부문 SW 사업 발주관리 표준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는 ISO12207 을 기반으로 개발 되었으며 SW 개발에 필요한 모든 프로세스 , 활동 및 작업들의 집합과 관계를 정의한 구조 핵심수명주기 프로세스 지원수명주기 프로세스 조직수명주기 프로세스 발주 프로세스 공급 프로세스 개발 프로세스 운영 프로세스 유지보수 프로세스 정보전략계획 프로세스 문서화 프로세스 형상관리 프로세스 품질보증 프로세스 검증 프로세스 확인 프로세스 합동검토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기반구조 프로세스 프로세스개선 프로세스 인적자원 프로세스 정보화 기획 프로세스 성과관리 프로세스 감리 프로세스 문제해결 프로세스 Page-4
  • 7. 5. SW 사업 발주관리 표준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Page-5 제안요청서검토 제안서 준비 계약 및 변경 사업수행계획수립 실행 및 통제 검토 및 평가 납품 및 종료 5.1 발주 프로세스 5.2 공급 프로세스 계약 관점 계획관점 5.4 운영프로세스 5.6 정보전략계획 프로세스 운영 준비 시스템 운영 운영시험 사용자 지원 공학관점 6.3 품질보증 프로세스 5.3 개발 프로세스 5.5 유지보수 프로세스 개발준비 소프트웨어설치 소프트웨어인수지원 시스템요구사항분석 시스템구조설계 시스템통합 소프트웨어요구사항 분석 소프트웨어 구조설계 소프트웨어 상세설계 소프트웨어코딩 및 단위시험 유지보수준비 유지보수 분석 시스템 유지보수 유지보수 검토 / 승인 소프트웨어 이전 소프트웨어 폐기 운영관점 관리준비 관리계획 수립 관리 실행 및 통제 검토 및 평가 종결 7.1 관리 프로세스 관리 관점 7.2 기반구조 프로세스 7.4 인적자원 프로세스 6. 지원수명주기 프로세스 6.1 문서화 프로세스 6.2 형상관리 프로세스 품질관리관점 6.4 검증 프로세스 6.5 확인 프로세스 6.6 합동검토 프로세스 6.7 감리 프로세스 6.8 문제해결 프로세스 7.6 성과관리 프로세스 7.3 프로세스 개선 프로세스 프로세스 정립 프로세스 평가 프로세스 개선 5. 핵심수명주기 프로세스 7. 조직 수명주기 프로세스 발주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 및 변경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기획 관점 7.5 정보화기획 프로세스 소요제기 기본계획 수립 시행계획 수립 정보전략계획준비 현행 시스템 분석 목표 시스템 정의 이행계획 수립 시스템자격시험 소프트웨어 통합 소프트웨어 자격시험
  • 8. 6. 프레임워크 구성내용 < 공공부문 SW 사업 발주관리표준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전체 구성 > 핵심 (Primary) 수명주기 지원 (Supporting) 수명주기 조직 (Organizational) 프로세스 발주 (Acquisition) 프로세스 공급 (Supply) 프로세스 개발 (Development) 프로세스 운영 (Operation) 프로세스 유지보수 (Maintenance) 프로세스 정보전략계획 (Information Strategic Planning) 프로세스 문서화 (Documentation) 프로세스 형상관리 (Configuration Mgmt.) 프로세스 품질보증 (Quality Assurance) 프로세스 검증 (Verification) 프로세스 확인 (Validation) 프로세스 합동검토 (Joint Review) 프로세스 감리 (Audit) 프로세스 문제해결 (Problem Resolution) 프로세스 관리 (Management) 프로세스 기반구조 (Infrastructure) 프로세스 프로세스 개선 (Process Improvement) 프로세스 인적자원 (Human Resource) 프로세스 정보화기획 (Information Programming) 프로세스 성과관리 (Performance Mgmt.) 프로세스 Page-6 178 개 88 개 20 개 3 개 39 26 6 조직 32 23 8 지원 107 39 6 핵심 작업 활동 프로세스 수명주기
  • 9. 7.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 예시 ) 1. 발주 프로세스 2. 공급 프로세스 3. 개발 프로세스 발주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 및 변경 인수 및 종료 제안 준비 계약 및 변경 사업수행 계획 수립 사업 실행 및 통제 납품 및 종료 제안요청서 입찰공고 계약서 형상 통제 형상 상태 감독 실물 형상 실사 기능 형상 실사 변경처리 문제해결 Milestone 사업관리 계획 수립 사업관리 실행 및 통제 산출물 검토 및 평가 요구사항 정의 분석 및 설계 코딩 및 단위시험 자격시험 수행 인도 준비 D-1 D-2 D-3 D-4 자격시험 준비 4. 형상관리 5. 변경처리 형상 관리 계획 품질실사 품질보증 계획 합동검토 발주계획서 사업관리계획서 인수 계획서 인수시험 결과보고서 사업종료보고서 사업수행계획서 제안서 인수 확인서 요구사항 기술서 SW 설계기술서 데이터베이스 설계기술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기술서 요구사항추적표 SW 코드 SW 단위시험 계획서 자격시험계획서 자격시험결과보고서 형상상태보고서 형상실사보고서 인도요약서 형상관리계획서 형상상태보고서 실물형상실사보고서 기능형상실사보고서 변경요청서 합동검토결과보고서 문제보고서 품질보증계획서 품질실사보고서 계약서 사업 현황 보고서 , Issue Tracker, Risk Tracker 6. 품질보증 7. 합동검토 8. 문제해결 A C D E B < 프로젝트 관리 및 수행 절차 > Page-7
  • 10. 8. 공공부문 SW 발주관리프로세스도입 효과 Page-8 수주자 측면 발주자 측면 발주자 주도의 사업운영 1 발주자 관리능력 개선 2 표준화된 절차 및 산출물 제공으로 관리 용이성 증대 3 체크리스트를 통한 사업 통제 및 모니터링 가능 4 표준화된 산출물의 재사용성 5 초기 투자비용이 요구되나 사업의 품질 확보 가능 1 기존의 비효율적 작업 및 중복작업 개선 가능 2 표준화된 산출물 및 양식 제공으로 자체 표준화 가능 3 표준화된 산출물의 재사용성 4 발주관리 프로세스
  • 11. 9. 발주관리 프로세스 관점의 사업유형 정의 SW 와 관련된 사업유형은 SW 개발 , 유지보수 사업 , ISP 사업 3 가지로 구분되며 , 각 사업의 특성에 맞게 프로세스를 테일러링 하여 사용하여야 함 운영 유지보수 정보전략 계획 SW 개발 1. 정보전략계획 준비 2. 현행 시스템 분석 3. 목표 시스템 정의 4. 이행계획 수립 1. 개발준비 2.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3. 분석 및 설계 4. 코딩 및 단위시험 5. 통합 테스트 6. 인수 준비 1. 유지보수 준비 2. 유지보수 분석 3. 시스템 유지보수 4. 유지보수 검토 및 승인 5. SW 이전 및 폐기 1. 운영준비 2. 운영시험 3. 시스템 운영 4. 사용자 지원 ISP 사업 발주 SW 개발 사업 발주 유지보수 사업 발주 < 사업유형의 발주흐름 > Page-9
