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교회란 ? 고전 1 : 2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거룩하여 지고 성도라 부르심을 입고 각 처에서 우리의 주 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부르는 모든 자 . 그리스도인의 공동체 건물 , 장소 ( x )
4. 교회란 ? “ 교회는 결코 장소 (Place) 가 아니라 항상 사람 (People) 이며 결코 양의 우리 (Fold) 가 아니라 양 (Flock) 자체이고 , 또 결코 거룩한 건물이 아니라 언제나 기도하는 모임인 것이다 . 기도하는 사람 바로 당신이 교회이지 , 당신이 기도하는 그 장소가 교회는 아니다 .” - 새포도주는 새부대에 , 하워드 스나이더
5. 마태복음 16 장 16. 시몬 베드로가 대답하여 가로되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 17.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바요나 시몬아 네가 복이 있도다 이를 네게 알게 한 이는 혈육이 아니요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시니라 18. 또 내가 네게 이르노니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 19. 내가 천국 열쇠 를 네게 주리니 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요 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리라 하시고 마태복음 18 장 18.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무엇이든지 너희가 땅에서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요 무엇이든지 땅에서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리라 19. 진실로 다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에 두 사람이 땅에서 합심하여 무엇이든지 구하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저희를 위하여 이루게 하시리라 20. 두세 사람 이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그들 중에 있느니라 1) 교회의 최소단위 ? 2) 교회의 기초 ? 3) 교회의 권세 ? 4) 교회의 시작 ??
6. 성경 , 신학적 관점에서의 교회 태생적 선교 공동체로서의 교회 다윗의 장막으로서의 교회
7. 복음의 이중구조 보내는 선교사 복음의 이중 구조 Local Church 가는 선교사 Para Church 에클레시아 디아스포라
8. 한국교회사 ? 1) 선교사에게 자국 교회사 파악의 중요성 ① 선교지에서의 교회는 이후 교회의 원형 ② 교회사로부터 선교지의 문제들을 대처하는 지혜 얻음 ③ 자국의 교회사를 아는 것이 기본적인 의무 2) 한국 교회사를 보는 사관의 변천 선교사관 / 민족 교회 사관 / 민중교회사관 3) 한국교회 부흥의 독특함
9. 프로테스탄트 전래 이전의 역사 프로테스탄트 전래 以前의 역사 - 당나라를 통해 신라시대 경교 ( 네스토리우스파 ) 의 전래 - 카톨릭의 전파 : 고니시 유키나가와 세스페데스 (1594-1800) - 카톨릭의 수난 : 신유박해 (1801), 기해박해 (1839), 병인박해 (1866)
10. 한국기독교의 출발 1. 유럽 기독교인의 전래 1) 밸트브레 (1627) 와 하멜 (1653) 일행 표류 2) 바실 홀과 맥스웰의 내항 (1816) 2. 선교개척자들의 한국인 접근 1) 귀츨라프 목사 (1832, 네덜란드 ) : 서해안 전도 2) 토마스 목사 (1866, 영국 ) : 대동강 순교 , 박춘권 3) 로스 , 맥킨타이어 (1873, 스코 ) : 고려문 전도 , 한글성경번역
12. 귀츨라프의 기도 “ 조선에 뿌린 하나님의 진리가 없어질 것인가 ? 나는 그렇게 믿지 않는다 . 조선 백성을 은혜롭게 방문할 하나님의 원대한 계획이 있을 것이다… 성서에는 하나님께서 이 보잘 것 없는 시초까지도 축복하신다고 확실하게 기록되어 있다 . 나는 조선에 곧 먼동이 터 좋은 시대가 오기를 바란다 .” - 귀츨라프의 ‘조선서해안항해기’ 중
13. 두번째 파종자 , 토마스 선교사 조선을 품게 되기까지… 제 1 차 황해도 해안 전도 1865 년 9 월 ~ 12 월 초 병인박해 1866 년 제너럴셔먼호
14. 로스와 매킨타이어 1874 로스의 고려문 여행 1876 두번째 고려문 여행 ( 강화도조약 후 ) 1877 백홍준 , 이응찬 등의 도움으로 한국선교사를 위한 한국어 교재 Corean Primer 를 발간 1878 요한복음과 마가복음 번역 1879 한국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백홍준 , 이응찬 , 이성하 , 김진기 세례 1880 4 복음서와 사도행전 완역 1881 예수셩교문답 1882 우리나라 최초 한글성경 번역 '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 ' 1883 서상륜 세례 , 서울전도 1884-85 한인촌 100 명 세례 1887 신약전서 1887 새문안교회 조직 참석 1890 마펫 , 게일 봉천 방문 로스 역 요한복음 1 장
15. 로스의 편지 " 4 명의 한국인이 세례를 받았다 . 비록 현재 한국이 서구의 나라들과 어떠한 접촉도 철저 하게 격리시키고 있지만 , 그 쇄국은 곧 무너질 것이고 , 또한 한국인들은 중국인보다 천성적으로 꾸밈이 없는 민족이고 보다 종교적인 성향 을 지니고 있으므로 , 나는 그들에게 기독교가 전파되면 곧 바로 급속하게 퍼져나갈 것으로 기대한다 . 여기 기독교의 본질과 교리를 탐구하는 4 명의 수세자와 11 명의 다른 사람들이 있고 , 현재 동일한 수의 사람들이 한국 민족을 위해 성경과 기독교문학을 준비하는 우리의 문서사업을 위해서 7 - 8 일이 걸리는 우리 선교본부까지 기꺼이 올 것으로 기대된다 . 그러므로 바로 여기에 기독교회를 향해 열려있는 새 민족 , 새 나라 , 새 언어가 있는 것이다 .”
