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내용

qIT 핵심 4대 트랜드 요약
    § 2012년 주요 IT 트랜드 ­ Smart Life 혁명
    § 국내외 사업자의 예측 ­ 가트너, 마이크로소프트
    § IT 주요 트랜드의 의미
q4대 트랜드의 의미와 현황
    §   HTML5
    §   클라우드 컴퓨팅
    §   M2M
    §   Big Data

2
1
IT 핵심 4대 기술 트랜드 요약
2012년 주요 IT 트랜드


             서비스 환경의       사용자 편의성
             다양성 증가         요구 증가




                                     효율적 활용
    데이터 폭증
                                     요구 증가




                   단말/플랫폼/서비스 경쟁
4
2012년 주요 IT 트랜드


             서비스 환경의       사용자 편의성
             다양성 증가         요구 증가




              Smart Life 혁명
                                     효율적 활용
    데이터 폭증
                                     요구 증가




                   단말/플랫폼/서비스 경쟁
5
[참고] Gartner IT 트랜드 (2010~2012)




6                      Source: Gartner, 2011
[참고] 2012년 주요 IT 트랜드 (Microsoft)




7                      Source: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2012
주요 IT 트랜드의 의미
               • 차세대 콘텐츠/응용 산업 육성

      HTM L5   •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 경쟁력 확보 및 다양한 융·복합
               응용 경쟁력을 갖는 환경을 조성하여, 신규 서비스 발
               굴 및 스타트업 창업 등 신규 고용 창출                 경제
                                                     활성화
               • 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수단

    클라우드 컴퓨팅   • 공공부문 확대 적용 및 시스템 장애, 보안 / 정보유출
                                                      기여
               등 이용자 보호 정책 보완을 통한 활성화 기반 조성과
               효율적 활용 촉진


               • 우리의 삶을 바꾸는 혁신적 인프라 구축

      M 2M     • M2M 기기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스마트 서비스 및 공     국민 편의
               공 인프라 개발 및 보급
                                                    개선
               • 데이터의 사회경제적 활용

     빅데이타      • 공공과 민간의 빅 데이터 활용을 통한 혁신을 위해 정     창조 강국
               부가 선도적으로 데이터 통합 수집/분석 역량, 인프라
               등을 체계적으로 준비하여 정보의 창조적 활용 지원          실현
8                                수정: NIA, 2012년 IT 트렌드 전망 및 정책방향
2
4대 기술 트랜드의 의미와 전망
[1] HTML5 – 정의
q HTML5 란?
     § HyperText Markup Language 5.0 : 웹 표현 언어
     § HTML5는 기존 단순 문서표현 형태의 기능을 넘어 오디
       오·비디오·그래픽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
       을 웹으로 표현하고 실행하기 위한 새로운 마크업 언어
       임




10
[1] HTML5 – 확산 배경
q 모바일 인터넷의 성장
     § 응용 개발의 복잡성 증가
     § 다양한 장치를 지원하면서도, 특정
       장치 및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 응
       용환경 필요
q 웹 기술의 진화
     § 다양한 브라우저 개발사들이 참
       여하여 기술 개발 중
     § 기존에 웹으로 할 수 없던 것들을
       표준 기능으로 할 수 있게 만듦 (비
       디오 제어, 공인인증서, NFC, 장
       치 제어, 게임 등)
q 앱과 SW 플랫폼 경쟁 가속화
     § 구글/애플에 종속되지 않기 위해
       HTML5에 관심 집중
11
[1] HTML5 – 의미

     액티브X: 특정 브라우저(IE)에 종속된 플러그인 기술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액티브X 이용
     이제는 MS도 포기한 기술
     주요 200대 사이트中, 147곳 (74%)에서 ActiveX 사용 (KISA, '12. 6)




                  웹 표준을 준수하여 브라우저 종속성 탈피
           특히, HTML5 보급 활용을 통한 기술적 한계 극복 가능
12
[1] HTML5 – 국내외 주요 동향
q 2011
     § EU-FP7, WebinOS 및 MobileWebApp, Service Platform 프로젝트 시작
q 2012
     § 해외 100대 사이트 중 34%는 HTML5 적용 (한국은 10% 미만)
     § 미국 백악관, 21세기형 전자정부 플랫폼 구축 전략 발표 – 연방정부 웹 사이트에
       HTML5 도입 가이드 포함 (2012.5)
     § facebook은 HTML5 기반의 앱 유통 센터를 2012년 중에 완료 예정
     § 삼성/인텔의 Tizen은 HTML5 기반의 응용 환경을 핵심 기능으로 채택
     § 방통위, 인터넷 경쟁력 개선을 위한 HTML5 활성화 대책 발표
q 2013
     § Mozilla와 텔레콤 이탈리아는 2013년 1월 HTML5 기반의 Firefox OS를 탑재한 휴대폰
       을 출시 예정
q 2014
     § W3C는 2014년 HTML5 표준을 최종 승인 예정
q 2016
     § ABI Research는 HTML5 지원 모바일 단말이 ’16년 21억대 이상이 될 것 이라고 예측
13
[1] HTML5 – 응용 분야 및 향후 전망




