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초등생의 자원봉사 체험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친 영향

- ‘역발상’ We Start 아동 ‘파랑새봉사단’의 혁신-

                 김일 (We Start 운동본부 사무총장)
목    차
    Ⅰ. 서론
            1.   We Start 운동 소개
            2.   파랑새봉사단 추진배경


    Ⅱ. 파랑새봉사단의 목적과 활동
            1.   목적
            2.   파랑새봉사단 연혁
            3.   참여대상
            4.   주요활동


    Ⅲ. 파랑새봉사단의 혁신적 성과
Ⅰ-1. We Start 운동 소개
1-1. 설립취지

            - 중앙일보에서 2004년 3월 22~31일 총 5회에 걸
            쳐 100만 명으로 추산되는 빈곤 아동들의 절박한 삶
            을 파헤친 ‘탐사기획 - 가난에 갇힌 아이들’을 연재.
            - 이를 계기로 2005년 5월 어린이재단, 사회복지공
            동모금회 등 50여 개 민간 단체들이 ‘가난의 대물림
            을 끊자’ 며 We Start 운동본부를 만들게 됨.


              We Start 의 의미
               우리 We 모두가 함께 나서, 저소득 가정의 아

              이들에게 복지 Welfare와 교육 Education 및
              건강 Health 서비스를 지원해 공정한 삶의 출발
              Start를 돕자
1-2. 주요사업
      고양                                             몽골 센터
      배움            원주
      누리           사회적
                    기업
                   ’꿈터’




                                                    캄보디아
                                                     센터
           안산
           글로벌
                 수원
                 글로벌




                          We Start 마을 운영 (국내 24곳, 해외 2곳)
                          We Start 글로벌아동센터 (국내 3곳)
                          고양 청소년 배움누리 (고교생 대상)
강진
글로벌
                          원주 사회적 기업 (일자리와 육아의 양립 모델 )
1-2. 주요사업

                복지, 교육, 건강 3분야 전문가에 의한
 일시적/단편적 서비스      입체적 역량 강화 서비스 제공

                 아동/부모 개인 맞춤형 사례관리
 프로그램 이용 서비스     (인생 장애물에 따른 해법 제공)

                     네트워크 서비스
 기관별 분산 서비스      (지역사회 기관, 봉사자와의 협업)

                     자립형 존재로 탈바꿈
 수혜자의 의존 심화     (아동/부모의 봉사단화, 주민 staff화)

  아동만을 서비스        부모/지역사회 역량 강화 중시


 기관 방문 이용 서비스       집으로 찾아가는 서비스
1-2. 주요사업
2. 파랑새봉사단의 역발상
                빈곤 아동을
빈곤 아동은 봉사 대상
               봉사의 주체로
     복지의존경향의
        탈피
2. 파랑새봉사단의 역발상

              봉사 체험 통해
    복지의존경향의
                자긍심
       탈피
               자립십 고양




    나눔의식을
      가진      봉사의 마력
     존재로서       통한
      성장      리더십 배양
Ⅱ. 파랑새봉사단의 목적과 활동
1. 목적

   의존형       자긍심과     수혜자에서
   탈피,
            자아존중감     봉사자로의
   주체적
   존재화        증진        변화




나눔과 공동체에 대한 의식을 지닌 건강한 성원으로 성장
2. 연혁
        •   전국 14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총 199명 활동
        •   서울 / 경기/ 전남 / 강원동부/ 강원서부 권역 별 연합봉사활동 실시



        •     전국 12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총 165명 활동
        •     파랑새 봉사단 여름캠프 및 연합봉사활동 실시 150명 참가

   2기       ‘ 캄보디아 아동들을 위한 천연염색 티셔츠 만들기’



        •   전국 16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총 207명 활동
        •   안산마을에서 시범으로 부모봉사단 조직 총 20명
   3기
        •   전국 14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및 부모봉사단 총 223명 활동 중
        •   파랑새 봉사단 여름캠프 실시

