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erm 3 Survival of LGU+LGU+의 전략 검증 및 장/단기 회생전략방안Team 3TM : 남지원김건호박정아박한국서동준오정영
2. I N D E X자사 소개1LGU+ 분석 및 문제제기2345현재 LGU+ 문제이동통신 산업 분석통신산업현황 및 주요 이슈이동통신 기술 동향경쟁자 분석LGU+ 목표 타당성 검증시장 매력도 분석전략적 과제Infrastructure고객확보 방안향후 전략 수립구체적 Process 제안
4. 1) Appendix 1 참조자사소개2010년 7월 LGT, LG데이콤, LG파워콤3사가 통합되어 LGU+가 출범하였고, CDMA 무선통신과 my070 유선 통신망 구축을 통하여 저렴한 가격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VISIONPersonal Value Provider고객에게 꼭 맞는 ‘스마트 서비스’로 진정한 고객가치 창출영업현황수익구조주요 서비스영업매출구조무선통신 수익구조1. 결합상품 현재 이통사 시장에서 3위
9. 2010년 LGT, LG 데이콤, LG 파워콤 통합하여 LGU+ 출범무선기본료가계통신비 최대 50% 절감
10. 모바일+070전화+TV+인터넷 결합 옵션 중 선택 가능070 인터넷망 구축을 중심으로 모바일FMC, IPTV, 인터넷서비스 가능50.5%58%TPS발신통화2. Smart phone인터넷 망-CDMA 전용 단말기 제공14%27.3%데이터전화기타19%9.4%9%
11. 현재 LGU+ 문제현재 LGU+ 매출의 약 60%을 차지하고 있는 무선통신 수익 상황이 악화되고,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현재 3위 업체인 LGU+는 새로운 수익 창출 동력을 찾아야 하는 상황임이동통신 시장 포화기존 수익모델 악화단말기 호환성 문제1111112G3G1. 음성통화 수익률 감소49,773,145명48,978,126명- Skype 등의 mVoIP서비스들로 인한 음성통화 수익률 저하
12. FMC 와 같은 가격 할인 정책으로 음성통화 수익률 저하SKTSKTKTKT2. 결합 서비스 가격 할인 정책으로 수익률 감소다양한 결합상품으로 경쟁사와 가격경쟁력으로 승부해야 하는 상황임LGT총 인구 수가입자 수경쟁사들의 공격적인 smart-phone 라인업에 비해 LGU+는 CDMA 호환성 문제로 경쟁력 있는 단말기 제공에 한계가 있음
13. 같은 계열사의 LG전자가 스마트폰에서 난항을 겪고 있음3.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로 수익 감소 국내 총 인구수에 거의 다다른 가입자 수 시장 포화 상태신규 가입자의 대다수는 2대 폰을 사용하는 고객임
14. SKT에서 시작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로 인해 현재 LGU+도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실시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 필요!
16. 통신산업 현황국내 통신산업 분야 중 이동통신의 비중이 약 70%로 가장 두드러지며, SK, KT, LG 순으로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통신산업이동전화, 초고속인터넷, 인터넷전화, IPTV, 유선전화 등의 사업을 포함하는 산업서비스별 매출액 추이시장점유율 현황 (이통사 가입자수 기준)18%51%31%(2010, 현재)서비스 별 매출액 비중이 정체되어 있음
20. LG는 2위인 KT보다 2배, 1위인 SK보다 3배 가량 열세통신산업 주요이슈현재 통신산업의 가장 큰 이슈인 스마트폰, 유무선통합, 4G기술의 도래등의 요인들로 인해 향후 다양한 신규 산업 창출이 전망됨123Smart Phone 분야의 성장유무선 통합(FMC)4G 기술의 도래12 Point text: Level 0LevelLevel2Level 312 Poi12 Point text: Level 0Level 1\\\Level 2Level 3음성뿐만 아니라 데이터 망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증대
21. 통신사가 아닌 단말 제조사에서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휴대폰 선택기준에서 통신가 보다 단말기의 중요성이 더욱 커짐
28.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통해 고용량 데이터가 요구되는 서비스 제공 가능기대효과기대효과기대효과
29. 이동통신 기술 동향SKT, KT가 3G 업그레이드 버전인 HSDPA,HSUPA으로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운데 LGT는 2G 업그레이드 버전인 Revision.A 기술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3사 모두 2012년 경 4G로 불리는 LTE 망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예정임.산업 구조WCDMACDMALTEHSDPA/HSUPASKTSKTSKTSKTFMSKTKTKTKTFMCRevision.ALTE.ALGU+LGTLGU+FMC현재 2G를 제공하는 LGU+에게는 3G 대비 기술적 한계가 있으나, LTE 기술 상용화에서는 그러한 한계 사라짐
30. 이동통신 산업 경쟁사 분석(1/2)산업의 KSF를 바탕으로 자사를 타사와 분석해 보았을 때무선망, 유선망 인프라를 전반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음KSF 대비 경쟁자와의 역량 비교통신사기술력인프라차별화된 서비스요약/정리신규서비스들을 출시하지만 다른 기업들에서 도 동일서비스 제공하면서 특별히 차별화된 서비스는 없음
