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1-1. 설립취지
- 중앙일보에서 2004년 3월 22~31일 총 5회에 걸
쳐 100만 명으로 추산되는 빈곤 아동들의 절박한 삶
을 파헤친 ‘탐사기획 - 가난에 갇힌 아이들’을 연재.
- 이를 계기로 2005년 5월 어린이재단, 사회복지공
동모금회 등 50여 개 민간 단체들이 ‘가난의 대물림
을 끊자’ 며 We Start 운동본부를 만들게 됨.
We Start 의 의미
우리 We 모두가 함께 나서, 저소득 가정의 아
이들에게 복지 Welfare와 교육 Education 및
건강 Health 서비스를 지원해 공정한 삶의 출발
Start를 돕자
5. 1-2. 주요사업
고양 몽골 센터
배움 원주
누리 사회적
기업
’꿈터’
캄보디아
센터
안산
글로벌
수원
글로벌
We Start 마을 운영 (국내 24곳, 해외 2곳)
We Start 글로벌아동센터 (국내 3곳)
고양 청소년 배움누리 (고교생 대상)
강진
글로벌
원주 사회적 기업 (일자리와 육아의 양립 모델 )
6. 1-2. 주요사업
복지, 교육, 건강 3분야 전문가에 의한
일시적/단편적 서비스 입체적 역량 강화 서비스 제공
아동/부모 개인 맞춤형 사례관리
프로그램 이용 서비스 (인생 장애물에 따른 해법 제공)
네트워크 서비스
기관별 분산 서비스 (지역사회 기관, 봉사자와의 협업)
자립형 존재로 탈바꿈
수혜자의 의존 심화 (아동/부모의 봉사단화, 주민 staff화)
아동만을 서비스 부모/지역사회 역량 강화 중시
기관 방문 이용 서비스 집으로 찾아가는 서비스
11. 1. 목적
의존형 자긍심과 수혜자에서
탈피,
자아존중감 봉사자로의
주체적
존재화 증진 변화
나눔과 공동체에 대한 의식을 지닌 건강한 성원으로 성장
12. 2. 연혁
• 전국 14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총 199명 활동
• 서울 / 경기/ 전남 / 강원동부/ 강원서부 권역 별 연합봉사활동 실시
• 전국 12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총 165명 활동
• 파랑새 봉사단 여름캠프 및 연합봉사활동 실시 150명 참가
2기 ‘ 캄보디아 아동들을 위한 천연염색 티셔츠 만들기’
• 전국 16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총 207명 활동
• 안산마을에서 시범으로 부모봉사단 조직 총 20명
3기
• 전국 14개 We Start 마을 아동봉사단 및 부모봉사단 총 223명 활동 중
• 파랑새 봉사단 여름캠프 실시
4기 • 파랑새 봉사단 부모봉사단 워크샵 실시
13. 3. 참여대상
We Start 마을에서 사례관리를 받고 있는
초등학교 1~6학년 아동
+
서비스 아동이 친해지고 싶은 일반가정 아동
14. 4. 주요활동
┃활동의 기본원칙
아동의 흥미
와 욕구파악
지역사회 참여
교육적 효과
경험의 확대
- 활동계획의 수립 : 파랑새 봉사단원들이 토론을 통하여 스스로
계획을 세우도록 함.
15. 4. 주요활동
노인/ 환경보호,
장애인 등 시장 청소 등
소외된 지역사회
이웃 봉사
지역사회의
해외 고마운 분들
빈곤 아동 (ex: 경찰,
소방소 등)
16. 4. 주요활동
파랑새봉사단 발대식 – We Start 마을별 10~15명의 아동 봉사단 조직
자원봉사 교육 및 리더십 교육 – 본부 및 지역별로 전문적 교육실시
17. 4. 주요활동
마을별 봉사활동- 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다양한 봉사활동 전개
- 마을 벽화 그리기 - - 마을 환경 정화 -
18. 4. 주요활동
- 조손 가정 아동 생일파티 - - 보육시설 아동 책 읽어 주기 -
- 제3세계 친구들 돕기 운동- - 지역 어르신 발맛사지 봉사
19. 4. 주요활동
가족 봉사활동- 아동과 가족이 함께 지역사회를 위한 실천 운동전개
- 이웃과 함께하는 김장 나눔 -
20. 4. 주요활동
전국 자원봉사 캠프- 전국 파랑새봉사단이 모여, 정보 공유 및 연합활동 전개
전국 We Start 마을 자원봉사축제- 경진대회 후 우수팀 시상
- 전국 자원봉사 캠프 현장- - 자원봉사 축제 시상식 -
21. 4. 주요활동
파랑새 봉사단 평가회- 마을별 활동 내용에 대한 결과보고 및 정보 공유, 평가
- 파랑새 봉사단 평가회 현장 -
23. 연구방법
질적 연구
• We Start 파랑새봉사단 아동, 사업 실무자 인터뷰
• 아동 수기 분석
양적 연구
• 2011년도 참여 아동 중 구리(수도권), 안산(중소도시),
안산글로벌 (다문화) 3개 마을 아동 대상 사전-사후
설문진행
• 자아존중감 척도 , 가족관계척도
→ 빈도분석 및 t- test 실시
24. 성과 1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변화
“우리도 다른 누군가를 위하여 무언가 도움을 줄 수 있구나 하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아동 수기(수원마을, 김00)-
“봉사활동을 하면서 저도 괜찮고 좋은 사람이라는 것을 깨달았어요. 이제 친구들 괴롭히지 않고,
할머니 말씀도 잘 들을 거에요.”