14
HTML5의 의의
§   웹 기술은 인터넷 확산과 인류 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기술이며, HTML은 이러한 웹
    을 구성하는 핵심 표현 기술로, 그 파급력과 영향력이 막대함
§   HTML5 표준은 차세대 웹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통합하는 핵심적인 미래 서비스 플랫폼 표준으로
    써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예측
§   HTML5 표준은 모바일, TV, 정보가전 등 N-스크린 시대에 큰 영향력을 가지며 기존 데스크탑 환경
    에서 보다 그 파급효과가 훨씬 강력할 것으로 예측
§   국내의 인터넷 환경은 비표준화된 환경이 고착되어 국제 경쟁력이 저하되었고, 모바일로 변화되
    는 환경 변화에도 적응하지 못하고 있어, HTML5 기반의 새로운 혁신이 필요함
§   HTML5 활성화는 모바일 광고 및 상거래의 확산, 새로운 인터넷 응용과 서비스 환경 창조와 같은
    많은 변화와 함께 거대한 인터넷 경제를 변화시키는 핵심 기술임



                                                    Company System      15
                                                                     LOGO
[2] 클라우드 컴퓨팅 – 정의
q On-demand Outsourcing “Pay-as-You-Go”
q 내가 원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 지
  불하는 것
           Private Car vs. Rental or Public Vehicle ?




                                       VS.




      Buying it with expensive price         Just Rental with cheap price


16
[참고] 클라우드 컴퓨팅 – 구성 및 모델
q 클라우드 구성 방법
     § Public Cloud :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 클라
       우드
     § Private Cloud : 기업용 등 내부 사용자 전용 클라
       우드
     § Hybrid Cloud : Public + Private Cloud


q 클라우드 비즈니스 모델
     §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버, 스토리
       지,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서비스로 제공
         • 사례) 아마존 스토리지 서비스 등
     § PaaS | Platform as a Service : 응용 SW 및 서비스
       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서비스로 제공
         • 사례) 구글 앱 엔진 등
     § SaaS | Service as a Service : 응용 SW를 서비스
       로 제공
         • 사례) 세일즈포스닷컴 등
17
[2] 클라우드 컴퓨팅 – 확산 배경
q 확산 배경
     § 불황으로 인한 H/W 구매의 비용 절감
     § 방대한 데이터 처리를 요구 하는 기업
       어플리케이션의 수요증가
     § 2005 년 발효된 기후 협약 관련 쿄토
       의정서에 따른 각국의 지구 온실가스
       감축 의무에 따른 그린 IT 에 대한 인
       식의 확산
q 기술적 배경
     §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유휴 CPU 사
       용을 증가 시켜 추가 H/W 구매 없이
       인프라 투자비를 절감
     § 다양한 디바이스의 확산에 따른 데이
       터 공유/서비스 공유 필요성 확산


18
[2] 클라우드 컴퓨팅 – 의미
q 컴퓨팅 자원을 직접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에 비해 최대 50% 정도
  의 비용절감을 가져 올 수 있음

q 컴퓨팅 자원을 구축, 운용, 관리할 별도의 조직을 내부에 두지 않
  아도 되므로, 조직의 슬림화를 꾀할 수도 있음

q 분산된 다수의 소규모 데이터센터보다 집중된 소수의 대규모 데
  이터센터가 컴퓨팅 전문성 측면에서나, 에너지 이용효율의 측면
  에서 많은 경제적 효과

q 다양한 단말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 è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다양한 단말에서 자유롭게 이용 가능

19
[2] 클라우드 컴퓨팅 – 국내외 주요 동향




20               Source: NIPA, 2012년 IT산업 10대 이슈
[2] 클라우드 컴퓨팅 – 국내외 주요 동향




21                   Source: ARG
[2] 클라우드 컴퓨팅 – 국내외 주요 동향




22               Source: NIPA, 2012년 IT산업 10대 이슈
[2] 클라우드 컴퓨팅 – 응용 분야 및 향후 전망




23                    Source: ARG
[2] 클라우드 컴퓨팅 – 응용 분야 및 향후 전망




24                    Source: ARG
클라우드 컴퓨팅 이슈
§   미국․일본․싱가포르 등은 공공 기관의 클라우드 도입, 데이터 센터 및 서비스 활성화 등
    추진
    §    美:CloudFirstPolicy-’12.6월까지최소한3개서비스를민간클라우드기반으로전환할것을의무化
    §    ⽇:SmartCloudStrategy-의료,교육등에클라우드서비스이용을확산
    §    싱가포르:DataCenterPark-공공기관이민간클라우드를활용하도록하고,클라우드데이터센터파크를구
         축,해외기업유치

§ 시장 수요에 비해 국내 산업의 경쟁력 현저히 낮음
    ü 외산의존도가높으며,공공분야도입도외산으로도배우려

§ 효과적 도입을 위한 표준 및 가이드라인 부재
    ü 국내기준조기마련필요(무분별외산솔루션도입방지효과)

§ 차별화된 기술개발 대응 필요
    ü 단계적기술대응전략필요,역시SW/플랫폼기술력과관계

                                                                  Company System      25
                                                                                   LOGO
[3] M2M – 정의

     (P&G, Kevin Ashton) “RFID 및 다른 센서들을 일상 생활의 사물에 부착하는
     것이 사물인터넷을 창조할 것이며, 기계 인식의 새로운 시대를 열 것”(1998)
     [ITU] 2005년 사물인터넷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사물인터넷의 비전을 Tagging,
     Sensing, Shrinking, Thinking으로 정리
     Gartner. 2002년 대비 인터넷 성장률은 75배 성장하였고, 스마트 디바이스는
     2020년 2천억 개에서 2040년 1조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2010)




