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TAOCP]
2.2.3 연결된 할당
- 위상정렬
ohyecloudy
http://ohyecloudy.com
아꿈사
http://cafe.naver.com/architect1.cafe

2011.04.23
부분순서
위상정렬
위상정렬 알고리즘
 사용하는 자료구조
 알고리즘
http://www.slideshare.net/ohyecloudy/4-3467839
이항 관계가
더 일반적 용어




    부분순서는      책에 이항 관계에 대해
  이항 관계 부분집합    특별한 언급이 없다.
[TAOCP] 2.2.3 연결된 할당 - 위상정렬
[TAOCP] 2.2.3 연결된 할당 - 위상정렬
다시 책으로…
부분순서       partial ordering

   다음을 만족하는 이항관계



만일  ≼ 이고 y ≼ 이면  ≼ .
   추이성


만일  ≼ 이고 y ≼ 이면  = .
   반대칭성


 ≼ .
   반영성
≺ 는  ≼ 이고  ≠ 



 만일  ≺ 이고 y ≺ 이면  ≺ .
     추이성

 만일  ≺ 이면  ⊀ .
     반대칭성

  ⊀ .
     비반영성
부분순서
위상정렬
위상정렬 알고리즘
 사용하는 자료구조
 알고리즘
1

                                                      3
                                                  4
                                          6           7

위상 정렬       topological sorting                   8

 부분순서를 선형적인 순서로 배치                        2           5

                                                  9




  1     3        7     4     9    2   5       8   6
부분순서
위상정렬
위상정렬 알고리즘
 사용하는 자료구조
 알고리즘
객체 k의 직접immediate 선행자 개수



       +   0   COUNT[k]   TOP[k]




    객체 k의 직접 후행자 목록 시작을
    가리키는 링크


                  ※앞으로 표기를 간단히 한다. +, 0은 생략
객체 k의 직접 후행자



      +   0    SUC     NEXT




          목록의 다음 항목



               ※앞으로 표기를 간단히 한다. +, 0은 생략
7 ≺ 5, 3 ≺ 7, 9 ≺ 5
       k   1   2   3   4   5   6   7   8   9

COUNT[k]                   2       1
  TOP[k]




                   7               5       5
왜 이런 구조?
 알고리즘 단순화



COUNT 필드가 0인 노드 출력
 직접 선행자가 없다


직접 후행자 COUNT 필드 감소
 직접 선행자가 다 출력된 객체를 찾는다
COUNT 필드가 0인 노드 검색
 까다로움



대기열을 만듬
 COUNT 필드가 0인 노드를 연결
 COUNT 필드와 QLINK 필드 저장 위치는 같다
 헷갈림을 방지하려고 QLINK로 표기
 필드에 들어있는 값은 링크를 뜻함
부분순서
위상정렬
위상정렬 알고리즘
 사용하는 자료구조
 알고리즘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QLINK[0], COUNT[0]=QLINK[0], … COUNT[N]=QLINK[N]
P : 저장소 풀 안의 노드를 참조
F, R : 대기열 앞단과 뒷단을 가리키는 데 쓰는 정수 값
N : 출력해야 할 남은 객체 개수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n 입력 받음.
foreach (1≤k≤n)
      COUNT[k] ← 0, TOP[k] ← Λ
N←n
n = 9 가 입력됐다면                             N=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0   0   0   0   0   0   0    0
  TOP[k]
           Λ   Λ   Λ   Λ   Λ   Λ   Λ   Λ    Λ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다음  ≺ 를 얻는다.
없다면 T4로 고고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 에서
COUNT[k]를 1증가
P ⇐ AVAIL, SUC(P) ← k, NEXT(P) ← TOP[j], TOP[j] ← P
9 ≺ 2 가 입력됐다면                                      N=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0     0     0     0     0    0      0
  TOP[k]
           Λ   Λ   Λ     Λ     Λ     Λ     Λ    Λ      Λ




  ≺ 에서
 COUNT[k]를 1증가
 P ⇐ AVAIL, SUC(P) ← k, NEXT(P) ← TOP[j], TOP[j] ← P
9 ≺ 2 가 입력됐다면                                      N=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0     0     0     0    0     0      0
  TOP[k]
           Λ   Λ   Λ     Λ     Λ     Λ    Λ     Λ      Λ
                                P
                                2
                                Λ
  ≺ 에서
 COUNT[k]를 1증가
 P ⇐ AVAIL, SUC(P) ← k, NEXT(P) ← TOP[j], TOP[j] ← P
9 ≺ 2 가 입력됐다면                                      N=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0     0     0     0    0     0      0
  TOP[k]
           Λ   Λ   Λ     Λ     Λ     Λ    Λ     Λ