   4기   •   파랑새 봉사단 부모봉사단 워크샵 실시
3. 참여대상

 We Start 마을에서 사례관리를 받고 있는
                    초등학교 1~6학년 아동

                +

    서비스 아동이 친해지고 싶은 일반가정 아동
4. 주요활동
┃활동의 기본원칙
            아동의 흥미
            와 욕구파악




                          지역사회 참여
 교육적 효과
                          경험의 확대



- 활동계획의 수립 : 파랑새 봉사단원들이 토론을 통하여 스스로
            계획을 세우도록 함.
4. 주요활동

      노인/     환경보호,
     장애인 등   시장 청소 등
      소외된     지역사회
       이웃      봉사




             지역사회의
      해외     고마운 분들
     빈곤 아동    (ex: 경찰,
             소방소 등)
4. 주요활동




 파랑새봉사단 발대식 – We Start 마을별 10~15명의 아동 봉사단 조직

 자원봉사 교육 및 리더십 교육 – 본부 및 지역별로 전문적 교육실시
4. 주요활동
 마을별 봉사활동- 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다양한 봉사활동 전개




  - 마을 벽화 그리기 -        - 마을 환경 정화 -
4. 주요활동




 - 조손 가정 아동 생일파티 -   - 보육시설 아동 책 읽어 주기 -




- 제3세계 친구들 돕기 운동-    - 지역 어르신 발맛사지 봉사
4. 주요활동
 가족 봉사활동- 아동과 가족이 함께 지역사회를 위한 실천 운동전개




          - 이웃과 함께하는 김장 나눔 -
4. 주요활동
 전국 자원봉사 캠프- 전국 파랑새봉사단이 모여, 정보 공유 및 연합활동 전개
 전국 We Start 마을 자원봉사축제- 경진대회 후 우수팀 시상




 - 전국 자원봉사 캠프 현장-     - 자원봉사 축제 시상식 -
4. 주요활동
 파랑새 봉사단 평가회- 마을별 활동 내용에 대한 결과보고 및 정보 공유, 평가




           - 파랑새 봉사단 평가회 현장 -
Ⅲ. 파랑새봉사단의 혁신적성과
연구방법
질적 연구
• We Start 파랑새봉사단 아동, 사업 실무자 인터뷰
• 아동 수기 분석

양적 연구

• 2011년도 참여 아동 중 구리(수도권), 안산(중소도시),
 안산글로벌 (다문화) 3개 마을 아동 대상 사전-사후
 설문진행
• 자아존중감 척도 , 가족관계척도
 → 빈도분석 및 t- test 실시
성과 1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변화

“우리도 다른 누군가를 위하여 무언가 도움을 줄 수 있구나 하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아동 수기(수원마을, 김00)-
“봉사활동을 하면서 저도 괜찮고 좋은 사람이라는 것을 깨달았어요. 이제 친구들 괴롭히지 않고,
할머니 말씀도 잘 들을 거에요.”
                                      - 아동 인터뷰( 00 마을, 000)-
“아이들이 파랑새 봉사단 활동을 하고 나서 모든 일에 자신감이 가득 넘치기 시작했습니다. 봉사를 통
해 자신감을 얻었고 살아가는 희망과 꿈을 발견했습니다. 이 아이들의 눈망을 속엔 도움을 받는 존재가
아닌 도움을 주는 존재로 바뀌었다는 기쁨이 엿보이네요. 우리 아이들이 자라나서 베풀 수 있는 사회인으
로 성장하면 참 사회가 밝아질 것 같아요”
                            - 실무자 인터뷰(장흥마을, 김하나 사회복지사)-
성과 1
 자존감과 사회성 향상
“공부방에 다니는 것을 평소 부끄러워하거나, We Start라고 박혀진 티셔츠는 입지 않던 아이들
이 파랑새 봉사단이 새겨진 옷은 입고 다니며 ‘나 봉사활동 한다, 좋은 일 한다, 오늘 어디서 청소
했다’라고 말하며 자랑을 합니다. 봉사단 활동을 하며, 나도 좋고, 내 친구, 내 이웃도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아이들이 인식하는 것 같습니다.
                      -실무자 인터뷰(구리마을, 조하영 사회복지사)-
“파랑새 봉사단 활동에 참여하며 아이들이 밝아지고, 자존감
도 높아지며 사회성이 좋아지는 것을 눈에 띄게 발견하게 됩
니다. 변화가 참 많습니다.”
    - 실무자 인터뷰(원주마을, 전수길 학령기아동담당자)-
성과 1
  - 척도 : Coopersmith가 만든 SEI(Self-Esteem Inventories)를 기반으로
       최보가, 전귀연(1993)이 보완한 ‘자아존중감척도“