          [M2M/IoT]
          인간의 개입 없이 사물 대 사물 및 사물 대 사람간의 자유로운 통신을
          기반으로 통신,방송,인터넷 인프라를 인간 대 사물, 사물 대 사물 간
                  <Source : KCC, 김정렬, 2011년 사물지능통신(M2M) 정책 방향, 2011.02>


          영역으로 확대 연계하여 사물을 통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 가공,
          처리하여 상호 전달하는 기술
26
[3] M2M – 확산 배경
q 최근 부상 이유
     § 통신사업 환경 변화: 휴대폰 포화, 탈 통신, 솔루션
       시장 성장
     § B2B 수요 증가 : 기업 경쟁력 강화, 신규 수익원
       창출, 운영 효율 향상
     § Green 정책 추진과 사회안전망 수요 증대
     §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의 등장과 모듈 가격 하락
q 미래 신규 시장 가능성
     § 이미 센서와 태그의 수가 1000억 개, 통신하는 사
       물의 수가 115억 개에 이르고 있음. (IDC 2011)
     § 2015년 전세계에 6억 개 이상의 M2M 디바이스가
       보급될 예정이며, 관련 서비스 매출이 240억 달러
       에 달할 것으로 전망(Strategy Analytics)
     § 스마트폰에 이어 차기 IT 산업을 주도할 주요한 성
       장 동인으로 ‘사물지능통신(M2M)’에 주목.
     § 정부 및 대형 IT 기업을 중심으로 M2M 산업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

27
[3] M2M – 의미




28             Source: 방통위, 사물지능통신발전전략
[3] M2M – 국내외 주요 동향




29                    Source: ARG
[3] M2M – 응용 분야 및 향후 전망




30                 Source: 방통위, 사물지능통신발전전략
M2M/IoT 시대의 대비

§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 및 모바일 네트워크 사용 증가로 사물통신 기반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며,
    각 국 별 관련 정책 수립이 강조되고 있음
    §   EU는 사물인터넷 액션 플랜 발표(‘09)
    §   美는 DOE(에너지성) Grid 2030 계획 수립(‘09)
    §   ⽇은 I-Japan 전략 2015 수립(‘09)
    §   中은 50억 위안(약, 8,600억)의 사물네트워크 산업기금 조성(‘10)
    §   한국은 사물지능통신기본계획 수립(‘09) 및 지경부/EU 간의 IoT 협력 MoU 체결(‘09)등 추진
§   M2M/IoT 시대의 대비는 다가오는 자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변화하는 통신 및 IT 서비
    스 환경에 우리나라가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있음



                                                        Company System      31
                                                                         LOGO
[4] 빅데이타 – 정의




32              Source: NIPA, 2012년 IT산업 10대 이슈
[4] 빅데이타 – 확산 배경
q 디지털 데이터의 새로운 원천
     §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 의해 다양하고 막대
       한 양의 디지털 데이터가 생산
       • 2011년에만 1.8 ZB, 2015년까지 약 7.9 ZB
         정보가 생성될 것임 (The readwriteweb,
         Nov 17, 2011)
       • 2012년 까지 2.7 ZB로 50%씩 늘면서 2015
         년에는 8 ZB 달할 것으로 예측 (IDC 2012
         ITC Market Predictions)
q 이전과 다른 유형의 데이터
     § 처리 방식이 서로 다른 대규모의 (가변적)
       데이터를 통합해서 관리하는 색다른 해법
       이 필요
q 새로운 기술의 시장 안착
     § 이론 영역에 머물렀던 데이터 해석 기법이
       “빅 데이터”란 이름 하에 통합되어 실용화
33
[4] 빅데이타 – 의미




34
[4] 빅데이타 – 활용 가치




35
[4] 빅데이타 – 국내외 주요 동향
q 글로벌 기업들은 Big Data 시장을 선점하고 주도권을 잡기 위해
  데이터 분석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하여 역량 강화 및 기술 개발




q 구글, 페이스북 등은 오픈소스를 활용한 빅데이타 플랫폼 및 분석
  기술을 개발 중
36
[4] 빅데이타 – 국내외 주요 동향




37
[4] 빅데이타 – 국내외 주요 동향
q 미국은 당면한 현안 해결 위해 오픈데이터-오픈 거버넌스를 주요
  국가 정책으로 추진, 공공 부문의 빅 데이터 민간 개방과 이를 활
  용한 서비스 향상과 파생 비즈니스 탄생을 유도
     § ‟12.3월 빅데이터 R&D initiative 발표, 빅데이터 기술개발에 2억 달러 이 상
       정부 예산 투입 및 주요연방기관 참여 국가차원 프로젝트 추진
     § 구글은 “Public Data Explorer‟ 런칭 통한 오픈 데이터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시행중
q 증가하는 개인과 기업의 탈세 및 강력 범죄 , 테러 등 각종 사회이
  슈 및 치안 강화에 빅 데이터 분석 활용을 통해 성과 창출
     § 탈세 및 사기행위로 국가 재정위기 증가, 미 국세청은 빅데이터 기반 탈세
       및 사기범죄 예방 시스템 구축으로 문제 해결
     § 조직화된 사기 방지에 빅데이터 분석 적용, 연간 $7M~$31M 비용절감
     § 미국 연방 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강력 범죄 예방 위한 빅데
       이터 홗용이 중요한 정책으로 확산 중

