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년 녹색교통운동 정기총회
2021
전 회의록
.
Ⅰ
의결 안건
.
Ⅱ
임원의 위촉 및 해촉에 관한 건
1.
년 활동보고 감사보고
2. 2020 ·
년 결산보고 감사보고
3. 2020 ·
년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의 검토
4. 2021
기타안건
5.
폐회
.
Ⅲ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길 시민공간 나루 층
26 39 4
전화 팩스
: 02-744-4855 : (02) 744-4844
http://www.greentransport.org
- 2 -
I. 전 회의록
(1) 년 녹색교통운동 정기총회 회의록
2020
일 시 년 월 일 화요일 오후 시
2020 3 31 2
장 소 녹색교통운동 회의실
참석인원 조강래 이사장 송상석 사무처장 김광일 협동사무처장 박정영 팀장
, , ,
회의록 정리 박정영 팀장
① 개회
조강래 이사장이 총회 성립요건에 대한 보고를 요청하여 김광일 협동사무처
,
○
장이 지난 월 일 총회개최 일전 에 월 일 개최하겠다고 홈페이지 공
3 16 ( 10 ) 3 26
고 및 회원에게 이메일 문자로 안내 하였으나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총
, , 19
회로 변경된 총회 일정 월 일 을 총회 일 전인 일에 같은 방법으로 재
(3 31 ) 7 24
공지하였다고 보고하다.
또한 현 정관에는 총회 정족수에 대한 조항은 없고 총회에서는 안건 의결 규
,
○
정만 있어 총회 성립 요건이 충족되었다고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총회 성립 요건이 충족되었으므로 년 녹색교통운동 정
2020
○
기 총회를 개회한다고 선언하다 오후 시 분
( 2 01 )
② 전차 회의록 검토 및 승인
조강래 이사장이 김광일 협동사무처장에게 전차 회의록에 대해 보고를 요청하
○
여 김광일 협동사무처장이 전차 회의록을 보고하다.
전차 회의록 검토와 관련하여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지난 월 일 개최된
3 26
○
총회준비 이사회 보고 당시 별다른 의견이 없었다고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전 회의록을 받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05 )
○
③ 년 활동보고 및 재정결산보고
2019
조강래 이사장이 년도 활동 보고 및 재정결산보고를 요청하여 김광일 협
2019
○
동사무처장이 년 주요 활동을 보고하다
2019 .
김광일 사무처장은 중요한 활동은 총회 자료를 작성하여 홈페이지를 통하여
○
회원들에게 공유하였고 년 활동보고 및 감사보고에 대해 건의 서면
, 2019 , 27
결의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 .
조강래 이사장이 년 활동보고 및 감사보고에 대하여 총회 상정안을 승인
2019
○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11 )
- 3 -
④ 감사보고 및 승인
조강래 이사장이 년 결산 보고 및 감사보고를 요청하여 김광일 협동 사
2019
○
무처장이 년 결산 및 감사 보고서를 보고하다
2019 .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년 결산보고 및 감사보고에 대해 건의 서면
2019 , 27
○
결의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년 결산 보고 및 감사보고에 대해 총회 상정안을 승인
2019
○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20 )
⑤ 임원 위촉 및 해촉에 관한 건
1) 이사장의 해촉 및 신임 이사장 선임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이사장의 해촉 및 신임 이사장 선임의 건에 대해 보고를 요
○
청하다.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제 대 이사장으로 위촉된 조강래 이사가 이사장직 사
5
○
임의사를 밝힘에 따라 해촉해 줄 것으로 요청하다.
또한 총회 준비 이사회에서 현 자동차환경위원회 정용일 위원장을 제 대 신
, 6
○
임 이사장으로 총회에서 추천하기로 의결하였다고 보고하다.
이사장의 해촉 및 신임 이사장 선임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받
27
○
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 .
조강래 이사장이 이사장의 해촉 및 신임 이사장 선임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안
○
을 승인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25 )
2) 공동대표의 해촉 및 신임 공동대표 선임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공동대표의 해촉 및 신임 공동대표 선임의 건에 대해 보고를
○
요청하다.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년 위촉된 진장원 이사가 대표직 사임의사를 밝
2018
○
힘에 따라 해촉해 줄 것을 요청하다.
또한 총회준비 이사회에서 신임 공동대표를 추천하고자 하였으나 총회 개최
, ,
○
일까지 적임자를 찾지 못하여 공동대표 선임에 관한 사항을 이사회에 위임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고 보고하다.
공동대표의 해촉 및 신임 공동대표 선임의 건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27
○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 .
조강래 이사장이 공동대표의 해촉 및 신임 공동대표 선임의 건과 관련하여 총
○
회 상정안을 승인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30 )
3)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에 대해 보고를 요청
○
- 4 -
하다.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임기만료된 인 중 연임의사를 표명한 명 조강래
13 7 ( ,
○
진장원 정용일 김경진 이상 인 법인등기이사 전재완 김성한 조성규 이상
, , [ 4 , ], , , [
인 에 대해 이사로 재위촉 해 줄 것을 요청 하다
3 ]) .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27
○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 .
조강래 이사장이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총회 상
○
정안을 승인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35 )
4) 사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해촉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사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해촉의 건에 대해 보고를 요청하
○
다.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임기만료 된 인 중 사임의사를 표명한 명 강승필
13 6 ( ,
○
김기준 이문범 이종화 최동호 최정한 에 대하여 임원 해촉을 요청하다
, , , , ) .
사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해촉의 건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27
○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 .
조강래 이사장이 사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해촉의 건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
○
안을 승인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40 )
5) 신규임원 위촉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신규임원 위촉의 건에 대해 보고를 요청하다.
○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신규 임원 위촉 전재완 이상 인 등기이사 강광규
( [ 1 , ], ,
○
고윤화 김동영 김홍석 노현구 박상준 박성욱 박진영 임영욱 장영기 조
, , , , , , , , ,
경두 최회명 이상 인 과 관련하여 총회 준비 이사회에서 총 인의 임원을
, [ 12 ]) 13
이사로 총회에 추천하기로 의결하였다고 보고하다.
신규임원 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
27 ,
○
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신규임원 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안을 승인하기로
○
하다 오후 시 분
. ( 2 45 )
6) 감사 위촉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감사 위촉의 건에 대해 보고를 요청하다.
○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사임의사를 표명한 최동호 사업감사에 대하여 해촉해
○
줄 것을 요청하고 신규감사 위촉과 관련하여 총회준비 이사회에서 신규 사
,
업감사 후보로 백남철 전 녹색교통 임원을 총회에서 추천하기로 의결하였다
고 보고하다.
감사 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27 ,
○
- 5 -
없었음을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감사 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안을 승인하기로 하다.
○
오후 시 분
( 2 50 )
⑥ 년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 검토 의결
2020 ,
조강래 이사장이 년 사업계획 및 예산안에 대한 보고를 요청하다
2020 .
○
김광일 협동사무처장이 년 주요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에 대해 보고하고
2020 ,
○
이와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27 ,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년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안을 승
2020
○
인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3 00 )
⑦ 정관 변경 안
조강래 이사장이 정관 변경 안에 대한 보고를 요청하다.
○
송상석 사무처장이 최근 코로나 로 인하여 총회 소집에 어려움이 있어 서면
19
○
결의 또는 온라인 총회 가능여부를 검토하여 법무부의 보도자료 등을 통해 서
면결의 방식의 온라인 총회를 개최하였으나 현 정관상 회원 대의원 의 의결권
, ( )
행사가 총회의 출석으로만 가능하다고 오해할 소지가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
해 회원 총회의 구성과 성립요건 회원총회와 대의원총회의 서면결의 위임가
, ,
능 여부를 정관에 포함하고자 한다고 설명하다.
또한 이러한 정관 변경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를 받았으며 별도의
, 27 ,
○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정관 변경안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안을 승인하기로 하다 오
.(
○
후 시 분
3 05 )
⑧ 기타안건
조강래 이사장이 서면결의서에 기타 의견이 있었는지 보고를 요청하다.
○
김광일 협동사무처장이 회원에게 온라인과 서면을 통한 기타 의견을 요청하였
○
으나 별도의 의견이 없었다고 보고하다
, .
⑨ 폐회
조강래 이사장이 더 이상의 안건이 없음을 확인하고 폐회를 선언하다 오후
. (
○
시 분
3 10 )
- 6 -
II. 의결 안건
1. 임원의 위촉 및 해촉에 관한 건
순번 성명 구분 소속 및 직책 임 기
1 정용일 이사장 운영위원
/ * 자동차환경네트웍 대표 임기중
2 민만기 공동대표 운영위원
/ * 녹색교통운동 공동대표 임기만료
3 고윤화 이사 운영위원
/ 주 엘프스 수석컨설턴트
( )   임기중
4 김경진 이사 운영위원
/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정책학과 교수 임기중
5 김도경 이사 운영위원
/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교수 임기만료
6 김성한 이사 운영위원
/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 사무처장 임기중
7 노현구 이사 운영위원
/ 인덕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부교수 임기중
8 박상준 이사 운영위원
/ 한국교통연구원 지속가능교통연구팀 팀장 임기중
9 이규진 이사 운영위원
/ * 아주대학교 지속가능교통연구센터 연구교수 임기만료
10 임영욱 이사 운영위원
/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부소장 임기중
11 전재완 이사 운영위원
/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중점 교수 임기중
12 강광규 이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명예연구위원 임기중
13 김동영 이사 경기연구원 생태환경연구실 선임연구위원 임기중
14 김필수 이사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임기만료
15 김홍석 이사 한국기계연구원 그린동력연구실 책임연구원 임기중
16 박성욱 이사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임기중
17 박진영 이사 서울주택도시공사 해외사업단 단장
SH 임기중
18 배규식 이사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임기만료
19 안기정 이사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임기만료
20 안문수 이사 사 환경영향평가사회 회장
( ) 임기만료
21 이용상 이사 우송대학교 철도특성화대학교 교수 임기만료
22 이재영 이사 대전세종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선임연구위원 임기만료
23 장영기 이사 수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 임기중
24 조경두 이사 인천발전연구원 기후환경연구센터 센터장 임기중
25 조성규 이사 주식회사 지오라인 대표 임기중
26 진장원 이사*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수 임기중
27 최회명 이사 가천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임기중
28 조강래 이사* 녹색교통운동 고문 임기중
이상 총 명 임기중 명 임기만료 명
28 ( : 19 , 9 )
※
법인등기이사 총 명
* : ( 7 )
- 7 -
(1)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
임기만료된 인 중 연임의사 표명 명
9 7
○
민만기 김도경 이규진 김필수 안기정 안문수 이용상
- , , , , , ,
연임의사를 밝힌 임원에 대하여 이사로 재위촉해줄 것은 요청함
○
(2) 사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해촉의 건
임기만료된 인 중 사임의사 표명 명
9 2
○
배규식 이재영
- ,
사임의사를 밝힌 임원에 대하여 임원 해촉을 요청함
○
(3) 감사 위촉의 건
사임 의사를 표명한 김한수 회계 감사에 대하여 해촉해 줄 것을 요청함
○
신규 감사 위촉과 관련하여 총회준
○ 비 이사회 에서 신규 감사 후
(2021.3.30)
보를 총회에 추천하기로 의결함
회계 감사 지현영 법무법인 두루 변호사
- : ( )
(4) 신규임원 위촉의 건
금번 총회에서 신규임원 위촉에 대한 총회준비이사회의 추인은 없었으나,
○
향후 공동대표를 포함한 임원의 위촉 감사 위촉이 필요한 경우 이와 관
,
련한 사항은 이사회에 위임하여 추인할 것을 요청함
- 8 -
2. 년 활동보고 및 활동감사보고
2020
(1) 년 활동보고
2020
① 노후자동차 운행제한제도 정비방향 도출 연구
1) 제도 정비에 필요한 관련 법령 개정안 마련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안
1
○ →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조 및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
- ‘ ’ 18 ‘
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조를 개정하여 운행제한의 대상과 지역을 환경
’ 9
부장관이 정하도록 변경하는 것을 안으로 제안
1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안
2
○ →
운행제한 제외의 대상을 등급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운행제한대상을
- 1~4 5
등급으로 한정하고 특정경유자동차 와 경유자동차 를 특정자동차 와 자
‘ ’ ‘ ’ ‘ ’ ‘
동차 로 변경하고 그 범위를 환경부령으로 정하도록 개정 운행제한제도에
’ ,
의한 과태료 중복부과 방지를 위한 방안을 제시 운행제한지역을 법에 명
,
시하여 설정하고 위반한 자동차 소유주에 대한 과태료의 부과방안을 신설
2) 제도 정비방향에 대한 의견수렴
지자체 공무원과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운행제한조치는 필요하지 않다
‘
○
와 필요하다 로 의견이 갈렸으며 이유는 지역 형평성과 개
(74%)’ ‘ (83%)’ , ‘
인재산권의 침해 와 오염물질 차량의 조기퇴출효과 로 갈렸음
(48%)’ ‘ (64%)’ .
