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광고모델에 대한 뒤늦은 후회 언론사 웹사이트는 돈먹는 하마라는 점 자각 시작 영향력 (Traffic)----> 광고 수익 증가로 연결될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의 붕괴 " 언제가 온라인 광고가 오프라인 광고 감소분을 상쇄할 것이라는 믿음은 집단 정신착란증이었다 " -Rob Grimshaw/FT Online Directer 의 자탄
8. 포털에 대한 생각의 변화 구글 / 네이버와 같은 대형 사이트가 온라인 광고 시장 독점 심화 특정 사이트의 광고시장 독점 현상 심화 투자비도 못건지는 언론사 웹사이트의 악순환 ( 빈익빈 부익부 현상 심화 ) Frenemy-- 포털에 대한 생각의 변화 포털이 Friend 가 아니라 Enemy 라는 점 자각 Martin Sorrel WPP 회장의 Frenemy 발언
10. 콘텐츠 유료화로의 선회 탈 광고 모델인 유료 구독 또는 콘텐츠 유료 판매 모델 재검토 시작 News Corp 의 전략 전환 FT, WSJ 등 유료화 선구자 모델 전격 벤치마킹 시작 온라인 콘텐츠 유료화모델은 과거에 실패했던 모델 NYT,2007 에 시도했다가 트래픽저화 ( 광고수익감소 ) 로 인해 철회했던 모델 FT/WSJ 등 Top 경제매체 이외는 성공하지 못한 모델이었음 .
18. Apple Shock- 미디어에 대한 영향 실감형 미디어 시대 개막 실감형 디지털 미디어 디지털의 장점 + 아나로그 /Tangible 장점 인간과 교감하는 미디어 뇌파 / 홍체 / 손동작 등으로 움직이는 미디어 전통 양식 계승 / 신문의 편집 양식 가치 상승 오감 활용 사례 스마트폰 터치 스크린 기술 , 인기 3D 영화의 재발견 전자잉크 (e-ink) 기술 인기
19. Apple Shock- 미디어에 대한 영향 미디어 플랫폼 특성에 맞는 콘텐츠 수요 형성 스마트폰 이동중 자투리 시간활용 콘텐츠 사례 : 속보 태블릿 터치감을 갖고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크기 확대 Relax 형 콘텐츠 - 잡지 , 책 e-reader( 전자북단말기 ) 읽기 문화 친화적 콘텐츠 지식 / 공부 / 토론용 콘텐츠
20. Apple Shock- 미디어에 대한 영향 콘텐츠 유료 판매 가능성 열림 Wired 아이패드용 1 개월 9 만 6000 부 판매 ( 오프라인 잡지는 8 만부 판매 )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충 가능성 적을 수 있음 . 유료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전환 가능성
21. 지역 언론사를 위한 제언 미디어 자산에 대한 종합 재점검 --Media Asset Management 어떤 콘텐츠가 경쟁력을 갖고 있는가 ? 경쟁력 있는 콘텐츠는 어떤 점이 부족한가 ? 어떻게 패키징할 것인가 ?--Digital Packaging Tech 얼마를 받을 것인가 ?---Pricing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