38                          Source: Digieco, Big Data 최근 글로벌 동향과 이슈
[4] 빅데이타 – 응용 분야 및 향후 전망
q 빅데이타 분석을 통한 지능형 서비스




39                         Source: ETRI
빅데이터 시대 이슈

§   국내의 경우에도 최근 글로벌 정부 기관 등의 빅데이터 추진 흐름에 따라 정부차원에서의 빅 데
    이터 활용 중요성을 인식, 주요 정보화 추진 과제로 다루고 있음
§   그러나 빅데이터 활용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는 공공 DB 관련, 국가 DB의 개방 및 민간 공개 추진
    중이나, 문서형태 공개 중심 및 각 부문간 링크드 데이터 미흡으로 실질적인 활용에 한계
§   공공부문 빅데이터 활용 강화를 위해 반드시 선결해야 할 장벽으로서 개인정보 익명화
    (anonymizing) 기술 등 정보 보호 및 데이터 소유권 문제 등이 중요 화두로 떠오르게 될 것이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   빅데이타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술 전문가 및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




                                                       Company System      40
                                                                        LOGO
정리 - 인터넷 + 스마트 기기 + 미래 환경
         인터넷은 Smart Mobile Life의 Enabler



        Cloud Computing (데이터/서비스 공유)


             M2M (기기간 연결과 공유)




            HTML5 (응용 호환성, OSMU)




         Big Data Processing (지능형 서비스)
41
Thank you
     For more discussion :
       JongHong Jeon (hollobit@etri.re.kr)
       +82-42-860-5333

     Blog : http://mobile2.tistory.com/m
            http://twitter.com/hollobit



                           OR
42

More Related Content

PDF
모바일, SNS에 꽂힌 차세대 클라우드 전략(1)
PDF
[I2max 아이투맥스] 2015 salesforce 발표자료 cloud동향에서 salesforce 앱 개발까지_ salesfroce 1...
PDF
Salesforce 운영자매뉴얼(Pe) Hstco
PDF
[아이투맥스] 2015.07_세일즈포스 crm 이노베이션 세미나 최신자료 salesforce crm innovation
PDF
IBM Watson Assistant 기반 챗봇 제작 기초 강좌 (2019.11.18)
PDF
Agados CRM(SFA) introduction (doc version 1.0 20140416)
PDF
Sam03
PDF
The future of no code platform (Google AppSheet)
모바일, SNS에 꽂힌 차세대 클라우드 전략(1)
[I2max 아이투맥스] 2015 salesforce 발표자료 cloud동향에서 salesforce 앱 개발까지_ salesfroce 1...
Salesforce 운영자매뉴얼(Pe) Hstco
[아이투맥스] 2015.07_세일즈포스 crm 이노베이션 세미나 최신자료 salesforce crm innovation
IBM Watson Assistant 기반 챗봇 제작 기초 강좌 (2019.11.18)
Agados CRM(SFA) introduction (doc version 1.0 20140416)
Sam03
The future of no code platform (Google AppSheet)

What's hot (13)

PDF
Doc.htm
PPTX
디지털경험관리(DXM-Digital eXperience Management)
PDF
Enterprise mobile standard, morpheus 모피어스 모바일 표준 플랫폼
PDF
Kaonsoft pr
PPT
[스타트업오픈IR: 슈퍼스타 M] 원더풀소프트 이수룡 팀장
PPTX
아키텍처연합회에서 발표한 Enterprise Mobility 2.0
PDF
모바일 웹의 필요성과 확장성
PDF
Smart Market Strategy for Mobile Web Developer
PDF
투이컨설팅 제37회 Y세미나 : 설문결과
PDF
2011 04-22 oracle
PDF
2015 SINVAS DAY - SINVAS DEV (소프트웨어 설계 통합 개발(MDD 연계) 전략)
PPTX
1차시 어플리케이션 시장의이해(박천권)
PDF
[Ewd]class05 0405
Doc.htm
디지털경험관리(DXM-Digital eXperience Management)
Enterprise mobile standard, morpheus 모피어스 모바일 표준 플랫폼
Kaonsoft pr
[스타트업오픈IR: 슈퍼스타 M] 원더풀소프트 이수룡 팀장
아키텍처연합회에서 발표한 Enterprise Mobility 2.0
모바일 웹의 필요성과 확장성
Smart Market Strategy for Mobile Web Developer
투이컨설팅 제37회 Y세미나 : 설문결과
2011 04-22 oracle
2015 SINVAS DAY - SINVAS DEV (소프트웨어 설계 통합 개발(MDD 연계) 전략)
1차시 어플리케이션 시장의이해(박천권)
[Ewd]class05 0405
Ad

Viewers also liked (17)

PPTX
NoSQL?? (marc)
PDF
빅 데이터, 새로운 통찰력
PPT
빅데이터 기본개념
PDF
트렌드 코리아 2017
PDF
빅데이터란?
PPTX
Hadoop 기반 빅데이터 이해
PPTX
빅데이터
PPTX
빅 데이터 개요 및 활용
PDF
빅데이터 기술 현황과 시장 전망(2014)
PDF
모두의 알파고
PDF
IoT, 기술의 혁신과 미래 그리고 통찰
PPT
데이터센터의 그린화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
PPTX
빅데이터의 개념과 이해 그리고 활용사례 (Introduction to big data and use cases)
PPSX
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
PDF
IoT 관점에서 본 2015년 디자인 트랜드 및 2016년 전망
PDF
IoT(사물인터넷) 제품 및 서비스 동향
PPTX
빅데이터의 이해
NoSQL?? (marc)
빅 데이터, 새로운 통찰력
빅데이터 기본개념
트렌드 코리아 2017
빅데이터란?
Hadoop 기반 빅데이터 이해
빅데이터
빅 데이터 개요 및 활용
빅데이터 기술 현황과 시장 전망(2014)
모두의 알파고
IoT, 기술의 혁신과 미래 그리고 통찰
데이터센터의 그린화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의 개념과 이해 그리고 활용사례 (Introduction to big data and use cases)
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
IoT 관점에서 본 2015년 디자인 트랜드 및 2016년 전망
IoT(사물인터넷) 제품 및 서비스 동향
빅데이터의 이해
Ad