  • 12. 10. SW 사업 발주관리 프로세스 컨설팅 방법론 (SWABOK)  준비 , 계획 단계는 대상 사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  실행 단계에서는 대상 사업이 발주관리 지침에 준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멘터링을 제공하고 , 조직 표준 프로세스 정립 / 개선 지원  종료단계를 통해 컨설팅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사항 도출 Page-10 Mobilization 컨설팅 수행자 컨설팅 대상기관 Diagnosing( 진단 ) Planning( 기획 ) Supporting Project Execution Supporting Process Improvement Closing 프로세스 평가 발주준비 RFP 준비 계약 및 변경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프로세스 정립 / 개선 대상 사업 이해 준 비 계 획 실 행 종 료 현황 분석 프로젝트 프로세스 정의 컨설팅 수행방안 정의 상세 Work Plan 수립 프로세스 적용 맨터링 정기적 사업 수행 점검 프로세스 정립 / 개선 지원 컨설팅 결과 분석 개선사항 도출
  • 13. 11. SW 발주관리 컨설팅 수행 방법론 (SWABOK) 구성요소 1. Mobilization 대상 사업 이해 컨설팅 수행 환경 구축 2. Planning 컨설팅 세부 수행 방안 정의 Work Plan 수립 [Diagnosing] 3. Awareness 대상 조직 검토 자료 정의 참조모델 / Best Practice 식별 현황 분석 계획 관련 이해당사자 교육 [Diagnosing] 4. Analysis 자료 분석 인터뷰 설문조사 (awareness/satisfaction) Gap & Indication 도출 (capability) 현황 분석 결과 보고 [Diagnosing] 5. Recommendation 프로세스 테일러링 지원 프로세스 아키텍처 정립 7. Quick-Win 대상 사업 프로세스 적용 선지원 [Diagnosing] 6. Defining 컨설팅 수행 방안 및 분석 결과 검토 컨설팅 수행 방향성 수립 8. Process Improvement 프로세스 정의 원칙 수립 지원 세부 프로세스 정의 지원 9. Project Execution 프로세스 적용 맨터링 정기적 사업 수행 점검 회의 워크샵 10. Closing 대상 사업 종료 시범 적용 결과 분석 개선사항 도출 준비 계획 실행 종료 AS IS 분석 To-Be 제시 *SWABOK : SoftWare Acquisition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Page-11
  • 14. 현황 분석 절차 Step I Awareness ( 인지 ) Step II Analysis ( 분석 ) Step III Recommendation ( 권고 ) Step IV Defining ( 정의 ) 현황 분석의 범위를 정하고 , 이를 수행하기 위한 계획 수립 관련 이해 당사자 교육 제공 현황 분석 ( 자료 , 설문 , 인터뷰 ) 수행과 이를 기반으로 현황 분석 결과 도출 현황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프로세스 구성 및 조직 표준 프로세스 아키텍처 정의 현황 분석 결과 , 프로젝트 프로세스 , 표준 프로세스 아키텍처를 검토하고 , 시범 사업 집중 관리 영역 및 수행 전략 도출 검토자료 목록 현황분석 계획 ( 현황분석 프레임워크 포함 ) 교육 자료 현황 분석 계획 수립 관련 이해당사자 교육 검토 대상 자료 , Best Practice 정의 자료 분석 , 설문 조사 , 인터뷰 Gap & Indication 도출 분석 결과 보고 프로세스 테일러링 프로세스 아키텍처 정립 시범 사업 수행 방향성 정립 워크샵 워크샵 보고서 확정된 산출물 ) 설문 조사 결과 현황분석 Worksheet 현황분석 결과 보고서 프로젝트 프로세스 구성 ( 안 ) 프로세스 아키텍처 ( 안 ) 12. 현황 분석 모델 Page-12
  • 15. Consulting Step 1.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목적 (WHY) 컨설팅을 효과적 /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반 마련 : 대상 조직 및 컨설턴트 간 상호 이해 수행 범위 (WHAT) 대상 조직 / 사업에 대한 기본정보 확보 및 이해 대상 조직과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에 대한 이해 및 합의 도출 발주 프로세스 개선 및 적용에 대한 대상 조직의 확약 (commitment) 획득 프로세스 개선 및 적용에 참여할 대상 조직 실무자 교육 제공 컨설팅 수행환경 구축 [ 결과 산출물 ] 컨설팅 범위 정의서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프로세스 현황 진단 수행 개념 및 원칙 (HOW) 컨설팅의 목적 및 내용에 대한 상호 이해가 가장 우선되어야 함 컨설팅 수행에 있어 주어진 제약사항 하에서 대상 조직의 니즈를 수용해야 하므로 , 중점적으로 수행할 컨설팅 영역을 찾는 것이 중요함 컨설팅 수행 제약사항 : 컨설턴트 리소스 제약 , 컨설팅 시범사업 수행 기간 제약 , 프로세스 중점 (vs. 기술 중점 ) 등 프로세스 개선 및 적용에 참여할 실무자 뿐만 아니라 , 참여 실무자의 상위관리자로부터의 확약 (commitment) 획득이 성공적인 컨설팅 수행의 필수 요소임 수행 시점 (WHEN) [ 시작조건 ] 컨설팅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직후 [ 종료조건 ]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에 대한 합의 및 이해 관계자의 확약 획득 시 Page-13 준비 정립 적용 종료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정의 조직의 확약 획득 발주 관리 교육 수행 컨설팅 수행환경 구축
  • 16. Consulting Step 1.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역할 및 책임 (WHO)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프로세스 현황 진단 Page-14 준비 정립 적용 종료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 사업계획서 또는 사업신청서 컨설팅 사업 신청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Kick-off 미팅 컨설팅 소개 자료 제공  Kick-off 미팅 참여 조직 / 사업 관련 문서 검토  조직 / 사업 관련 문서 관련 정보 제공 설문 조사 설문지 배포   설문 작성 결과 제공 설문지 작성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정의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제안 기본 컨설팅 목표 및 범위 제시   고객의 니즈 및 목표 제시 조직의 니즈 및 목표 정의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합의 합의된 컨설팅 목표 및 범위  조직의 확약 (commitment) 획득 고객기관의 참여 및 필요 자원 제안 고객 참여 및 필요 자원 제시  필요한 자원에 대한 승인 발주관리 교육 수행 교육 수행 교육 자료 제공  교육 참여 컨설팅 수행환경 구축 환경 설정  작업 환경 ( 회의실 , 네트워크 등 ) 제공 환경 설정 지원