                                                       2
                                                       Λ
  ≺ 에서
 COUNT[k]를 1증가
 P ⇐ AVAIL, SUC(P) ← k, NEXT(P) ← TOP[j], TOP[j] ← P
9 ≺ 2, 3 ≺ 7, 7 ≺ 5, 5 ≺ 8, 8 ≺ 6                  N=9
 4 ≺ 6, 1 ≺ 3, 7 ≺ 4, 9 ≺ 5, 2 ≺ 8이 입력됐다면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5        2
                                            Λ        Λ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출력 대기열을 QLINK 필드를 통해 연결
R ← 0, QLINK[0] ← 0
foreach (1≤k≤n)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F ← QLINK[0]
QLINK[0] = 0, R = 0,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R ← 0, Λ    Λ Λ           Λ      Λ                   Λ
  NEXT
         QLINK[0] ← 0
  foreach (1≤k≤n)
                                               5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2
  F ← QLINK[0]                                Λ            Λ
QLINK 구분이 쉽게 숫자에 밑줄             QLINK[0] = 1, R = 1,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R ← 0, Λ    Λ Λ           Λ      Λ                   Λ
  NEXT
         QLINK[0] ← 0
  foreach (1≤k≤n)
                                               5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2
  F ← QLINK[0]                                Λ            Λ
QLINK[0] = 1, R = 9,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R ← 0, Λ    Λ Λ           Λ      Λ                   Λ
  NEXT
         QLINK[0] ← 0
  foreach (1≤k≤n)
                                               5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2
  F ← QLINK[0]                                Λ            Λ
QLINK[0] = 1, F = 1, R = 9,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R ← 0, Λ    Λ Λ             Λ     Λ                  Λ
  NEXT
         QLINK[0] ← 0
  foreach (1≤k≤n)
                                               5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2
  F ← QLINK[0]                                Λ            Λ
QLINK[0] = 1, F = 1, R = 9,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2         1       2   0
  TOP[k]                COUNT가 0인 것들 중
                        가장 먼저 나온 숫자가Λ
                             F에 들어간다.