Similar to 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 (20)

PDF
2013 it trend 전망
PDF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PDF
빅 데이터의 핵심 플랫폼, 기업용 하둡 동향 2013-2-12
PPTX
8회 IT정보 기술 동향_ria
PDF
2014년 ICT 산업 트렌드
PDF
2014년 ict 전망 퍼플프렌즈
PDF
2013 Business Platform Day
PPTX
클라우드와 미래혁명
PDF
2012디자이너가주목해야할테크동향
PDF
2011 최신it동향종합요약
PDF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PDF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PDF
110104[보고서]2011년 it트렌드 전망 및 정책방향
PDF
5 알앤디지식포럼 신산업it_20121205
PDF
IoT 세상의 사업 기회와 고려 사항
PDF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PPTX
이미 와있는 미래와 소프트웨어씽킹
PDF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PDF
(2011)CIO가 꼭 알아야 할 ICT 트렌드
PDF
빅데이터미래전략세미나발표자료 빅데이터기술현황및전망-황승구-20120410
2013 it trend 전망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빅 데이터의 핵심 플랫폼, 기업용 하둡 동향 2013-2-12
8회 IT정보 기술 동향_ria
2014년 ICT 산업 트렌드
2014년 ict 전망 퍼플프렌즈
2013 Business Platform Day
클라우드와 미래혁명
2012디자이너가주목해야할테크동향
2011 최신it동향종합요약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110104[보고서]2011년 it트렌드 전망 및 정책방향
5 알앤디지식포럼 신산업it_20121205
IoT 세상의 사업 기회와 고려 사항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이미 와있는 미래와 소프트웨어씽킹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2011)CIO가 꼭 알아야 할 ICT 트렌드
빅데이터미래전략세미나발표자료 빅데이터기술현황및전망-황승구-20120410

More from Jonathan Jeon (20)

PDF
Standardiz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ine
PDF
IoT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헬스케어 제품․서비스 개발 동향 및 주요 과제
PDF
헬스케어 웨어러블 : 주요 동향과 이슈
PDF
4차 산업혁명 시대, 의료기기 표준화 이슈
PDF
Trends on standardization for smart wearable devices & services (ITU-T, OCF, ...
PDF
AI and IoT : How do IoT and AI change the world?
PDF
Web Browser as Universal client for IoT
PDF
OCF/IoTivity for Healthcare/Fitness/Wearable
PDF
#3 Quantified Self Seoul Meetup
PDF
Trends on Smart Wearable Application Standardization
PDF
New ICT Trends in CES 2016
PDF
The Web, After HTML5
PDF
Open Source and Open Standards
PDF
Open Source and Open Standards
PDF
Hybrid App Platform - HyWAI 3.5
PDF
HyWAI Web Bluetooth API
PDF
WoT.js - WoT App. Framework for Open Source Hardware
PDF
IoT and WoT (Internet of Things and Web of Things)
PDF
Web Technology and Standards Tutorial
PDF
Mobile, IoT and Web
Standardiz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ine
IoT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헬스케어 제품․서비스 개발 동향 및 주요 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 주요 동향과 이슈
4차 산업혁명 시대, 의료기기 표준화 이슈
Trends on standardization for smart wearable devices & services (ITU-T, OCF, ...
AI and IoT : How do IoT and AI change the world?
Web Browser as Universal client for IoT
OCF/IoTivity for Healthcare/Fitness/Wearable
#3 Quantified Self Seoul Meetup
Trends on Smart Wearable Application Standardization
New ICT Trends in CES 2016
The Web, After HTML5
Open Source and Open Standards
Open Source and Open Standards
Hybrid App Platform - HyWAI 3.5
HyWAI Web Bluetooth API
WoT.js - WoT App. Framework for Open Source Hardware
IoT and WoT (Internet of Things and Web of Things)
Web Technology and Standards Tutorial
Mobile, IoT and Web