  • 17. Consulting Step 2. 발주 · 관리 프로세스 현황 진단 목적 (WHY) 대상 조직 프로세스의 강점과 약점을 식별하여 조직의 현재 능력 파악 현 조직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개선활동 식별 조직의 개발 , 발주 , 유지보수 과정에 존재하는 위험요소 식별 수행 범위 (WHAT) 진단 범위 : 현황 진단은 SW 사업과 관련된 프로세스 영역에 한정하며 , 각 프로세스 영역에 대해 품질 구성요소 ( 프로세스 , 사람 , 기술 관점 ) 를 고려하여 조직의 수준을 평가함 진단 활동 : 현황 진단은 크게 계획 , 진단 수행 , 결과 보고 활동으로 구성됨 SCAMPI* 를 기반으로 현황진단 프로세스를 구성함 [ 결과 산출물 ] 현황진단 worksheet, 현황진단 결과 보고서 * SCAMPI : Standard CMMI Appraisal Method for Process Improvement. CMMI 모델을 기반으로 조직의 프로세스 품질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의 공식적인 평가 방법 .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프로세스 현황 진단 Page-15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18. Consulting Step 2. 발주 · 관리 프로세스 현황 진단 수행 개념 및 원칙 (HOW) 현황진단의 상세 수준은 대상 조직의 현재 프로세스 정립 및 적용 수준과 컨설팅 목표에 따라 달라짐 조직의 체계적인 발주 프로세스 개선 / 정립이 컨설팅의 우선 목표이거나 조직의 현재 프로세스 수준이 높은 경우 , 상세한 수준으로 현황 진단을 수행해야 개선 영역을 도출 가능함 대상 조직의 사업을 성공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컨설팅 목표이고 조직의 현재 프로세스 수준이 높지 않은 경우 , 상위 수준의 현황 진단만으로도 필요한 수준의 평가가 가능함 본 문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현황진단 방안은 두번째 경우에 보다 중점을 두고 설명하고 있음 ( 첫번째의 경우 , SCAMPI 와 같은 공식적인 진단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 ) 조직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상 조직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필요함 현황 진단에 필요한 자료의 제공 인터뷰 대상자의 시간 할애 ( 인터뷰 수행 , 현황 진단 결과 검증 등의 활동 참여 필요 ) 현황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컨설팅 범위 정의서’가 갱신되어야 함 식별된 개선사항에 대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 이를 기반으로 컨설팅 중점 영역을 재조정 수행 시점 (WHEN) [ 시작조건 ]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에 대한 합의 및 이해 관계자의 확약 획득 후 공급자가 선정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함 [ 종료조건 ] 현황 진단 결과 보고 직후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프로세스 현황 진단 Page-16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19. Consulting Step 2. 발주 · 관리 프로세스 현황 진단 역할 및 책임 (WHO) 대상 조직 / 사업 이해 프로세스 현황 진단 Page-17 준비 정립 적용 종료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현황진단 계획 수립 현황진단 계획 수립 현황진단 계획  현황진단 계획 승인 문서 분석 문서 수집  문서 자료 제공 분석 대상 자료 제공 문서 분석 인터뷰 수행 인터뷰 수행 인터뷰 참석 Gap & Indication 도출 현황진단 결과 사전 검증 현황진단 결과 보고서 ( 초안 ) 작성 현황진단 결과 보고서 ( 초안 ) 발표   현황진단 결과 검토 의견 제공 현황진단 결과 검토 현황진단 결과 보완 현황진단 결과 보고 현황진단 결과 보고 현황진단 결과 보고서 발표 
  • 20. Consulting Step 3. 정립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정립 목적 (WHY) 조직 차원의 표준화된 발주 프로세스의 개선 또는 정립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통한 기대효과 커뮤니케이션 체계 확립을 통해 업무 효율 향상 품질체계 정립을 통해 시스템 품질 확보 사업에 대한 가시성 확보를 통해 사업성공율 향상 사업 경험의 자산화 ( 지식 공유 ) 수행 범위 (WHAT) 프로세스 정의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 및 조직의 특성 식별 조직 프로세스에 포함될 프로세스 영역 선정 , 생명주기 및 활동 순서 정의 , 역할 및 입 / 출력물 정의 조직 프로세스 수행에 필요한 표준 양식 및 가이드라인 / 체크리스트 개발 [ 결과 산출물 ] 프로세스 정의서 , 관련 프로세스 자산 ( 표준 양식 , 가이드라인 , 체크리스트 등 ) 수행 시점 (WHEN) [ 시작조건 ] 현황진단 결과 도출 및 프로세스 개선 / 정립에 대한 범위 합의 후 [ 종료조건 ] 개선 / 정립된 조직 프로세스 및 관련 프로세스 자산 정의 후 프로세스 정립 Page-18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21. Consulting Step 3. 정립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정립 수행 개념 및 원칙 (HOW)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정립은 [ 공공부문 SW 발주 프로세스 실행모델 ] 을 기반으로 수행함 [ 공공부문 SW 발주 프로세스 실행모델 ] 은 [ 공공부문 SW 사업 발주 . 관리 표준 프로세스 ], ISO/IEC12207, CMMI, ISO/IEC15504, PMBOK 등의 표준 참조모델을 기반으로 공공기관에서 실제 사업에 적용 가능하도록 만든 실행 가능한 참조모델임 조직 프로세스가 조직에 맞게 정립되기 위해서는 조직 내부 인원의 참여가 핵심임 조직 프로세스 정의 시 조직 내부 인원이 직접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 ( 컨설턴트와 같이 작업 ) 프로세스 정의 작업을 같이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 내부 인원에 의한 충분한 검토 필요 대상 사업에 준하는 프로세스 정립 조직의 표준 프로세스는 다양한 사업의 특성에 따라 한 개 이상이 정의될 수 있음 본 문서에서는 시범 대상 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세스 정립에 국한함 프로세스 정립 Page-19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22. Consulting Step 3. 정립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정립 역할 및 책임 (WHO) 프로세스 정립 Page-20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사업 / 조직 환경 식별 추가 자료 & 정보 요청  사업 / 조직 특성 파악  필요 자료 & 정보 제공 요청받은 자료 제공 여부 판단 프로세스 정의 프로세스 선정  프로세스 선정 협의  프로세스 선정 활동 참여 프로세스 / 활동 순서 정의  프로세스 / 활동 순서 협의  프로세스 / 활동 순성 정의 활동 참여 세부항목 정의  세부항목 협의  세부항목 정의 활동 참여 프로세스 정의서 작성 프로세스 정의서 제공   검토의견 제공 프로세스 정의서 검토 프로세스 정의서 보완 프로세스 자산 개발 프로세스 자산 개발 프로세스 자산 제공   검토의견 제공 프로세스 자산 검토 프로세스 자산 보완 반복 수행 반복 수행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23.