- 아동 인터뷰( 00 마을, 000)-
“아이들이 파랑새 봉사단 활동을 하고 나서 모든 일에 자신감이 가득 넘치기 시작했습니다. 봉사를 통
해 자신감을 얻었고 살아가는 희망과 꿈을 발견했습니다. 이 아이들의 눈망을 속엔 도움을 받는 존재가
아닌 도움을 주는 존재로 바뀌었다는 기쁨이 엿보이네요. 우리 아이들이 자라나서 베풀 수 있는 사회인으
로 성장하면 참 사회가 밝아질 것 같아요”
- 실무자 인터뷰(장흥마을, 김하나 사회복지사)-
25. 성과 1
자존감과 사회성 향상
“공부방에 다니는 것을 평소 부끄러워하거나, We Start라고 박혀진 티셔츠는 입지 않던 아이들
이 파랑새 봉사단이 새겨진 옷은 입고 다니며 ‘나 봉사활동 한다, 좋은 일 한다, 오늘 어디서 청소
했다’라고 말하며 자랑을 합니다. 봉사단 활동을 하며, 나도 좋고, 내 친구, 내 이웃도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아이들이 인식하는 것 같습니다.
-실무자 인터뷰(구리마을, 조하영 사회복지사)-
“파랑새 봉사단 활동에 참여하며 아이들이 밝아지고, 자존감
도 높아지며 사회성이 좋아지는 것을 눈에 띄게 발견하게 됩
니다. 변화가 참 많습니다.”
- 실무자 인터뷰(원주마을, 전수길 학령기아동담당자)-
26. 성과 1
- 척도 : Coopersmith가 만든 SEI(Self-Esteem Inventories)를 기반으로
최보가, 전귀연(1993)이 보완한 ‘자아존중감척도“
조사 평균의
N 평균 표준편차 t-value 유의확률
시점 표준오차
총체적 사전 47 21.3191 4.44339 .64814
자아 -1.733 0.087*
존중감 사후 43 23.0233 4.84762 .73926
사회적 사전 48 29.5417 6.13660 .88574
자아 -1.539 0.127
존중감 사후 44 31.9545 8.77087 1.32226
가정 사전 49 31.9388 6.94445 .99206
에서의 0.082*
-1.760
자아
사후 44 34.5227 7.18036 1.08248
존중감
학교 사전 48 23.6250 5.15968 .74474
에서의
-1.705 0.092*
자아
존중감 사후 43 25.7442 6.52502 .99506
* : p < 0.1 - “학교 영역”은 점수가 낮을 수록, 다른 영역은 점수가 높을 수록
자아 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함.
27. 성과 2
또래관계 만들기 및 사회성 개발의 긍정적 변화
다양한 활동 • 또래관계, 선후배,
• 빈곤 혹은 한부모 교사와의 관계개선
• 봉사단 안에서의
가정으로 인한 • 자신의 가치 존중
다양한 관계 경험
위축 • ‘나도 할 수 있다’는
• 본인의 도움을 통한 의식변화
타인의 행복 경험
낮은 자존감 긍정적 변화
28. 성과 2
봉사단 안에서는 친구, 동생, 언니, 오빠 등의 다양한 또래 관
계를, 대학생 봉사자와는 선생님 관계를, 외부 봉사활동을 통해
서는 다양한 구성원들과 인간관계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학교생활 가운데 가장 어려워하는 또래 친구나
교사,선후배와의 관계를 개선하여 학교 적응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중>
말수가 적고 소극적 성향의 아동들은 활동 초기에 친구들과도 잘 어
울리지 못했다.꾸준한 봉사활동을 통해 단원들 간의 높은 친밀감을
형성하여 서로 배려하고 격려했다.서로의 장점을 배우며 ‘나도 할 수
있다'는 의식전환을 불러일으켰다.