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

  • 1. ,
  • 2. 주요 내용 qIT 핵심 4대 트랜드 요약 § 2012년 주요 IT 트랜드 ­ Smart Life 혁명 § 국내외 사업자의 예측 ­ 가트너, 마이크로소프트 § IT 주요 트랜드의 의미 q4대 트랜드의 의미와 현황 § HTML5 § 클라우드 컴퓨팅 § M2M § Big Data 2
  • 3. 1 IT 핵심 4대 기술 트랜드 요약
  • 4. 2012년 주요 IT 트랜드 서비스 환경의 사용자 편의성 다양성 증가 요구 증가 효율적 활용 데이터 폭증 요구 증가 단말/플랫폼/서비스 경쟁 4
  • 5. 2012년 주요 IT 트랜드 서비스 환경의 사용자 편의성 다양성 증가 요구 증가 Smart Life 혁명 효율적 활용 데이터 폭증 요구 증가 단말/플랫폼/서비스 경쟁 5
  • 6. [참고] Gartner IT 트랜드 (2010~2012) 6 Source: Gartner, 2011
  • 7. [참고] 2012년 주요 IT 트랜드 (Microsoft) 7 Source: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2012
  • 8. 주요 IT 트랜드의 의미 • 차세대 콘텐츠/응용 산업 육성 HTM L5 •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 경쟁력 확보 및 다양한 융·복합 응용 경쟁력을 갖는 환경을 조성하여, 신규 서비스 발 굴 및 스타트업 창업 등 신규 고용 창출 경제 활성화 • 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수단 클라우드 컴퓨팅 • 공공부문 확대 적용 및 시스템 장애, 보안 / 정보유출 기여 등 이용자 보호 정책 보완을 통한 활성화 기반 조성과 효율적 활용 촉진 • 우리의 삶을 바꾸는 혁신적 인프라 구축 M 2M • M2M 기기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스마트 서비스 및 공 국민 편의 공 인프라 개발 및 보급 개선 • 데이터의 사회경제적 활용 빅데이타 • 공공과 민간의 빅 데이터 활용을 통한 혁신을 위해 정 창조 강국 부가 선도적으로 데이터 통합 수집/분석 역량, 인프라 등을 체계적으로 준비하여 정보의 창조적 활용 지원 실현 8 수정: NIA, 2012년 IT 트렌드 전망 및 정책방향
  • 9. 2 4대 기술 트랜드의 의미와 전망
  • 10. [1] HTML5 – 정의 q HTML5 란? § HyperText Markup Language 5.0 : 웹 표현 언어 § HTML5는 기존 단순 문서표현 형태의 기능을 넘어 오디 오·비디오·그래픽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 을 웹으로 표현하고 실행하기 위한 새로운 마크업 언어 임 10
  • 11. [1] HTML5 – 확산 배경 q 모바일 인터넷의 성장 § 응용 개발의 복잡성 증가 § 다양한 장치를 지원하면서도, 특정 장치 및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 응 용환경 필요 q 웹 기술의 진화 § 다양한 브라우저 개발사들이 참 여하여 기술 개발 중 § 기존에 웹으로 할 수 없던 것들을 표준 기능으로 할 수 있게 만듦 (비 디오 제어, 공인인증서, NFC, 장 치 제어, 게임 등) q 앱과 SW 플랫폼 경쟁 가속화 § 구글/애플에 종속되지 않기 위해 HTML5에 관심 집중 11
  • 12. [1] HTML5 – 의미 액티브X: 특정 브라우저(IE)에 종속된 플러그인 기술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액티브X 이용 이제는 MS도 포기한 기술 주요 200대 사이트中, 147곳 (74%)에서 ActiveX 사용 (KISA, '12. 6) 웹 표준을 준수하여 브라우저 종속성 탈피 특히, HTML5 보급 활용을 통한 기술적 한계 극복 가능 12
  • 13. [1] HTML5 – 국내외 주요 동향 q 2011 § EU-FP7, WebinOS 및 MobileWebApp, Service Platform 프로젝트 시작 q 2012 § 해외 100대 사이트 중 34%는 HTML5 적용 (한국은 10% 미만) § 미국 백악관, 21세기형 전자정부 플랫폼 구축 전략 발표 – 연방정부 웹 사이트에 HTML5 도입 가이드 포함 (2012.5) § facebook은 HTML5 기반의 앱 유통 센터를 2012년 중에 완료 예정 § 삼성/인텔의 Tizen은 HTML5 기반의 응용 환경을 핵심 기능으로 채택 § 방통위, 인터넷 경쟁력 개선을 위한 HTML5 활성화 대책 발표 q 2013 § Mozilla와 텔레콤 이탈리아는 2013년 1월 HTML5 기반의 Firefox OS를 탑재한 휴대폰 을 출시 예정 q 2014 § W3C는 2014년 HTML5 표준을 최종 승인 예정 q 2016 § ABI Research는 HTML5 지원 모바일 단말이 ’16년 21억대 이상이 될 것 이라고 예측 13
  • 14. [1] HTML5 – 응용 분야 및 향후 전망 14
  • 15. HTML5의 의의 § 웹 기술은 인터넷 확산과 인류 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기술이며, HTML은 이러한 웹 을 구성하는 핵심 표현 기술로, 그 파급력과 영향력이 막대함 § HTML5 표준은 차세대 웹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통합하는 핵심적인 미래 서비스 플랫폼 표준으로 써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예측 § HTML5 표준은 모바일, TV, 정보가전 등 N-스크린 시대에 큰 영향력을 가지며 기존 데스크탑 환경 에서 보다 그 파급효과가 훨씬 강력할 것으로 예측 § 국내의 인터넷 환경은 비표준화된 환경이 고착되어 국제 경쟁력이 저하되었고, 모바일로 변화되 는 환경 변화에도 적응하지 못하고 있어, HTML5 기반의 새로운 혁신이 필요함 § HTML5 활성화는 모바일 광고 및 상거래의 확산, 새로운 인터넷 응용과 서비스 환경 창조와 같은 많은 변화와 함께 거대한 인터넷 경제를 변화시키는 핵심 기술임 Company System 15 LOGO
