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1. 들어가며
•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 기술과 인문학의 만남, 융합의 시작
• 왜 디지털 인문학인가?
2. 디지털 인문학의 개념
3. 2
디지털 인문학 : 인문학과 기술의 융합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ve
Global
4. 3
• 디지털 기술을 인문학 연구에 활용
• 로베르토 부사(Roberto Busa, 1913-2011)의 ‘Index Thomisticus’
• 부사 신부는 1949년부터 미국 IBM의 도움을 받아 중세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
스(Thomas Aquinas, 1224?-1274)의 저작을 중심으로 하는 중세 라틴어 텍스
트 1,100만 단어의 전문 색인을 전자적인 방법으로 편찬(1949~1974)
• 1992년에 하이퍼텍스트 기능을 포함한 디지털 텍스트가 CD-ROM으로 간행
디지털 인문학의 효시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5. 4
• Wagner-Song의 ‘문과 프로젝트(Munkwa Project)’
•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 효시
• 1967년 미국 하버드 대학의 동아시아언어문명학과 교수이자 미국과 서유럽에서 한국사 연구를
선도했던 에드워드 와그너(Edward Wagner) 교수는 한국인 동료 송준호 교수와 함께 조선시대 문
과 합격자 명부인 ‘문과방목(文科榜目)’을 데이터베이스로 편찬
• 사회적, 정치적 배경을 통해 조선시대(1392-1910) 집권층을 분석
• 14,600명의 문과 합격자와 그의 가까운 친족(부,조,외조,장인)에 관한 데이터(본관 성씨, 관직, 거
주지 등)를 전산화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에드워드 와그너(1924-2001)
문과방목
조선시대의 문과 급제자를 연대순,
시험 종류별 그리고 성적순으로 기록
하여 놓은 명부
임자년 별시 문과방목(1672)
“There is a fundamental reason for
making use of the computer in historical
research. The computer already has
come to play a part in the lives of most
of mankind and it will do so increasingly
in the years ahead. Engaging in
computer-assisted research, therefore,
brings us closer to our future.”
6. 5
• 기술적인 문제로 한자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것이 불가능
• 한자의 대용으로 중국의 전신 부호계를 사용하여 변환하고 데이터화
• 연구의 최종 결과물은 2001년 『Wagner&宋 CD-ROM 補註 朝鮮文科榜目』로 간행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한자 대용으로 중국의 전신 부호계 사용 한자 변환 후의 출력 데이터
7. 6
• 아르키메데스 팰림프세스트(Archimedes palimpsest) 프로젝트
• 기술을 통해 세상의 빛을 보게 된 아르키메데스 저서 『 방법(方法)』
• 1907년 덴마크의 문헌학자 하이베르그(John Ludvig Heibergm 1854-1928)는 중
세 기도서에 아르키메데스의 책이 담겨 있다는 내용을 논문으로 발표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팰림프세스트 : 중세 시대 아르키메데스의
책 내용 위에 라틴어로 기도서를 다시 씀
8. 7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 아르키메데스 팰림프세스트(Archimedes palimpsest) 프로젝트(2011)
ultraviolet, infrared, visible and raking light, and X-ray
9. 8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 생각해 보기
• 로베르토 부사 신부의 ‘Index Thomisticus’, 에드워드 와그너의 ‘문과 프로젝트‘,
‘조선왕조실록 데이터베이스’, ‘아르키메데스 팰림프세스트 프로젝트’를 통해 디
지털 기술이 인문학에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인가?