    SUC  3 8 7 6 0인 숫자들은 4
                     COUNT가 8                          6   5
                      QLINK로 이어져 있음
  R ← 0, Λ    Λ Λ Λ Λ                                  Λ
  NEXT
         QLINK[0] ← 0
  foreach (1≤k≤n)                  1→9
                                               5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2
  F ← QLINK[0]                                Λ            Λ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F 출력
if F == 0
       goto T8
else
       N ← N – 1, P ← TOP[F]
출력 : 1                   QLINK[0] = 1, F = 1, R = 9,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F 출력, if (F == 0) { goto T8 } else { N ← N – 1, P ← TOP[F] }
                                             5           2
                                             Λ           Λ
출력 : 1                   QLINK[0] = 1, F = 1, R = 9,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    2     1     2      0
  TOP[k]
                                       Λ
   P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F 출력, if (F == 0) { goto T8 } else { N ← N – 1, P ← TOP[F] }
                                             5           2
                                             Λ           Λ
출력 : 1                   QLINK[0] = 1, F = 1, R = 9,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
                                2 1                2      0
  TOP[k]
                                Λ
                   이 단계에서만 출력이 이루어짐
   P                출력한 숫자 직접 후행자를
                     P로 지정하고 계속 진행
    SUC    3   8    7 6 8        4                 6     5
                     뒤에 단계에서 다음에
   NEXT    Λ   Λ    Λ 숫자를 Λ 넣는다.
                    출력할
                        Λ F에                       Λ
F 출력, if (F == 0) { goto T8 } else { N ← N – 1, P ← TOP[F] }
                                             5           2
                                             Λ           Λ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loop
       if P == Λ
                   goto T7
       else
                   COUNT[SUC(P)] = COUNT[SUC(P)] – 1,
                   if COUNT[SUC(P)] == 0
                             QLINK[R] ← SUC(P), R ← SUC(P)
       P ← NEXT(P)
출력 : 1                         QLINK[0] = 1, F = 1, R = 9,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0        1    2     2       1     2      0
  TOP[k]
                                               Λ
   P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loop { if (P == Λ) {goto T7}
          else { COUNT[SUC(P)]--,                      5             2
                                                       Λ            Λ
                 if (COUNT[SUC(P)] == 0) {QLINK[R] ← SUC(P), R ← SUC(P)}
 P ← NEXT(P) }
출력 : 1                         QLINK[0] = 1, F = 1, R = 3,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0        1    2     2       1     2      3
  TOP[k]
                                               Λ
   P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loop { if (P == Λ) {goto T7}
          else { COUNT[SUC(P)]--,                      5             2
                                                       Λ            Λ
                 if (COUNT[SUC(P)] == 0) {QLINK[R] ← SUC(P), R ← SUC(P)}
 P ← NEXT(P) }
출력 : 1                         QLINK[0] = 1, F = 1, R = 3,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0        1    2     2       1     2      3
  TOP[k]
                                               Λ
   P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loop { if (P == Λ) {goto T7}
          else { COUNT[SUC(P)]--,                      5             2
                                                       Λ            Λ
                 if (COUNT[SUC(P)] == 0) {QLINK[R] ← SUC(P), R ← SUC(P)}
 P ← NEXT(P) }
출력 : 1                         QLINK[0] = 1, F = 1, R = 3,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출력한 숫자의 직접 후행자들 1
                           0 1 2 2                           2      3
                              COUNT를 감소
  TOP[k]
                                        Λ
                         (COUNT는 직접 선행자 개수)
   P
                           1 ≺ 3, 1 ≺ 5 가 있고
    SUC     3       8     71을 출력했다면 3, 5의
                               6 8                    4      6      5
                          직접 선행자 개수를 줄인다
   NEXT     Λ       Λ     Λ         Λ   Λ                    Λ
                        출력한 숫자 뒷정리라 생각하면 됨
 loop { if (P == Λ) {goto T7}
          else { COUNT[SUC(P)]--,                      5             2
                                                       Λ            Λ
                 if (COUNT[SUC(P)] == 0) {QLINK[R] ← SUC(P), R ← SUC(P)}
 P ← NEXT(P) }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F ← QLINK[F], goto T5
출력 : 1                       QLINK[0] = 1, F = 3, R = 3,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0      1     2    2     1    2     3
  TOP[k]
                                           Λ
   P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F ← QLINK[F], goto T5
                                                5          2
                                                Λ          Λ
출력 : 1                       QLINK[0] = 1, F = 3, R = 3,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앞0
                      단계에서 직접2
                         1     선행자가 0인1
                                   2                  2     3
  TOP[k]               숫자를 QLINK로 연결
                                           Λ
   P
                     여기선 QLINK를 따라가며 다음에
                       출력할 숫자를 F에 넣는다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따라 가는거니
                         QLINK는 Λ                     Λ
                               헷갈리지 말 것.
 F ← QLINK[F], goto T5
                                                5          2
                                                Λ          Λ
[TAOCP] 2.2.3 연결된 할당 - 위상정렬
[TAOCP] 2.2.3 연결된 할당 - 위상정렬

More Related Content

PPTX
Efficient linear skyline algorithm in two dimensional space
PPTX
TAOCP 2.2.6
PDF
트위터 봇 개발 후기
PDF
[GEG1] 10.camera-centric engine design for multithreaded rendering
PDF
[GEG1] 3.volumetric representation of virtual environments
PDF
비트 경제와 공짜
PDF
[Windows via c/c++] 4장 프로세스
PDF
제프리 리처의 Windows via C/C++ : 8장 유저 모드에서의 스레드 동기화
Efficient linear skyline algorithm in two dimensional space
TAOCP 2.2.6
트위터 봇 개발 후기
[GEG1] 10.camera-centric engine design for multithreaded rendering
[GEG1] 3.volumetric representation of virtual environments
비트 경제와 공짜
[Windows via c/c++] 4장 프로세스
제프리 리처의 Windows via C/C++ : 8장 유저 모드에서의 스레드 동기화

Viewers also liked (8)

PDF
Intrusive data structure 소개
PPTX
Domain Driven Design
PDF
[Domain driven design] 17장 전략의 종합
PDF
DDD 산책
PDF
적당한 스터디 발표자료 만들기 2.0
PPTX
Domain Driven Design 101
PDF
Domain Driven Design
PDF
도메인 주도 설계의 본질
Intrusive data structure 소개
Domain Driven Design
[Domain driven design] 17장 전략의 종합
DDD 산책
적당한 스터디 발표자료 만들기 2.0
Domain Driven Design 101
Domain Driven Design
도메인 주도 설계의 본질
Ad

