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3
• 용어의 변화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인문학 전산화(Humanities
Computing) or
전산 인문학(Computational
Humanities)
디지털 인문학
(Digital Humanities)
• 2006년 미국 인문학재단에서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
• 2008년 인문학재단의 정규 사업단의 하나로 편제되면서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문학 연구’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자리잡음
6. 5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 디지털 인문학의 초기 개념
• 인문학 자료를 전산화 또는 디지털화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Project Gutenberg)(https://www.gutenberg.org/)
• https://www.youtube.com/watch?v=bk6eGHPZyQU
7. 6
• 한국 구텐베르크 프로젝트(http://projectgutenberg.kr/)
8. 7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 구글 북스 라이브러리 프로젝트(Google Books Library Project)
• 도서관과의 제휴를 통해 도서관 소장 자료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검색, 열람할 수 있게
만든 프로젝트(2004)
• 단순한 빅데이터가 아닌 롱데이터
• 60여개 이상의 도서관이 참여, 40여 개 언어로 된 3천 만권 이상의 책을 서비스
• 한국에서는 연세대학교가 처음으로 참여(2018)
https://www.youtube.com/watch?v=q37SkWCHKtw
9. 8
• 구글 북스 라이브러리 저작권 소송
• 작가협회와 대형 출판사 5곳은 구글을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손해배상 소송 제기(2005)
• 재판 결과는…
구글
‘정보와 지식의 민주화’
‘공정한 이용’을 위한 것
작가와 출판사
복제와 가공은 원작 훼손
10. 9
• 구글 북스 라이브러리 저작권 소송 결과
• 법원은 1심(2013)과 2심(2015) 모두 구글의 손을 들어 줌
• 법원의 판단의 근거는 무엇이었을까?
• 원작의 저작권을 훼손하지 않고 오히려 가치를 더해주는 역할을 했다고 판단
• 더 많은 독자들이 보다 쉽게 책에 접근하게 되면서 책 판매에 도움을 주었다고 판단
• 구글이 스캔한 문서가 주로 역사서와 같은 비소설과 연구자료
• 여러분들은 법원의 판단에 동의하는가?
11. 10
• 디지털 인문학의 개념
• 인문학적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자원으로 전환하고 그 자원을 활용하여
2차적인 지식을 생산
• 인문학의 연구생산성을 향상
• 인문학적 성과의 사회적 확산을 용이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13. 12
• Concordance
• Index
• 전체 텍스트에서 어떤 단어가 어디에 어떻게 등장하는가?
• Bible Concordance
• Shakespeare Concordance
• Thomas Aquinas Concordance
• More than 10 million Latin==?How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14. 13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 구글의 Google Ngram Viewer
• 디지털화된 도서들을 분석하여 특정 단어나 표현 등이 시대별, 연대별로 어떻
게 변화하는지를 시각화
• https://books.google.com/ngrams/
• 각자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여 시대별 키워드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기
15. 14
• 구글 북스 라이브러리 프로젝트(Google Books Library Project)
• 컬처로믹스( Culturomics)
• 책 속의 단어를 각각 인식해서 그 빈도수와 변천사를 추적
• 언어와 문화,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 문명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초상화를 제공
• 예를 들어 ‘신(god)’이라는 단어의 시대별 빈도 변화를 아래 그림과 같
이 제시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16. 15
장 바티스트 미셸
(Jean-Baptiste Michel)
에레즈 에이든
(Erez Lieberman Aiden)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Google Ngram Viewer 개발자
https://www.ted.com/talks/jean_baptiste_michel_erez_liebe
rman_aiden_what_we_learned_from_5_million_books?subtit
le=ko
17. 16
• 교육부의 ‘제2차 인문학 진흥계획’ 주요내용(2021)
• 향후 5년간 실행
• “인문학 중심 융합연구에 도전하고, 디지털 인문학 2.0을 실현”
• 기존의 과학기술 중심 융복합 연구와 차별화되는 인문학 중심의 융복합 연구
우수사례를 적극 발굴하고, 인문학 중심 융합연구 거점 마련을 위한 연구소
지원사업을 신규 추진
• 인문학 학술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는 분야별․기관별 데이터베이스(DB) 연계를
위한 운영체제(플랫폼) 구축을 추진하며, 인문학 분야 오픈액세스의 순차적 확
대를 검토하여 인문학 학술데이터의 공유․연계․확산을 통한 학술활동 활성화
를 유도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18. 17
• 국내 디지털 인문학의 효시로 평가 받는 「 조선왕조실록 」 CD-ROM 편찬(1992-1995)
• 「 조선왕조실록 」 데이터베이스
• 「 조선왕조실록 」 은 조선시대 500여년 동안 일어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제분야의 사
건과 그것에 대한 당대 지식인들의 논의를 상세하게 기록한 광범위한 지식 자원
• 드라마, 영화 등 창작 소재 자원
• 한문 원본은 총 1893권, 국역본은 413권(권당 320-340 페이지)
• 역사학자, 컴퓨터 공학자 등 400여 명 제작 참여
• 연대 목차 등 다양한 색인
• 검색 기능 제공
• 국내 인문학 연구 환경 변화를 실감
• 국내 인문 자원의 디지털화 선도 모델로 평가
• https://sillok.history.go.kr/main/main.do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19. 18
• 조선왕조실록 CD-ROM 편찬
• “조선왕조실록 CD-ROM 사업은 대한민국 인문학 정보화의 효시이자 가장 커다란 파급
효과를 가져다 준 획기적인 사업이었다. 현재의 디지털 인문학은 이 국역 조선왕조실록
CD-ROM의 제작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조선왕조실록의 디지털화는 조선시대 역사에 대한 지식을 소수의 전공자 뿐 아니라, 가
깝게는 인접 학문의 종사자에서부터 더 넓게는 작가, 언론인, 일반인까지 우리의 역사에
대한 지식 수요자들에게 폭넓게 제공하는 데 기여하였다. 「디지털 조선왕조실록」의 최
대 수혜자는 교양서적 저술가와 TV 방송 프로그램 제작자, 연극 극작가 등이었다. ‘학술’
과 ‘창작’ 사이에 놓였던 ‘지식 소통의 장벽’이 해소된 것이다. 이것을 통해 문화콘텐츠
산업종사자들이 학자들을 통한 ‘인적 매개’ 없이 창작의 소재에 바로 접근할 수 있게 되
었고, 풍부한 소재를 자유롭고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게 되었다.