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목적 (WHY) 시범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지원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지원을 통한 기대효과 사업에 대한 가시성 확보를 통해 납기준수율 제고 품질체계 적용을 통해 시스템 품질 확보 실무자 발주 관리 역량 강화 SW 공공구매 제도 / 지침에 대한 만족도 향상 SW 공공구매 제도 / 지침 적용 우수사례 (Best Practice) 도출 수행 범위 (WHAT) 발주 프로세스 기반의 활동에 대한 컨설팅 수행 각 단계별로 법 / 제도 지원 , 사전검토 수행 , 사업관리 맨터링 , 품질활동 지원 측면의 컨설팅 수행 [ 결과 산출물 ] 발주자 / 공급자 산출물 , 산출물 검토의견 , 회의록 , 품질실사보고서 등 프로세스 적용 발주 계획 수립 제안요청서 준비 및 공급자 선정 사업관리계획 수립 사업관리 수행 및 통제 산출물 검토 및 평가 인수 및 종료 발주 프로세스 단계 단계별 컨설팅 활동 유형 Page-21 준비 정립 적용 종료 법 / 제도 지원 사전검토 수행 사업관리 맨터링 품질활동 지원 프로세스 적용 컨설팅 발주와 관련된 법 / 제도 정보 지원 법 / 제도 관점에서 산출물 검토 단계별 활동에 대한 사전점검 관련 정보 ( 표준 , 양식 등 ) 제공 / 검토 사업관리계획 작성 지원 / 검토 사업 현황검토 회의 참여 사업 관리 도구 사용 지원 산출물 검토 ( 요구사항 초점 ) 품질 실사 수행 발주준비 인수 및 종료 공급자 관리 계약 및 변경 RFP 준비
  • 24.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수행 범위 (WHAT) 단계별 법 / 제도 지원 측면의 컨설팅 활동 프로세스 적용 Page-22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25.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수행 범위 (WHAT) 단계별 사전검토 / 사업관리 맨터링 / 품질활동 지원 측면의 컨설팅 활동 Page-23 프로세스 적용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26.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수행 개념 및 원칙 (HOW) 공학적인 (Engineering) 관점보다는 관리적인 (Management or Process) 관점에 중점을 두고 컨설팅 수행 사전검토 , 사업관리 , 품질활동 ( 품질실사 ) 등 공학적인 관점에서는 요구사항 및 요구사항과 관련된 산출물의 정합성 검증에 중점을 둠 프로세스 성숙도가 낮은 조직의 경우 , 기본적인 사업 관리 체계를 갖추고 이를 통해 관리 가시성을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고 컨설팅 수행 예 ) 구체적인 사업관리계획의 작성 , 주기적인 현황 검토 회의의 수행 , 정형적인 추적체계 사용 등 프로세스 성숙도가 높은 조직의 경우 , 현황 진단 결과를 토대로 중점영역을 선정하고 이에 따라 컨설팅 역량 집중 필요 수행 시점 (WHEN) [ 시작조건 ] 현황진단 결과 도출 및 프로세스 개선 / 정립에 대한 범위 합의 후 원칙적으로는 프로세스 정립 활동과 병렬적으로 수행 가능 가능하다면 프로세스 정립 후 정립된 프로세스에 따라 시범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 종료조건 ] 시범사업의 종료 프로세스 적용 Page-24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27.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역할 및 책임 (WHO) 프로세스 적용 Page-25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발주계획 수립 지원 사전검토 관련 법 / 제도 , 발주계획서 양식 제공  사전검토 참여  발주계획서 검토 의뢰 발주계획서 작성 발주계획서 검토 검토의견 제공  발주계획서 보완 RFP 준비 및 공급자 선정 지원 사전검토 관련 법 / 제도 , RFP 양식 제공  사전검토 참여  RFP 검토 의뢰 RFP 작성 RFP 검토 검토의견 제공  RFP 보완 공급자 선정 및 계약 사업관리계획 수립 지원 사전검토 활동 가이드 , 사업관리계획서 양식 제공 / 검토  사전검토 참여 사업관리계획 작성 지원  사업관리계획 검토 의뢰 사업관리계획서 작성 사업관리계획 검토 검토의견 제공  사업관리계획 보완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28. Consulting Step 3. 적용 : 발주 · 관리 프로세스 적용 역할 및 책임 (WHO) 프로세스 적용 Page-26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사업관리 수행 및 통제 지원 사전검토 활동 가이드 , 관련 양식 제공 / 검토  사전검토 참여 사업 통제 지원 사업 수행 및 통제  품질실사 수행 요청 품질실사 수행 품질실사 보고서 제공  산출물 검토 및 평가 지원 사전검토 활동 가이드 , 관련 양식 제공 / 검토  사전검토 참여  산출물 검토 의뢰 산출물 작성 산출물 검토 검토의견 제공  산출물 보완 인수 및 종료 지원 사전검토 활동 가이드 , 관련 양식 제공 / 검토  사전검토 참여 인수활동 지원 인수 활동 수행 반복 수행 반복 수행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29. Consulting Step 4. 종료 : 컨설팅 수행결과 분석 목적 (WHY) 컨설팅 수행 성과 분석 컨설팅 시범사업에 대한 개선사항 식별 공공부문 SW 사업 발주 . 관리 표준 프로세스 개선사항 식별 수행 범위 (WHAT) 고객만족도 조사 시범사업 사후검토 시범적용 효과 분석 및 개선사항 식별 [ 결과 산출물 ]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 사후검토 회의록 , 컨설팅 수행결과 보고서 등 컨설팅 수행결과 분석 Page-27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30. Consulting Step 4. 종료 : 컨설팅 수행결과 분석 수행 개념 및 원칙 (HOW) 대상사업 초기에 정의된 컨설팅 목표를 기반으로 수행결과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 대상사업이 단기간에 수행되는 점을 감안하여 정량적인 분석 수준을 결정해야 함 . 정량적 결과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활동이 사업 진행에 관리 오버헤드로 작용함 . 중요한 영역에 대해 한정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표준 프로세스 및 시범사업에 대한 개선사항은 컨설팅 수행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함 수행 시점 (WHEN) [ 시작조건 ] 대상 사업의 종료 ( 컨설팅 범위에 속하는 모든 활동의 종료 ) [ 종료조건 ] 컨설팅 수행결과 보고서의 승인 역할 및 책임 (WHO) 컨설팅 수행결과 분석 Page-28 준비 정립 적용 종료 컨설턴트 Communication 고객 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고객만족도 조사 고객만족도 양식 배포   고객만족도 평가 결과 제공 고객만족도 평가 시범사업 사후검토 시범사업 사후검토 수행 사후검토 회의록  시범사업 사후검토 참여 시범적용 효과 분석 및 개선사항 식별
