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5. 10. 22. 박진호(jino.kor@listinc.kr, jino.kor@gmail.com)
도서관LinkedOpenData의필요성
도서관LOD발행과활용이주는의미는무엇인가?
제52회 도서관 대회 워크숍
도서관과 링크드 오픈 데이터(LOD)
2
크고
어려운
개념
쉽게
이해
하기
정보자원을 참고하거나 대출 등을 할 수 있는 곳으로 물리적
공간, 가상 공간 모두에 존재하고 책, 신문, 비디오테이프,
CD, DVD, 블루레이, 문서, 마이크로 필름, 데이터베이스
등을 자원으로 함.
세상 지식 정보자원의 중심 = 도서관
도서관 자료를 활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내는 공간.
세상에 존재하는 책이 한 권이었다면,
세상에 책을 읽기는 원하는 사람이 단 한 사람이었다면,
세상에 도서관이 단 한 곳이었다면,
세상에는
너무 많은 형태의 정보
너무 많고 다양한 사람들
너무 많은 도서관
그리고
누구나 차별없이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함.
이렇게 많은 책(정보)과 사람들을 잘
이어주는 방법.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항상 얼굴 맞대고 소통할 수는 없습니다.
책만 보고 있을 수도 없고.
사서와 정보,
정보와 이용자가 서로 이해할 수 있는
공통 소통 방식.
엄격한 규칙이 존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고,
정확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방식.
많아질 수록
공간도 부족하고, 시간도 부족하고,
사람도 부족하고, 느리고..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컴퓨터 기계가 처리할 수 있는 형식
으로.
거의 정보는 웹에 있는 세상.
구글에 없으면 세상에 없는 정보라고
생각합니다.
정보는 웹에서 만들어지고,
유통되고, 더 풍부해지고,
소멸됩니다.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현재의 웹은 HTML 문서들이 HTTP
프로토콜을 활용해서 서로 연결
(Hyperlink) 된 거대한 문서 집합.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조금 다른 시각으로 보면.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26
Semantic Web Linked Open Data
시맨틱 웹은 현재 웹이 확장된 형태로, 잘 정의된 의미를 정보에 부여함
으로써 사람과 컴퓨터의 협업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Berners-Lee, T. 2001).
27
Linked Open Data Semantic Web
• 만약, 웹에 표현되어 있는 정보들이 담겨있는 데이터베이스(구조화된 데이터)를
웹에서 활용할 수 있다면 즉, 웹을 모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
스처럼 만든다면 사람이 읽고 이해하는 정보를 기계(컴퓨터)가 자동으로 처리
하는 것이 가능함.
28
지금도 불편한 게 없는데,
웹(인터넷)에 뭘 또 만든다고?
뭐라고?
29
[이미지 출처: http://www.skirtcollective.com/11-types-of-digital-insurance-we-need/]
지금도
충분
하다.
30
Linked Open Data Semantic Web
• 만약, 웹에 표현되어 있는 정보들이 담겨있는 데이터베이스(구조화된 데이터)를
웹에서 활용할 수 있다면 즉, 웹을 모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
이스처럼 만든다면 사람이 읽고 이해하는 정보를 기계(컴퓨터)
가 자동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함.
31
Linked Open Data Semantic Web
• 현재의 문서 중심의 웹을 데이터 중심의 웹으로(Web of Data).
• 현재의 웹도 존재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층(data layer),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웹의 모습.
32
Linked Open Data
field value
구분 국립도서관
장서수 약 9,900,000권
운영기관 국립중앙도서관
운영방식 직접운영
개관 1945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http://www.nl.go.kr
사람이 보는 최종 형태(비구조) 기계가처리(비구조) 원천데이터(DBMS,구조적데이터)
원천데이터(DBMS,구조적데이터)
34
이런 구조화된
데이터들이
많아진다면?
field value