근무지와 상주지에서의 운행제한에 대한 의지도 보통이다 약하다
‘ (34%)’ ‘
와 강력하다 보통이다 로 갈렸음 운행제한의 위해 가
(34%)’ ‘ (31%)’ ‘ (38%)’ .
장 시급하고 중요한 조치는 시민홍보 및 교육 이라는 점에서
‘ (37%, 26%)’
는 일치했지만 공무원은 예산확보 와 전담인력 배치 를 전문가
(27%) (27%) ,
는 법적기준마련 을 높게 꼽으며 의견이 갈렸음 지역에서 효과적인
(27%) .
운행제한 제도로는 순위로 계절관리제 를 꼽으며 일치했지만
2 (59%, 53%)
공무원은 순위로 비상저감조치 를 전문가는 순위로 를
1 (84%) , 1 LEZ(56%)
꼽았고 순위도 공무원은 를 전문가는 비상저감조치 를
, 3 LEZ(52%) , (51%)
꼽으면서 의견이 갈렸음.
이는 공무원과 전문가가 바라보는 운행제한제도의 방향에 대해 의견이 반
○
영된 것으로 보이며 공무원의 경우 현업에 종사하면서 실제 제도 시행이
시행되었을 경우 우려될 상황들에 대한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고 전
,
문가의 경우 당장 닥친 현재보다는 조금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의견들
- 9 -
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됨
3) 결론 및 제안 사항
노후차 운행제한제도의 단계적 강화 및 정비 필요
○
운행제한 대상이 되는 자동차의 환경등급을 단계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제
-
도 시행의 취지에도 부합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 저감을
위해서는 향후 단계적인 제도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노후경유차 중심의 운행제한에서 향후에는 유럽의 사례처럼 휘발유 가스
- ,
차 등 노후 내연기관차량 전반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임
현행 제도나 서울시의 녹색교통지역과 같은 상시적인 운행제한 제도
- LEZ
는 그 시행지역을 자동차 운행이 빈번하며 대기오염 우려되는 지역 및 도
심지역 등으로 설정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으며 계절관
(CBD) ,
리제 시행에 따른 운행제한의 경우 이보다 넓은 지역이나 대형경유차 운
행이 빈번한 항만지역 등과 같은 노후차 운행제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역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음
비상저감조치에 따른 운행제한의 경우 제도 취지로 볼 때 예외 없이 전국
-
적 규모에서 시행되는 것으로 하되 지자체별로 상이한 운행제한 제외대상
영업용 등 을 통일할 필요가 있음
( )
노후차 운행제한제도의 효과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제고
○
제도시행에 따른 국민들의 불편 및 민원 등에 대한 우려와 함께 지자체별
-
대기오염중점관리 대상이 상이한 문제 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분석되며 국
민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제도시행이 가지고 오는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
식이 부족함을 방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노후차 운행제한 지역을 상시적으로 운행하려는 운전자가 자발적으로 단
-
속예외에 해당한다는 것을 차량 외부에 등급표지를 의무적으로 부착하게
함으로써 제도시행에 대한 간접적 홍보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적정한 등
.
급표지가 부착되지 않은 차량에 대한 시민감시 등에 활용할 수 있음
- 10 -
② 코로나 상황에서의 교통수단 변화에 관한 분석과 대안 제시
19
코로나 가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수도권 교통수단 이용은 어
19
○
떻게 변했는지 그리고 향후 이러한 상황이 재발할 경우 교통에서의 중요
,
한 역할을 담당하는 대중교통 이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어떤 대안이 필
요한지 국내외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대안 마련을 위한 세미나를 진
행해 해답을 찾고자 함.
1) 코로나 상황에서의 대중교통 수요변화
19
국내 문헌 조사 통계자료 및 학술자료를 통해 코로나 상황에서의 교
, 19
○
통수단 분담률 및 교통량을 확인한 결과 감염병 발생 이후 대중교통 이
,
용이 급격히 감소했고 승용차 이용은 점차 증가한 것으로 판단됨.
구분 월
‘19.03 월
‘20.01 월
‘20.03
증감률
월
‘19.03
대비
월
‘20.01
대비
도로
교통
교통량
천대 일
( / )
5,416 5,304 4,959 -8.4% -6.5%
대중
교통
지하철
이용자수
천명 일
( / )
5,652 5,595 3,666 -35.1% -34.5%
버스
이용자수
천명 일
( / )
5,263 5,457 3,814 -27.5% -30.1%
공유
교통
따릉이
이용건수
건 일
( / )
29,863 26,996 36,821 +23.3% +36.4%
서울시 통행 변화 및 증감률 전년 대비 평일 기준
( )
2) 대중교통 수요감소에 따른 부작용
대중교통 수요가 줄어듦에 따라 운송회사의 수익 악화 발생 현재 코로나
.
○
확산 이후 대중교통 분담률이 비교적 높은 수도권의 경우 서울지하철
19 ,
노선별 이용자 수는 작년 대비 이상 감소했고 서울과 경기도 버스
30% ,
의 경우 까지 이용률이 급감 년 월 초부터 월 말까지 시내버
40% . 2020 2 9
스 억 원 시외버스 억 원 고속버스 억
7,739 (24.7%), 5,110 (56.7%), 2,349
원 등 지난해 대비 조 억 원에 이르는 매출 감소
(50.7%) 1 5,000 .
현재 운송업계가 사업을 영위하기 불가능한 상황에 놓이게 됨 이로 인해
.
○
정부 고용유지지원금 제도를 활용해 파국을 모면하고 있는 업체들도 존
재 반면 상당수 시외버스업체는 어려운 상황에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
.
고 휴업 휴직 중
· .
결국 대중교통 서비스 자체가 무너질 위험에 처해 있고 그 피해는 모두
, ,
○
- 11 -
시민들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음 결국 업체는 적자 폭을 줄이기 위해 구
. ,
조조정 불합리한 아웃소싱 비정규직 전환과 같은 결정을 내리게 되고
, , ,
이는 결국 배차시간 증가 서비스 질 하락 안전사고 발생의 연속적인 대
, ,
중교통 이용의 하락으로 나타날 수 있음.
3) 코로나 확산에 따른 여객 수송부문 정책 대안들
19 ·
대중교통에 대한 관점 변화
○
도시 도로공간 재구조화
○
기술을 통한 새로운 대중 교통 운영 서비스 마련
IT
○
대중교통 수요 혼잡도 개선
○ ‧
대중교통 서비스 및 보건 강화 등
○
③ 녹색교통수단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활동
승용차 대신 자전거를 탔을 때와 대중교통 대신 자전거를 탔을 때 줄일
,
○
수 있는 온실가스의 양은 차이가 있음.
자전거를 다른 교통수단 대신 탔을 때 줄일 수 있는 온실가스의 양이 각
○
각의 경우에 따라 다를 것이고 이를 실제 자전거 이용 시 어떻게 적용해
,
서 감축한 온실가스의 양을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인지 찾아보고자 함.
1) 자전거 이용 시 온실가스 감축량 계량화 및 효과 환산
차량 운행 시 예상 발생량은 로 계산됨 이를 포
1km 152.5~231.3g CO2 .
○
인트로 환산하면 포인트 당 포인트 수준 따라서 마일리지는
19 (1g 0.1 ) . ,
당 약 포인트 지급이 적정수준
1km 20 (차량 주행 시 발생량은
1km CO2
200g CO2 로 계산 이며 이를 금액으로 환산 시 약 원 포인트당 원
) ) , 60 (1 3 )
으로 환산 가능.
일 평균 약 포인트 약 원
(1 6.8km, 136 , 400 )
일평균 인 마일리지 포인트 포인트 금액환산 시 원 일
- 1 : 6.8km×20 /km=136 ( 400 / )
월평균 인 마일리지 일평균 마일리지 월평균 자전거이용일수
- 1 : ×
포인트 일 포인트
= 6.8km×20 ×15 =2,040
금액환산 시 약 원 월
( 6,000 / )
연평균 인 마일리지 월평균 마일리지 개월 포인트
- 1 : ×12 =24,480
금액환산 시 약 원 년
( 73,000 / )
자전거 주행시 온실가스 감축효과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안
- 12 -
2) 자동차 배출가스 배출량에 따른 마일리지 기준결정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을 산정하기 위해 년 기준 서울시
2018
○
승용차 유종 배기량별 등록 대수 일 평균 주행거리 사회적 비용 온실
/ , 1 , ,
가스 배출량을 검토함.
검토 결과 승용차 마일리지 에코마일리지 탄소포인트제의 제도와 급간에
, ,
○
따라 달라지긴 하나 받을 수 있는 마일리지의 상한가는 각각 만 원
, 7 , 5
만 원 만 천 원으로 확인됨
, 3 5 .
서울시의 데이터를 사용했고 이동 거리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하
○
는 캠페인이므로 승용차 마일리지의 상한가인 만 원 적용했음
7 .
서울시 승용차 자가용 년 기준 대당 온실가스 사회적 비용 단위 원 대 년
(* / / , 2018 , : / / )
구분
  휘발유 경유 LPG CNG LNG 하이브리드 총합계
미만
1000cc 54,022 98,838 70,632 - 49,349 53,501
1000~1600cc 53,060 74,729 56,694 131,180 52,962 54,501
1600~2000cc 97,377 116,220 113,134 164,236 88,512 104,678
이상
2000cc 132,037 136,227 138,438 197,844 121,822 133,090
총합계 102,448 122,868 115,237 187,814 103,830 109,010
서울시 승용차 자가용 년 기준 대당 온실가스 사회적 비용
/ / , 2018
서울시 대당 온실가스 배출의 사회적 비용은 대당 원임
109,010
○
서울시 승용차 자가용 년 기준 대당 온실가스 사회적 비용 단위 원 대 년
(* / / , 2018 , : / / )
최대 만 원 전제 시
* 7
구분
  휘발유 경유 LPG CNG LNG 하이브리드 총합계
미만
1000cc 28,413 51,985 37,150 - 25,956 28,139
1000~1600cc 27,907 39,305 29,819 68,996 27,856 28,666
1600~2000cc 51,217 61,127 59,504 86,382 46,554 55,056
이상
2000cc 69,446 71,650 72,813 104,058 64,073 70,000
총합계 53,883 64,624 60,610 98,783 54,611 57,335
서울시 승용차 자가용 년 기준 대당 온실가스 사회적 비용
/ / , 2018
최대 마일리지를 만 원으로 설정할 경우 배기량별 마일리지를 재산정하
7 ,
○
며 대형승용차의 경우 만 원으로 산정됨 해당 자동차 소유자가 년 동
, 7 , 1
안 자동차 이용을 포기하고 자전거 보행을 이용하였을 경우임
/
- 13 -
④ 홍보 모금 활동
,
1) 온라인 모금함을 통한 꾸준한 모금 활동
네이버 해피빈 총 모금금액 원 개 모금함 개설
[ ] : 25,997,100 (9 )
◌
다음 같이 가치 총 모금금액 원 개 모금함 개설
[ ] : 9,001,400 (2 )
◌
2) 영상제작
사람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 영상 시리즈 제작 궁금한 이야기
(
○
G)
활동내용을 영상 컨텐츠로 제작 교통사고유자녀 지원
( )
○
3) 온라인 캠페인을 통한 일시 정기 후원자 모집
/
교통사고 피해가정 응원 캠페인
○
영원히 끝나지 않을 피해 교통사고 피해가정 아이들의 이야기 컨셉 진
- ‘ , ’
행
리멤버 녹색교통 캠페인
!
○
리멤버 녹색교통 컨셉으로 년대 초반 녹색교통 졸업생들을 대상으
- ‘ ’ 2000
로 정기후원 유치 및 확대를 목표 기존의 추억을 회상하고 현재 본인의
.
