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4 Open Data Barometer
2014년 ODB 한국 현황 분석
박진호 (주식회사 리스트 기술연구소, jino.kor@li-st.com |
jino.kor@gmail.com)
1. ODB
• ODB(Open Data Barometer)
– World Wide Web Foundation, ODI(Open Data Initiative), Open Data
Research Network가 공동으로 수행한 전 세계 오픈 데이터 현황 분석
– 다양하고 권위있는 기관들의 참여로 인해 현재까지 개방형 데이터 관련 보고서
중 가장 높은 공신력을 갖고 있으며, 현황 조사를 위해 기존의 5 Star Open
Data,
Web Index 등 다양한 사례들의 지표를 참조하고 있음
• 발표 현황
– 2013년 6월: 1차 보고서 발표 한국 12위 평가
– 2015년 1월: 2차 보고서 발표 한국 17위 평가(5위 하락)
1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2. 평가 척도 및 방법
• ODB가 적용하고 있는 개방형 데이터 지표는 준비성(Readiness),
실행전략(Implementation), 영향력(Emerging impact)임
2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척도 평가대상 세부요소 연구방법
준비성
국가(정부)가 개방형 데이터 구현
을 위해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토대를 얼마나 견고하게 구축했는
지를 평가함
• 정부의 의지와 기술적 역
량
• 기업의 역할과 역량
• 시민의 정치적 자유와 권
리
전문가(동료평가) 평가
후 실 데이터 조사
실행력
정부가 혁신, 신뢰성, 사회정책 개
선을 위해 얼마나 다양한 데이터
를 공개하고 있는지를 평가함
• 데이터셋의 신뢰성
• 데이터 셋의 혁신성
• 데이터셋의 사회정책성
데이터셋 평가
영향력
개방형 데이터가 정치, 사회, 환경,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
키는지를 평가함
• 정치: 투명성, 신뢰성, 효
율성
• 경제 : 기업에 대한 지원
(기존 기업 및 신생기업)
• 사회 : 환경 영향력, 사회
소외계층 수용도
전문가(동료평가) 평가
2. 평가 척도 및 방법(2)
3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평가방법 상세내용
전문가(동료평
가)
•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방 데이터 관련 다양한 질문을 제시하고 10점 척도로 평가
• 모든 점수는 Z-Score로 정규화
실행력
• 전문가 평가, double-blind review, 기술전문가 검증
• 15개 데이터에 대한 10개 체크리스트로 주로 데이터 활용가능성, 형태, 라이선스,
적시성 등을 평가함(10점 척도 평가)
• 각 질문에 대해서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출처를 링크할 수 있도록 함
영향력
• 전문가 평가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신뢰성 높은 기관의 데이터를 보조적으로
활용함
• Web Index가 활용하고 있는 주요 데이터 출처를 활용함(UN, Freedom House
등)
• 평가방법 별 상세내용
2. 평가 척도 및 방법(3)
4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척도별 평가방법과 조사내용(1)
척도 구분 연구방법
준비성
정부
전문가조
사
• 해당 국가는 충분한 자원지원을 받는 개방형 데이터 이니셔티브
가 수행되고 있는가?
• 지방 정부 등이 자체적으로 개방형 데이터 이니셔티브를 어느 정
도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가?
2차 데이
터
• World Economic Forum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보
고서
기업
전문가조
사
• 개방형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개인이나 기업에 제공되고 있는
교육은 어느정도인가?
• 정부가 개방형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문화를 위해 직접 자원하
는(공모전 개최, 보조금 지원 등) 수준은 어느정도인가?
2차 데이
터
• World Economic Forum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참조
• 인구 100명당 인터넷 사용자(World Bank 지표)
시민
전문가조
사
• 국가의 정보권리법이 얼마나 제 기능을 하고 있는가?
• 국가의 데이터 보호법이 얼마나 제 기능을 하고 있는가?
• 시민(사회단체)과 정보전문가들의 개방형 데이터와 관련한 정부
참여는 어느정도인가?