  • 31. 13.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컨설팅 적용사례 Page-29 LOG 분석기 EDMS, 침입차단시스템 리포팅툴 , 메일감사시스템 분리 발주 2007.9.14~12.20 2007.10.23~11.30 2007.8.17~12.29 기간 ITA 및 지식행정시스템 확대구축 사업 정책관리서비스 안정화 및 U- 행정서비스 지원사업 정보시스템 개선사업 사업명 XX 부 XX 부 XX 부 구분
  • 32. 14. 컨설팅 적용 방향 해당기관에 맞는 표준 프로세스의 정립 및 적용을 통해 SW 공공구매제도 / 지침의 확산 기반을 마련하고 , 해당기관의 사업을 성공적으로 지원 . 아울러 , SW 공공구매제도 및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세부지침 적용을 통해 모범사례 발굴 , 확산 Page-30
  • 33. The Case : 개요 시범사업 개요 사업명 : XX 부 정보시스템 개선사업 ( 업무관리시스템 고도화 & 네트워크 개선 ) 사업예산 : 2,703,000,000 원 ( 부가세포함 ) 업무관리시스템 고도화 사업 사업기간 : 2007.8.17 ~ 2007.12.29 (4.5 개월 ) 사업범위 (SW 개발 및 커스터마이징 ) 부내 정보시스템간 연계 : 업무관리시스템 , 통일행정포탈 , 지시관리시스템 , 전자결재시스템 업무관리시스템 기능 개선 : XX 부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 정보제공을 위한 메신저 개발 통일행정포탈 기능 개선 : 메인화면 수정 , QnA 또는 Helpdesk 기능 추가 지식관리시스템 기능 개선 : 업무카드분류체계 반영 전자결재시스템 기능 개선 : 데이터 이관 , 메신저 알림서비스 추가 [ 분리발주 ] 리포팅툴 , 메일감사 시스템 (106 백만원 ) 네트워크 개선 사업 사업기간 : 사업자 선정 및 계약 후 5 개월 ( 예정 , 현재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 중 ) 사업범위 ( 인프라 구축 및 SW 구매 ) 네트워크 구축 침입차단 ( 방지 ) 시스템 도입 IP 및 망 관리 시스템 도입 PMS 및 통합 PC 보안 시스템 도입 보안 USB 관리 시스템 도입 사무용 PC 구매 보안 메일 시스템 도입 [ 분리발주 ] PC 보안 SW (60 백만원 ) – 현재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 중 Page-31
  • 34. The Case : 사업 개요 주요 일정 & 현재 진행 상황 주 사업 ( 업무관리시스템 고도화 ) 현재 통합테스팅 진행 중 차주 중 감리 수행 예정 선 구현 후 문서화 ( 발주자와 공급자 간 합의 ) SW 분리발주 리포팅툴 , 매일감사시스템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 발주 수행됨 Page-32
  • 35. The Case : 컨설팅 활동 요약 Page-33
  • 36. The Case : 준비단계 (1) 컨설팅 활동 XX 부 컨설팅 Kick-off 사업계획서 검토 ‘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검토 XX 부 프로세스 현황 진단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정의 발주관리 교육 수행 사업 특징 저예산 및 촉박한 일정으로 공급자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음 ( 긴급발주 ) 다양한 시스템을 연계하는 사업으로 사업 참여자 및 관련 이해당사자가 많음 관리적인 측면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계획이 중요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설계가 중요 공급자의 관리 · 개발 방법론 : 관리기법 /1 (Method/1) 고객 기관의 컨설팅 요구사항 SW 분리발주 방안에 대한 검토 , 사업진행 방향 , 방안 등 프로젝트 관리기술에 대한 지원 공급자의 사업관리 오버헤드 최소화 ( 예산 , 정해진 일정에 비해 사업범위가 큼 ) Page-34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37. The Case : 준비단계 (2) 조직 프로세스 현황 진단 XX 부 프로세스 관련 자산 (‘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등 ) 검토 인터뷰 및 설문조사 수행 Process People Technology 품질 관점 별 조직 성숙도 수준 발주 프로세스 영역별 조직 성숙도 수준 대체적으로 프로세스 성숙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됨 정보화 사업 관련 상위 수준의 지침이 존재하나 , 사업 관리 실무를 위한 절차 , 역할 & 책임 , 표준 양식 정의 미흡 조직 지침이 실무에 부분적 또는 일관성 없이 적용되고 있음 정보화 관련 업무량에 비해 담당인원이 매우 부족하다고 실무자들이 생각하고 있음 사업관리를 위한 지원 도구 사용하고 있지 않음 시사점 대외적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RFP 준비 , 제안서 평가 , 계약 등의 공급자 선정과 관련된 활동의 성숙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음 형상관리 , 품질보증 등 사업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원 활동의 성숙도 수준은 비교적 낮음 실질적인 공급자 관리 활동의 성숙도 수준도 낮은 편임 시사점 Page-35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38. The Case : 준비단계 (3) 컨설팅 수행 범위 조직 프로세스 정립 (‘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 개정 ) SW 사업 관련 법 / 제도 고려사항 반영 소프트웨어사업 관리 감독에 관한 일반 기준 및 세부 지침 준수 관련 프로세스 자산 ( 표준 산출물 양식 , 가이드라인 , 체크리스트 등 ) 개발 [ 고객 요구사항 ] 업무 순서 , 역할 및 책임 , 산출물을 명시적으로 정의하여 수행 가능한 프로세스 정립 필요 관리적인 오버헤드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간결한 프로세스 정립 필요 프로세스 적용 발주 프로세스 기반의 활동에 대한 컨설팅 수행 각 단계별로 법 / 제도 지원 , 사전검토 수행 , 사업관리 맨터링 , 품질활동 지원 측면의 컨설팅 수행 법 / 제도 지원 : 발주와 관련된 법 / 제도 정보 지원 및 산출물 검토 사전검토 수행 : 단계별 활동에 대한 사전 점검 , 관련 정보 ( 표준 , 양식 등 ) 제공 또는 검토 사업관리 맨터링 : 사업관리계획 작성 지원 / 검토 , 사업 현황검토 회의 참여 품질활동 지원 : 산출물 ( 관리 산출물 위주 , 요구사항 관리 관점의 기술 산출물 ) 검토 , 품질 실사 [ 고객 요구사항 ] 공급의 관리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공급자가 사용하는 방법론 , 표준 양식 우선 사용 Page-36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39. The Case : 준비단계 (4) 발주 . 