이야기를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는 컨셉으로 컨텐츠를 제작 진행 차
(3 )
4) 지속적인 활동소식 안내
뉴스레터를 통해 정기적으로 활동소식 안내 정기뉴스레터 주간 비정기
: ( ),
○
뉴스레터 발송
후원회원 대상 연간 활동 요약집 제작 및 발송
○
녹색교통 활동 소책자
- 14 -
5) 회원 가입 관리 개편
,
웹연동 시스템으로 회원가입 절차 개편
MRM
○
보다 편리한 회원가입 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 진행
-
녹색교통 정기 일시후원 페이지
/
회원관리 및 감사인사 전달 체계화 정기 후원자 가입주기별 감사인사 전
:
○
달
⑤ 유자녀 지원사업 진행
1) 미취학 및 교통안전공단 미지원 대상 장학사업
년 장학금 지급내역
2020
실급구분 구분 미취학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합 계
녹색교통
장학금
일반기금 만원
1,025 만원
125 만원
30 만원
70 만원 명
1,250 (14 )
외부추천
장학금 중
내부 지급
장학금
손해보험
KB 만원
360 만원
960 만원
160 만원
1,080 만원 명
2,560 (16 )
다이렉트
AXA - - - 만원
50 만원 명
50 (1 )
코리안리 만원
1,440 만원
2,640 만원
360 만원
720 만원 명
5,160 (23 )
현대모비스 만원
360 만원
5,670 만원
2,520 만원
4,590 억 만원 명
1 3,140 (36 )
외부장학금 만원
540 만원
1,140 - 만원
720 만원 명
2,400 (10 )
총 계 만원
3,725 1억 만원
535 만원
3,070 만원
7,180 억 만원 명
2 4,510 (100 )
2) 미취학 초 중 고 신규 장학생 선발
· · ·
상반기 명 하반기 명 총 명 선발 학년별로 미취학 명 초등학생
5 , 5 10 . 5 , 1
○
명 중학생 명 고등학생 명
, 2 , 2 .
3) 대학생 장학사업
지원내역
○
학기 명 학기 명 총 명 선발 학기당 만 원 학기별 지원
- 1 15 , 2 16 31 , 150 ( )
- 15 -
4) 교통사고 피해가정 물품 지원사업
지원 물품 도서 또는 교복 중 택
: 1
○
학기
[1 ]
신청기간 도서 원 가정
( ) : 13,811,080 , 66
○
신청기간 교복 원 가정
( ) : 3,667,000 , 14
○
학기
[2 ]
신청기간 도서 원 가정
( ) : 13,354,670 , 57
○
신청기간 교복 원 가정
( ) : 741,000 , 4
○
5) 지역별 교육프로그램
경상지역 모임
○
일시 월 일 토
- : 1 11 ( )
참가자 장학생 명 졸업생 명 실무자 명
- : 5 , 1 , 3
프로그램 석고뱡향제 만들기 및 보드게임
- :
수도권 중 고등 모임
·
○
일시 월 일 화
- : 1 14 ( )
참가자 장학생 명 실무자 명
- : 6 , 3
프로그램 스포츠 체험 및 영화관람
- :
코로나 로 인하여 월부터 문화체험활동 잠정연기
* 19 2 .
6) 가정 심리치료 지원 마음치유 프로그램
:
지원 현황
○
총 세 가정 천안 부산 전주지역 상담진행
- ( , , )
안 빈 모 부산 심리상담연구소와 연계하여 회기 지원
- , 15
○
조 영 모 전주 헬로스마일과 연계하여 회기 지원
- , 10
○
송 재 모 천안 불당 상담센터와 연계하여 회기 지원
- , i 10
○
- 16 -
⑥ 사무처 운영 및 후원행사
1) 총회
일시 년 월 일 화요일 오후 시
: 2020 3 31 2
○
장소 녹색교통 사무실
:
○
참석인원 조강래 이사장 외 사무처 인원
:
○
코로나 로 인해 온라인 서면 총회로 진행됨
* 19 &
2) 이사회
차 이사회 년 월 일 목 오후 시
1 : 2020 3 26 ( ) 5
◌
차 이사회 년 월 일 금 오후 시
2 : 2020 5 29 ( ) 4
◌
차 이사회 년 월 일 목 오후 시 분
3 : 2020 10 29 ( ) 6 30
◌
3) 운영위원회
제 차 운영위원회 년 월 일 목 오후 시 분 삼우정
1 : 2020 3 12 ( ) 6 30 ,
◌
제 차 운영위원회 년 월 일 수 오후 시 분 삼우정
2 : 2020 7 1 ( ) 6 30 ,
◌
제 차 운영위원회 년 월 일 화 서면
3 : 2020 12 1 ( ),
◌
4) 후원행사
창립 주년 년 녹색교통 온라인 후원의 밤 한걸음 만 더
27 2019 , ‘ ’ : 2020
○
년 월 일 일 주일간
9 8 ~ 15 (1 )
녹색교통운동 연말 모금 캠페인 너 하나 나 하나 년 월 일
‘ ’ : 2020 12 14 ~
◌
일 주일간
31 (2 )
- 17 -
(2) 활동감사 보고서
- 18 -
- 19 -
3. 년 결산보고 및 회계검토의견서 보고
2020
(1) 년 재정결산 보고
2020
① 재무상태표 통합
( )
재무상태표 통합
( )
당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20 1 1 ~ 2020 12 31
전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19 1 1 ~ 2019 12 31
구 분 년 당기
2020 ( ) 년 전기
2019 ( ) 증감
유동자산 은행예금및현금
( ) 264,926,710 234,184,820 30,741,890
일반회계
< > 23,826,654 13,072,819 10,753,835
특별회계
< > 241,100,056 221,112,001 19,988,055
고정자산 건물및비품
( ) 385,608,000 385,798,516 -190,516
자산 총계 650,534,710 619,983,336 30,551,374
유동부채 단기차입금 등
( ) 320,816,215 106,419,985 214,396,230
고정부채 은행대출금
( ) - 210,000,000 -210,000,000
부채 총계 320,816,215 316,419,985 4,396,230
자본금 308,639,887 308,639,887 -
미처분 이익잉여금
차이 이월 이익
( )
21,078,608 -5,076,536 26,155,144
자본 총계 329,718,495 303,563,351 26,155,144
부채 자본 총계 650,534,710 619,983,336 30,551,374
단위 원
( : )
- 20 -
② 손익계산서
통합 총수지
○
녹색교통 일반회계 및 유자녀 특별회계 통합 총수지
원 일반회계 유자녀 특별회계
= 26,155,144 ( + )
손익계산서 녹색교통 일반회계
( )
당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20 1 1 ~ 2020 12 31
전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19 1 1 ~ 2019 12 31
구분 년 당기
2020 ( ) 년 전기
2019 ( ) 증 감
후원‧
기부금
정기후원  38,570,000  37,341,100 1,228,900
일시후원 6,470,400 14,886,270 -8,415,870
후원행사 59,470,000 63,923,000 -4,453,000
활동사
업수입
프로젝트 사업비 157,569,095 200,252,364 -42,683,269
유자녀활동 운영비 29,041,370  27,928,905 1,112,465
사업 외 수익 6,274,111     9,675,131 -3,401,020
총계 297,394,976  354,006,770 -56,611,794
수입부
< > 단위 원
( : )
구 분 년 당기
2020 ( ) 년 전기
2019 ( ) 증 감
인건비 86,883,765 105,525,622 -18,641,857
일반 운영비 35,616,178 39,960,077 -4,343,899
회원 사업비 15,247,910 13,255,310 1,992,600
활동 사업비
157,412,223
인건비
( 117,046,240) 210,202,469 -52,790,246
연대 사업비 3,751,000 4,394,400 -643,400
사업외비용 10,043,345 10,033,174 10,171
총 계 308,954,421 383,371,052 -74,416,631
지출부
< > 단위 원
( : )
수입 지출
< > < >
년 녹색교통 일반회계 총수지
2020
총수입 총지출 원
: (297,394,976) - (308,954,421) = -11,559,445
- 21 -
손익계산서 교통사고 유자녀 특별회계
( )
당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20 1 1 ~ 2020 12 31
전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19 1 1 ~ 2019 12 31
수입부
< >
구 분 년 당기
2020 ( ) 년 전기
2019 ( ) 증 감
후원‧
기부금
정기후원 46,006,000 47,760,0001)
-1,754,000
일시후원 336,512,200 258,149,01722)
78,363,183
프로젝트 사업비 80,000,000 78,800,000 1,200,000
사업외수입 1,250,587 1,443,569 -192,982
총 계 463,768,787 386,152,586 77,616,201
단위 원
( : )
주 전기 년 원의 일시후원금이 정기후원금으로 기장 오류로 이를 정정함
1),2) (2019 ) 6,076,200 .
지출부
< >
구 분 년 당기
2020 ( ) 년 전기
2019 ( ) 증 감
장학 사업비 247,500,000 212,960,370 34,539,630
교육 사업비 35,810,187  42,907,226 - 7,097,039
모금 사업비 11,703,838 7,944,089 3,759,749
프로젝트 사업비 101,998,803      77,596,720 24,402,083
유자녀활동 운영비 29,041,370 27,928,905   1,112,465
총 계 426,054,198 369,337,310 56,716,888
단위 원
( : )
수입 지출
< > < >
년 녹색교통 유자녀 특별회계 총수지
2020
총수입 총지출 원
: (463,768,787) - (426,054,198) = 37,714,589
- 22 -
③ 참고자료
년 총수입 원 총지출 원로 활동하였으며
2020 761,163,763 , 735,008,619 ,
○
전체수지는 원으로 결산되었음
+26,155,144
녹색 일반회계는 년 대비 후원금 원 과 프로젝트 활동비
2019 (-12,868,870 )
○
원 가 감소 되었음 이는 코로나 의 직 간접적 영향으로 후
(-42,684,269 ) . 19 ·
원 행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연초 기획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못하
,
여 발생함.
유자녀 특별회계는 일시후원의 증가 로 정기후원의 소폭 감소
(+78,363,183)
○
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활동이 가능하였으며 후원금 증가에 따라 지출
,
이 전년보다 증가하였음.
전체 살림 규모는 자산 으로 년 원 을 고려
650,534,710 2019 (619,983,336 )
○
하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전체 규모에서 유자녀 활동의 자산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 교통 환경
·
○
분야의 활발한 활동을 통한 후원금 프로젝트 수입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
,
음.