  • 16. [2] 클라우드 컴퓨팅 – 정의 q On-demand Outsourcing “Pay-as-You-Go” q 내가 원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 지 불하는 것 Private Car vs. Rental or Public Vehicle ? VS. Buying it with expensive price Just Rental with cheap price 16
  • 17. [참고] 클라우드 컴퓨팅 – 구성 및 모델 q 클라우드 구성 방법 § Public Cloud :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 클라 우드 § Private Cloud : 기업용 등 내부 사용자 전용 클라 우드 § Hybrid Cloud : Public + Private Cloud q 클라우드 비즈니스 모델 §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버, 스토리 지,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서비스로 제공 • 사례) 아마존 스토리지 서비스 등 § PaaS | Platform as a Service : 응용 SW 및 서비스 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서비스로 제공 • 사례) 구글 앱 엔진 등 § SaaS | Service as a Service : 응용 SW를 서비스 로 제공 • 사례) 세일즈포스닷컴 등 17
  • 18. [2] 클라우드 컴퓨팅 – 확산 배경 q 확산 배경 § 불황으로 인한 H/W 구매의 비용 절감 § 방대한 데이터 처리를 요구 하는 기업 어플리케이션의 수요증가 § 2005 년 발효된 기후 협약 관련 쿄토 의정서에 따른 각국의 지구 온실가스 감축 의무에 따른 그린 IT 에 대한 인 식의 확산 q 기술적 배경 §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유휴 CPU 사 용을 증가 시켜 추가 H/W 구매 없이 인프라 투자비를 절감 § 다양한 디바이스의 확산에 따른 데이 터 공유/서비스 공유 필요성 확산 18
  • 19. [2] 클라우드 컴퓨팅 – 의미 q 컴퓨팅 자원을 직접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에 비해 최대 50% 정도 의 비용절감을 가져 올 수 있음 q 컴퓨팅 자원을 구축, 운용, 관리할 별도의 조직을 내부에 두지 않 아도 되므로, 조직의 슬림화를 꾀할 수도 있음 q 분산된 다수의 소규모 데이터센터보다 집중된 소수의 대규모 데 이터센터가 컴퓨팅 전문성 측면에서나, 에너지 이용효율의 측면 에서 많은 경제적 효과 q 다양한 단말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 è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다양한 단말에서 자유롭게 이용 가능 19
  • 20. [2] 클라우드 컴퓨팅 – 국내외 주요 동향 20 Source: NIPA, 2012년 IT산업 10대 이슈
  • 21. [2] 클라우드 컴퓨팅 – 국내외 주요 동향 21 Source: ARG
  • 22. [2] 클라우드 컴퓨팅 – 국내외 주요 동향 22 Source: NIPA, 2012년 IT산업 10대 이슈
  • 23. [2] 클라우드 컴퓨팅 – 응용 분야 및 향후 전망 23 Source: ARG
  • 24. [2] 클라우드 컴퓨팅 – 응용 분야 및 향후 전망 24 Source: ARG
  • 25. 클라우드 컴퓨팅 이슈 § 미국․일본․싱가포르 등은 공공 기관의 클라우드 도입, 데이터 센터 및 서비스 활성화 등 추진 § 美:CloudFirstPolicy-’12.6월까지최소한3개서비스를민간클라우드기반으로전환할것을의무化 § ⽇:SmartCloudStrategy-의료,교육등에클라우드서비스이용을확산 § 싱가포르:DataCenterPark-공공기관이민간클라우드를활용하도록하고,클라우드데이터센터파크를구 축,해외기업유치 § 시장 수요에 비해 국내 산업의 경쟁력 현저히 낮음 ü 외산의존도가높으며,공공분야도입도외산으로도배우려 § 효과적 도입을 위한 표준 및 가이드라인 부재 ü 국내기준조기마련필요(무분별외산솔루션도입방지효과) § 차별화된 기술개발 대응 필요 ü 단계적기술대응전략필요,역시SW/플랫폼기술력과관계 Company System 25 LOGO
  • 26. [3] M2M – 정의 (P&G, Kevin Ashton) “RFID 및 다른 센서들을 일상 생활의 사물에 부착하는 것이 사물인터넷을 창조할 것이며, 기계 인식의 새로운 시대를 열 것”(1998) [ITU] 2005년 사물인터넷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사물인터넷의 비전을 Tagging, Sensing, Shrinking, Thinking으로 정리 Gartner. 2002년 대비 인터넷 성장률은 75배 성장하였고, 스마트 디바이스는 2020년 2천억 개에서 2040년 1조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2010) [M2M/IoT] 인간의 개입 없이 사물 대 사물 및 사물 대 사람간의 자유로운 통신을 기반으로 통신,방송,인터넷 인프라를 인간 대 사물, 사물 대 사물 간 <Source : KCC, 김정렬, 2011년 사물지능통신(M2M) 정책 방향, 2011.02> 영역으로 확대 연계하여 사물을 통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 가공, 처리하여 상호 전달하는 기술 26
  • 27. [3] M2M – 확산 배경 q 최근 부상 이유 § 통신사업 환경 변화: 휴대폰 포화, 탈 통신, 솔루션 시장 성장 § B2B 수요 증가 : 기업 경쟁력 강화, 신규 수익원 창출, 운영 효율 향상 § Green 정책 추진과 사회안전망 수요 증대 §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의 등장과 모듈 가격 하락 q 미래 신규 시장 가능성 § 이미 센서와 태그의 수가 1000억 개, 통신하는 사 물의 수가 115억 개에 이르고 있음. (IDC 2011) § 2015년 전세계에 6억 개 이상의 M2M 디바이스가 보급될 예정이며, 관련 서비스 매출이 240억 달러 에 달할 것으로 전망(Strategy Analytics) § 스마트폰에 이어 차기 IT 산업을 주도할 주요한 성 장 동인으로 ‘사물지능통신(M2M)’에 주목. § 정부 및 대형 IT 기업을 중심으로 M2M 산업 경쟁 력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 27