2차데이터
• Freedom House Political Freedoms and Civil Liberties
Index(정치적 자유와 시민 자유 지표) 참조
2. 평가 척도 및 방법(3)
5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척도별 평가방법과 조사내용(2)
척도 구분 연구방법
실행력
전문가 설문(답변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
빙자료 첨부)
• 데이터셋 평가를 위한 질문
① 데이터셋이 존재하는가?
② 형태에 상관없이 정부 데이터를 온라인상에 이용가능한가?
③ 기계가독형 데이터셋을 제공하는가?
④ 기계가독형 데이터셋을 벌크형태로 다운로드 가능한가?
⑤ 제공 데이터셋은 무료로 이용가능한가?
⑥ 데이터셋은 개방형 라이선스를 갖고 있는가?
⑦ 데이터셋은 최신성을 유지하고 있는가?
⑧ 개방된 데이터셋은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가?
⑨ 데이터셋 탐색은 용이한가?
⑩ 데이터셋의 중요 요소(개체)에 URI를 부여하고 있는가?
실행력 하위요소 평
가를 해 활용한 데이
터 범주
• 혁신성 :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데이터
- 지도, 대중교통 시간표, 범죄통계, 국제무역
• 신뢰성 : 정부, 기업에 책임 부여
- 법률, 선거결과, 상세 국가예산, 상세 정부 지출, 기업 등기부
• 사회정책성 : 사회 정책 비판 및 권리강화
- 보건, 초중등교육, 국가환경통계, 인구, 토지소유
2. 평가 척도 및 방법(3)
6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척도별 평가방법과 조사내용(3)
척도 구분 연구방법
영향력
전문가 설문(답
변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빙자
료 첨부)
• 데이터셋 평가를 위한 질문
① 개방형 데이터가 정부의 효과성, 효율성 증대에 현저한 영향을 주었
는가?
② 개방형 데이터는 국가의 투명성, 신뢰성 강화에 현저한 영향을 주었
는가?
③ 개방형 데이터가 국가의 환경 지속가능성에 현저한 영향을 주었는
가?
④ 개방형 데이터는 정책 입안, 정부 서비스 접근에 있어서 소외계층
을 포용력 증대에 현저한 영향을 주었는가?
⑤ 개방형 데이터는 국가 경제에 현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가?
⑥ 사업가들은 개방형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공적으로 신규 사업 창출
을 하였는가?
3. 한국 평가 결과
7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보라색이 2014년 평가결과이며, 청색 2013년 평가결과임
실행력 평가를 위한 15개 데이터셋
3. 한국 평가 결과(2)
8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2013년과 비교 시
– 전체 점수는 54.21에서 57.65로 3.44로 소폭 상승
– 전체 등수는 12위에서 17로 5계단 하락
3. 한국 평가 결과(3)
9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구분 등수(Rank) 점수
준비성
(Readiness)
실행력
(Implementation)
영향력
(Impact)
2013 12 54.21 77 55 25
2014 17 57.65 79 54 48
• 2013년과 비교 시
– 영향력면에서 점수 상승이 전체 점수 상승의 원인이 됨
3. 한국 평가 결과(4)
10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2013년과 비교 시 준비성은
– 정부의 준비성이 84에서 65로 19점 큰 폭 하락
– 시민(단체)의 준비성은 65에서 84로 19점 큰 폭 상승
– 기업의 준비성은 76에서 83으로 7점 상승
– 준비성부분의 등수는 12위에서 18로 6계단 하락하였으면 가장 큰 원인은 정부
의
준비성 부분 부족
구분 등수(Rank) 준비성 정부 시민단체 기업
2013 12 77 84 65 76
2014 18 79 65 84 83
• 해당 국가는 충분한 자원지원을 받는 개방형 데이터 이니셔티브가 수행되
고 있는가?
• 지방 정부 등이 자체적으로 개방형 데이터 이니셔티브를 어느 정도 활발
히 운영하고 있는가?