일반회계의 지출 비목 내역
○
지출 비목 내용
인건비 사무처 급여
일반운영비 복리후생비 세금 임차료 등
, ,
회원사업비 회원활동비 도서 인쇄비 후원행사비 등
, · ,
활동사업비 교통 환경 프로젝트 사업비 연구진 인건비
· ,
연대사업비 활동분담금 타 단체 회비 및 후원금 등
,
사업외 비용 지급이자 잡손실 고정자산 손실 등
, ,
- 23 -
(2) 년 회계검토 의견서
2020
김한수 회계감사의 사임의사 표명으로 금번 총회에서는 외부 인사의 회계
○
검토 의견서로 총회에서 승인해 줄 것을 요청함
- 24 -
4. 년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의 검토
2021
(1) 년 주요 키워드
2021
그린뉴딜 기후위기 탄소중립 코로나
# # # # 19
개인형이동장치 자전거 보행
#PM( ) # #
대중교통재정지원 신공항건설 온실가스 미세먼지
# # # #
보궐선거 대선 지방선거 택시 주택공급정책
# # # # #
(2) 녹색교통운동 활동 방향
① 미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사람이 중심인 친환경 교통의 확대
:「 」
② 비전 시민들의 보행권 확보 및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 활성화에 기
: 「
여」
③ 년 활동방향
2021 :
친환경 교통수단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활동 자동차 배출가스 줄이기
- : ,
대중교통 서비스 확대 보행 자전거 이용 환경 개선
, / /PM
안전하고 편리한 녹색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시민 캠페인 자전거 보행
- : /PM,
교통사고 피해 가정 지원 장학금 지원 규모 개선 부모의 심리적 안정 프로그램
- : ,
확대
(3) 년 주요 활동
2021
① 기후위기 그린뉴딜 등 최근 환경 이슈와 관련된 교통분야의 관련 제도
,
정비 활동
1) 노후자동차 운행제한제도 개선을 위한 대기관리권역 특별법 개정 활동
사업목적 및 배경
○
년 환경부와 진행한 노후자동차 운행제한제도 정비방향 도출 연구
- 2020 ‘ ’
를 통해 미세먼지 특별법 과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
‘ ’ ‘
법 에서 운행제한의 대상과 지역을 변경하는 안을 환경부에 제안
’
당시 노후경유차 운행제한제도의 도입 시기 및 조정의 내용을 포함하는
-
- 25 -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국회등에 입법과
‘ ’
개정 운동 진행
○ 사업내용
지역별 지자체별 운행제한 제도의 도입 시기 및 조정의 내용을 환경부
- ,
장관이 고시하도록 변경하고 운행제한 대상에 해당하는 자동차 등급의
,
범위와 시행 시기를 시행 규칙에 명시하여 년차별 단계적으로 강화
/
여전히 남아있는 제도별로 상이한 과태료 문제 해결을 위해 부과기준을
-
별표에 명시
○ 사업추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와 상반기 중 공청회 순회 토론회 형태로 진행 가능
- , ( )
한 개별의원이 아닌 협의체 구조로 확대를 고려하여 진행
시민사회 환경회의 전문가 영역에서 공감대를 높을수 있는 제안으로 확
- ( ),
대
2) 등급 이외 배출가스 저감이 필요한 등급 차량에 대한 중앙정부의 저감 대
5
책 마련 제도화
사업목적 및 배경
○
년 환경부 사업에서 다루지 못한 등급 이외차량 등급 에 대한 저
- 2020 5 (3~4 )
감 방안 마련을 위한 사업으로 중 대형차량과 비도로부문 오염까지 고려
/
하는 확대 조사 연구 사업 시행중 월 완료
(2021.4 )
사업내용
○
현행 저감장치 부착 및 조기폐차에 관한 지원제도의 현황 및 근거자료 수
-
집하여 제도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우선적으로 환경부 소관법률 위주
로 개편하고 필요에 따라 유관 법령까지 일부 검토
현재 또는 장래 가 시행될 지역의 저감장치 부착 및 조기폐차의 대상
- LEZ
이 되는 차량의 대수를 파악하여 연차별 예산규모 제시
배출가스 등급 차량의 저감사업 진행시 휘발유 및 가스차는 삼원촉매장
- 4
치 부착사업으로 진행 대안은 조기폐차 중심으로 진행하되 최근 예산 편
,
성은 저감장치 부착사업을 일몰하고 조기폐차 쪽으로 조금 더 기우는 추
세
최근 정부의 선언에 따라 톤 화물차에 대한 전기차 개
- 2050 Net Zero 1
조사업을 검토하고 신규사업 도출 시 선박 농기계 등 비도로 부문을 포
,
- 26 -
함해 이에 대한 타당성 검토
현재의 건설기계 종 덤프트럭 콘크리트 펌프 콘크리트 믹서트럭 굴삭기 지
- 5 ( · · · ·
게차 외 다른 건설기계의 저감사업 포함 기준 또는 정밀검사 기준 등 기
)
술적 제시
○ 사업추진
한국자동차환경협회 사업으로 현재 연구용역 진행중
-
향후 연구진 한국자동차연구원 아주대학교 인덕대학교 녹색교통운
- (KEI, , , ,
동 회의를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한 후 환경부에 제안
)
3) 공공버스 에코 운전시스템 모니터링 및 정책 확대방안 마련
사업목적 및 배경
○
수송부문의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저감 효과 측정을 위해 대중교통의 중
-
요 수단 중 하나인 버스의 연비 개선 효과를 조사하고 향후 도입이 필요
한 지자체에 제안
사업내용
○
운전시스템은 시내버스의 연비 효율을 증진시키고 난폭운전을 방지하
- ECO
며 안전운행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 장비
수송부문의 에너지 저감 효과측정을 위해 기존 버스회사 또는 지자체에
-
서 운영하고 있는 운전시스템의 도입전과 후 연비개선의 효과 조사
ECO
현재 에코운전시스템은 서울 대전 대구에서는 모든 시내버스에 적용을
- , , ,
부산 경기 안양 고양 인천 창원에서는 부분 적용하여 운영중
, ( , ), ,
적용 전후 연비효과 개선과 기타 장 단점에 대해 조사 및 평가후 결과를
- ,
토대로 각 지자체별로 확산할수 있는 방안 수립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전문가 의견 수렴 정책 방안 수립
- ,
사업추진
○
현재 수송 에너지 연비 효율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중인 정부산하기관인
-
한국에너지공단의 연구 과제로 진행 예정 수의계약 월중
( 3 )
- 27 -
② 교통 수송부문 기후위기 대응 정책 제안 및 조사 활동
/
1) 지속가능하고 정의로운 탄소중립 수송부문 정책과제 마련 정책위원회 활
, (
동)
사업목적 및 배경
○
정부는 년 월 한국판 뉴딜 그린뉴딜 과 년 월 일 탄
- 2020 7 ( ) , 2020 10 28 2050
소중립 계획과 함께 월에는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하였음
12
수송부문에서는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 내연기관 친환경차 과 새로운 기
- ( )
→
술을 활용한 교통시스템의 효율화 지능형교통시스템 자율주행 드
( (C-ITS), ,
론텍 등 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고 탄소중립 선언의 실행을 위한 세부 정
)
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음
그린 모빌리티 확대 빅데이터 자동차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한
- LEZ, ,
자동차의 이용 수요를 줄이고 친환경 수단으로의 전환에 대한 방안 논의
,
가 필요한 상황임
이에 정부와 지자체가 탄소중립을 위해 추진해야할 정책 과제를 의
- NGO
관점에서 발굴하고 제안할 필요가 있음
○ 사업내용
도시 교통 환경문제 등과 관련된 전문적인 사항에 대한 조사 연구 및
- , , ,
정책대안 마련하는 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위원회 구성하고 전문가
포럼 토론회 기획기사 이슈 페이퍼 발간 등을 진행
, , ,
정책위원회 구성 정책위원장 송상석 정책위원 운영위원 및 내부이
- : : / :
사 외부 전문가 결합
,
전문가 포럼 주요 논의 과제 탄소중립 수송 포럼
- 2050
「 – 」
탄소중립을 위한 도시 정책과 교통 정책의 방향
· 2050
지자체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방안 재정 지원 필요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 ,
수요응답형 버스 운영등 서비스 개선방안 준공영제 운영의 개선방안
, )
보행 및 자전거 활성화 교통 체계에서의 역할 이용 활성화 필요성
· /PM : ,
운행차 수요 감소 정책 지자체 확대방안 운행제한제도 혼잡통행료
· : (LEZ), ,
녹색교통진흥지역 등의 지자체 확산과 관련한 법 제도의 정비방안
/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의 연차별 확대방안 내연기관 등록금지 친환경차
· : ,
의무판매제 등
자동차 소비구조 전환을 위한 전략 과제 내연기관 산업전환 친환경차 관련산업
· : ,
지원 일자리 전환 저탄소차 협력금 등
, ,
- 28 -
공론화를 위한 토론회 가제 수송부문 탄소중립 그린뉴딜로 가
- : “ : 2050 ,
능한가?”
사업추진
○
전문가 포럼
-
상반기 월 회 포럼 진행 월 총 회 이상 각 주제별 발제
· : 2 : 4~6 ( 5 ),
토론 및 의견수렴
1~2,
하반기 정책제안을 위한 제안서 작성 월
· : (7~9 )
정책 대안 내용은 정책위원회 또는 사무처 활동에서 정부 및 지자체에 제
-
안하고 환경단체와 연대하여 수송부문 정책으로 적극 제안
사무처 이슈페이퍼 발간 월별 성명서 논평 언론 기획기사 칼
· : (Brief , ), , , (
럼 영상제작 시민 켐페인
), ,
위원회 활동 탄소중립위원회 대통령직속 심의의결기구 환경부 민간환
· : ( ),
경정책협의회 서울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 에너지정책위원회 참여
, ·
교통연구원 그린뉴딜 관련 수송분야 정책 제안
·
환경단체 한국환경회의 기후위기비상행동 시민사회연대기구 등 탄소중
· ( , ),
립 논의그룹과 연대 수송부문 영역에서의 정책 제안 참여
,
2) 버스 대중교통 서비스의 지속적인 운영과 확대를 위한 중앙정부 지원 법
,
제도화 활동
사업목적 및 배경
○
지하철과 버스 등 수도권 및 지방의 대중 교통 운영상의 어려움이 발생하
-
고 있어 현재 지자체 예산으로만 지원되는 상황에서 중앙 정부의 대중교
통 운영에 대한 지원이 필요
대중교통에 지원할수 있는 정부의 운영지원에 관한 방안을 마련하고 민간
-
에는 정부지원과 관련하여 운영 회사의 책임에 대한 이슈 문제점 개선
,
방안 마련
사업내용
○
대중교통 지원과 관련된 여러 관련법 제도를 검토하고 관련법 개정안 마
-
련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교통시설특별회계법 여
: , ,
객자동차 운수사업법 도시철도법 교통기본법 제정
, , ( )
개정안으로 법률자문 최종 개정안 마련 입법부 국회 와 공청회 또는 연
- , , ( )
- 29 -
대기구 기후위기 그린뉴딜 와 협업하여 개정 공론화
( , )
군 중소 중대 도시의 대중교통운행실태 현황 운행거리수송량 변화 등
- , , ,
이동량에 대한 데이터 확보 및 대중교통 운영자 버스 에 대한 조정 협의
( ) ,
등 워크샵 토론회 진행
,
사업추진
○
공공교통네트워크 등과 개정안 논의 법 제도 개선방안 지역 단체 경기도
- ,
수원 성남 등에 제안하여 연대강화 중앙정부와 국회 개정법안 제출
( , ) ,
기후위기비상행동 등 그린뉴딜 기후위기 대응 정책 활동으로 제안
- /
3) 도로변 교통량 변화에 따른 미세먼지 개수 변화 모니터링
(PN)
사업목적 및 배경
○
자동차 운행이 많은 도심과 도로 주변에서의 나노미세먼지 배출현황이 전
-
혀 파악되어 있지 많으며 자동차의 미세먼지 개수 관리정책과 대책도 수
,
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
정부의 미세먼지 모니터링은 와 중심으로 농도에 집중하고
- PM 2.5 PM 10
있지만 이와 별개로 국민건강 차원에서 개수 관리도 필요한 상
(Number)
황
도로변 교통량 변화에 따른 미세먼지 개수 변화 측정 및 기초자료 발간
-
사업내용
○
연도별 기간별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정책의 효과측정을 위하여 주요 간
- ,
선도로변 미세먼지 개수를 정기적으로 측정 분기별 또는 반기별 교통량
( , ,
측정소와 미세먼지 측정소가 동일한 장소 선정 예 신촌 동작대로 시흥
, : , ,
로)
기존의 복잡한 조사과정을 간소화 하고 조사 시간과 횟수를 늘려 데이터
-
축적하고 향후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그 변화량과 정책의 효과등을
평가 소개하는 소책자 및 브로셔 제작 정책제안 기초자료로 활용
, ,
정기적 측정을 통한 데이터 축적 향후 정부에 정책 제안 가능한 수준의
- ,
브리프 또는 보고서 발간
,
사업추진
○
서울연구원 작은연구 또는 자체예산 추진
- ,
- 30 -
4) 연비 운전을 통한 자동차 온실가스 미세먼지 절감 시범사업
/
사업목적 및 배경
○
년 연구된 스마트운전 평가시스템 앱을 활용하여 운전자의 연비운전
- 2020 (
을 유도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시스템 의 시범사업을 통한 운영 상 문
)
제점 및 개선 필요사항 등을 사전 발굴하고 전국적으로 확대 가능한 정책
모델 개발
스마트운전 평가시스템의 앱 기반 프로토타입 구축 참여자 모집 및 현장
- ,
운영 모니터링 등 합리적인 사업 추진체계 마련
사업내용
○
시범사업 운영 및 홍보 스마트운전 참여자 모집 및 운영을 통한 시범사
- ( )
업을 추진하며 운영 상 문제점 도출 및 개선
,
스마트운전 시범사업 및 본 사업 활성화를 위한 홍보 추진 언론 기고 유
- ( ,
튜브 홍보 지면광고 등
, )
언론사 보도자료 배포 녹색교통운동 홈페이지 페이스북 유투
, , SNS( ,
☞
브 인스타그램 등 지면광고 등 통해 사업 참여 홍보
, ),
스마트운전 시범사업 참여자 모집 개인 단체 승용 승합 화물차 등
- ( / , / / )
일반시민 택배사 자동차보험사 플랫폼운수업자 자동차제작사 등에
, , , ,
☞
사업 취지 및 참여방법 홍보하여 시범사업 참여 요청
참여자별 스마트운전 평가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
시범사업 운영 개월이상 참여자의 감축지표에 따라 상품권 지급
(1 ), (2
☞
만원 만원 등 권종별 지급 참여율과 감축량 등 고려
, 1 , )
스마트운전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연계방안 제시
-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제도 환경부 탄소포인트제도 지역화폐 발행 등
, ,
☞
연계방안 제시 향후 개인 배출권 거래제도에 편입 방안 마련
,
③ 탄소중립 실천 캠페인 린이 캠페인
: 5
사업목적 및 배경
○
기후위기 상황에서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탄소중립 실천 캠페인 진행
-
보행 워린이 자전거 자린이 대중교통 타린이 택시 콜린이 킥린이
- ( ), ( ), ( ), ( ), PM( )
을 주로 이용하는 시민들이 녹색교통수단 이용에 대한 공유 실천을 유도
·
하고 시민들의 불편사항 개선사항 들을 통해 녹색교통의 중점 활동을 모
/
색
- 31 -
관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보행 자전거 대중교통 이용 확대의 필요성
- , ,
에 대한 내용을 전달
사업내용
○
온라인 기반 녹색교통수단 이용 해시태그 캠페인
- (SNS )
탄소중립 워린이
# #
녹색교통수단에 대해 궁금한 내용에 대한 영상 카드뉴스 제작 궁금한 이
- / (
야기 G)
서울버스 색깔의 비밀 지하철의 혼잡도는 어떻게 제공될까
/ ?