              조사                              평균의
                   N      평균       표준편차                t-value   유의확률
              시점                             표준오차

   총체적        사전   47    21.3191   4.44339   .64814
    자아                                                 -1.733    0.087*
   존중감        사후   43    23.0233   4.84762   .73926

   사회적        사전   48    29.5417   6.13660   .88574
    자아                                                 -1.539    0.127
   존중감        사후   44    31.9545   8.77087   1.32226

    가정        사전   49    31.9388   6.94445   .99206
   에서의                                                           0.082*
                                                       -1.760
    자아
              사후   44    34.5227   7.18036   1.08248
   존중감

    학교        사전   48    23.6250   5.15968   .74474
   에서의
                                                       -1.705    0.092*
    자아
   존중감        사후   43    25.7442   6.52502   .99506



* : p < 0.1    - “학교 영역”은 점수가 낮을 수록, 다른 영역은 점수가 높을 수록
                  자아 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함.
성과 2
 또래관계 만들기 및 사회성 개발의 긍정적 변화



                다양한 활동       • 또래관계, 선후배,
• 빈곤 혹은 한부모                    교사와의 관계개선
              • 봉사단 안에서의
 가정으로 인한                     • 자신의 가치 존중
              다양한 관계 경험
 위축                          • ‘나도 할 수 있다’는
              • 본인의 도움을 통한     의식변화
              타인의 행복 경험
  낮은 자존감                        긍정적 변화
성과 2

봉사단 안에서는 친구, 동생, 언니, 오빠 등의 다양한 또래 관
계를, 대학생 봉사자와는 선생님 관계를, 외부 봉사활동을 통해
서는 다양한 구성원들과 인간관계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학교생활 가운데 가장 어려워하는 또래 친구나
교사,선후배와의 관계를 개선하여 학교 적응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중>

          말수가 적고 소극적 성향의 아동들은 활동 초기에 친구들과도 잘 어
          울리지 못했다.꾸준한 봉사활동을 통해 단원들 간의 높은 친밀감을
          형성하여 서로 배려하고 격려했다.서로의 장점을 배우며 ‘나도 할 수
          있다'는 의식전환을 불러일으켰다.
          자존감이 낮았던 아이들은 봉사활동을 하며 내가 누군가를 도와줘
          타인이 행복해 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고
          존중하는 경험을 했다        <실무자 평가 보고>
성과 2
주도적 능력 계발
                 다양한             자신의
 봉사활동           활동내용                            주도적인
                                특기발견
  경험             필요성                            활동계획
                                  노력
                  자각


“아이들이 봉사활동을 하며, 자신이 봉사할 수 있는 ‘거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며 자신의 특기를 스
스로 살리려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됩니다. 봉사활동을 하며 새로운 자극들도 많이 받게 되는 것 같아요”
                              -실무자 인터뷰(광양마을, 고선주 복지조정자)-
“이제는 활동도 아이들이 주도적으로 계획합니다. ‘오늘은 파랑새 하는 날’이라고 기억을 하고, ‘다음에
는 무엇을 할까?’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실무자 인터뷰(구리마을, 조하영 사회복지사)-
성과 3
아동과 가족간의 관계 개선
 “어리게만 생각하였던”        부모의
 “게으른”"말썽꾸러기”                     “자랑스러운”
                     인식변화
  “공부를 잘 못하는”




꾸준히 봉사단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주요 요인 중에 하나는 바로 봉사단에
대한 보호자들의 관심이다. 부모는 ‘봉사활동을 다녀오면 아이의 표정이 밝아
보여요. 동생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는 것 같아요.’ 보호자들은 아동들이 무엇인
가를 스스로 꾸준히 하는 것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셨다.
더구나 봉사활동의 가치를 잘 알고 있는 빈곤가정의 보호자들은 자녀의 봉사
활동이 얼마나 좋은 영향을 줄 지 그 기대가 컸다.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성과 3


특히 단원들이 봉사활동을 하고 집에 돌아가면 가족들에게 많은 이야기를 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활동은 가족 간 대화의 주제를 제공하고 있었다.
아동의 동생들에게 좋은 역할모델이 되어 단원의 동생도 봉사단원으로 활동
할 수 있게 해달라는 문의도 많이 있었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