• “e-실록은 역사학자의 실록 독점시대에 종지부를 찍었다.”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21. 20
디지털 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 「 삼일운동 」 데이터베이스 사이트 예시
• https://db.history.go.kr/samil/home/common/infographic_list.do
22. 21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Digital Humanities Manifesto)
•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 발표(미국)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 3.0(2009)
내용 및 이미지 추가하여 4개 국어 버전으로 온라인에 전파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 2.0(2009)
디지털 인문학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 1.0(2008)
스탠포드 대학교의 Jeffrey Schnapp와 UCLA의 Todd Presner가 작성
23. 22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Digital Humanities Manifesto)
• 선언문 제작 및 발표
• UCLA에서 개최된 9차례의 멜론 세미나(Mellon Seminar)를 통해 만들어져 ‘Digital
Humanities Manifesto’라는 이름으로 발표
• 선언문 작성은 UCLA 의 Todd Presner와 Stanford 대학교의 Jeffrey Schnapp
Todd Presner Jeffrey Schnapp
24. 23
•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의 주요 내용
• 디지털 인문학 발전 과정을 1차와 2차로 구분
• 1980-90년대 인문학자 주도의 연구에서 컴퓨터 기술이 인문학 연구에 보조적 역할
을 담당(1차)
•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문학 연구에서 컴퓨터 기술이 단순한 보조적 위치에서 벗
어나 핵심 연구 방법으로 대두(2차)
• “1차 디지털인문학이 데이터베이스 검색, 코퍼스언어학 및 하이퍼 카드 등을 이용한
양적 연구 중심이었던 반면, 2차 디지털인문학에서는 질적.해석적.경험적.감성적.생
성적 연구가 주를 이루 며, 복잡성.매체적 특성.역사적 배경.분석적 깊이.비평 및 해석
등을 중시하는 인문학 연구를 지원 할 수 있는 디지털도구를 연구에 적용한다. 그러
나 이러한 이분법적 접근은 질적 연구에서 양적 분석을 배제하지 않는 것처럼 양적
분석에서 감정적 잠재성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새로운 연구 모델과 새로운
도구 및 기술의 결합을 추구한다.”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 2.0(Digital Humanities Manifesto)의 주요 내용
25. 24
•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의 주요 내용
• 디지털은 오픈 소스의 영역
• 지식과 아이디어의 자유로운 공유 극대화
• “디지털은 오픈 소스, 오픈 리소스의 영역이다. 이 영역을 폐쇄시키고자 하는 것은
어떤 것이든 ’적(the enemy)’로 간주되어야 한다.”
• 디지털은 풍부함(copiousness)을 중시
• 혼합(remixing)과 개방과 참여를 중시
• “디지털인문학은 인문 지식의 다목적 다중적 채널을 의미하며, 다른 채널에 배타적
이지 않다. 그 경제성은 희소성이 아니라 풍부함에 기반을 두고 있다. 즉, 오리지널보
다는 ‘복제’를 훨씬 더 가치 있게 여긴다.”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 2.0(Digital Humanities Manifesto)의 주요 내용
26. 25
•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의 주요 내용
• 디지털 인문학은 생성인문학(generative humanities)
• 통합과 생성
• 전문 영역들 간의 협력과 창조를 중시
• “디지털인문학=빅 인문학=생성 인문학. ... 디지털인문학은 전문지식의 영역을 넘어
더욱더 큰 그림을 그리는 통합과 생성 활동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문화, 르네상스
인문주의, 또는 보편적 지식능력의 출현에 대한 것이 아니다. 이와 반대로 디지털인
문학은 전문지식 영역들 간의 협력과 창조를 장려한다.”
• 디지털 인문학은 공동창조(co-creation)
• 협력을 통한 공동연구(collaborative research)
• “빅 인문학 프로젝트의 복잡성으로 인해 팀워크, 팀 내 역할, 그리고 “생산” 표준이
인문과학에서 디지털적 전환(digital turn)을 보여주는 세부적 특징이다.”
디지털 인문학 선언문 2.0(Digital Humanities Manifesto)의 주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