3. 한국 평가 결과(4)
11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2013년과 비교 시 실행력은 모든 부분에 걸쳐 하락세를 보임
– 실행력은 정부가 혁신, 신뢰성, 사회정책 개선을 위해 얼마나 다양한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는지를 평가함
– 혁신성 :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데이터(지도, 대중교통 시간표, 범죄통
계,
국제무역)
– 신뢰성 : 정부, 기업에 책임 부여(법률, 선거결과, 상세 국가예산, 상세 정부 지
출,
기업 등기부)
– 사회정책성 : 사회 정책 비판 및 권리강화(보건, 초중등교육, 국가환경통계, 인
구,
토지소유)
구분 등수(Rank) 실행력 데이터셋의 혁신성
데이터셋의 사회정책
성
데이터셋의 신뢰성
2013 12 55 84 65 76
2014 16 54 45 57 56
3. 한국 평가 결과(5)
12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2013년과 비교 시 영향력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임
– 영향력은 개방형 데이터가 정치, 사회, 환경,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
키는지를 평가하는 것임
구분 영향력 정치 사회 경제
2013 25 33 7 31
2014 48 59 17 46
4. 시사점
• 2013년 대비 순위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은 정부의 준비성 부족, 다양한 데
이터셋의 개방 부족(실행력)임
• 정부의 준비성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 개방형 데이터 추진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보다 강화해야하며,
– 지자체 등 또한 자체적으로 현재보다 적극적인 역할 수행을 해야함
• 또한 핵심 데이터셋인
– 지도, 대중교통 시간표, 범죄통계, 국제무역, 법률, 선거결과, 국가예산, 기업등
기부,
보건, 초중등교육, 국가환경통계, 인구, 토지소유 등의 데이터 개방을 확대해야
함
• Open Data Research Network은 ODB 결과 발표 후
– 많은 나라의 정부가 데이터 개방을 약속했으나 이행하지 않았음을 지적하고 특
히, 90% 이상의 국가가 부패 방지와 정부 서비스 개선을 위해 필수적인 정보들
을 공개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고 정부가 데이터 개방을 위해 보다 많은 노력을
해야함을 주장함
[출처: http://www.opendataresearch.org/content/2015/760/open-
data-barometer-highlights-need-governments-increase-open-data-
efforts]
13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More Related Content

DOCX
Evaluación freddy soto
DOCX
Reforma del 65
PPTX
Presentacion ppt blog cas
PDF
Peptide synthesis services
ODP
Imágenes y palabras
DOCX
Segunda praxis
PDF
Karma cream.mckenna
DOCX
Segunda praxis
Evaluación freddy soto
Reforma del 65
Presentacion ppt blog cas
Peptide synthesis services
Imágenes y palabras
Segunda praxis
Karma cream.mckenna
Segunda praxis

Viewers also liked (16)

DOCX
Segunda praxis
PDF
PPTX
Instagram
PPTX
Mataram Kuno
PPTX
Disneyland Orlando
PDF
Internet
PPTX
Presentacion
PDF
Reset: celebrando la riabilitazione
PPS
PPTX
Competencia de resolución de problemas
PPSX
Literatura martin adan
PPT
Drel 2012 las siete estrategias cognitivas del buen lector
DOCX
Marco teorico-brasil 2
PPT
Presesociologia juridica
PPTX
تركيب المكونات
Segunda praxis
Instagram
Mataram Kuno
Disneyland Orlando
Internet
Presentacion
Reset: celebrando la riabilitazione
Competencia de resolución de problemas
Literatura martin adan
Drel 2012 las siete estrategias cognitivas del buen lector
Marco teorico-brasil 2
Presesociologia juridica
تركيب المكونات
Ad

Similar to 2014 odb 한국현황 (20)

PDF
공공데이터, 현재 우리는?