할머니와 단 둘이 살고 있는 가희(10세)는 노래와 춤을 정성껏 준비해 파랑새
친구들과 함께 요양원에 있는 약 50명의 할머니, 할아버지들 앞에서 공연을 했
다.
봉사하면서 할머니와의 관계도 향상되었고 또래 친구들과도 잘 어울리게 되었
다. 봉사활동을 마치고 가희가 묻는다. “파봉(파랑새봉사단) 또 언제해요?”
                                 - 2011 사례연구 자료-
성과 4
공동체 의식 함양

                          공동체 의식
    단원들의 응집력과
                        서로에 대해 배려하는
      협동심 배양
                          성숙한 자세


봉사활동을 거듭할수록 단원들의 응집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활동 초기에는 과제가 주어졌을 때, 적극적인 몇몇 아이들끼리만 활동하는 모습
이 보였다.그러나 봉사 교육 및 공동체 활동을 통해 ‘파랑새 봉사단’이 개인이
아닌 팀인 것을 인식하고 단원들끼리 서로 부족한 부분을 협력하며 활동하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성과 4
          매번 지각하는 단원들이 있었다.
          토론의 장을 만들어 아이들 스스로 그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
          를 통해 자신의 지각이 다른 단원들에 피해를 준다는 것을 인
          식하게됐다.
          제 시간에 맞춰오는 변화가 있었고, 부지런한 단원들은 지각
          하는 단원에게 미리 연락하여 함께 오는 모습도 있었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


“처음에는 봉사활동에 대해서 아이들이 어렵게 생각하고
먼 이야기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그러나 이제는 아
이들이 내 주위에 있는 작은 쓰레기를 치우는 것 하나도
봉사일 수 있다는 인식으로 바뀌었지요.
우리 지역사회를 위한 작은 실천도 큰 봉사일 수 있다고
뿌듯한 마음으로 활동하죠.”
              -구리마을, 조하영 사회복지사-
성과 4
“봉사단을 하면서 많은 것을 보고 느꼈어요.
무언가의 소중함을 알고 간직할 수 있게 되었어요. 저는 봉사활동을 하기 전에는
봉사라는 것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 잘 몰랐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봉사를
함으로 인해 남을 더욱더 돕고 싶고, 봉사하는 날이 기다려져요.”
                          -아동 수기(삼척마을, 이00 아동)-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PDF
2013 수원시 학교사회복지사업 사례집
PPTX
위스타트사업소개표준안
PPTX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PDF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Jan 2016 newsletter(kor)
PDF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PDF
가드닝기술 기반 마을정원 만들기 토탈서비스 "Garden I" - 농촌진흥청 국민디자인단
PDF
청소년 산림교육 활성화 - 산림청 국민디자인단
PDF
2016 공원의친구들 결과보고서_서울그린트러스트
2013 수원시 학교사회복지사업 사례집
위스타트사업소개표준안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International Network for School Social Work, Jan 2016 newsletter(kor)
공원의친구들 5개년 임팩트리포트
가드닝기술 기반 마을정원 만들기 토탈서비스 "Garden I" - 농촌진흥청 국민디자인단
청소년 산림교육 활성화 - 산림청 국민디자인단
2016 공원의친구들 결과보고서_서울그린트러스트

What's hot (20)

PDF
학교사회복지론 1~2장
PDF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PDF
공원봉사활동가이드북2
PDF
Sgt hangang forest project hanatour impact report(2014~2018)
PDF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PDF
2011 완주cb센터홍보물 가로형
PDF
Lifeworldvol 4
PDF
공유광주책자
PDF
01. 마을청년회 연구포스터
PDF
Ignite seoul 4 13 김정찬 사람을 찾습니다
PDF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PDF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
PDF
Dongseo University Juckwol village community design
PDF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워크숍 자료집
PPTX
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
PDF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다붓다붓_탐방보고서
PDF
[대구 여성환경포럼]주제발제 성미산 공동육아에서 마을 공동체의 모색으로(2004년)
PDF
도라지꽃 2013 01
PPTX
구석구석 재활용 동네마당 설치 지원 - 환경부 국민디자인단
PDF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학교사회복지론 1~2장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공원봉사활동가이드북2
Sgt hangang forest project hanatour impact report(2014~2018)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1 완주cb센터홍보물 가로형
Lifeworldvol 4
공유광주책자
01. 마을청년회 연구포스터
Ignite seoul 4 13 김정찬 사람을 찾습니다
마을형사회적기업의이해 최준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
Dongseo University Juckwol village community design
여성들의 유쾌한 사회상상 워크숍 자료집
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다붓다붓_탐방보고서
[대구 여성환경포럼]주제발제 성미산 공동육아에서 마을 공동체의 모색으로(2004년)
도라지꽃 2013 01
구석구석 재활용 동네마당 설치 지원 - 환경부 국민디자인단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Ad