개인택시 가나다라는 무얼까?
④ 녹색교통 활동 지속을 위한 꾸준한 모금 활동
1)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 모금 캠페인 확대
외부 기관과 협업을 통한 캠페인 기획 및 홍보
○
주 슬로워크 신시어리 아리에뜨 디자인생선가게 더디앤씨 굿임패트
- ( ) , , , , , ,
더 브리지 적정마케팅 연구소 등 전문기관 컨택
,
사업 브랜딩 컨설팅 디자인을 통해 지원사업을 효과적으로 알리고 모금
- ,
으로 연계 할 수 있도록 진행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꾸준한 모금활동
○
다음같이가치 해피빈 모금함에 꾸준한 활동 모금함 게시로 각 사업에 필
- ,
요한 사업비 모금
코로나 아이들 교육 물품 장학금 증액과 같이 모금컨텐츠 확장
- , ,
년 사업 별 모금기간 및 진행기간
[21 ]
구분 목표 기간 월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장학
사업
내부 지원
만원
800
모금 기간
사업 기간
대학생
장학금
장학금
만원
600
모금 기간
사업 기간
물품
지원
년 학기
20 1
년 학기
20 2
만원
500
모금 기간
사업 기간
가정
심리
상담비
만원
600
모금기간
사업기간
교통
안전
캠페인
만원
500
모금기간
사업기간
- 32 -
2) 후원 회원 잠재적 후원자 대상 모금 캠페인 진행
,
목 적
○
정기적으로 녹색교통 활동을 알려 모금을 요청
-
진행방식
○
잠재적 후원자인 졸업생 대학교 장학생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피해가정
- ,
지원사업 활동 안내와 졸업 후 후원을 한 대상 인터뷰 컨텐츠 등을 발송
녹색교통 정기 일시 후원자 대상으로 정기적인 증액과 정기회원 요청 진
- /
행
시민 캠페인 참여자 대상으로 녹색교통 활동 홍보 및 후원 유도
-
컨텐츠 캠페인 뿐만 아니라 후원 계기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모금을 제안
- ,
3) 후원행사
후원의 밤
○
코로나 상황에 따라 고려하여 오프라인 온라인 후원행사 진행
- ( )
상반기 내 진행
-
일일호프
○
코로나 상황에 따라 고려하여 진행방식 변경
-
년과 같이 유자녀 활동 모금 등 사업에 대한 후원 등으로 연계하여
- 2020
진행
월 진행
- 12
일일호프 또는 온라인 모금 캠페인
-
4) 꾸준하고 일정화된 회원관리
MRM web
○
구글 애널리틱스 연동을 활용한 회원관리 및 분석
-
온라인 모금 캠페인 진행 시 후원자의 유입경로 확인하여 성과 분석
- ,
정기 일시 후원금액 납부구분 결제수단 등으로 나눠 분석
- / , , ,
후원자 관리 지속 및 활동 피드백 향상
○
기준 후원 회원 가입주기별로 감사인사 전달 년 주기
- (1/5/10/15/20 )
신규 즉시 개월 개월 등 탈퇴 회원 관리 매뉴얼 일정화 개선
- ( /3 /6 ),
감사인사 전달을 위한 굿즈 감사장은 캠페인 성이 있는 물품으로 개선
- ,
- 33 -
⑤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사업
1) 미취학 및 교통안전공단 미지원 대상 장학사업
사업내용
○
상 하반기 신규 장학생 미취학 아동 수시 선발
- , ,
현 장학생 명으로 명 내외 추가 선발로 명 내외 장학생 규모 유
- 93 7 100
지
장학생 선발 시 교통안전공단 협조 하에 추천 및 선발 진행
-
년 장학금 증액 후 장학금액에 대한 논의가 없었음 현 기금 상황을
- 2013 , .
확인하고 증액 논의 및 추가 모금 계획 수립
사업 일정
○
구분 월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미취학
접수
선발
초중고
접수
선발
2) 대학생 장학사업
사업내용
○
녹색교통 홈페이지 공고 및 졸업생 대상으로 유선 홍보
- SMS,
서류 심사는 정량적 정성적 평가로 진행하며 심사위원 구성은 녹색교통
- , ,
임원 현대자동차 관계자 등으로 구성
,
학기별 명 만원 전달
- 15 , 150
워크샵 간담회는 코로나 상황에 따라 소수인원 인터뷰 또는 대면 비대면
- , ( )
진행
진행 내용은 영상과 모음집으로 제작하여 후원기관 및 후원자에게 전달
-
예정
3) 물품지원사업
사업내용
○
현재 지원받고 있는 미취학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교복 도서 지원
- , /
- 34 -
연간 만원 규모
- 40
상반기 회 하반기 회 총 연 회 신청을 받아 지원
- 2 , 2 4
지원받은 학생의 감사편지 사진 자료 직접 배달을 통해 후기 수집
- , ,
신규 물품 지원 확대 예정 온라인 수업용 태블릿 지원 검토 다음 같
- ( PC ,
이가치 모금함으로 만원 확보 기업에 사업후원 요청 제안서 제출
400 , )
4) 지역별 교육프로그램
사업내용
○
체험위주의 프로그램으로 수도권 경상 호남 지역에서 진행
- , ,
코로나로 인해 현재 일시 중단한 상태 코로나 상황에 따라 내부 논의 후
- ,
진행 예정
5) 심리상담 지원
참여자 확대를 위한 홍보 진행
○
심리 자가진단 회 심리 상담과 같은 접근하기 쉬운 방법을 통해 상담의
- , 1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사업 참여자 사례 공유
-
사업 진행 방식에 대한 보다 자세한 안내 진행
-
사업 대상자를 보호자에서 자녀까지 확대
-
사업 홍보 일정 정례화
-
진행 방식
○
개인 상담 최소 회기 를 전문 상담기관과 연계
- ( 10 )
상담 이후 기관과 가정 면담을 통해 추가 상담 여부 논의
-
전문 상담 기관 외에 정신건강의학과 검사 및 진료 연계
-
비슷한 사례끼리 유대감과 교류를 위한 집단 간담회 진행 코로나 상황에
- (
따라 시기 논의 연 회
, 1~2 )
- 35 -
⑥ 녹색교통 온라인 시민 홍보 확대
1) 모든 사업 단위 시민확산 모금 방안 고려하여 실행
/
기존엔 사업 내 홍보를 위해 단순히 를 활용해서 내용을 제작하고 업
- SNS
로드 하는데에만 급급했다면 컨텐츠를 만든 이후의 이를 확산시키는 방
,
안으로 유튜브 채널을 확대 운영하고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을 활용하여 시
/
민 캠페인을 진행
시민과 공유하여 그들의 관심 이끌어내고 시민들이 의견을 온라인 채널을
-
통해 받을 수 있도록 기획
2) 녹색교통의 주요 활동의 필요성을 알리는 컨텐츠 제작
우리 활동과 활동의 필요성을 알리는 내용으로 구성
-
기후위기 그린뉴딜에서 친환경차 보급정책이외에 교통과 관련된 정책이
- ,
별도로 고려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시점
최근 활동 뿐 만 아니라 기존의 보행권 자전거 대중교통 활동 중 성과
- , , ,
낸 활동을 바탕으로 이러한 정책 추진의 필요성을 알릴 컨텐츠를 제작
현재 영상으로 제작되고 있는 궁금한 이야기 교통 환경분야의 궁금할
- ‘ G’ ( /
만한 이야기를 영상으로 제작하는 컨텐츠 를 월 회이상 제작
) 2
영상을 메인 컨텐츠 생산물로 하되 시기성과 내용에 따라 블로그 글 인
- , ,
포그래픽 카드뉴스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
,
상반기에는 주 단위로 전체 회의를 진행하여 컨텐츠 아이디어 논의 및 업
-
무 분장
3) 보행권 시민 확산 온라인 강좌 제작
교통정책에서 우선순위로 추진되어야 할 보행과 관련된 사업들의 필요성
-
등을 녹색교통 내부에서 재정비
보행권 안전속도 보행환경 개선사례 공모전 등 주요한 활동을 돌아보
- , 30, ,
며 보행권의 의미 필요성 활동내용 등을 정리하여 강의자료 형태의 영상
, ,
제작
기존에 보행권과 관련된 활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신 민만기 공동대표
- ,
진장원 이사 내부 활동가 참여
,
- 36 -
4) 뉴스레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활동 알리기
매월 마지막 주금요일 월 회 을 발송일로 지정 를 통해 발송
- ( 1 ) , SMS
녹색교통 활동 소식 두가지를 선정하여 발송
-
부정기적으로 분야별 이슈대응 활동 성명서 기자회견문 등 해당 기간에
- , ,
발송
5) 연간 활동 보고서 제작 및 발송
이미지와 내용이 간략히 정리된 자료로 재가공
-
홈페이지 및 우편으로 후원 회원에게 발송 월
- (3 )
- 37 -
(4) 년 예산계획안
2021
① 녹색교통운동 일반회계
녹색교통운동 일반회계
수입부 단위 원
< > ( : )
수입내역 당기 년 예산
(2021 ) 전기 년 결산
(2020 )
후원‧
기부금
정기후원 50,000,000      38,570,000
일시후원 15,000,000          6,470,400
후원행사 65,000,000        59,470,000
활동사업
수입
프로젝트 사업 150,000,000             137,569,095
유자녀활동 운영비 31,000,000  29,041,370
사업 외
수입
잡수입 7,000,000         6,274,111
수입 총계 318,000,000             277,394,976
지출부 단위 원
< > ( : )
지출내역 당기 년 예산
(2021 ) 전기 년 결산
(2020 )
인건비 급여 101,000,000 86,883,765
일반운영비 복리후생비 세금 임차료 등
, , 35,000,000 35,616,178
회원사업비 도서인쇄비 회원활동비 후원행사비 등
, , 18,000,000 15,247,910
활동사업비 교통 환경분야 사업 연구진 인건비
· ,
150,000,000
인건비
( 100,000,000)
157,412,223
(117,046,240)
연대사업비 활동분담금 회비 후원금 등
, , 4,000,000 3,751,000
사업 외
비용
지급이자 잡손실 고정자산손실 등
, , 10,000,000 10,043,345
지출 총액 318,000,000 308,954,421
- 38 -
② 교통사고유자녀 특별회계
교통사고유자녀 특별회계
수입부
< > 단위 원
( : )
수입내역 당기 년 예산
(2021 ) 전기 년 결산
(2020 )
후원 기부금
‧
정기후원 50,000,000               46,066,000
일시후원 350,000,000             336,512,200
프로젝트 사업비 80,000,000               80,000,000
사업 외 수입 1,000,000                 1,250,587
수입 총액* 481,000,000             463,828,787
지출부
< > 단위 원
( : )
지출내역 당기 년 예산
(2021 ) 전기 년 결산
(2020 )
장학 사업비 250,000,000             247,500,000
교육 사업비 35,000,000               35,810,187
모금 사업비 15,000,000               11,703,838
프로젝트 사업비 120,000,000             101,998,803
유자녀활동 운영비 31,000,000               29,041,370
지출 총액* 451,000,000             426,054,198
당기 수입과 지출 차액 만원은 유자녀 기금 적립금으로 누적
* 3,000 .