관리 교육 수행 교육자료 제공 별도의 집체교육 수행하지 않고 , 방문시 일대일 맨터링 수행함 [ 발주 . 관리 표준 프로세스 교육 ] Page-37 준비 정립 적용 종료 식별번호 교육 명 교육 내용 PRO-01 SW 품질과 프로세스 SW 의 중요성 및 특성 , SW 품질 개선 원칙 PRO-02 관리 감독 일반 기준 및 세부 지침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 기준 , 공공부문 SW 사업 발주‧관리 표준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PRO-03 발주관리 프레임워크 발주 프로세스 , 공급 프로세스 , 개발 및 기타 프로세스 , 생명주기 관점 프로세스 PRO-04 세부기법 - 프로젝트 관리 및 프로세스 테일러링 프로세스 테일러링을 통한 계획서 작성 개요 , 발주 ( 관리 ) 계획서 항목별 작성 기법 PRO-05 세부기법 - 요구사항 관리 및 개발 요구사항 관리 개요 , 요구사항 명세 , 추적 , 변경 관리 , 요구사항 품질 및 검토 , 요구사항 식별 PRO-06 세부기법 - 검증 및 확인 검증 및 확인 (Verification & Validation) 개요 , 소프트웨어 인스펙션 , SW 테스팅
  • 40. The Case : 정립단계 (1) 조직 프로세스 정립 - XX 부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 개정 제 1 장 총 칙 제 1 조 ( 목적 ) 제 2 조 ( 용어의 정의 ) 제 2 장 기본 원칙 제 3 조 ( 적용범위 ) 제 3 장 발주준비단계 제 4 조 ( 정보화사업 추진 방안 및 요구사항 상세화 ) 제 5 조 ( 정보시스템 요구사항 정의 ) 제 6 조 ( 기본 SW 요구사항 정의 ) 제 7 조 ( 인수전략정의 ) 제 8 조 ( 발주계획서 작성 ) 제 4 장 제안요청서 준비 단계 제 9 조 ( 제안요구사항 문서화 ) 제 10 조 ( 계약조건 정의 ) 제 11 조 ( 공급자 선정 기준 및 절차수립 ) 제 5 장 계약 및 변경 단계 제 12 조 ( 입찰 공고 ) 제 13 조 ( 제안서 평가 ) 제 14 조 ( 공급자 선정 ) 제 15 조 ( 계약협상 및 체결 ) 제 16 조 ( 계약변경 ) 제 6 장 공급자 관리 단계 제 17 조 ( 사업수행계획서의 검토 및 승인 ) 제 18 조 ( 공급자 계약이행 점검 ) 제 19 조 ( 사업 관리 ) 제 20 조 ( 합동검토 ) 제 21 조 ( 감리 ) 제 22 조 ( 공급자와 협력 ) 제 7 장 인수 및 종료단계 제 23 조 ( 인수준비 ) 제 24 조 ( 검수 및 인수시험 ) 제 25 조 ( 인수 및 사업종료 ) 제 26 조 ( 성과관리 ) 제 8 장 하자 및 유지보수단계 제 27 조 ( 하자 및 유지보수 ) 제 9 장 보칙 제 28 조 ( 기타사항 ) [ 별첨 1]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 [ 별첨 2]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 테일러링 내역 [ 별첨 3] 발주계획서 서식 [ 별첨 4] 제안요청서 서식 [ 별첨 5] 사업수행계획서 서식 [ 별첨 6] 사업관리계획서 서식 [ 별첨 7] 인수계획서 서식 [ 별첨 8] 인수시험 결과보고서 서식 [ 별첨 9] Lessons Learned Report 서식 [ 별첨 10] 합동검토 결과보고서 서식 [ 별첨 11] 변경요청서 서식 [ 별첨 12] 문제보고서 서식 [ 별첨 13] 사업수행계획서검토 Checklist [ 별첨 14] 요구사항정의종료 Checklist [ 별첨 15] 분석및설계종료 Checklist [ 별첨 16] 코딩및단위시험종료 Checklist [ 별첨 17] 자격시험준비종료 Checklist XX 부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 ( 개정 ) Page-38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41. The Case : 정립단계 (2) 조직 프로세스 정립 -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 Page-39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42. The Case : 정립단계 (3) 조직 프로세스 정립 -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 테일러링 기준 및 내역 프로세스 정립에 대한 고객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최소한의 프로세스 영역 선정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필수 프로세스 영역 선정 )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과 세부지침 간 매핑 XX 부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와 세부지침 간 매핑 Page-40 준비 정립 적용 종료 일반 기준 세부지침 1~3 조 N/A 4 조 발주준비 5.1.1 발주준비 5 조 제안요청서 준비 5.1.2 제안요청서 준비 6 조 계약 및 변경 5.1.3 계약 및 변경 6.2.3 형상 통제 7 조 공급자 관리 5.1.4 공급자 관리 7.1 관리 8 조 사업 관리 5.1.4 공급자 관리 7.1 관리 9 조 합동검토 6.6 합동검토 6.9 문제해결 10 조 감리 6.7 감리 11 조 인수 및 종료 5.1.5 인수 및 종료 12 조 성과관리 7.6 성과관리 13 조 기타사항 N/A 정보화사업 발주ㆍ관리 프로세스 세부지침 STD.ACQ.PRE 발주준비 5.1.1 발주준비 STD.ACQ.RFP 제안요청서 준비 5.1.2 제안요청서 준비 STD.ACQ.CON 계약 및 변경 5.1.3 계약 및 변경 6.2.3 형상 통제 STD.ACQ.PP 사업관리 계획 수립 5.1.4 공급자 관리 7.1.1 관리 준비 7.1.2 관리계획 수립 7.6 성과관리 STD.ACQ.EC 사업관리 실행 및 통제 5.1.4 공급자 관리 7.1.3 관리 실행 및 통제 7.6 성과관리 STD.ACQ.RE 산출물 검토 및 평가 5.1.4 공급자 관리 7.1.4 검토 및 평가 STD.ACQ.ACC 인수 및 종료 5.1.5 인수 및 종료 7.1.5 종료 STD.CP 변경처리 6.2.3 형상 통제 STD.JR 합동검토 6.6 합동검토 STD.AU.AUP 감리 6.7 감리 STD.PR 문제해결 6.9 문제해결
  • 43. The Case : 적용단계 (1) 적용단계 컨설팅 활동 요약 발주 프로세스 7.6 대상사업 신청 7.25 입찰공고 8.17 사업자 선정 12.17 시험 종료 ( 예정 ) 12.28 사업 종료 ( 예정 ) Page-41 준비 정립 적용 종료 발주 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 및 변경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단계 컨설팅 수행활동 수행활동 입력물 출력물 발주준비 준비단계 수행 활동 XX 부 컨설팅 Kick-off 사업계획서 검토 ‘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검토 XX 부 프로세스 현황 진단 컨설팅 목표 , 방향성 및 범위 정의 발주관리 교육 제안 및 교재 제공 사업계획서 정보화 업무관련 지침 설문 답변 Kick-off 미팅 자료 현황진단 결과 컨설팅 범위 발주관리 교육 교재 RFP 준비 RFP 검토의견 제공 법 / 제도 관점 검토 SW 분리발주 내역 검토 제안요청서 제안요청서 검토 의견 계약 및 변경 계약서 표준 양식 제공 계약서 표준 양식