More from 종빈 오 (20)

PDF
페리 수열(Farey sequence)
PDF
내가 본 미드 이야기
PDF
[NDC12] 게임 물리 엔진의 내부 동작 원리 이해
PDF
2011 아꿈사 오전반 포스트모템
PDF
[프로젝트가 서쪽으로 간 까닭은] chap 17, 18, 26, 33, 81
PDF
넘쳐나는 정보 소화 노하우
PDF
LevelDB 간단한 소개
PDF
[GEG1] 2.the game asset pipeline
PDF
[TAOCP] 2.5 동적인 저장소 할당
PDF
[GEG1] 24. key value dictionary
PDF
[TAOCP] 1.3.1 MIX 설명
PDF
[TAOCP] 1.3.1 MIX 설명, 짝수 연습문제 풀이
PDF
[TAOCP] 1.2.1 수학적 귀납법
PDF
[shaderx7] 8.1 Cross-Platform Rendering Thread : Design and Implementation
PDF
2010 아꿈사 오전반 포스트모템
PDF
[shaderx6]8.2 3d engine tools with c++cli
PDF
ManagingHumans/chap1~6
PDF
아꿈사 매니저 인사
PDF
[페차쿠차] 아꿈사 반장 하기
PDF
xUnitTestPattern/chapter7
페리 수열(Farey sequence)
내가 본 미드 이야기
[NDC12] 게임 물리 엔진의 내부 동작 원리 이해
2011 아꿈사 오전반 포스트모템
[프로젝트가 서쪽으로 간 까닭은] chap 17, 18, 26, 33, 81
넘쳐나는 정보 소화 노하우
LevelDB 간단한 소개
[GEG1] 2.the game asset pipeline
[TAOCP] 2.5 동적인 저장소 할당
[GEG1] 24. key value dictionary
[TAOCP] 1.3.1 MIX 설명
[TAOCP] 1.3.1 MIX 설명, 짝수 연습문제 풀이
[TAOCP] 1.2.1 수학적 귀납법
[shaderx7] 8.1 Cross-Platform Rendering Thread : Design and Implementation
2010 아꿈사 오전반 포스트모템
[shaderx6]8.2 3d engine tools with c++cli
ManagingHumans/chap1~6
아꿈사 매니저 인사
[페차쿠차] 아꿈사 반장 하기
xUnitTestPattern/chapter7
Ad