- 39 -
5. 기타안건

More Related Content

PDF
2021 kngt
PDF
2020 kngt(0325)
PDF
2022년 녹색교통운동 총회자료집
PDF
[자료집]녹색당 발기인대회 2011.10.30
PDF
녹색교통165호 수정
PDF
녹색교통166(내지)
PDF
소식지169호(1차수정)
PDF
소식지168호(신판)
2021 kngt
2020 kngt(0325)
2022년 녹색교통운동 총회자료집
[자료집]녹색당 발기인대회 2011.10.30
녹색교통165호 수정
녹색교통166(내지)
소식지169호(1차수정)
소식지168호(신판)

Similar to 2021 kngt slideshare (20)

PDF
175호내지(수정) 1
PDF
녹색교통 173호(3차수정)
PDF
녹색교통 제161호
PDF
172호 내지(수정)
PDF
Kngt breif 2020
PDF
170호내지(수정)
PDF
171호 내지
PDF
[보도자료]경유택시 도입 중단 촉구 기자회견
PDF
녹색교통164호
PDF
(12.04.09) 민관합동 tf_6차_회의
PDF
녹색교통163(내지)
PDF
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
PDF
(12.04.30) 민관합동 tf_7차_회의
PDF
(12.02.24) 민관합동 tf_4차_회의
PDF
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
175호내지(수정) 1
녹색교통 173호(3차수정)
녹색교통 제161호
172호 내지(수정)
Kngt breif 2020
170호내지(수정)
171호 내지
[보도자료]경유택시 도입 중단 촉구 기자회견
녹색교통164호
(12.04.09) 민관합동 tf_6차_회의
녹색교통163(내지)
Environmental health policy forum2019
(12.04.30) 민관합동 tf_7차_회의
(12.02.24) 민관합동 tf_4차_회의
환경정의 2016 총회자료집
Ad

2021 kngt slideshare

  • 1. 년 녹색교통운동 정기총회 2021 전 회의록 . Ⅰ 의결 안건 . Ⅱ 임원의 위촉 및 해촉에 관한 건 1. 년 활동보고 감사보고 2. 2020 · 년 결산보고 감사보고 3. 2020 · 년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의 검토 4. 2021 기타안건 5. 폐회 . Ⅲ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길 시민공간 나루 층 26 39 4 전화 팩스 : 02-744-4855 : (02) 744-4844 http://www.greentransport.org
  • 2. - 2 - I. 전 회의록 (1) 년 녹색교통운동 정기총회 회의록 2020 일 시 년 월 일 화요일 오후 시 2020 3 31 2 장 소 녹색교통운동 회의실 참석인원 조강래 이사장 송상석 사무처장 김광일 협동사무처장 박정영 팀장 , , , 회의록 정리 박정영 팀장 ① 개회 조강래 이사장이 총회 성립요건에 대한 보고를 요청하여 김광일 협동사무처 , ○ 장이 지난 월 일 총회개최 일전 에 월 일 개최하겠다고 홈페이지 공 3 16 ( 10 ) 3 26 고 및 회원에게 이메일 문자로 안내 하였으나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총 , , 19 회로 변경된 총회 일정 월 일 을 총회 일 전인 일에 같은 방법으로 재 (3 31 ) 7 24 공지하였다고 보고하다. 또한 현 정관에는 총회 정족수에 대한 조항은 없고 총회에서는 안건 의결 규 , ○ 정만 있어 총회 성립 요건이 충족되었다고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총회 성립 요건이 충족되었으므로 년 녹색교통운동 정 2020 ○ 기 총회를 개회한다고 선언하다 오후 시 분 ( 2 01 ) ② 전차 회의록 검토 및 승인 조강래 이사장이 김광일 협동사무처장에게 전차 회의록에 대해 보고를 요청하 ○ 여 김광일 협동사무처장이 전차 회의록을 보고하다. 전차 회의록 검토와 관련하여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지난 월 일 개최된 3 26 ○ 총회준비 이사회 보고 당시 별다른 의견이 없었다고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전 회의록을 받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05 ) ○ ③ 년 활동보고 및 재정결산보고 2019 조강래 이사장이 년도 활동 보고 및 재정결산보고를 요청하여 김광일 협 2019 ○ 동사무처장이 년 주요 활동을 보고하다 2019 . 김광일 사무처장은 중요한 활동은 총회 자료를 작성하여 홈페이지를 통하여 ○ 회원들에게 공유하였고 년 활동보고 및 감사보고에 대해 건의 서면 , 2019 , 27 결의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 . 조강래 이사장이 년 활동보고 및 감사보고에 대하여 총회 상정안을 승인 2019 ○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11 )
  • 3. - 3 - ④ 감사보고 및 승인 조강래 이사장이 년 결산 보고 및 감사보고를 요청하여 김광일 협동 사 2019 ○ 무처장이 년 결산 및 감사 보고서를 보고하다 2019 .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년 결산보고 및 감사보고에 대해 건의 서면 2019 , 27 ○ 결의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년 결산 보고 및 감사보고에 대해 총회 상정안을 승인 2019 ○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20 ) ⑤ 임원 위촉 및 해촉에 관한 건 1) 이사장의 해촉 및 신임 이사장 선임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이사장의 해촉 및 신임 이사장 선임의 건에 대해 보고를 요 ○ 청하다.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제 대 이사장으로 위촉된 조강래 이사가 이사장직 사 5 ○ 임의사를 밝힘에 따라 해촉해 줄 것으로 요청하다. 또한 총회 준비 이사회에서 현 자동차환경위원회 정용일 위원장을 제 대 신 , 6 ○ 임 이사장으로 총회에서 추천하기로 의결하였다고 보고하다. 이사장의 해촉 및 신임 이사장 선임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받 27 ○ 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 . 조강래 이사장이 이사장의 해촉 및 신임 이사장 선임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안 ○ 을 승인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25 ) 2) 공동대표의 해촉 및 신임 공동대표 선임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공동대표의 해촉 및 신임 공동대표 선임의 건에 대해 보고를 ○ 요청하다.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년 위촉된 진장원 이사가 대표직 사임의사를 밝 2018 ○ 힘에 따라 해촉해 줄 것을 요청하다. 또한 총회준비 이사회에서 신임 공동대표를 추천하고자 하였으나 총회 개최 , , ○ 일까지 적임자를 찾지 못하여 공동대표 선임에 관한 사항을 이사회에 위임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고 보고하다. 공동대표의 해촉 및 신임 공동대표 선임의 건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27 ○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 . 조강래 이사장이 공동대표의 해촉 및 신임 공동대표 선임의 건과 관련하여 총 ○ 회 상정안을 승인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30 ) 3)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에 대해 보고를 요청 ○
  • 4. - 4 - 하다.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임기만료된 인 중 연임의사를 표명한 명 조강래 13 7 ( , ○ 진장원 정용일 김경진 이상 인 법인등기이사 전재완 김성한 조성규 이상 , , [ 4 , ], , , [ 인 에 대해 이사로 재위촉 해 줄 것을 요청 하다 3 ]) .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27 ○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 . 조강래 이사장이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총회 상 ○ 정안을 승인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35 ) 4) 사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해촉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사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해촉의 건에 대해 보고를 요청하 ○ 다.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임기만료 된 인 중 사임의사를 표명한 명 강승필 13 6 ( , ○ 김기준 이문범 이종화 최동호 최정한 에 대하여 임원 해촉을 요청하다 , , , , ) . 사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해촉의 건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27 ○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 . 조강래 이사장이 사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해촉의 건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 ○ 안을 승인 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 2 40 ) 5) 신규임원 위촉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신규임원 위촉의 건에 대해 보고를 요청하다. ○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신규 임원 위촉 전재완 이상 인 등기이사 강광규 ( [ 1 , ], , ○ 고윤화 김동영 김홍석 노현구 박상준 박성욱 박진영 임영욱 장영기 조 , , , , , , , , , 경두 최회명 이상 인 과 관련하여 총회 준비 이사회에서 총 인의 임원을 , [ 12 ]) 13 이사로 총회에 추천하기로 의결하였다고 보고하다. 신규임원 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 27 , ○ 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신규임원 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안을 승인하기로 ○ 하다 오후 시 분 . ( 2 45 ) 6) 감사 위촉의 건 조강래 이사장이 감사 위촉의 건에 대해 보고를 요청하다. ○ 김광일 협동 사무처장이 사임의사를 표명한 최동호 사업감사에 대하여 해촉해 ○ 줄 것을 요청하고 신규감사 위촉과 관련하여 총회준비 이사회에서 신규 사 , 업감사 후보로 백남철 전 녹색교통 임원을 총회에서 추천하기로 의결하였다 고 보고하다. 감사 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27 , ○
  • 5. - 5 - 없었음을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감사 위촉의 건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안을 승인하기로 하다. ○ 오후 시 분 ( 2 50 ) ⑥ 년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 검토 의결 2020 , 조강래 이사장이 년 사업계획 및 예산안에 대한 보고를 요청하다 2020 . ○ 김광일 협동사무처장이 년 주요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에 대해 보고하고 2020 , ○ 이와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을 받았으며 별도의 의견이 없었음을 27 ,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년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안을 승 2020 ○ 인하기로 하다 오후 시 분 .( 3 00 ) ⑦ 정관 변경 안 조강래 이사장이 정관 변경 안에 대한 보고를 요청하다. ○ 송상석 사무처장이 최근 코로나 로 인하여 총회 소집에 어려움이 있어 서면 19 ○ 결의 또는 온라인 총회 가능여부를 검토하여 법무부의 보도자료 등을 통해 서 면결의 방식의 온라인 총회를 개최하였으나 현 정관상 회원 대의원 의 의결권 , ( ) 행사가 총회의 출석으로만 가능하다고 오해할 소지가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 해 회원 총회의 구성과 성립요건 회원총회와 대의원총회의 서면결의 위임가 , , 능 여부를 정관에 포함하고자 한다고 설명하다. 또한 이러한 정관 변경과 관련하여 건의 서면결의 동의를 받았으며 별도의 , 27 , ○ 의견이 없었음을 보고하다. 조강래 이사장이 정관 변경안과 관련하여 총회 상정안을 승인하기로 하다 오 .( ○ 후 시 분 3 05 ) ⑧ 기타안건 조강래 이사장이 서면결의서에 기타 의견이 있었는지 보고를 요청하다. ○ 김광일 협동사무처장이 회원에게 온라인과 서면을 통한 기타 의견을 요청하였 ○ 으나 별도의 의견이 없었다고 보고하다 , . ⑨ 폐회 조강래 이사장이 더 이상의 안건이 없음을 확인하고 폐회를 선언하다 오후 . ( ○ 시 분 3 10 )