  • 44. 발주 프로세스 The Case : 적용단계 (2) 적용단계 컨설팅 활동 요약 12.17 시험 종료 ( 예정 ) 12.28 사업 종료 ( 예정 ) 7.6 대상사업 신청 7.25 입찰공고 8.17 사업자 선정 Page-42 발주 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 및 변경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준비 정립 적용 종료 단계 컨설팅 수행활동 수행활동 입력물 출력물 공급자 관리 공공부문 SW 발주프로세스 실행모델 교육 ( 사전검토 ) 프로세스 맵 설명 표준 양식 , 가이드라인 , 체크리스트 설명 프로세스 맵 개요 및 상세 (9 개 2nd-level, 30 개 3rd-level 프로세스 ) 프로세스 mapping table 관련 표준 양식 , 가이드라인 , 체크 리스트 설명 ( 약 40 여종 ) 사업수행계획 작성 지원 및 검토 사업수행계획 및 형상관리 계획 작성 방법 설명 사업수행계획서 검토 WBS 검토 형상관리계획서 초안 작성 및 제공 사업수행 계획 관련 추가 산출물 양식 및 가이드라인 제공 사업수행계획서 및 WBS 2 차 검토 사업수행계획서 기술용역공정계획 WBS 사업수행계획서 검토 의견서 WBS 검토 의견서 형상관리계획서 ( 초안 ) 사업수행계획 관련 표준 양식 , 가이드라인 (6 종 ) 사업관리 맨터링 사업현황검토 회의 참여 또는 지원  사업진행현황에 대해 모니터링만 수행 사업현황보고서 ( 주간 / 월간 보고서 등 , 사후 제공받음 ) 요구사항 설계 구현 시험 계획
  • 45. 발주 프로세스 The Case : 적용단계 (3) 적용단계 컨설팅 활동 요약 12.17 시험 종료 12.28 사업 종료 7.6 대상사업 신청 7.25 입찰공고 8.17 사업자 선정 Page-43 발주 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 및 변경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준비 정립 적용 종료 단계 컨설팅 수행활동 수행활동 입력물 출력물 공급자 관리 품질활동 지원 산출물 양식 검토 고객 요구사항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산출물 검토 활동 지원 요구사항정의서 기능요건정의서 프로그램 / 테이블 / 화면 목록 및 명세서 요구사항 대비표 테스트계획서 테스트수행 및 결과보고서 요구사항정의서 양식 검토 의견 인수 종료 감리비 산정 방법 설명 및 관련 자료 제공 사업수행산출물 감리비 산정 관련 자료 (2 종 ) 요구사항 설계 구현 시험 계획
  • 46. The Case : 종료단계 (1) 컨설팅 적용의 효과 컨설팅 수행내역 ( 정립 & 적용 단계 수행활동 ) 의 커버리지 분석을 통해 잠정적 결과 도출 고객만족도 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 검증 Process People Technology 품질 관점 별 조직 성숙도 수준 발주 프로세스 영역별 조직 성숙도 수준 조직 표준 프로세스 정립을 통해 절차 , 양식 , R&R 측면의 개선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됨 실무자 지식 수준 측면에서는 발주 . 관리 표준 프로세스의 체계적인 사업관리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관리능력 향상에 기여함 프로세스 적용 측면의 평가는 사업 종료 후 평가 예정 효과 분석 컨설팅이 제공된 시기 상 발주계획 단계 이후 공급자선정 , 공급자관리 , 인수및종료 단계의 성숙도가 향상에 기여함 ‘ 관리 오버헤드 최소화’라는 고객의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해 지원요소인 형상관리 , 품질보증은 기본적인 내용 적용에 한정함 효과 분석 Page-44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47. The Case : 종료단계 (2) 적용의 효과 – 컨설팅 목표 대비 SW 사업 발주 관리에 대한 조직의 능력 성숙도 향상 SW 사업 발주 관리를 위한 조직의 표준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 관련 프로세스 자산을 확보함 향후 조직에서 프로세스 개선으로 인한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기반 마련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 및 세부지침에 대한 만족도 향상 표준 프로세스를 조직에 맞게 테일러링해서 적용함으로써 이해도 , 실무 적용성을 증대시킴 표준 프로세스에 대한 인식 개선 실무자의 SW 사업 발주 관리 능력 향상 교육 및 실무 맨터링을 통해 발주 관리 지식 및 경험 이전 Page-45 준비 정립 적용 종료
  • 48. 15. 적용 사례에 대한 교훈 및 개선점 적용결과 - SW 사업 발주 관리에 대한 조직의 능력 성숙도 향상 - SW 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 및 세부지침에 대한 만족도 향상 - SW 사업 발주 관리 능력 향상 교훈 및 개선점 개별 사업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대상조직에 대한 프로세스 개선 지원 필요 XX 부 , XX 부 등 예전에 시범사업을 했던 곳도 내부적으로 전파 안됨 개별 시범사업 성과로는 제도 확산 및 전파의 한계가 있음 개별 사업 중심으로 적용시 체계적으로 정립된 프로세스를 적용하기가 힘듦  당장의 사업 성공을 위해 사업자가 사용하는 관리기법 , 개발방법론에 맞혀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음 중 . 장기적 지원 필요 개선된 프로세스의 정착에는 오랜 시간 및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가 필요함 조직 내부적으로는 이러한 여력이 없는 곳이 많아 시범사업 등을 통해 지속적인 지원 필요 표준 프로세스 / 양식 자체를 강요하기보다는 근본 취지에 준하여 해석 / 적용 필요 공급사의 능력에 따라 발주관리 프로세스가 다양하게 적용됨 예 ) 국내 대형 SI 업체의 경우 자체 프로젝트 관리 및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여 사업을 수행함 발주자가 이를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 충분한 역량을 갖춰야 함 관리 효율성을 위한 도구 지원 필요 프로세스 적용을 위한 노력을 도구 활용을 통해 경감시킬 필요성이 대두됨 프로세스 개선은 시행 초기에 관리 오버헤드가 늘게 되는데 , 관리 활동을 지원하는 도구를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어 표준 프로세스 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 Page-46