구분 국립도서관
장서수 약 9,900,000권
운영기관 국립중앙도서관
운영방식 직접운영
개관 1945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http://www.nl.go.kr
업무지시
35
국립도서관 현황 자료보고를 작성하시오.
연번 명칭 장서수 위치 국가
국립도서관 현황보고
업무지시
36
국립도서관 현황 자료보고를 작성하시오.
연번 명칭 장서수 위치 국가
국립도서관 현황보고
사람과 기계가 공유할 수 있다?
기계가 처리할 수 있는 형식으
로 데이터를 개방함으로써 자동
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길을 넓힘.
기계가 ‘사랑’을 이해하고 공유
할 수 있는 방법.
‘감정’이라는 특정 영역에서 ‘사랑’이라는 개념을
정의하고 비슷한 것, 다른 것 등을 상세히 기술하고
‘용도’를 명확하게 기계가 처리할 수 있도록 기술
하고 참조할 수 있도록 하면 됨.
도서관에는 이미 있다.
지금도 하고 있다.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42
문서가 포함
하는 수많은
개념들,
개념과 개념
간의 연결,
개념을 기술
하는 방식.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LinkedOpenData
44
데이터중심의새로운웹을“WebofData”
• LOD의플랫폼은웹이고현재웹의핵심개념과기술요소(Hypertext,HTML,HTTP,URI)를그대로사용함.
• LOD에서는잘정리된문서형의정보(document)를웹에발행하고활용하는대신,특정개념(예,사랑)이나개체에
대한구조화된정보를발행함.
• 이개념과관련된다른개념(예,사랑과관련된모성애,우정등)과연결하여데이터를좀더명확하게하게하고
풍부하게함.
• 문서가아닌데이터를표현하고연결하기위해서LOD에서는Hypertext,HTML대신데이터간의연결을위한새로운
표현방식과연결방식을활용하며,기계처리가가능하도록RDF로표현되는새로운정보표현방식을활용함.
도서관
데이터
공공 데이터이며,
기계가독형 데이터이며,
전거데이터 구축으로 식별성,
정합성 유지를 이해 노력해 온
기준 데이터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LOD 세상에서 도서관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이
자 다양한 데이터들이 자랄 수 있는 토대 데이터.
도서관에게 LOD는 내 데이터를 더욱 정확하고
풍성하게 할 수 있는 기회의 세상.
URI로 표현
가능한 메타
데이터.
URI로 표현
되는 값.
데이터, 개
념간의 연결.
이미 존재하는 동일 저작물,
저자, 개념 가져다 쓰기
W3C Library Linked
Data Incubator Group
52
대상 혜택
정보 접근자
(연구자, 학생,
이용자)
• 도서관과 외부 기관과의 정보자원 연결로 보다 풍부한 탐색 활동이
가능하게 함
• 이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이 지속적인 탐색활동이 가능하여 도서관의
콜렉션을 웹 상의 보다 큰 정보 세계로 연결해 줄 수 있음
• 웹에 구조화된 데이터가 추가되는 것으로 검색엔진 최적화(SEO)
를 통해 향상된 결과 제공이 가능함
• 다양한 분야의 지식베이스에 연결이 가능하여 학제 간 연구에 도움
을 줄 수 있음
53
대상 혜택
정보관리 조직
(도서관 등)
• 상향식 데이터 발행으로 자관의 정보자산을 기술하는 일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음
• 예산 문제로 상세한 수준의 데이터 기술이 부족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음
• 도서관이 관리시스템 등 주류 솔루션을 벗어나 데이터 연결이 가능
한 다수의 시스템 선택이 가능하고, 표준 연결데이터 활용으로 보다
다양한 개발자 그룹과 소통이 가능함
•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활용 접근을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독립형 시스템에 비해 비용대비 효과가 큼
• 작은 기관, 개인들이 적은 비용으로 가시적인 데이터 연결 효과를
볼 수 있음, 즉 공개된 데이터로 누군가 가치 있는 성과를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음.
54
대상 혜택
정보활동 주체
(사서, 기록담당자 등)
• 글로벌 공유 데이터를 통해 편목에서의 중복 노력을 줄이고, 자원
기술의 효율성, 재활용성을 증가시킴
• 타 지식분야의 잘 정리된 기술내용을 활용할 수 있어 사서 등 본인
의 전문분야에 대한 기술노력에 집중할 수 있음
• 구문, 형식이 아니라 데이터의 의미를 기술하는 것으로 향후 지속가
능한 체계로 데이터관리가 가능함
55
대상 혜택
관련 개발자(사)
• 도서관에 특화된 데이터에 집중할 필요가 없이, HTTP와 같은 웹 프
로토콜을 활용함으로써 일관된 방식의 데이터 검색과 결합이 가능
함