PDF
미국 기업의 오픈데이터 활용사례와 비즈니스 네트워크 분석 : “데이터와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PPTX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2 2
PPTX
웹보메트릭스02 2
PDF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PDF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PDF
공공 데이터와 인포그래픽스를 활용한 문화관광기획
PPTX
집단지성에서 시민행동의 플랫폼으로
PDF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PDF
Customized Big Data Report 소개(minds lab) v1.0_full
PPTX
지방정부 공무원의 정부3.0 수용인식과 함의
PDF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6 5(전략, 솔루션). 뉴스젤리 social innovation with data
PPTX
4. 공공자원활용전략(28 p)
PDF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PPTX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PPTX
공공정보의 개방활용의 필요성과 역할
PDF
교육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 분석
PPTX
2014 트렌드에 따른 기업 소셜미디어SNS 활용 전략
PDF
데이터기반행정 추진 방향
PDF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공공데이터, 현재 우리는?
미국 기업의 오픈데이터 활용사례와 비즈니스 네트워크 분석 : “데이터와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2 2
웹보메트릭스02 2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공공 데이터와 인포그래픽스를 활용한 문화관광기획
집단지성에서 시민행동의 플랫폼으로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Customized Big Data Report 소개(minds lab) v1.0_full
지방정부 공무원의 정부3.0 수용인식과 함의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6 5(전략, 솔루션). 뉴스젤리 social innovation with data
4. 공공자원활용전략(28 p)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공공정보의 개방활용의 필요성과 역할
교육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 분석
2014 트렌드에 따른 기업 소셜미디어SNS 활용 전략
데이터기반행정 추진 방향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Ad

More from Hansung University (20)

PDF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PDF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PDF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PDF
RDF 해설서
PDF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PDF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PDF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PDF
Linked Open Data
PDF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PDF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PDF
digital archiving
PDF
library linked data
PDF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PPTX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PDF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PDF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PPTX
PDF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PPTX
링크드 데이터 사례
PPTX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RDF 해설서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Linked Open Data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digital archiving
library linked data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링크드 데이터 사례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2014 odb 한국현황

  • 1. 2014 Open Data Barometer 2014년 ODB 한국 현황 분석 박진호 (주식회사 리스트 기술연구소, jino.kor@li-st.com | jino.kor@gmail.com)