Similar to (1211)역발상 we start 아동 파랑새봉사단의 혁신 ppt (20)

PPT
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
PPTX
길 위에서 길을 찾다 -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젝트
PPTX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웹업로드 추가모집
PPTX
바보의나눔 20120315
PDF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PDF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PDF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PDF
컨텐츠기획서
PDF
Wisdom2019
PPT
제1회 이그나이트 광주 Ignite Gwangju 1-2 이정기
PDF
급여끝전기부표준
PDF
글로벌나눔네트워크 2017 활동보고서
PDF
고와선 마을계획
PDF
컨텐츠기획서
PDF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PDF
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PDF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PDF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PDF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PDF
대한민국교육봉사단 씨드스쿨소개Ver.2.3.2
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
길 위에서 길을 찾다 -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젝트
길 위에서 길을 찾다 웹업로드 추가모집
바보의나눔 20120315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컨텐츠기획서
Wisdom2019
제1회 이그나이트 광주 Ignite Gwangju 1-2 이정기
급여끝전기부표준
글로벌나눔네트워크 2017 활동보고서
고와선 마을계획
컨텐츠기획서
군포 인생나자 작업장
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일상을 바꾸는 시민의 힘 2018 - 리빙랩 가이드 북
대한민국교육봉사단 씨드스쿨소개Ver.2.3.2
Ad