16. 한국 최초의 소래 교회 1884 년 6 월 29 일 황해도 장연에 세워진 한국 최초의 교회 한국교회 초기의 자발적 전도자요 , 권서인이었던 의주 출신 서상륜과 서경조 등 그의 가족들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비롯되었다 . 이는 세계 선교사상 유래가 없는 자발적 자전에 의한 복음의 토착 , 수용사 였다 . 곧 선교사 입국 이전에 한국에는 이미 교회가 세워진 것이다 .
17. 1882 년 신사유림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건너간 이수정은 그곳에서 기독교인으로 개종하여 세례를을 받았으며 성서번역과 선교사 초빙 및 유학생교회 설립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 사진은 1883 년 5 월 개최된 일본 전국기독교대친목회에 참석한 이수정 ( 가운데 한복입은 이 ) 의 모습을 모여주고 있다 . 이수정의 개종
18. 이수정의 성서 : 이수정이 일본에서 한문 성서에 이두토를 달아 펴낸 < 신약 성서 마가전 >(1884) 이다 . 이수정은 이 외에도 마태 . 누가 . 요한복음 및 사도행 전을 같은 식으로 펴냈으며 한글성서로 < 신약마가전 복음서언희 > 를 냈다 이수정 역 마가복음
19. 최초의 견미사절단 : 1882 년 한미수호조약의 체결로 비로소 기독교선교의 길이 열리게 된 셈이다 . 1883 년 민영익 ( 앞줄 중앙 ) 을 단장으로 한 견미사절단이 미국을 방문하는 동안 미감리회의 가우쳐와 만나게 되어 한국선교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 견미사절단
20. 1885 년 4 월 5 일 함께 내한한 두 선교사는 한국 개척교회의 개척자였으며 절친한 동역자였다 . 아펜젤러와 언더우드
24. 한국 기독교인의 발생과 예배집회 백홍준 외 4 명 세례 : 최초의 한국 프로테스탄트 (1876) 2) 서상륜 , 황해도 소래교회 개척 (1885) 3) 이수정의 성경번역과 선교사 요청 (1882)
25. 한국 교회의 형성과 부흥 1. 개국과 미국 선교사의 내한 1) 의료 , 교육 사업의 전개 : 알렌 / 헤론 / 언더우드 / 아펜젤라 / 스크랜턴 / 데이비드 / 홀 2) 네비우스 선교 정책의 수립 (1890) : 자력전도 , 자치제도 , 자급운영 3) 조직교회의 출현 : 장로교 ( 남 , 북미 , 캐나다 , 호주 )/ 감리교 / 성결교 / 구세군 .. 2. 성령강림과 교회의 일대 부흥 1) 민족적 자각에 따른 신자의 증가 (1890: 150 명 , 1895: 500 명 , 1900: 7690 명 ) 2) 애국 인사들의 기독교인 속출 3) 한국 최초의 대부흥 운동 : 1907 년 평양 장대현 교회
26. 언더우드의 묘 호레스 언더우드 , 원두우 (1859-1916). 1885 년 부활절에 아펜젤러 부부와 함께 한국에 온 최초의 장로교 선교사이다 . 뉴욕대학과 Dutch Reformed Seminary 에서 공부하고 , 타자기제조회사 기업가였던 재벌인 형 John T. Underwood 의 재정적인 도움으로 1915 년 현재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를 설립했다 . 또한 새문안 교회 , 경신고등학교를 서립했으며 성경번역 , 출판 , 한영사전 편집 , 의료사업에 헌신했다 . 1916 년 미국 뉴저지에서 사망하여 안치되었으나 그 유해가 1999 년 5 월 20 일 양화진에 이장되었다 . 옆에 이는 묘와 뒤으로 있는 묘는 언더우드 일가의 묘이다 .