• LD 방식으로 도서관계를 벗어나 새로운 시장에 활용할 수 있으며,
RDF, HTTP를 활용함으로써 특정 소프트웨어 활용의 부담에서 벗
어날 수 있음
도서관 데이터를 LOD로 변환
하고 발행하는 것이 도서관의
몫인가?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이미지출처]
• https://www.flickr.com/photos/vpickering/8341485703
• https://libraryshenanigans.files.wordpress.com/2013/11/book1.jpg?w=300
• http://www.hassellinclusion.com/wp-content/themes/templegate/images/accessibility.jpg
• http://shop.onemilliontracts.com/images/rm-what-if-front.jpg
• http://www.city-data.com/forum/attachments/pets/98722d1343011037-how-many-animals-too-many-t1um6nxjtqxxxxxxxx_-72359069-0-pix.jpg
• https://www.flickr.com/photos/emdot/535440373/
• http://www.urdarov.com.au/files/uploaded/image/BLOG%20UA%20How%20Good%20are%20your%20communication%20skills%2027%20Jul%201
5.jpg
• https://www.flickr.com/photos/ohiouniversitylibraries/3513478201/
• http://godwhisperers.org/wp-content/uploads/2014/07/espn_funnies_05.jpg
• http://www.nysoclib.org/sites/default/files/what-card-catalog-tells-us.jpg
• http://blog.icpl.org/files/2015/10/catalog-card-4.gif
• https://www.flickr.com/photos/achimvoss/13644873305/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5/51/Dynix-Main-Menu-via-Telnet.jpg
• http://irsa.ipac.caltech.edu/IRASdocs/exp.sup/ch10/figs/figB1-1.gif
• http://www.evolutionoftheweb.com/old?hl=en
• https://www.flickr.com/photos/29320956@N03/5534343467
• https://www.flickr.com/photos/tsevis/4670557372
• https://www.flickr.com/photos/hoyvinmayvin/5341211724/
• https://www.iconfinder.com/icons/257555/domain_http_link_url_webpage_website_www_icon
• http://www.myoungheejo.com/wp-content/uploads/2014/02/hyperlink_logo.jpg
• http://www.decaldoctorz.com/shop/images/decals/funny-dont_need_google_got_wife.jpg
• http://www.culturescribe.com/wp-content/uploads/2014/08/traumgedanken-a-physical-hyperlink-book-by-maria-fischer-2.png
• http://www.changefactory.com.au/wp-content/uploads/2012/05/article-transformation-through-line-of-sight.jpg
• http://5stardata.info/ko/
• http://enterrasolutions.com/media/Computer-Human-interactions-clear.png
• http://lists.w3.org/Archives/Public/public-xg-emotion/2008Jan/att-0020/Emotion-Ont.jpg
• https://www.flickr.com/photos/blondinrikard/17335527468
• https://www.flickr.com/photos/astrid/20536723499/
• http://www.kuriel.co/wp-content/uploads/2015/03/1163743_important_letter1.jpg
• http://www.fastweb.com/uploads/article_photo/photo/356987/crop380w_istock_000003401233xsmall-question-marks.jpg
[이미지출처]
60
감사합니다.
주식회사리스트
150-040서울특별시영등포구버드나루로19길3양용빌딩9층
사업개발본부박진호
02-2632-5134|jino.kor@listinc.kr
Q&A