[TAOCP] 2.2.3 연결된 할당 - 위상정렬

  • 1. [TAOCP] 2.2.3 연결된 할당 - 위상정렬 ohyecloudy http://ohyecloudy.com 아꿈사 http://cafe.naver.com/architect1.cafe 2011.04.23
  • 4. 이항 관계가 더 일반적 용어 부분순서는 책에 이항 관계에 대해 이항 관계 부분집합 특별한 언급이 없다.
  • 8. 부분순서 partial ordering 다음을 만족하는 이항관계 만일 ≼ 이고 y ≼ 이면 ≼ . 추이성 만일 ≼ 이고 y ≼ 이면 = . 반대칭성 ≼ . 반영성
  • 9. ≺ 는 ≼ 이고 ≠ 만일 ≺ 이고 y ≺ 이면 ≺ . 추이성 만일 ≺ 이면 ⊀ . 반대칭성 ⊀ . 비반영성
  • 11. 1 3 4 6 7 위상 정렬 topological sorting 8 부분순서를 선형적인 순서로 배치 2 5 9 1 3 7 4 9 2 5 8 6
  • 13. 객체 k의 직접immediate 선행자 개수 + 0 COUNT[k] TOP[k] 객체 k의 직접 후행자 목록 시작을 가리키는 링크 ※앞으로 표기를 간단히 한다. +, 0은 생략
  • 14. 객체 k의 직접 후행자 + 0 SUC NEXT 목록의 다음 항목 ※앞으로 표기를 간단히 한다. +, 0은 생략
  • 15. 7 ≺ 5, 3 ≺ 7, 9 ≺ 5 k 1 2 3 4 5 6 7 8 9 COUNT[k] 2 1 TOP[k] 7 5 5
  • 16. 왜 이런 구조? 알고리즘 단순화 COUNT 필드가 0인 노드 출력 직접 선행자가 없다 직접 후행자 COUNT 필드 감소 직접 선행자가 다 출력된 객체를 찾는다
  • 17. COUNT 필드가 0인 노드 검색 까다로움 대기열을 만듬 COUNT 필드가 0인 노드를 연결 COUNT 필드와 QLINK 필드 저장 위치는 같다 헷갈림을 방지하려고 QLINK로 표기 필드에 들어있는 값은 링크를 뜻함
  • 19.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QLINK[0], COUNT[0]=QLINK[0], … COUNT[N]=QLINK[N] P : 저장소 풀 안의 노드를 참조 F, R : 대기열 앞단과 뒷단을 가리키는 데 쓰는 정수 값 N : 출력해야 할 남은 객체 개수
  • 20.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n 입력 받음. foreach (1≤k≤n) COUNT[k] ← 0, TOP[k] ← Λ N←n
  • 21. n = 9 가 입력됐다면 N=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0 0 0 0 0 0 0 0 TOP[k] Λ Λ Λ Λ Λ Λ Λ Λ Λ
  • 22.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다음 ≺ 를 얻는다. 없다면 T4로 고고
  • 23.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 에서 COUNT[k]를 1증가 P ⇐ AVAIL, SUC(P) ← k, NEXT(P) ← TOP[j], TOP[j] ← P
  • 24. 9 ≺ 2 가 입력됐다면 N=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0 0 0 0 0 0 0 TOP[k] Λ Λ Λ Λ Λ Λ Λ Λ Λ ≺ 에서 COUNT[k]를 1증가 P ⇐ AVAIL, SUC(P) ← k, NEXT(P) ← TOP[j], TOP[j] ← P
  • 25. 9 ≺ 2 가 입력됐다면 N=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0 0 0 0 0 0 0 TOP[k] Λ Λ Λ Λ Λ Λ Λ Λ Λ P 2 Λ ≺ 에서 COUNT[k]를 1증가 P ⇐ AVAIL, SUC(P) ← k, NEXT(P) ← TOP[j], TOP[j] ← P
  • 26. 9 ≺ 2 가 입력됐다면 N=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0 0 0 0 0 0 0 TOP[k] Λ Λ Λ Λ Λ Λ Λ Λ 2 Λ ≺ 에서 COUNT[k]를 1증가 P ⇐ AVAIL, SUC(P) ← k, NEXT(P) ← TOP[j], TOP[j] ← P
  • 27. 9 ≺ 2, 3 ≺ 7, 7 ≺ 5, 5 ≺ 8, 8 ≺ 6 N=9 4 ≺ 6, 1 ≺ 3, 7 ≺ 4, 9 ≺ 5, 2 ≺ 8이 입력됐다면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5 2 Λ Λ
  • 28.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출력 대기열을 QLINK 필드를 통해 연결 R ← 0, QLINK[0] ← 0 foreach (1≤k≤n)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F ← QLINK[0]
  • 29. QLINK[0] = 0, R = 0,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R ← 0, Λ Λ Λ Λ Λ Λ NEXT QLINK[0] ← 0 foreach (1≤k≤n) 5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2 F ← QLINK[0] Λ Λ
  • 30. QLINK 구분이 쉽게 숫자에 밑줄 QLINK[0] = 1, R = 1,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0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R ← 0, Λ Λ Λ Λ Λ Λ NEXT QLINK[0] ← 0 foreach (1≤k≤n) 5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2 F ← QLINK[0] Λ Λ
  • 31. QLINK[0] = 1, R = 9,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R ← 0, Λ Λ Λ Λ Λ Λ NEXT QLINK[0] ← 0 foreach (1≤k≤n) 5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2 F ← QLINK[0] Λ Λ
  • 32. QLINK[0] = 1, F = 1, R = 9,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R ← 0, Λ Λ Λ Λ Λ Λ NEXT QLINK[0] ← 0 foreach (1≤k≤n) 5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2 F ← QLINK[0] Λ Λ