(1211)역발상 we start 아동 파랑새봉사단의 혁신 ppt

  • 1. 저소득층 초등생의 자원봉사 체험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친 영향 - ‘역발상’ We Start 아동 ‘파랑새봉사단’의 혁신- 김일 (We Start 운동본부 사무총장)
  • 2. 차 Ⅰ. 서론 1. We Start 운동 소개 2. 파랑새봉사단 추진배경 Ⅱ. 파랑새봉사단의 목적과 활동 1. 목적 2. 파랑새봉사단 연혁 3. 참여대상 4. 주요활동 Ⅲ. 파랑새봉사단의 혁신적 성과
  • 3. Ⅰ-1. We Start 운동 소개
  • 4. 1-1. 설립취지 - 중앙일보에서 2004년 3월 22~31일 총 5회에 걸 쳐 100만 명으로 추산되는 빈곤 아동들의 절박한 삶 을 파헤친 ‘탐사기획 - 가난에 갇힌 아이들’을 연재. - 이를 계기로 2005년 5월 어린이재단, 사회복지공 동모금회 등 50여 개 민간 단체들이 ‘가난의 대물림 을 끊자’ 며 We Start 운동본부를 만들게 됨. We Start 의 의미 우리 We 모두가 함께 나서, 저소득 가정의 아 이들에게 복지 Welfare와 교육 Education 및 건강 Health 서비스를 지원해 공정한 삶의 출발 Start를 돕자
  • 5. 1-2. 주요사업 고양 몽골 센터 배움 원주 누리 사회적 기업 ’꿈터’ 캄보디아 센터 안산 글로벌 수원 글로벌 We Start 마을 운영 (국내 24곳, 해외 2곳) We Start 글로벌아동센터 (국내 3곳) 고양 청소년 배움누리 (고교생 대상) 강진 글로벌 원주 사회적 기업 (일자리와 육아의 양립 모델 )
  • 6. 1-2. 주요사업 복지, 교육, 건강 3분야 전문가에 의한 일시적/단편적 서비스 입체적 역량 강화 서비스 제공 아동/부모 개인 맞춤형 사례관리 프로그램 이용 서비스 (인생 장애물에 따른 해법 제공) 네트워크 서비스 기관별 분산 서비스 (지역사회 기관, 봉사자와의 협업) 자립형 존재로 탈바꿈 수혜자의 의존 심화 (아동/부모의 봉사단화, 주민 staff화) 아동만을 서비스 부모/지역사회 역량 강화 중시 기관 방문 이용 서비스 집으로 찾아가는 서비스
  • 8. 2. 파랑새봉사단의 역발상 빈곤 아동을 빈곤 아동은 봉사 대상 봉사의 주체로 복지의존경향의 탈피
  • 9. 2. 파랑새봉사단의 역발상 봉사 체험 통해 복지의존경향의 자긍심 탈피 자립십 고양 나눔의식을 가진 봉사의 마력 존재로서 통한 성장 리더십 배양
  • 11. 1. 목적 의존형 자긍심과 수혜자에서 탈피, 자아존중감 봉사자로의 주체적 존재화 증진 변화 나눔과 공동체에 대한 의식을 지닌 건강한 성원으로 성장
  • 12. 2. 연혁 • 전국 14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총 199명 활동 • 서울 / 경기/ 전남 / 강원동부/ 강원서부 권역 별 연합봉사활동 실시 • 전국 12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총 165명 활동 • 파랑새 봉사단 여름캠프 및 연합봉사활동 실시 150명 참가 2기 ‘ 캄보디아 아동들을 위한 천연염색 티셔츠 만들기’ • 전국 16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총 207명 활동 • 안산마을에서 시범으로 부모봉사단 조직 총 20명 3기 • 전국 14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및 부모봉사단 총 223명 활동 중 • 파랑새 봉사단 여름캠프 실시 4기 • 파랑새 봉사단 부모봉사단 워크샵 실시
  • 13. 3. 참여대상 We Start 마을에서 사례관리를 받고 있는 초등학교 1~6학년 아동 + 서비스 아동이 친해지고 싶은 일반가정 아동
  • 14. 4. 주요활동 ┃활동의 기본원칙 아동의 흥미 와 욕구파악 지역사회 참여 교육적 효과 경험의 확대 - 활동계획의 수립 : 파랑새 봉사단원들이 토론을 통하여 스스로 계획을 세우도록 함.
  • 15. 4. 주요활동 노인/ 환경보호, 장애인 등 시장 청소 등 소외된 지역사회 이웃 봉사 지역사회의 해외 고마운 분들 빈곤 아동 (ex: 경찰, 소방소 등)
  • 16. 4. 주요활동 파랑새봉사단 발대식 – We Start 마을별 10~15명의 아동 봉사단 조직 자원봉사 교육 및 리더십 교육 – 본부 및 지역별로 전문적 교육실시
  • 17. 4. 주요활동 마을별 봉사활동- 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다양한 봉사활동 전개 - 마을 벽화 그리기 - - 마을 환경 정화 -
  • 18. 4. 주요활동 - 조손 가정 아동 생일파티 - - 보육시설 아동 책 읽어 주기 - - 제3세계 친구들 돕기 운동- - 지역 어르신 발맛사지 봉사
  • 19. 4. 주요활동 가족 봉사활동- 아동과 가족이 함께 지역사회를 위한 실천 운동전개 - 이웃과 함께하는 김장 나눔 -