28. 선교사님들의 묘비 글 "The son of God loved me and gave himself for me - 하나님의 아들이 나를 사랑하시고 나를 위하여 자신을 주셨다 " - J. W. 헤론 . < 양화진에 최초로 매장된 선교사 > "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습니다 " - A. R. 아펜젤러 . " 항상 기뻐하라 , 쉬지 말고 기도하라 , 범사에 감사하라 " - J. D. 언더우드 . "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히기보다 한국에 묻히기를 원하노라 " - H. B. 헐버트 . " 주님 . 길고 먼 여행을 끝내고 이제 나는 안식을 얻었습니다 " - 테일러 . "If I had a thousand lives to give, Korea should have them all - 나에게 천의 생명이 주어진다 해도 , 그 모두를 한국에 바치리라 . - R. 켄드릭 . " 친구를 위해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에서 더 큰 사랑이 없느니라 " - A. K. 젠슨 . 묘비에는 선교사님들의 신앙고백이 새겨져 있습니다 . 한쪽 구석에는 아빠 엄마를 따라왔다가 어떠한 사연에서인지 ... 잠들어 있는 어린 선교사들의 묘도 있었습니다 . 이분들이 자기의 십자가를 지고 , 주님의 손이 되고 , 발이 되고 , 입이 되었기에 ..... 그리고 이 땅에서 피를 흘렸기에 우리가 주님을 믿게 되었음을 깊이 감사드립니다 .
29. 한국 교회의 발전과 확대 1. 교회와 연관성 1) 105 인 사건 2) 3.1 운동 2. 일제 탄압과 교회의 진흥 1) 일제의 종교정책 : 일본 조합교회 2) 전국교회 진흥운동 : 길선주 , 김익두 , 비더울프 목사 , 전도단 3) 성경 , 찬송가 발간
30. 한국 교회의 고난과 수난 1.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와 박해 : 교육기관 폐쇄 및 선교사추방 : 2 백여 교회 폐문 , 2 천 여명 투옥 , 50 여명 순교 : 1938.9.9. 서문밖교회 27 회 총회 ( 신사참배 결정 ) 2. 신사 불참배 운동의 궐기 파급 1) 주기철 , 박관준 , 손양원 등 투쟁 2) 한국 교회 명칭 박탈 (1945.8.1) : 일본 기독교 조선 교단
31. 한국 교회의 재건과 분열 1. 8.15 해방과 교회의 재건 1) 북한과 남한 분리 2) 남한에서의 교회 수습과 안정 2. 6.25 : 공산당에 의한 교회 수난 - 순교 및 목회자 북한 이송 - 교회당 파괴
32. 한국 교회의 재건과 분열 3. 장로 교회의 분열 1) 출옥 성도와의 갈등 : 고신과 장로교회 2) 자유주의 신학 사상의 대두 : 장로와 기장 3) 복음동지협회와 에큐메니칼 논쟁 : 합동과 통합 4. 감리교회 분열 1) 재건총회와 부흥 총회의 대립 2) 호헌 주장으로 불협
33. 민족복음화를 위한 협력 1. 문서운동 전개 1) 성경국역 출판 2) 찬송가 출판과 보급 2. 특수분야에서 일치된 활동 : 산업 / 군종 / 경목 / 의료 / 학원 등 3. 전국 복음화 운동 1) 초교파 부흥집회의 성행 2) 오천만 민족을 그리스도에게로 ..
34. 한국 기독교 현황 1. 사회 통계 조사 보고서 (2003) 불교 (47%), 개신교 (36.8%), 천주교 (13.7%) 개신교 : 약 1000 만 명 2. 17 대 국회의원 (2004)- 총 299 명 : 불교 34 명 , 개신교 103 명 , 천주교 70 명 , 무교 91 명 3. 교단 분파 : 장로교 80 여 개 교단 , 군소 교단 약 200 개 4. 선교현황 : 선교사 15,000 명 , 선교단체 163 개 , 대상국 164 개 : 선교사 파송 - 세계 2 위
35. 한국 근대사의 중심에 선 기독교 - 민족을 구한 기독정신 1) 반봉건 개혁 2) 외세에 대한 저항 주도 3) 민족해방정신 주축 - 한국교회를 인도하신 하나님의 섭리 1) 경건주의적 , 복음주의적 절대신앙 2) 선교지향적 특성 3) 수난의 역사
36. 한국 교회의 과제와 전망 하나되는 한국교회 토착화 작업 애국 , 애족의 기독교로 순교 교회로서의 사명 수행 백 투 예루살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