자존감이 낮았던 아이들은 봉사활동을 하며 내가 누군가를 도와줘
타인이 행복해 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고
존중하는 경험을 했다 <실무자 평가 보고>
29. 성과 2
주도적 능력 계발
다양한 자신의
봉사활동 활동내용 주도적인
특기발견
경험 필요성 활동계획
노력
자각
“아이들이 봉사활동을 하며, 자신이 봉사할 수 있는 ‘거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며 자신의 특기를 스
스로 살리려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됩니다. 봉사활동을 하며 새로운 자극들도 많이 받게 되는 것 같아요”
-실무자 인터뷰(광양마을, 고선주 복지조정자)-
“이제는 활동도 아이들이 주도적으로 계획합니다. ‘오늘은 파랑새 하는 날’이라고 기억을 하고, ‘다음에
는 무엇을 할까?’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실무자 인터뷰(구리마을, 조하영 사회복지사)-
30. 성과 3
아동과 가족간의 관계 개선
“어리게만 생각하였던” 부모의
“게으른”"말썽꾸러기” “자랑스러운”
인식변화
“공부를 잘 못하는”
꾸준히 봉사단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주요 요인 중에 하나는 바로 봉사단에
대한 보호자들의 관심이다. 부모는 ‘봉사활동을 다녀오면 아이의 표정이 밝아
보여요. 동생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는 것 같아요.’ 보호자들은 아동들이 무엇인
가를 스스로 꾸준히 하는 것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셨다.
더구나 봉사활동의 가치를 잘 알고 있는 빈곤가정의 보호자들은 자녀의 봉사
활동이 얼마나 좋은 영향을 줄 지 그 기대가 컸다.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31. 성과 3
특히 단원들이 봉사활동을 하고 집에 돌아가면 가족들에게 많은 이야기를 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활동은 가족 간 대화의 주제를 제공하고 있었다.
아동의 동생들에게 좋은 역할모델이 되어 단원의 동생도 봉사단원으로 활동
할 수 있게 해달라는 문의도 많이 있었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
할머니와 단 둘이 살고 있는 가희(10세)는 노래와 춤을 정성껏 준비해 파랑새
친구들과 함께 요양원에 있는 약 50명의 할머니, 할아버지들 앞에서 공연을 했
다.
봉사하면서 할머니와의 관계도 향상되었고 또래 친구들과도 잘 어울리게 되었
다. 봉사활동을 마치고 가희가 묻는다. “파봉(파랑새봉사단) 또 언제해요?”
- 2011 사례연구 자료-
32. 성과 4
공동체 의식 함양
공동체 의식
단원들의 응집력과
서로에 대해 배려하는
협동심 배양
성숙한 자세
봉사활동을 거듭할수록 단원들의 응집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활동 초기에는 과제가 주어졌을 때, 적극적인 몇몇 아이들끼리만 활동하는 모습
이 보였다.그러나 봉사 교육 및 공동체 활동을 통해 ‘파랑새 봉사단’이 개인이
아닌 팀인 것을 인식하고 단원들끼리 서로 부족한 부분을 협력하며 활동하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33. 성과 4
매번 지각하는 단원들이 있었다.
토론의 장을 만들어 아이들 스스로 그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
를 통해 자신의 지각이 다른 단원들에 피해를 준다는 것을 인
식하게됐다.
제 시간에 맞춰오는 변화가 있었고, 부지런한 단원들은 지각
하는 단원에게 미리 연락하여 함께 오는 모습도 있었다.
- 2011년 실무자 사업평가 보고서 -
“처음에는 봉사활동에 대해서 아이들이 어렵게 생각하고
먼 이야기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그러나 이제는 아
이들이 내 주위에 있는 작은 쓰레기를 치우는 것 하나도
봉사일 수 있다는 인식으로 바뀌었지요.
우리 지역사회를 위한 작은 실천도 큰 봉사일 수 있다고
뿌듯한 마음으로 활동하죠.”
-구리마을, 조하영 사회복지사-
34. 성과 4
“봉사단을 하면서 많은 것을 보고 느꼈어요.
무언가의 소중함을 알고 간직할 수 있게 되었어요. 저는 봉사활동을 하기 전에는
봉사라는 것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 잘 몰랐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봉사를
함으로 인해 남을 더욱더 돕고 싶고, 봉사하는 날이 기다려져요.”
-아동 수기(삼척마을, 이00 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