  • 33. QLINK[0] = 1, F = 1, R = 9,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2 1 2 0 TOP[k] COUNT가 0인 것들 중 가장 먼저 나온 숫자가Λ F에 들어간다. SUC 3 8 7 6 0인 숫자들은 4 COUNT가 8 6 5 QLINK로 이어져 있음 R ← 0, Λ Λ Λ Λ Λ Λ NEXT QLINK[0] ← 0 foreach (1≤k≤n) 1→9 5 if COUNT[k] == 0 then QLINK[R] ← k, R ← k 2 F ← QLINK[0] Λ Λ
  • 34.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F 출력 if F == 0 goto T8 else N ← N – 1, P ← TOP[F]
  • 35. 출력 : 1 QLINK[0] = 1, F = 1, R = 9, N = 9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 2 1 2 0 TOP[k] Λ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F 출력, if (F == 0) { goto T8 } else { N ← N – 1, P ← TOP[F] } 5 2 Λ Λ
  • 36. 출력 : 1 QLINK[0] = 1, F = 1, R = 9,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 2 1 2 0 TOP[k] Λ P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F 출력, if (F == 0) { goto T8 } else { N ← N – 1, P ← TOP[F] } 5 2 Λ Λ
  • 37. 출력 : 1 QLINK[0] = 1, F = 1, R = 9,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1 1 2 2 1 2 0 TOP[k] Λ 이 단계에서만 출력이 이루어짐 P 출력한 숫자 직접 후행자를 P로 지정하고 계속 진행 SUC 3 8 7 6 8 4 6 5 뒤에 단계에서 다음에 NEXT Λ Λ Λ 숫자를 Λ 넣는다. 출력할 Λ F에 Λ F 출력, if (F == 0) { goto T8 } else { N ← N – 1, P ← TOP[F] } 5 2 Λ Λ
  • 38.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loop if P == Λ goto T7 else COUNT[SUC(P)] = COUNT[SUC(P)] – 1, if COUNT[SUC(P)] == 0 QLINK[R] ← SUC(P), R ← SUC(P) P ← NEXT(P)
  • 39. 출력 : 1 QLINK[0] = 1, F = 1, R = 9,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0 1 2 2 1 2 0 TOP[k] Λ P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loop { if (P == Λ) {goto T7} else { COUNT[SUC(P)]--, 5 2 Λ Λ if (COUNT[SUC(P)] == 0) {QLINK[R] ← SUC(P), R ← SUC(P)} P ← NEXT(P) }
  • 40. 출력 : 1 QLINK[0] = 1, F = 1, R = 3,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0 1 2 2 1 2 3 TOP[k] Λ P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loop { if (P == Λ) {goto T7} else { COUNT[SUC(P)]--, 5 2 Λ Λ if (COUNT[SUC(P)] == 0) {QLINK[R] ← SUC(P), R ← SUC(P)} P ← NEXT(P) }
  • 41. 출력 : 1 QLINK[0] = 1, F = 1, R = 3,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0 1 2 2 1 2 3 TOP[k] Λ P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loop { if (P == Λ) {goto T7} else { COUNT[SUC(P)]--, 5 2 Λ Λ if (COUNT[SUC(P)] == 0) {QLINK[R] ← SUC(P), R ← SUC(P)} P ← NEXT(P) }
  • 42. 출력 : 1 QLINK[0] = 1, F = 1, R = 3,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출력한 숫자의 직접 후행자들 1 0 1 2 2 2 3 COUNT를 감소 TOP[k] Λ (COUNT는 직접 선행자 개수) P 1 ≺ 3, 1 ≺ 5 가 있고 SUC 3 8 71을 출력했다면 3, 5의 6 8 4 6 5 직접 선행자 개수를 줄인다 NEXT Λ Λ Λ Λ Λ Λ 출력한 숫자 뒷정리라 생각하면 됨 loop { if (P == Λ) {goto T7} else { COUNT[SUC(P)]--, 5 2 Λ Λ if (COUNT[SUC(P)] == 0) {QLINK[R] ← SUC(P), R ← SUC(P)} P ← NEXT(P) }
  • 43. T1. 초기화 T2. 다음 관계 T3. 관계 기록 T4. 0들을 찾는다 T5. 대기열 앞단 출력 T6. 관계들 삭제 T8. 공정 끝 T7. 대기열에서 제거 F ← QLINK[F], goto T5
  • 44. 출력 : 1 QLINK[0] = 1, F = 3, R = 3,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0 1 2 2 1 2 3 TOP[k] Λ P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Λ Λ F ← QLINK[F], goto T5 5 2 Λ Λ
  • 45. 출력 : 1 QLINK[0] = 1, F = 3, R = 3, N = 8 k 1 2 3 4 5 6 7 8 9 COUNT[k] 9 1 앞0 단계에서 직접2 1 선행자가 0인1 2 2 3 TOP[k] 숫자를 QLINK로 연결 Λ P 여기선 QLINK를 따라가며 다음에 출력할 숫자를 F에 넣는다 SUC 3 8 7 6 8 4 6 5 NEXT Λ Λ Λ Λ 따라 가는거니 QLINK는 Λ Λ 헷갈리지 말 것. F ← QLINK[F], goto T5 5 2 Λ 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