43. 경쟁력 있는 요금제와 새로운 서비스의 지속적 보급 Ex) Yo요금제, U+box Cloud Computing 기술기반서비스 상용화 (U+BOX)
44. ACN의 확장을 통해 타사에 비해 부족했던 인프라 강화 노력이동통신 산업 경쟁사 분석(2/2)고객의 KBF를 바탕으로 자사를 타사와 분석해 보았을 때자사는 가격경쟁력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KBF 대비 경쟁자와의 역량 비교통신사제품/서비스요금제브랜드 이미지요약/정리이동통신에서의 브랜드 파워 NO.1
55.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소비자 유인을 도모C h a p t e r #3LGU+ 목표 타당성 검증Cloud Computing 시장 매력도 및 KSF 도출
56. 현재 LGU+의 대응목표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자사는 LTE 상용화를 기점으로 한 단계적 시장 고객확보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Cloud computing 서비스 제공을 통한 장기적 시장 선도를 목표로 설정한 상태임LTE 상용화 이전 (2012년 하반기)LTE 상용화 이후-탈통신 전략 인프라 구축-유무선 네트워크 통합화, LTE(Long Term Evolution) 및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등-070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통한 무선인터넷 AP 확장 설비-모바일 오피스 B2B 시장에서의 시장 지배력 확보-4G / 스마트 기술 기반의 클라우드 시장 진출-탈통신으로의 완전한 전환 -B2C/B2B 시장에서의 가입자수 및 시장지배력 확보LTE network를 기반으로 한 ‘탈통신’ 서비스 제공Cloud Computing장기적인 시장선도 및 고객층 선점
57. Cloud computing 개요Cloud Computing은 향후 IT 시장을 선도할 기술로서 그 중 Mobile Cloud Computing은 이동통신사들에게 매우 다양한 사업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됨Cloud Computing 개념국내 Cloud Computing 시장 성장전망$ 1,203M$ 956M주요 소프트웨어나 각종 데이터를 PC가 아닌 중앙서버(클라우드)에 저장해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으로 접속해 사용하는 기술$ 749M$ 569M서비스 형태에 따른25%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27%PrivatePublic31%PaaSPlatform as a Service정부 차원의 Cloud Computing 활성화 종합계획(‘09. 12)2014년까지 6146억원 투입,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을 2조5000억원 규모로 키울 계획이다기업들의 IT비용 획기적 절감 가능.기업들의 IT자원 가동률은 평균 10% 내외.SaaSSoftware as a Service28%34%30%배치방식에 따른 분류2010201120122013기업 내부의 인프라, 솔루션 제공Private컨텐츠 자동 동기화, 저장/관리 서비스Public
58. Mobile Cloud 시장 매력도 평가Mobile Cloud Computing은 mobile device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최근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시장임Mobile Cloud Computing 개념Mobile Cloud Computing 시장의 성장11정의시장 성장성$95BMobile device와 무선 인프라를 통해 기업, 개인에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CAGR : 88%Cloud Computing Services$4BPrivatePublic20092014<Worldwid Mobile cloud computing market overview,>Junifer Research, 2010.2Mobile Cloud성장동인특성Multi-mobile Device 이용자 증가2014년 내로 모바일을 통해 웹에 접속하는 사람들이PC로 접속하는 사람보다 많아질 것(Morgan Stanley, ’09.12)저사양 단말기로도 app 사용이 가능하여 Mass 시장공략 가능
63. 모든 무선 Device에서 이용가능Source: “모바일 클라우드, 모바일의 미래가 될 것인가?”, 노규범, KT경제경영연구소.2010.7
64. 전략적 과제와 내부 역량 비교신속한 고객선점Mobile cloud computing 사업에서는 양질의 서비스 공급 능력과 신속한 고객선점이 가장 중요한 전략적 과제이나 고객선점에 대한 구체적 보완 전략이 필요함고객 구분
65. C h a p t e r #4향후 전략 수립장기 목표 수립을 위한 전략 검토 및 재수립
66. Infrastructure 전략Mobile Cloudin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역량 중, 자사 내부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부분을 중소기업 및 LG CNS 와 전략적 제휴를 맺어 해결하는 방향으로 현재 해결 중임LG CNSLG U+Mobile Cloud Center 설립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경쟁력 확보 전략중견중소기업(SBM)시장에최적화된 cloud 서비스 개발 및 전략적 파트너십Smart SME(Small & Medium Enterprises) 서비스- cloud service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중소기업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Microsoft와의전략적 제휴- 중소기업 전용 SaaS 플랫폼개발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 제공윈도우폰 기반의 모바일 오피스 활성화