More Related Content

PPTX
LOD (linked open data) part 2 lod 구축과 현황
PDF
Linked Open Data Tutorial
PPTX
[오원석 Kswc2010]데이터의 가치를 높이는 linked data
PPTX
Linked Data 4 principles
PDF
LODAC 2017 Linked Open Data Workshop
PPTX
LOD(linked open data) part 1 lod 란 무엇인가
PDF
Linked Data의 RDF 어휘 이해하고 체험하기 - FOAF, SIOC, SKOS를 중심으로 -
PPTX
RDF 개념 및 구문 소개
LOD (linked open data) part 2 lod 구축과 현황
Linked Open Data Tutorial
[오원석 Kswc2010]데이터의 가치를 높이는 linked data
Linked Data 4 principles
LODAC 2017 Linked Open Data Workshop
LOD(linked open data) part 1 lod 란 무엇인가
Linked Data의 RDF 어휘 이해하고 체험하기 - FOAF, SIOC, SKOS를 중심으로 -
RDF 개념 및 구문 소개

What's hot (20)

PDF
RDF 해설서
PDF
SPARQL 사용법
PPT
CIDOC CRM Tutorial
PPTX
PPTX
RDF Data Model
PDF
검색엔진에 적용된 ChatGPT
PDF
Linked Open Data Principles, Technologies and Examples
PDF
Linked Open Data勉強会2020 前編:LODの基礎・作成・公開
PPTX
문화유산 정보와 시맨틱웹 응용
PDF
Preparing Data for Sharing: The FAIR Principles
PPT
RDF and OWL
PPTX
セマンティック・ウェブのためのRdf owl入門解説.ch5
PDF
LOD連続講義 第5回「LODの作り方・使い方」
PDF
SHACL Overview
PPTX
SPARQLによるLODの検索@第4回LODとオントロジー勉強会-
PPTX
Linked Data: principles and examples
PPT
Introduction To RDF and RDFS
PPTX
RDF data model
PDF
Linked Dataとオントロジーによるセマンティック技術の実際
PPTX
온톨로지 개념 및 표현언어
RDF 해설서
SPARQL 사용법
CIDOC CRM Tutorial
RDF Data Model
검색엔진에 적용된 ChatGPT
Linked Open Data Principles, Technologies and Examples
Linked Open Data勉強会2020 前編:LODの基礎・作成・公開
문화유산 정보와 시맨틱웹 응용
Preparing Data for Sharing: The FAIR Principles
RDF and OWL
セマンティック・ウェブのためのRdf owl入門解説.ch5
LOD連続講義 第5回「LODの作り方・使い方」
SHACL Overview
SPARQLによるLODの検索@第4回LODとオントロジー勉強会-
Linked Data: principles and examples
Introduction To RDF and RDFS
RDF data model
Linked Dataとオントロジーによるセマンティック技術の実際
온톨로지 개념 및 표현언어
Ad

Viewers also liked (8)

PDF
Linked Data in Healthcare and Life Sciences
PDF
Linked Data Technology and Status
PDF
Open Data and Linked Data
PPTX
링크드 데이터 사례
PDF
쉽게 이해하는 LOD
PDF
공공데이터와 Linked open data
PPTX
웹의 또 다른 모습,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Linked open data
PDF
LOD(Linked Open Data) Recommendations
Linked Data in Healthcare and Life Sciences
Linked Data Technology and Status
Open Data and Linked Data
링크드 데이터 사례
쉽게 이해하는 LOD
공공데이터와 Linked open data
웹의 또 다른 모습,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Linked open data
LOD(Linked Open Data) Recommendations
Ad

Similar to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20)

PDF
library linked data
PPTX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PDF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PPTX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PDF
Statistics and linked data
PDF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PDF
도서관과 링크드데이터[TQK]
PDF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PDF
공공데이터와 Linked open data
PDF
Linked Open Data
PPT
도서관에서의 Linked Data의 활용
PPTX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PPTX
LOD 구축현황 과 현황
PPT
LOD 해외 사례(미국,영국,독일,Etc)
PDF
Interlinking for Linked Data
PPTX
Kswc2012
PDF
대한민국, 잇다!
PPTX
Open Data Workshop
PDF
국내 공공데이터 플랫폼 현황과 발전방향
PPT
서울시 링크드 데이터 서비스 소개-Overview
library linked data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Statistics and linked data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도서관과 링크드데이터[TQK]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공공데이터와 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
도서관에서의 Linked Data의 활용
고려대 교육정보서비스 시스템 4-5주
LOD 구축현황 과 현황
LOD 해외 사례(미국,영국,독일,Etc)
Interlinking for Linked Data
Kswc2012
대한민국, 잇다!
Open Data Workshop
국내 공공데이터 플랫폼 현황과 발전방향
서울시 링크드 데이터 서비스 소개-Overview

More from Hansung University (20)

PDF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PDF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PDF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PDF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PDF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PPTX
2014 odb 한국현황
PDF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PDF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PDF
digital archiving
PPTX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PDF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PDF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PPTX
PPTX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PPTX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PPTX
Library linkeddata
PDF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PPTX
ISO Identifier and UCI
PDF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PDF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2014 odb 한국현황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digital archiving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Library linkeddata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ISO Identifier and UCI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