  • 6. - 6 - II. 의결 안건 1. 임원의 위촉 및 해촉에 관한 건 순번 성명 구분 소속 및 직책 임 기 1 정용일 이사장 운영위원 / * 자동차환경네트웍 대표 임기중 2 민만기 공동대표 운영위원 / * 녹색교통운동 공동대표 임기만료 3 고윤화 이사 운영위원 / 주 엘프스 수석컨설턴트 ( )   임기중 4 김경진 이사 운영위원 /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정책학과 교수 임기중 5 김도경 이사 운영위원 /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교수 임기만료 6 김성한 이사 운영위원 /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 사무처장 임기중 7 노현구 이사 운영위원 / 인덕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부교수 임기중 8 박상준 이사 운영위원 / 한국교통연구원 지속가능교통연구팀 팀장 임기중 9 이규진 이사 운영위원 / * 아주대학교 지속가능교통연구센터 연구교수 임기만료 10 임영욱 이사 운영위원 /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부소장 임기중 11 전재완 이사 운영위원 /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중점 교수 임기중 12 강광규 이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명예연구위원 임기중 13 김동영 이사 경기연구원 생태환경연구실 선임연구위원 임기중 14 김필수 이사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임기만료 15 김홍석 이사 한국기계연구원 그린동력연구실 책임연구원 임기중 16 박성욱 이사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임기중 17 박진영 이사 서울주택도시공사 해외사업단 단장 SH 임기중 18 배규식 이사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임기만료 19 안기정 이사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임기만료 20 안문수 이사 사 환경영향평가사회 회장 ( ) 임기만료 21 이용상 이사 우송대학교 철도특성화대학교 교수 임기만료 22 이재영 이사 대전세종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선임연구위원 임기만료 23 장영기 이사 수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 임기중 24 조경두 이사 인천발전연구원 기후환경연구센터 센터장 임기중 25 조성규 이사 주식회사 지오라인 대표 임기중 26 진장원 이사*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수 임기중 27 최회명 이사 가천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임기중 28 조강래 이사* 녹색교통운동 고문 임기중 이상 총 명 임기중 명 임기만료 명 28 ( : 19 , 9 ) ※ 법인등기이사 총 명 * : ( 7 )
  • 7. - 7 - (1) 연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재위촉의 건 임기만료된 인 중 연임의사 표명 명 9 7 ○ 민만기 김도경 이규진 김필수 안기정 안문수 이용상 - , , , , , , 연임의사를 밝힌 임원에 대하여 이사로 재위촉해줄 것은 요청함 ○ (2) 사임의사 표명 임원에 대한 해촉의 건 임기만료된 인 중 사임의사 표명 명 9 2 ○ 배규식 이재영 - , 사임의사를 밝힌 임원에 대하여 임원 해촉을 요청함 ○ (3) 감사 위촉의 건 사임 의사를 표명한 김한수 회계 감사에 대하여 해촉해 줄 것을 요청함 ○ 신규 감사 위촉과 관련하여 총회준 ○ 비 이사회 에서 신규 감사 후 (2021.3.30) 보를 총회에 추천하기로 의결함 회계 감사 지현영 법무법인 두루 변호사 - : ( ) (4) 신규임원 위촉의 건 금번 총회에서 신규임원 위촉에 대한 총회준비이사회의 추인은 없었으나, ○ 향후 공동대표를 포함한 임원의 위촉 감사 위촉이 필요한 경우 이와 관 , 련한 사항은 이사회에 위임하여 추인할 것을 요청함
  • 8. - 8 - 2. 년 활동보고 및 활동감사보고 2020 (1) 년 활동보고 2020 ① 노후자동차 운행제한제도 정비방향 도출 연구 1) 제도 정비에 필요한 관련 법령 개정안 마련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안 1 ○ →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조 및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 - ‘ ’ 18 ‘ 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조를 개정하여 운행제한의 대상과 지역을 환경 ’ 9 부장관이 정하도록 변경하는 것을 안으로 제안 1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안 2 ○ → 운행제한 제외의 대상을 등급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운행제한대상을 - 1~4 5 등급으로 한정하고 특정경유자동차 와 경유자동차 를 특정자동차 와 자 ‘ ’ ‘ ’ ‘ ’ ‘ 동차 로 변경하고 그 범위를 환경부령으로 정하도록 개정 운행제한제도에 ’ , 의한 과태료 중복부과 방지를 위한 방안을 제시 운행제한지역을 법에 명 , 시하여 설정하고 위반한 자동차 소유주에 대한 과태료의 부과방안을 신설 2) 제도 정비방향에 대한 의견수렴 지자체 공무원과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운행제한조치는 필요하지 않다 ‘ ○ 와 필요하다 로 의견이 갈렸으며 이유는 지역 형평성과 개 (74%)’ ‘ (83%)’ , ‘ 인재산권의 침해 와 오염물질 차량의 조기퇴출효과 로 갈렸음 (48%)’ ‘ (64%)’ . 근무지와 상주지에서의 운행제한에 대한 의지도 보통이다 약하다 ‘ (34%)’ ‘ 와 강력하다 보통이다 로 갈렸음 운행제한의 위해 가 (34%)’ ‘ (31%)’ ‘ (38%)’ . 장 시급하고 중요한 조치는 시민홍보 및 교육 이라는 점에서 ‘ (37%, 26%)’ 는 일치했지만 공무원은 예산확보 와 전담인력 배치 를 전문가 (27%) (27%) , 는 법적기준마련 을 높게 꼽으며 의견이 갈렸음 지역에서 효과적인 (27%) . 운행제한 제도로는 순위로 계절관리제 를 꼽으며 일치했지만 2 (59%, 53%) 공무원은 순위로 비상저감조치 를 전문가는 순위로 를 1 (84%) , 1 LEZ(56%) 꼽았고 순위도 공무원은 를 전문가는 비상저감조치 를 , 3 LEZ(52%) , (51%) 꼽으면서 의견이 갈렸음. 이는 공무원과 전문가가 바라보는 운행제한제도의 방향에 대해 의견이 반 ○ 영된 것으로 보이며 공무원의 경우 현업에 종사하면서 실제 제도 시행이 시행되었을 경우 우려될 상황들에 대한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고 전 , 문가의 경우 당장 닥친 현재보다는 조금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의견들
  • 9. - 9 - 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됨 3) 결론 및 제안 사항 노후차 운행제한제도의 단계적 강화 및 정비 필요 ○ 운행제한 대상이 되는 자동차의 환경등급을 단계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제 - 도 시행의 취지에도 부합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 저감을 위해서는 향후 단계적인 제도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노후경유차 중심의 운행제한에서 향후에는 유럽의 사례처럼 휘발유 가스 - , 차 등 노후 내연기관차량 전반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임 현행 제도나 서울시의 녹색교통지역과 같은 상시적인 운행제한 제도 - LEZ 는 그 시행지역을 자동차 운행이 빈번하며 대기오염 우려되는 지역 및 도 심지역 등으로 설정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으며 계절관 (CBD) , 리제 시행에 따른 운행제한의 경우 이보다 넓은 지역이나 대형경유차 운 행이 빈번한 항만지역 등과 같은 노후차 운행제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역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음 비상저감조치에 따른 운행제한의 경우 제도 취지로 볼 때 예외 없이 전국 - 적 규모에서 시행되는 것으로 하되 지자체별로 상이한 운행제한 제외대상 영업용 등 을 통일할 필요가 있음 ( ) 노후차 운행제한제도의 효과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제고 ○ 제도시행에 따른 국민들의 불편 및 민원 등에 대한 우려와 함께 지자체별 - 대기오염중점관리 대상이 상이한 문제 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분석되며 국 민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제도시행이 가지고 오는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 식이 부족함을 방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노후차 운행제한 지역을 상시적으로 운행하려는 운전자가 자발적으로 단 - 속예외에 해당한다는 것을 차량 외부에 등급표지를 의무적으로 부착하게 함으로써 제도시행에 대한 간접적 홍보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적정한 등 . 급표지가 부착되지 않은 차량에 대한 시민감시 등에 활용할 수 있음
  • 10. - 10 - ② 코로나 상황에서의 교통수단 변화에 관한 분석과 대안 제시 19 코로나 가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수도권 교통수단 이용은 어 19 ○ 떻게 변했는지 그리고 향후 이러한 상황이 재발할 경우 교통에서의 중요 , 한 역할을 담당하는 대중교통 이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어떤 대안이 필 요한지 국내외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대안 마련을 위한 세미나를 진 행해 해답을 찾고자 함. 1) 코로나 상황에서의 대중교통 수요변화 19 국내 문헌 조사 통계자료 및 학술자료를 통해 코로나 상황에서의 교 , 19 ○ 통수단 분담률 및 교통량을 확인한 결과 감염병 발생 이후 대중교통 이 , 용이 급격히 감소했고 승용차 이용은 점차 증가한 것으로 판단됨. 구분 월 ‘19.03 월 ‘20.01 월 ‘20.03 증감률 월 ‘19.03 대비 월 ‘20.01 대비 도로 교통 교통량 천대 일 ( / ) 5,416 5,304 4,959 -8.4% -6.5% 대중 교통 지하철 이용자수 천명 일 ( / ) 5,652 5,595 3,666 -35.1% -34.5% 버스 이용자수 천명 일 ( / ) 5,263 5,457 3,814 -27.5% -30.1% 공유 교통 따릉이 이용건수 건 일 ( / ) 29,863 26,996 36,821 +23.3% +36.4% 서울시 통행 변화 및 증감률 전년 대비 평일 기준 ( ) 2) 대중교통 수요감소에 따른 부작용 대중교통 수요가 줄어듦에 따라 운송회사의 수익 악화 발생 현재 코로나 . ○ 확산 이후 대중교통 분담률이 비교적 높은 수도권의 경우 서울지하철 19 , 노선별 이용자 수는 작년 대비 이상 감소했고 서울과 경기도 버스 30% , 의 경우 까지 이용률이 급감 년 월 초부터 월 말까지 시내버 40% . 2020 2 9 스 억 원 시외버스 억 원 고속버스 억 7,739 (24.7%), 5,110 (56.7%), 2,349 원 등 지난해 대비 조 억 원에 이르는 매출 감소 (50.7%) 1 5,000 . 현재 운송업계가 사업을 영위하기 불가능한 상황에 놓이게 됨 이로 인해 . ○ 정부 고용유지지원금 제도를 활용해 파국을 모면하고 있는 업체들도 존 재 반면 상당수 시외버스업체는 어려운 상황에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 . 고 휴업 휴직 중 · . 결국 대중교통 서비스 자체가 무너질 위험에 처해 있고 그 피해는 모두 , , ○
  • 11. - 11 - 시민들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음 결국 업체는 적자 폭을 줄이기 위해 구 . , 조조정 불합리한 아웃소싱 비정규직 전환과 같은 결정을 내리게 되고 , , , 이는 결국 배차시간 증가 서비스 질 하락 안전사고 발생의 연속적인 대 , , 중교통 이용의 하락으로 나타날 수 있음. 3) 코로나 확산에 따른 여객 수송부문 정책 대안들 19 · 대중교통에 대한 관점 변화 ○ 도시 도로공간 재구조화 ○ 기술을 통한 새로운 대중 교통 운영 서비스 마련 IT ○ 대중교통 수요 혼잡도 개선 ○ ‧ 대중교통 서비스 및 보건 강화 등 ○ ③ 녹색교통수단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활동 승용차 대신 자전거를 탔을 때와 대중교통 대신 자전거를 탔을 때 줄일 , ○ 수 있는 온실가스의 양은 차이가 있음. 자전거를 다른 교통수단 대신 탔을 때 줄일 수 있는 온실가스의 양이 각 ○ 각의 경우에 따라 다를 것이고 이를 실제 자전거 이용 시 어떻게 적용해 , 서 감축한 온실가스의 양을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인지 찾아보고자 함. 1) 자전거 이용 시 온실가스 감축량 계량화 및 효과 환산 차량 운행 시 예상 발생량은 로 계산됨 이를 포 1km 152.5~231.3g CO2 . ○ 인트로 환산하면 포인트 당 포인트 수준 따라서 마일리지는 19 (1g 0.1 ) . , 당 약 포인트 지급이 적정수준 1km 20 (차량 주행 시 발생량은 1km CO2 200g CO2 로 계산 이며 이를 금액으로 환산 시 약 원 포인트당 원 ) ) , 60 (1 3 ) 으로 환산 가능. 일 평균 약 포인트 약 원 (1 6.8km, 136 , 400 ) 일평균 인 마일리지 포인트 포인트 금액환산 시 원 일 - 1 : 6.8km×20 /km=136 ( 400 / ) 월평균 인 마일리지 일평균 마일리지 월평균 자전거이용일수 - 1 : × 포인트 일 포인트 = 6.8km×20 ×15 =2,040 금액환산 시 약 원 월 ( 6,000 / ) 연평균 인 마일리지 월평균 마일리지 개월 포인트 - 1 : ×12 =24,480 금액환산 시 약 원 년 ( 73,000 / ) 자전거 주행시 온실가스 감축효과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안