• 접근 가능성 확대
• 물리적 거리 제거
• 세속화
10. 9
• 디지털 기술로 밝혀 낸 나치 독일군의 행동과 심성에 대한 통찰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나치의 병사들 (평범했던 그들은 어떻게 괴물이 되었나)』(2012)
죙케 나이첼(Sönke Neitzel), 하랄트 벨처(Harald Welzer)
죙케 나이첼(1968~), 역사학자 하랄트 벨처(1958~), 사회 심리학자
11. 10
• 『나치의 병사들 (평범했던 그들은 어떻게 괴물이 되었나)』
•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비밀 기관은 독일 전쟁 포로를 수용하고 그들의 대화를 수년간
도청, 그 내용을 기록(약 2만 4000쪽)하고 1996년에 공개, 보관
• 미국 워싱턴에 있는 국립기록관리처(NARA: National Archives & Record Administration)
에서도 비슷한 자료를 발견, 영국 자료보다 많은 10만 쪽에 이름
• 엄청난 양의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해 팀을 조직
• 자료를 전산화하고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내용을 분석
• 토픽 클러스터 분석, 키워드 인덱싱, 검색 기능 등
• “That’s a fascinating example that illustrates the potential of digital technologies for
the Humanities.”(Katherine Hayles)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13. 12
‘융합’의 역사
‘융합’의 기원 : 이탈리아의 르네상스(Renaissance)
거대한 융합 문화의 현장 : 학문과 기술
간의 경계를 허물다
라파엘로
(Raffaello,
1483-1520)
미켈란젤로
(Michelangelo,
1475-1564)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
14. 13
‘융합’의 역사
• 다양성과 창의성이 넘쳐났던 르네상스
• 14세기부터 16세기까지 이탈리아 피렌체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르네상스는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렬한 창의의 기운이 분출했던 역동적인 시기
• 이질적 분야의 응용
• 다양한 분야와 영역을 넘나들며 통합적인 시각으로 접근
• 이질적 분야와 과감하게 맞닥뜨리면서 기존에 자신의 강점과 결합, 응용하여
여러 난관들을 해결하는데 활용
• 다양한 영역들이 서로 만나는 교차점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증가
17. 16
국내 대학 디지털인문학 전공(학과)
• 디지털인문학(Digital Humanities) 트랙
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전통적인 인문
학의 연구방법론을 보완하고 인간과 세
계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시도
• 특히 문학, 역사, 예술 세 분야를 중심으
로 인문 데이터베이스, 자연어처리, 통계
분석과 기계학습 등 새로운 방법론을 적
용하여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인문학 연
구를 선도
https://www.youtube.com/watch?v=6vm-Cafj544
18. 17
국내 대학 디지털인문학 전공
• 디지털 인문학/리터러시 분야의 융합형 인
재 양성
• 디지털인문학리터러시 연계전공
-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컴퓨팅
또는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에 있
는 학문 영역
-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학 연구에서 디지털
자원을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뿐만 아
니라, 이 분야에서 어떤 응용이 필요하고 가
능한지에 대한 탐구와 분석 또한 포함
- 영어영문학, 철학, 역사문화학과 같은 학문
으로 대표되는 인문학과 데이터 처리, 분석
및 인공지능 활용으로 대표되는 소프트웨어
분야가 융합
- https://ywyongei.yonsei.ac.kr/yongei/process/digital_h
umanities_literacy.do
20. 19
디지털 인문학의 개념
• 디지털 인문학의 초기 개념
• 인문학 전산화(Humanities Computing)
• 전산 인문학(Computational Humanities)
• 인문학 자료를 전산화 또는 디지털화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Project Gutenberg)(https://www.gutenberg.org/)
21. 20
디지털 인문학의 개념
• 구글 북스 라이브러리 프로젝트(Google Books Library Project)
• 도서관과의 제휴를 통해 도서관 소장 자료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검색, 열람할 수 있게
만든 프로젝트(2004)
• 단순한 빅데이터가 아닌 롱데이터
• 문명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초상화를 제공
• 인류 역사를 연구하는 관찰 도구
• 60여개 이상의 도서관이 참여, 40여 개 언어로 된 3천 만권 이상의 책을 서비스
• 한국에서는 연세대학교가 처음으로 참여(2018)
22. 21
디지털 인문학의 개념
• 구글 북스 라이브러리 프로젝트(Google Books Library Project)
• Google Ngram Viewer
• 디지털화된 도서들을 분석하여 특정 단어나 표현 등이 시대별, 연대별로 어떻게 변화
하는지를 시각화
• https://books.google.com/ngrams/
• 각자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여 시대별 키워드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기
23. 22
• 구글 북스 라이브러리 프로젝트(Google Books Library Project)
• 컬처로믹스( Culturomics)
• 책 속의 단어를 각각 인식해서 그 빈도수와 변천사를 추적
• 언어와 문화,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 문명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초상화를 제공
• 예를 들어 ‘신(god)’이라는 단어의 시대별 빈도 변화를 아래 그림과 같이 제시
디지털 인문학의 개념
25. 24
• 디지털 인문학의 초기 개념
• 인문 정보학(Cultural Informatics)
• 인문 지식에 적용될 수 있는 정보화 기술에 대한 연구
• 인문학적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지식 정보 자원으로 전환하고 그 자
원을 활용하여 2차적인 지식을 생산
• 인문학의 연구생산성을 향상
• 인문학적 성과의 사회적 확산을 용이
디지털 인문학의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