  • 28. [3] M2M – 의미 28 Source: 방통위, 사물지능통신발전전략
  • 29. [3] M2M – 국내외 주요 동향 29 Source: ARG
  • 30. [3] M2M – 응용 분야 및 향후 전망 30 Source: 방통위, 사물지능통신발전전략
  • 31. M2M/IoT 시대의 대비 §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 및 모바일 네트워크 사용 증가로 사물통신 기반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며, 각 국 별 관련 정책 수립이 강조되고 있음 § EU는 사물인터넷 액션 플랜 발표(‘09) § 美는 DOE(에너지성) Grid 2030 계획 수립(‘09) § ⽇은 I-Japan 전략 2015 수립(‘09) § 中은 50억 위안(약, 8,600억)의 사물네트워크 산업기금 조성(‘10) § 한국은 사물지능통신기본계획 수립(‘09) 및 지경부/EU 간의 IoT 협력 MoU 체결(‘09)등 추진 § M2M/IoT 시대의 대비는 다가오는 자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변화하는 통신 및 IT 서비 스 환경에 우리나라가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있음 Company System 31 LOGO
  • 32. [4] 빅데이타 – 정의 32 Source: NIPA, 2012년 IT산업 10대 이슈
  • 33. [4] 빅데이타 – 확산 배경 q 디지털 데이터의 새로운 원천 §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 의해 다양하고 막대 한 양의 디지털 데이터가 생산 • 2011년에만 1.8 ZB, 2015년까지 약 7.9 ZB 정보가 생성될 것임 (The readwriteweb, Nov 17, 2011) • 2012년 까지 2.7 ZB로 50%씩 늘면서 2015 년에는 8 ZB 달할 것으로 예측 (IDC 2012 ITC Market Predictions) q 이전과 다른 유형의 데이터 § 처리 방식이 서로 다른 대규모의 (가변적) 데이터를 통합해서 관리하는 색다른 해법 이 필요 q 새로운 기술의 시장 안착 § 이론 영역에 머물렀던 데이터 해석 기법이 “빅 데이터”란 이름 하에 통합되어 실용화 33
  • 34. [4] 빅데이타 – 의미 34
  • 35. [4] 빅데이타 – 활용 가치 35
  • 36. [4] 빅데이타 – 국내외 주요 동향 q 글로벌 기업들은 Big Data 시장을 선점하고 주도권을 잡기 위해 데이터 분석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하여 역량 강화 및 기술 개발 q 구글, 페이스북 등은 오픈소스를 활용한 빅데이타 플랫폼 및 분석 기술을 개발 중 36
  • 37. [4] 빅데이타 – 국내외 주요 동향 37
  • 38. [4] 빅데이타 – 국내외 주요 동향 q 미국은 당면한 현안 해결 위해 오픈데이터-오픈 거버넌스를 주요 국가 정책으로 추진, 공공 부문의 빅 데이터 민간 개방과 이를 활 용한 서비스 향상과 파생 비즈니스 탄생을 유도 § ‟12.3월 빅데이터 R&D initiative 발표, 빅데이터 기술개발에 2억 달러 이 상 정부 예산 투입 및 주요연방기관 참여 국가차원 프로젝트 추진 § 구글은 “Public Data Explorer‟ 런칭 통한 오픈 데이터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시행중 q 증가하는 개인과 기업의 탈세 및 강력 범죄 , 테러 등 각종 사회이 슈 및 치안 강화에 빅 데이터 분석 활용을 통해 성과 창출 § 탈세 및 사기행위로 국가 재정위기 증가, 미 국세청은 빅데이터 기반 탈세 및 사기범죄 예방 시스템 구축으로 문제 해결 § 조직화된 사기 방지에 빅데이터 분석 적용, 연간 $7M~$31M 비용절감 § 미국 연방 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강력 범죄 예방 위한 빅데 이터 홗용이 중요한 정책으로 확산 중 38 Source: Digieco, Big Data 최근 글로벌 동향과 이슈
  • 39. [4] 빅데이타 – 응용 분야 및 향후 전망 q 빅데이타 분석을 통한 지능형 서비스 39 Source: ETRI
  • 40. 빅데이터 시대 이슈 § 국내의 경우에도 최근 글로벌 정부 기관 등의 빅데이터 추진 흐름에 따라 정부차원에서의 빅 데 이터 활용 중요성을 인식, 주요 정보화 추진 과제로 다루고 있음 § 그러나 빅데이터 활용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는 공공 DB 관련, 국가 DB의 개방 및 민간 공개 추진 중이나, 문서형태 공개 중심 및 각 부문간 링크드 데이터 미흡으로 실질적인 활용에 한계 § 공공부문 빅데이터 활용 강화를 위해 반드시 선결해야 할 장벽으로서 개인정보 익명화 (anonymizing) 기술 등 정보 보호 및 데이터 소유권 문제 등이 중요 화두로 떠오르게 될 것이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 빅데이타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술 전문가 및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 Company System 40 LOGO
  • 41. 정리 - 인터넷 + 스마트 기기 + 미래 환경 인터넷은 Smart Mobile Life의 Enabler Cloud Computing (데이터/서비스 공유) M2M (기기간 연결과 공유) HTML5 (응용 호환성, OSMU) Big Data Processing (지능형 서비스) 41
  • 42. Thank you For more discussion : JongHong Jeon (hollobit@etri.re.kr) +82-42-860-5333 Blog : http://mobile2.tistory.com/m http://twitter.com/hollobit OR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