  • 20. 4. 주요활동 전국 자원봉사 캠프- 전국 파랑새봉사단이 모여, 정보 공유 및 연합활동 전개 전국 We Start 마을 자원봉사축제- 경진대회 후 우수팀 시상 - 전국 자원봉사 캠프 현장- - 자원봉사 축제 시상식 -
  • 21. 4. 주요활동 파랑새 봉사단 평가회- 마을별 활동 내용에 대한 결과보고 및 정보 공유, 평가 - 파랑새 봉사단 평가회 현장 -
  • 23. 연구방법 질적 연구 • We Start 파랑새봉사단 아동, 사업 실무자 인터뷰 • 아동 수기 분석 양적 연구 • 2011년도 참여 아동 중 구리(수도권), 안산(중소도시), 안산글로벌 (다문화) 3개 마을 아동 대상 사전-사후 설문진행 • 자아존중감 척도 , 가족관계척도 → 빈도분석 및 t- test 실시
  • 24. 성과 1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변화 “우리도 다른 누군가를 위하여 무언가 도움을 줄 수 있구나 하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아동 수기(수원마을, 김00)- “봉사활동을 하면서 저도 괜찮고 좋은 사람이라는 것을 깨달았어요. 이제 친구들 괴롭히지 않고, 할머니 말씀도 잘 들을 거에요.” - 아동 인터뷰( 00 마을, 000)- “아이들이 파랑새 봉사단 활동을 하고 나서 모든 일에 자신감이 가득 넘치기 시작했습니다. 봉사를 통 해 자신감을 얻었고 살아가는 희망과 꿈을 발견했습니다. 이 아이들의 눈망을 속엔 도움을 받는 존재가 아닌 도움을 주는 존재로 바뀌었다는 기쁨이 엿보이네요. 우리 아이들이 자라나서 베풀 수 있는 사회인으 로 성장하면 참 사회가 밝아질 것 같아요” - 실무자 인터뷰(장흥마을, 김하나 사회복지사)-
  • 25. 성과 1 자존감과 사회성 향상 “공부방에 다니는 것을 평소 부끄러워하거나, We Start라고 박혀진 티셔츠는 입지 않던 아이들 이 파랑새 봉사단이 새겨진 옷은 입고 다니며 ‘나 봉사활동 한다, 좋은 일 한다, 오늘 어디서 청소 했다’라고 말하며 자랑을 합니다. 봉사단 활동을 하며, 나도 좋고, 내 친구, 내 이웃도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아이들이 인식하는 것 같습니다. -실무자 인터뷰(구리마을, 조하영 사회복지사)- “파랑새 봉사단 활동에 참여하며 아이들이 밝아지고, 자존감 도 높아지며 사회성이 좋아지는 것을 눈에 띄게 발견하게 됩 니다. 변화가 참 많습니다.” - 실무자 인터뷰(원주마을, 전수길 학령기아동담당자)-
  • 26. 성과 1 - 척도 : Coopersmith가 만든 SEI(Self-Esteem Inventories)를 기반으로 최보가, 전귀연(1993)이 보완한 ‘자아존중감척도“ 조사 평균의 N 평균 표준편차 t-value 유의확률 시점 표준오차 총체적 사전 47 21.3191 4.44339 .64814 자아 -1.733 0.087* 존중감 사후 43 23.0233 4.84762 .73926 사회적 사전 48 29.5417 6.13660 .88574 자아 -1.539 0.127 존중감 사후 44 31.9545 8.77087 1.32226 가정 사전 49 31.9388 6.94445 .99206 에서의 0.082* -1.760 자아 사후 44 34.5227 7.18036 1.08248 존중감 학교 사전 48 23.6250 5.15968 .74474 에서의 -1.705 0.092* 자아 존중감 사후 43 25.7442 6.52502 .99506 * : p < 0.1 - “학교 영역”은 점수가 낮을 수록, 다른 영역은 점수가 높을 수록 자아 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함.
  • 27. 성과 2 또래관계 만들기 및 사회성 개발의 긍정적 변화 다양한 활동 • 또래관계, 선후배, • 빈곤 혹은 한부모 교사와의 관계개선 • 봉사단 안에서의 가정으로 인한 • 자신의 가치 존중 다양한 관계 경험 위축 • ‘나도 할 수 있다’는 • 본인의 도움을 통한 의식변화 타인의 행복 경험 낮은 자존감 긍정적 변화
  • 28. 성과 2 봉사단 안에서는 친구, 동생, 언니, 오빠 등의 다양한 또래 관 계를, 대학생 봉사자와는 선생님 관계를, 외부 봉사활동을 통해 서는 다양한 구성원들과 인간관계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학교생활 가운데 가장 어려워하는 또래 친구나 교사,선후배와의 관계를 개선하여 학교 적응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중> 말수가 적고 소극적 성향의 아동들은 활동 초기에 친구들과도 잘 어 울리지 못했다.꾸준한 봉사활동을 통해 단원들 간의 높은 친밀감을 형성하여 서로 배려하고 격려했다.서로의 장점을 배우며 ‘나도 할 수 있다'는 의식전환을 불러일으켰다. 자존감이 낮았던 아이들은 봉사활동을 하며 내가 누군가를 도와줘 타인이 행복해 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고 존중하는 경험을 했다 <실무자 평가 보고>