  • 2. 1. ODB • ODB(Open Data Barometer) – World Wide Web Foundation, ODI(Open Data Initiative), Open Data Research Network가 공동으로 수행한 전 세계 오픈 데이터 현황 분석 – 다양하고 권위있는 기관들의 참여로 인해 현재까지 개방형 데이터 관련 보고서 중 가장 높은 공신력을 갖고 있으며, 현황 조사를 위해 기존의 5 Star Open Data, Web Index 등 다양한 사례들의 지표를 참조하고 있음 • 발표 현황 – 2013년 6월: 1차 보고서 발표 한국 12위 평가 – 2015년 1월: 2차 보고서 발표 한국 17위 평가(5위 하락) 1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3. 2. 평가 척도 및 방법 • ODB가 적용하고 있는 개방형 데이터 지표는 준비성(Readiness), 실행전략(Implementation), 영향력(Emerging impact)임 2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척도 평가대상 세부요소 연구방법 준비성 국가(정부)가 개방형 데이터 구현 을 위해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토대를 얼마나 견고하게 구축했는 지를 평가함 • 정부의 의지와 기술적 역 량 • 기업의 역할과 역량 • 시민의 정치적 자유와 권 리 전문가(동료평가) 평가 후 실 데이터 조사 실행력 정부가 혁신, 신뢰성, 사회정책 개 선을 위해 얼마나 다양한 데이터 를 공개하고 있는지를 평가함 • 데이터셋의 신뢰성 • 데이터 셋의 혁신성 • 데이터셋의 사회정책성 데이터셋 평가 영향력 개방형 데이터가 정치, 사회, 환경,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 키는지를 평가함 • 정치: 투명성, 신뢰성, 효 율성 • 경제 : 기업에 대한 지원 (기존 기업 및 신생기업) • 사회 : 환경 영향력, 사회 소외계층 수용도 전문가(동료평가) 평가
  • 4. 2. 평가 척도 및 방법(2) 3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평가방법 상세내용 전문가(동료평 가) •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방 데이터 관련 다양한 질문을 제시하고 10점 척도로 평가 • 모든 점수는 Z-Score로 정규화 실행력 • 전문가 평가, double-blind review, 기술전문가 검증 • 15개 데이터에 대한 10개 체크리스트로 주로 데이터 활용가능성, 형태, 라이선스, 적시성 등을 평가함(10점 척도 평가) • 각 질문에 대해서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출처를 링크할 수 있도록 함 영향력 • 전문가 평가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신뢰성 높은 기관의 데이터를 보조적으로 활용함 • Web Index가 활용하고 있는 주요 데이터 출처를 활용함(UN, Freedom House 등) • 평가방법 별 상세내용
  • 5. 2. 평가 척도 및 방법(3) 4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척도별 평가방법과 조사내용(1) 척도 구분 연구방법 준비성 정부 전문가조 사 • 해당 국가는 충분한 자원지원을 받는 개방형 데이터 이니셔티브 가 수행되고 있는가? • 지방 정부 등이 자체적으로 개방형 데이터 이니셔티브를 어느 정 도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가? 2차 데이 터 • World Economic Forum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보 고서 기업 전문가조 사 • 개방형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개인이나 기업에 제공되고 있는 교육은 어느정도인가? • 정부가 개방형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문화를 위해 직접 자원하 는(공모전 개최, 보조금 지원 등) 수준은 어느정도인가? 2차 데이 터 • World Economic Forum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참조 • 인구 100명당 인터넷 사용자(World Bank 지표) 시민 전문가조 사 • 국가의 정보권리법이 얼마나 제 기능을 하고 있는가? • 국가의 데이터 보호법이 얼마나 제 기능을 하고 있는가? • 시민(사회단체)과 정보전문가들의 개방형 데이터와 관련한 정부 참여는 어느정도인가? 2차데이터 • Freedom House Political Freedoms and Civil Liberties Index(정치적 자유와 시민 자유 지표) 참조
  • 6. 2. 평가 척도 및 방법(3) 5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척도별 평가방법과 조사내용(2) 척도 구분 연구방법 실행력 전문가 설문(답변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 빙자료 첨부) • 데이터셋 평가를 위한 질문 ① 데이터셋이 존재하는가? ② 형태에 상관없이 정부 데이터를 온라인상에 이용가능한가? ③ 기계가독형 데이터셋을 제공하는가? ④ 기계가독형 데이터셋을 벌크형태로 다운로드 가능한가? ⑤ 제공 데이터셋은 무료로 이용가능한가? ⑥ 데이터셋은 개방형 라이선스를 갖고 있는가? ⑦ 데이터셋은 최신성을 유지하고 있는가? ⑧ 개방된 데이터셋은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가? ⑨ 데이터셋 탐색은 용이한가? ⑩ 데이터셋의 중요 요소(개체)에 URI를 부여하고 있는가? 실행력 하위요소 평 가를 해 활용한 데이 터 범주 • 혁신성 :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데이터 - 지도, 대중교통 시간표, 범죄통계, 국제무역 • 신뢰성 : 정부, 기업에 책임 부여 - 법률, 선거결과, 상세 국가예산, 상세 정부 지출, 기업 등기부 • 사회정책성 : 사회 정책 비판 및 권리강화 - 보건, 초중등교육, 국가환경통계, 인구, 토지소유
  • 7. 2. 평가 척도 및 방법(3) 6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척도별 평가방법과 조사내용(3) 척도 구분 연구방법 영향력 전문가 설문(답 변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빙자 료 첨부) • 데이터셋 평가를 위한 질문 ① 개방형 데이터가 정부의 효과성, 효율성 증대에 현저한 영향을 주었 는가? ② 개방형 데이터는 국가의 투명성, 신뢰성 강화에 현저한 영향을 주었 는가? ③ 개방형 데이터가 국가의 환경 지속가능성에 현저한 영향을 주었는 가? ④ 개방형 데이터는 정책 입안, 정부 서비스 접근에 있어서 소외계층 을 포용력 증대에 현저한 영향을 주었는가? ⑤ 개방형 데이터는 국가 경제에 현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가? ⑥ 사업가들은 개방형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공적으로 신규 사업 창출 을 하였는가?