  • 49. 16. 향후 발전방향 –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개선사업 추진체계 및 목표 ·SW 발주관리전문가 교육 실시 ( 연 3 회 총 100 여명 교육 ) · 발주관리 프로세스 일반용 교재 · 발주관리 프로세스 강사용 교재 · 발주관리 프로세스 발표용 sheet ·SW 발주관리 프로세스의 지속적인 개선 (ISO/IEEE, SWEBOK 등 국제표준 개선 및 변경 , 국내 SW 사업환경 변화 ) · 사업관리감독일반기준 개선 · 산업 / 국가 표준 개선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보급 및 활성화를 위한 컨텐츠 개발 · 알기쉬운 발주관리 · 시범사업 결과 ( 사례집 ) · 발주관리적용툴 (’09 완료 ) · 프로세스 맵 ( 브로마이드 ) · 프로세스 카드칩 · 프로세스 컨설팅 추진 · 컨설팅 핸드북 · 컨설팅 방법론 (SWABOK) · 컨설팅 양식 · 컨설팅 사례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보급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활성화 ※ 기타는 지자체 , 교육청 , 도서관 , 박물관 , 대학 , 금융 , 병원 등 국방부 , 정통부 , 한국수력원자력 , 해수부 , 통일부 , 산림청 , 법제처 , KIPA, 국방부 2, 정통부 2, 헌법재판소 , 통일부 , 문광부 , 정통부 3 한전 KDN, 인천공항공사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개선 Page-47 개선연구 컨텐츠 컨설팅 교육 발주관리 프로세스 - 200 300 500 1,000 명 50 50 100 200 개 2015 년 - 80 170 250 500 명 5 25 30 60 개 2011 년 - 30 90 80 200 명 2 4 14 20 개 2009 년   목 표 10 60 30 100 명 전문가 - 2 - 2 개 정립 지원 - 30 100 170 300 명 인지 - - 14 14 개 프로세스 정립 전파 - 2,000 14,000 4,000 20,000 명 779 249 172 1,200 개 대상 기타 공공 중앙   기타 공공 중앙   비고 발주자 발주기관 구분
  • 50. 17. 향후 발전방향 –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Village Page-48 SW 발주관리프로세스 시스템
  • 51. 18. 향후 발전방향 – SW 공학기술센터의 프로세스 컨설팅 발전방향 o 현재 사업별로 각각 추진하던 SW 발주관리프로세스 , SW 사업대가 , K 모델 컨설팅 영역을 하나의 패키지로 만들어 정보화사업 토탈 컨설팅 Kit 으로 추진 Page-49 Organization Process Consulting Cost Estimation Consulting Certification Consulting 심사 기준 심사원 관련 자료 K 모델 컨설팅 방법론 적용툴 사례 발주관리 프로세스 SW 개발 유지보수 ISP 사업 대가 인수 K 모델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시험 구현 설계 분석 기획 SW 비용산정 Law Standard KIPA Consulting Area
  • 52. (SW-PAT; process automation tool) 참고 1.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적용툴 _ 2008 년 개발완료 예정 제안요청서검토 제안서 준비 계약 및 변경 사업수행계획수립 실행 및 통제 검토 및 평가 납품 및 종료 5.1 발주 프로세스 5.2 공급 프로세스 계약 관점 계획관점 5.4 운영프로세스 5.6 정보전략계획 프로세스 운영 준비 시스템 운영 운영시험 사용자 지원 공학관점 6.3 품질보증 프로세스 5.3 개발 프로세스 5.5 유지보수 프로세스 개발준비 SW 설치 SW 인수지원 시스템요구사항분석 시스템구조설계 시스템통합 SW 요구사항분석 SW 구조설계 SW 상세설계 SW 코딩 및 단위시험 유지보수준비 유지보수 분석 시스템 유지보수 유지보수 검토 / 승인 SW 이전 SW 폐기 운영관점 관리준비 관리계획 수립 관리 실행 및 통제 검토 및 평가 종결 7.1 관리 프로세스 관리 관점 7.2 기반구조 프로세스 7.4 인적자원 프로세스 6. 지원수명주기 프로세스 6.1 문서화 프로세스 6.2 형상관리 프로세스 품질관리관점 6.4 검증 프로세스 6.5 확인 프로세스 6.6 합동검토 프로세스 6.7 감리 프로세스 6.8 문제해결 프로세스 7.6 성과관리 프로세스 7.3 프로세스 개선 프로세스 프로세스 정립 프로세스 평가 프로세스 개선 5. 핵심수명주기 프로세스 7. 조직 수명주기 프로세스 발주준비 공급자 관리 인수 및 종료 기획 관점 7.5 정보화기획 프로세스 시행계획 수립 정보전략계획준비 현행 시스템 분석 목표 시스템 정의 이행계획 수립 시스템자격시험 SW 통합 SW 자격시험 <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표준 프레임워크 > ■ SW 개발사업 기획관점 관리관점 품질 관리관점 … 소요제기 소요제기 기본계획 수립 계약 및 변경 관리계획 수립 관리 실행 및 통제 검토 및 평가 6.4 검증 프로세스 6.5 확인 프로세스 6.6 합동검토 프로세스 6.7 감리 프로세스 제안요청서 준비 제안요청서 준비 계약관점 계약 및 변경 기본계획 수립 클릭 드래그 ~ 클릭 드래그 ~ 프로세스 테일러링 실행하기 8 프로젝트명 프로젝트 현황 입력 기 간 ~ 비 용 사업대가 계산하기 . . . 등록
  • 53. (SW-PAT; process automation tool) 참고 1.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적용툴 _ 2008 년 개발완료 예정 공공부문 SW 발주관리 지원 툴은 발주∙관리 준비 , 발주∙관리 수행 , 발주∙관리 지원 , 조직 자산 관리 영역으로 구분되며 발주∙관리 생성부터 프로젝트 종료까지의 발주관리 업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A. 발주 ∙ 관리 프로젝트 생성 B. 발주 ∙ 관리 프로세스 테일러링 C. 발주 ∙ 관리 계획수립 및 재계획 G. 보고서 작성 I. 데이터 수집 및 측정 H. 산출물 관리 K. 표준 자산 관리 L. 사용자 자산 관리 J. 가상 발주관리 프로젝트 따라하기 F. 발주 ∙ 관리 수행 ( 공급자 관리 ) 공급자 보고 E. 발주 ∙ 관리 수행 ( 발주준비 ~ 계약 체결 ) D. 공급자 관리 계획수립 및 변경 공급자 Version K/O 종료 공급자 version SW 로 발주 담당자에게 보고 시 사용 ※ SW 사업관리감독에관한일반기준 세부지침을 기준으로 관련 정보 제시 ① 발주 ∙ 관리 준비 ② 발주 ∙ 관리 수행 ④ 조직 자산 관리 ③ 발주 ∙ 관리 지원
  • 54. [Swap; Software Business Acquisition Management Professional ] 참고 2. SW 발주관리프로세스 전문가 교육 _ 2008 년 총 100 명 육성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전문가 교육은 보다 전문적이고 실무적으로 강화된 SW 발주전문화 프로그램 o 2008 년도에는 3 일차 교육 (3 회 ) 을 통해 100 여명의 SW 발주관리 프로세스 전문가 육성 추진  발주교육 일정 : 7/29,30,31( 완료 ), 9/24,25,26( 완료 ), 11/19,20,21
  • 55. End of Document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SW 공학단 SW 공학기술센터 배문식 02-2141-5717 [email_add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