  • 29. 성과 2 주도적 능력 계발 다양한 자신의 봉사활동 활동내용 주도적인 특기발견 경험 필요성 활동계획 노력 자각 “아이들이 봉사활동을 하며, 자신이 봉사할 수 있는 ‘거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며 자신의 특기를 스 스로 살리려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됩니다. 봉사활동을 하며 새로운 자극들도 많이 받게 되는 것 같아요” -실무자 인터뷰(광양마을, 고선주 복지조정자)- “이제는 활동도 아이들이 주도적으로 계획합니다. ‘오늘은 파랑새 하는 날’이라고 기억을 하고, ‘다음에 는 무엇을 할까?’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실무자 인터뷰(구리마을, 조하영 사회복지사)-
  • 30. 성과 3 아동과 가족간의 관계 개선 “어리게만 생각하였던” 부모의 “게으른”"말썽꾸러기” “자랑스러운” 인식변화 “공부를 잘 못하는” 꾸준히 봉사단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주요 요인 중에 하나는 바로 봉사단에 대한 보호자들의 관심이다. 부모는 ‘봉사활동을 다녀오면 아이의 표정이 밝아 보여요. 동생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는 것 같아요.’ 보호자들은 아동들이 무엇인 가를 스스로 꾸준히 하는 것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셨다. 더구나 봉사활동의 가치를 잘 알고 있는 빈곤가정의 보호자들은 자녀의 봉사 활동이 얼마나 좋은 영향을 줄 지 그 기대가 컸다.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 31. 성과 3 특히 단원들이 봉사활동을 하고 집에 돌아가면 가족들에게 많은 이야기를 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활동은 가족 간 대화의 주제를 제공하고 있었다. 아동의 동생들에게 좋은 역할모델이 되어 단원의 동생도 봉사단원으로 활동 할 수 있게 해달라는 문의도 많이 있었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 할머니와 단 둘이 살고 있는 가희(10세)는 노래와 춤을 정성껏 준비해 파랑새 친구들과 함께 요양원에 있는 약 50명의 할머니, 할아버지들 앞에서 공연을 했 다. 봉사하면서 할머니와의 관계도 향상되었고 또래 친구들과도 잘 어울리게 되었 다. 봉사활동을 마치고 가희가 묻는다. “파봉(파랑새봉사단) 또 언제해요?” - 2011 사례연구 자료-
  • 32. 성과 4 공동체 의식 함양 공동체 의식 단원들의 응집력과 서로에 대해 배려하는 협동심 배양 성숙한 자세 봉사활동을 거듭할수록 단원들의 응집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활동 초기에는 과제가 주어졌을 때, 적극적인 몇몇 아이들끼리만 활동하는 모습 이 보였다.그러나 봉사 교육 및 공동체 활동을 통해 ‘파랑새 봉사단’이 개인이 아닌 팀인 것을 인식하고 단원들끼리 서로 부족한 부분을 협력하며 활동하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 33. 성과 4 매번 지각하는 단원들이 있었다. 토론의 장을 만들어 아이들 스스로 그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 를 통해 자신의 지각이 다른 단원들에 피해를 준다는 것을 인 식하게됐다. 제 시간에 맞춰오는 변화가 있었고, 부지런한 단원들은 지각 하는 단원에게 미리 연락하여 함께 오는 모습도 있었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 “처음에는 봉사활동에 대해서 아이들이 어렵게 생각하고 먼 이야기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그러나 이제는 아 이들이 내 주위에 있는 작은 쓰레기를 치우는 것 하나도 봉사일 수 있다는 인식으로 바뀌었지요. 우리 지역사회를 위한 작은 실천도 큰 봉사일 수 있다고 뿌듯한 마음으로 활동하죠.” -구리마을, 조하영 사회복지사-
  • 34. 성과 4 “봉사단을 하면서 많은 것을 보고 느꼈어요. 무언가의 소중함을 알고 간직할 수 있게 되었어요. 저는 봉사활동을 하기 전에는 봉사라는 것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 잘 몰랐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봉사를 함으로 인해 남을 더욱더 돕고 싶고, 봉사하는 날이 기다려져요.” -아동 수기(삼척마을, 이00 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