67. SaaS 플랫폼과 비즈니스 모델 해외 수출 - 10개 산업별 최적화 솔루션 추가 개발상암동 Mobile Cloud Center (MCC, 2010.4 설립)
76. 모바일 사업을 위한 공동 마케팅 추진LTE 이전 고객 확보 전략 – B2C 스마트폰스마트폰 시장 현황마케팅 전략주요 타깃 고객 군 선정한국ID 스마트폰 사용자 예측전체 휴대폰 시장에서 스마트폰의 점유율이 빠른속도로 확산됨에 따라 주력해야하는 시장이나 기술적인 제약으로 마케팅에 힘써야 함.스마트폰 가입자 비중기술중시(단위: %)40AB24.83.6CD삼성 Gallaxy U‘10(E)‘14(E)‘09스마트폰에 역량을 쏟고 있다는 이미지 각인 필요
77. 4G 통신망 개통시 성공적인 고객 전환을 위한 가입자수 유지 전략 필요가격중시고객 확보 전략이벤트성 휴대폰을 한정적으로 판매하여 LG의 스마트폰에 구매를 자극하는 프리미엄 이미지 부여
78. 통신사 변경 시 타사에서 쌓은 마일리지와 동일한 가치의 마일리지 제공으로 타 통신사의 Lock-in 효과낮춤
81. ‘10 4Q 3개의 모델 추가출시피쳐폰의 진화 (스마트 피쳐폰)마케팅 전략LTE 이전 고객 확보 전략 – B2C 피쳐폰피쳐폰의 꾸준한 진화로 스마트폰과 피쳐폰간의 성능 차이가 줄어들었고 2012년 까지도 피쳐폰의 점유율은 상당수준 있을 것임.주요 타깃 고객 군 선정기술중시ABCD가격중시고객 확보 전략대상타깃 –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통신사 변경 시 타사에서 쌓은 마일리지와 동일한 가치의 마일리지 제공
84. 어플리케이션의 확장성을 제외하면 기능의 차이가 크지 않음고객 확보 전략 – B2B새롭게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오피스 시장확보를 통해 향후 B2B내클라우드 시장에서 B2B에서의 선점우위를 누릴수 있을 것임모바일 오피스 시장LTE 도입 전후의 전략방향유/무선 시장의 포화상태를 탈피할 수 있는 신영역 (2010년 기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세)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반드시 공략
85. B2C 대비 높은 ARPU(가입자당 평균 매출액) (모바일오피스54,000 vs. 일반 이동통신 31,886)상반기 기준 도입기를 막 넘어선 시점내후년까지 높은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
87.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대Saas방식의 서비스를 통한 기업 공통 솔루션 제공(세무/회계(ERP), CRM, 인사/노무 관리 등)기업용 통신/보안 서비스를 위한 IT 인프라 제공MS와의 유클라우드서비스의 활용기존 기업 IDC, 웹하드기업고객군에유클라우드 서비스를 전달탈통신 관련 단기 프로젝트LTE, 클라우드 인프라 조기 구축기업용 AP 확장증설2012년 까지 초고속 유무선방 구축기업시장에서의 가입자 확보를 통해 4년 내 전체 매출 10조원 달성스마트 기반 클라우드 시장 선점LTE이후의 스마트기술은 클라우드 네트워크 기술과 밀접한 관련
88. 클라우드 네트워크와 기업 솔루션간의 컨버전스 화 (통신+기업사업, 기업 인프라, 기업 솔루션 등)Saas플랫폼 기술에 있어 다양한 파트너 군의 확보
89. 모바일 오피스 시장에서 확보한 기업고객군의 유지C h a p t e r #5Process 제안 및 결론
90. 향후 LTE 도입 이후의 탈통신 서비스를 위한 역량 확충과 주요 고객군 선점을 단기적 목표로 하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Cloud Network Service 시장 선점을 장기적 목표로 제안함내부 역량 확충초반 4G고객 선점Cloud Network Service시장 선점LGU+ 전략 추진 프로세스 제안 및 결론준비된 역량과 선점된 고객을 기반으로 새로운 Cloud Network Service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감
96. 외부환경 분석정치적 환경사회 문화적 환경2G(CDMA)3G(WCDMA) Smart-life 지향 -최근 각광받고 있는 스마트폰 을 이용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젊은층 대거 형성 -젊은 세대 이외에도 스마트폰 사용 욕구가 있는 청소년층 및 노년층 세대가 증가하고 있음 SKTSKTKTKT산업 간 Convergence 심화 - 첨단 통신 기술의 발달들로 인해 다양한 산업들이 서로 융합된 형태로 진화하고 있음 - 금융+통신, 의료+통신, 교육+통신 등의 산업 융화가 다방면에서 발생LGTCDMA 기술에서 IMT2000 을 통한 WCDMA 기술로의 전환 과정에서 LGT는 사업성 검토에 부적합 판정을 받아 정부의 허가를 받지 못함 => 유일한 CDMA 사업자다양한 device들의 상용화 - 개인이 다양한 첨단 device들을 다수 소지하게 됨 (휴대폰, 데스크탑, 넷북, 노트북, mp3 등)정부 정책이 큰 영향력이 있음Smart, multi-device, Convergence가주요 Trend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