  • 8. 3. 한국 평가 결과 7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보라색이 2014년 평가결과이며, 청색 2013년 평가결과임 실행력 평가를 위한 15개 데이터셋
  • 9. 3. 한국 평가 결과(2) 8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2013년과 비교 시 – 전체 점수는 54.21에서 57.65로 3.44로 소폭 상승 – 전체 등수는 12위에서 17로 5계단 하락
  • 10. 3. 한국 평가 결과(3) 9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구분 등수(Rank) 점수 준비성 (Readiness) 실행력 (Implementation) 영향력 (Impact) 2013 12 54.21 77 55 25 2014 17 57.65 79 54 48 • 2013년과 비교 시 – 영향력면에서 점수 상승이 전체 점수 상승의 원인이 됨
  • 11. 3. 한국 평가 결과(4) 10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2013년과 비교 시 준비성은 – 정부의 준비성이 84에서 65로 19점 큰 폭 하락 – 시민(단체)의 준비성은 65에서 84로 19점 큰 폭 상승 – 기업의 준비성은 76에서 83으로 7점 상승 – 준비성부분의 등수는 12위에서 18로 6계단 하락하였으면 가장 큰 원인은 정부 의 준비성 부분 부족 구분 등수(Rank) 준비성 정부 시민단체 기업 2013 12 77 84 65 76 2014 18 79 65 84 83 • 해당 국가는 충분한 자원지원을 받는 개방형 데이터 이니셔티브가 수행되 고 있는가? • 지방 정부 등이 자체적으로 개방형 데이터 이니셔티브를 어느 정도 활발 히 운영하고 있는가?
  • 12. 3. 한국 평가 결과(4) 11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2013년과 비교 시 실행력은 모든 부분에 걸쳐 하락세를 보임 – 실행력은 정부가 혁신, 신뢰성, 사회정책 개선을 위해 얼마나 다양한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는지를 평가함 – 혁신성 :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데이터(지도, 대중교통 시간표, 범죄통 계, 국제무역) – 신뢰성 : 정부, 기업에 책임 부여(법률, 선거결과, 상세 국가예산, 상세 정부 지 출, 기업 등기부) – 사회정책성 : 사회 정책 비판 및 권리강화(보건, 초중등교육, 국가환경통계, 인 구, 토지소유) 구분 등수(Rank) 실행력 데이터셋의 혁신성 데이터셋의 사회정책 성 데이터셋의 신뢰성 2013 12 55 84 65 76 2014 16 54 45 57 56
  • 13. 3. 한국 평가 결과(5) 12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 • 2013년과 비교 시 영향력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임 – 영향력은 개방형 데이터가 정치, 사회, 환경,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 키는지를 평가하는 것임 구분 영향력 정치 사회 경제 2013 25 33 7 31 2014 48 59 17 46
  • 14. 4. 시사점 • 2013년 대비 순위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은 정부의 준비성 부족, 다양한 데 이터셋의 개방 부족(실행력)임 • 정부의 준비성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 개방형 데이터 추진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보다 강화해야하며, – 지자체 등 또한 자체적으로 현재보다 적극적인 역할 수행을 해야함 • 또한 핵심 데이터셋인 – 지도, 대중교통 시간표, 범죄통계, 국제무역, 법률, 선거결과, 국가예산, 기업등 기부, 보건, 초중등교육, 국가환경통계, 인구, 토지소유 등의 데이터 개방을 확대해야 함 • Open Data Research Network은 ODB 결과 발표 후 – 많은 나라의 정부가 데이터 개방을 약속했으나 이행하지 않았음을 지적하고 특 히, 90% 이상의 국가가 부패 방지와 정부 서비스 개선을 위해 필수적인 정보들 을 공개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고 정부가 데이터 개방을 위해 보다 많은 노력을 해야함을 주장함 [출처: http://www.opendataresearch.org/content/2015/760/open- data-barometer-highlights-need-governments-increase-open-data- efforts] 13주식회사 리스트 | Linked Data & Semanitc Web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