  • 12. - 12 - 2) 자동차 배출가스 배출량에 따른 마일리지 기준결정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을 산정하기 위해 년 기준 서울시 2018 ○ 승용차 유종 배기량별 등록 대수 일 평균 주행거리 사회적 비용 온실 / , 1 , , 가스 배출량을 검토함. 검토 결과 승용차 마일리지 에코마일리지 탄소포인트제의 제도와 급간에 , , ○ 따라 달라지긴 하나 받을 수 있는 마일리지의 상한가는 각각 만 원 , 7 , 5 만 원 만 천 원으로 확인됨 , 3 5 . 서울시의 데이터를 사용했고 이동 거리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하 ○ 는 캠페인이므로 승용차 마일리지의 상한가인 만 원 적용했음 7 . 서울시 승용차 자가용 년 기준 대당 온실가스 사회적 비용 단위 원 대 년 (* / / , 2018 , : / / ) 구분   휘발유 경유 LPG CNG LNG 하이브리드 총합계 미만 1000cc 54,022 98,838 70,632 - 49,349 53,501 1000~1600cc 53,060 74,729 56,694 131,180 52,962 54,501 1600~2000cc 97,377 116,220 113,134 164,236 88,512 104,678 이상 2000cc 132,037 136,227 138,438 197,844 121,822 133,090 총합계 102,448 122,868 115,237 187,814 103,830 109,010 서울시 승용차 자가용 년 기준 대당 온실가스 사회적 비용 / / , 2018 서울시 대당 온실가스 배출의 사회적 비용은 대당 원임 109,010 ○ 서울시 승용차 자가용 년 기준 대당 온실가스 사회적 비용 단위 원 대 년 (* / / , 2018 , : / / ) 최대 만 원 전제 시 * 7 구분   휘발유 경유 LPG CNG LNG 하이브리드 총합계 미만 1000cc 28,413 51,985 37,150 - 25,956 28,139 1000~1600cc 27,907 39,305 29,819 68,996 27,856 28,666 1600~2000cc 51,217 61,127 59,504 86,382 46,554 55,056 이상 2000cc 69,446 71,650 72,813 104,058 64,073 70,000 총합계 53,883 64,624 60,610 98,783 54,611 57,335 서울시 승용차 자가용 년 기준 대당 온실가스 사회적 비용 / / , 2018 최대 마일리지를 만 원으로 설정할 경우 배기량별 마일리지를 재산정하 7 , ○ 며 대형승용차의 경우 만 원으로 산정됨 해당 자동차 소유자가 년 동 , 7 , 1 안 자동차 이용을 포기하고 자전거 보행을 이용하였을 경우임 /
  • 13. - 13 - ④ 홍보 모금 활동 , 1) 온라인 모금함을 통한 꾸준한 모금 활동 네이버 해피빈 총 모금금액 원 개 모금함 개설 [ ] : 25,997,100 (9 ) ◌ 다음 같이 가치 총 모금금액 원 개 모금함 개설 [ ] : 9,001,400 (2 ) ◌ 2) 영상제작 사람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 영상 시리즈 제작 궁금한 이야기 ( ○ G) 활동내용을 영상 컨텐츠로 제작 교통사고유자녀 지원 ( ) ○ 3) 온라인 캠페인을 통한 일시 정기 후원자 모집 / 교통사고 피해가정 응원 캠페인 ○ 영원히 끝나지 않을 피해 교통사고 피해가정 아이들의 이야기 컨셉 진 - ‘ , ’ 행 리멤버 녹색교통 캠페인 ! ○ 리멤버 녹색교통 컨셉으로 년대 초반 녹색교통 졸업생들을 대상으 - ‘ ’ 2000 로 정기후원 유치 및 확대를 목표 기존의 추억을 회상하고 현재 본인의 . 이야기를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는 컨셉으로 컨텐츠를 제작 진행 차 (3 ) 4) 지속적인 활동소식 안내 뉴스레터를 통해 정기적으로 활동소식 안내 정기뉴스레터 주간 비정기 : ( ), ○ 뉴스레터 발송 후원회원 대상 연간 활동 요약집 제작 및 발송 ○ 녹색교통 활동 소책자
  • 14. - 14 - 5) 회원 가입 관리 개편 , 웹연동 시스템으로 회원가입 절차 개편 MRM ○ 보다 편리한 회원가입 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 진행 - 녹색교통 정기 일시후원 페이지 / 회원관리 및 감사인사 전달 체계화 정기 후원자 가입주기별 감사인사 전 : ○ 달 ⑤ 유자녀 지원사업 진행 1) 미취학 및 교통안전공단 미지원 대상 장학사업 년 장학금 지급내역 2020 실급구분 구분 미취학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합 계 녹색교통 장학금 일반기금 만원 1,025 만원 125 만원 30 만원 70 만원 명 1,250 (14 ) 외부추천 장학금 중 내부 지급 장학금 손해보험 KB 만원 360 만원 960 만원 160 만원 1,080 만원 명 2,560 (16 ) 다이렉트 AXA - - - 만원 50 만원 명 50 (1 ) 코리안리 만원 1,440 만원 2,640 만원 360 만원 720 만원 명 5,160 (23 ) 현대모비스 만원 360 만원 5,670 만원 2,520 만원 4,590 억 만원 명 1 3,140 (36 ) 외부장학금 만원 540 만원 1,140 - 만원 720 만원 명 2,400 (10 ) 총 계 만원 3,725 1억 만원 535 만원 3,070 만원 7,180 억 만원 명 2 4,510 (100 ) 2) 미취학 초 중 고 신규 장학생 선발 · · · 상반기 명 하반기 명 총 명 선발 학년별로 미취학 명 초등학생 5 , 5 10 . 5 , 1 ○ 명 중학생 명 고등학생 명 , 2 , 2 . 3) 대학생 장학사업 지원내역 ○ 학기 명 학기 명 총 명 선발 학기당 만 원 학기별 지원 - 1 15 , 2 16 31 , 150 ( )
  • 15. - 15 - 4) 교통사고 피해가정 물품 지원사업 지원 물품 도서 또는 교복 중 택 : 1 ○ 학기 [1 ] 신청기간 도서 원 가정 ( ) : 13,811,080 , 66 ○ 신청기간 교복 원 가정 ( ) : 3,667,000 , 14 ○ 학기 [2 ] 신청기간 도서 원 가정 ( ) : 13,354,670 , 57 ○ 신청기간 교복 원 가정 ( ) : 741,000 , 4 ○ 5) 지역별 교육프로그램 경상지역 모임 ○ 일시 월 일 토 - : 1 11 ( ) 참가자 장학생 명 졸업생 명 실무자 명 - : 5 , 1 , 3 프로그램 석고뱡향제 만들기 및 보드게임 - : 수도권 중 고등 모임 · ○ 일시 월 일 화 - : 1 14 ( ) 참가자 장학생 명 실무자 명 - : 6 , 3 프로그램 스포츠 체험 및 영화관람 - : 코로나 로 인하여 월부터 문화체험활동 잠정연기 * 19 2 . 6) 가정 심리치료 지원 마음치유 프로그램 : 지원 현황 ○ 총 세 가정 천안 부산 전주지역 상담진행 - ( , , ) 안 빈 모 부산 심리상담연구소와 연계하여 회기 지원 - , 15 ○ 조 영 모 전주 헬로스마일과 연계하여 회기 지원 - , 10 ○ 송 재 모 천안 불당 상담센터와 연계하여 회기 지원 - , i 10 ○
  • 16. - 16 - ⑥ 사무처 운영 및 후원행사 1) 총회 일시 년 월 일 화요일 오후 시 : 2020 3 31 2 ○ 장소 녹색교통 사무실 : ○ 참석인원 조강래 이사장 외 사무처 인원 : ○ 코로나 로 인해 온라인 서면 총회로 진행됨 * 19 & 2) 이사회 차 이사회 년 월 일 목 오후 시 1 : 2020 3 26 ( ) 5 ◌ 차 이사회 년 월 일 금 오후 시 2 : 2020 5 29 ( ) 4 ◌ 차 이사회 년 월 일 목 오후 시 분 3 : 2020 10 29 ( ) 6 30 ◌ 3) 운영위원회 제 차 운영위원회 년 월 일 목 오후 시 분 삼우정 1 : 2020 3 12 ( ) 6 30 , ◌ 제 차 운영위원회 년 월 일 수 오후 시 분 삼우정 2 : 2020 7 1 ( ) 6 30 , ◌ 제 차 운영위원회 년 월 일 화 서면 3 : 2020 12 1 ( ), ◌ 4) 후원행사 창립 주년 년 녹색교통 온라인 후원의 밤 한걸음 만 더 27 2019 , ‘ ’ : 2020 ○ 년 월 일 일 주일간 9 8 ~ 15 (1 ) 녹색교통운동 연말 모금 캠페인 너 하나 나 하나 년 월 일 ‘ ’ : 2020 12 14 ~ ◌ 일 주일간 31 (2 )
  • 17. - 17 - (2) 활동감사 보고서
  • 19. - 19 - 3. 년 결산보고 및 회계검토의견서 보고 2020 (1) 년 재정결산 보고 2020 ① 재무상태표 통합 ( ) 재무상태표 통합 ( ) 당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20 1 1 ~ 2020 12 31 전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19 1 1 ~ 2019 12 31 구 분 년 당기 2020 ( ) 년 전기 2019 ( ) 증감 유동자산 은행예금및현금 ( ) 264,926,710 234,184,820 30,741,890 일반회계 < > 23,826,654 13,072,819 10,753,835 특별회계 < > 241,100,056 221,112,001 19,988,055 고정자산 건물및비품 ( ) 385,608,000 385,798,516 -190,516 자산 총계 650,534,710 619,983,336 30,551,374 유동부채 단기차입금 등 ( ) 320,816,215 106,419,985 214,396,230 고정부채 은행대출금 ( ) - 210,000,000 -210,000,000 부채 총계 320,816,215 316,419,985 4,396,230 자본금 308,639,887 308,639,887 - 미처분 이익잉여금 차이 이월 이익 ( ) 21,078,608 -5,076,536 26,155,144 자본 총계 329,718,495 303,563,351 26,155,144 부채 자본 총계 650,534,710 619,983,336 30,551,374 단위 원 ( : )
  • 20. - 20 - ② 손익계산서 통합 총수지 ○ 녹색교통 일반회계 및 유자녀 특별회계 통합 총수지 원 일반회계 유자녀 특별회계 = 26,155,144 ( + ) 손익계산서 녹색교통 일반회계 ( ) 당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20 1 1 ~ 2020 12 31 전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19 1 1 ~ 2019 12 31 구분 년 당기 2020 ( ) 년 전기 2019 ( ) 증 감 후원‧ 기부금 정기후원  38,570,000  37,341,100 1,228,900 일시후원 6,470,400 14,886,270 -8,415,870 후원행사 59,470,000 63,923,000 -4,453,000 활동사 업수입 프로젝트 사업비 157,569,095 200,252,364 -42,683,269 유자녀활동 운영비 29,041,370  27,928,905 1,112,465 사업 외 수익 6,274,111     9,675,131 -3,401,020 총계 297,394,976  354,006,770 -56,611,794 수입부 < > 단위 원 ( : ) 구 분 년 당기 2020 ( ) 년 전기 2019 ( ) 증 감 인건비 86,883,765 105,525,622 -18,641,857 일반 운영비 35,616,178 39,960,077 -4,343,899 회원 사업비 15,247,910 13,255,310 1,992,600 활동 사업비 157,412,223 인건비 ( 117,046,240) 210,202,469 -52,790,246 연대 사업비 3,751,000 4,394,400 -643,400 사업외비용 10,043,345 10,033,174 10,171 총 계 308,954,421 383,371,052 -74,416,631 지출부 < > 단위 원 ( : ) 수입 지출 < > < > 년 녹색교통 일반회계 총수지 2020 총수입 총지출 원 : (297,394,976) - (308,954,421) = -11,559,445
  • 21. - 21 - 손익계산서 교통사고 유자녀 특별회계 ( ) 당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20 1 1 ~ 2020 12 31 전기 년 월 일 년 월 일 2019 1 1 ~ 2019 12 31 수입부 < > 구 분 년 당기 2020 ( ) 년 전기 2019 ( ) 증 감 후원‧ 기부금 정기후원 46,006,000 47,760,0001) -1,754,000 일시후원 336,512,200 258,149,01722) 78,363,183 프로젝트 사업비 80,000,000 78,800,000 1,200,000 사업외수입 1,250,587 1,443,569 -192,982 총 계 463,768,787 386,152,586 77,616,201 단위 원 ( : ) 주 전기 년 원의 일시후원금이 정기후원금으로 기장 오류로 이를 정정함 1),2) (2019 ) 6,076,200 . 지출부 < > 구 분 년 당기 2020 ( ) 년 전기 2019 ( ) 증 감 장학 사업비 247,500,000 212,960,370 34,539,630 교육 사업비 35,810,187  42,907,226 - 7,097,039 모금 사업비 11,703,838 7,944,089 3,759,749 프로젝트 사업비 101,998,803      77,596,720 24,402,083 유자녀활동 운영비 29,041,370 27,928,905   1,112,465 총 계 426,054,198 369,337,310 56,716,888 단위 원 ( : ) 수입 지출 < > < > 년 녹색교통 유자녀 특별회계 총수지 2020 총수입 총지출 원 : (463,768,787) - (426,054,198) = 37,714,589
  • 22. - 22 - ③ 참고자료 년 총수입 원 총지출 원로 활동하였으며 2020 761,163,763 , 735,008,619 , ○ 전체수지는 원으로 결산되었음 +26,155,144 녹색 일반회계는 년 대비 후원금 원 과 프로젝트 활동비 2019 (-12,868,870 ) ○ 원 가 감소 되었음 이는 코로나 의 직 간접적 영향으로 후 (-42,684,269 ) . 19 · 원 행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연초 기획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못하 , 여 발생함. 유자녀 특별회계는 일시후원의 증가 로 정기후원의 소폭 감소 (+78,363,183) ○ 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활동이 가능하였으며 후원금 증가에 따라 지출 , 이 전년보다 증가하였음. 전체 살림 규모는 자산 으로 년 원 을 고려 650,534,710 2019 (619,983,336 ) ○ 하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전체 규모에서 유자녀 활동의 자산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 교통 환경 · ○ 분야의 활발한 활동을 통한 후원금 프로젝트 수입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 , 음. 일반회계의 지출 비목 내역 ○ 지출 비목 내용 인건비 사무처 급여 일반운영비 복리후생비 세금 임차료 등 , , 회원사업비 회원활동비 도서 인쇄비 후원행사비 등 , · , 활동사업비 교통 환경 프로젝트 사업비 연구진 인건비 · , 연대사업비 활동분담금 타 단체 회비 및 후원금 등 , 사업외 비용 지급이자 잡손실 고정자산 손실 등 , ,
  • 23. - 23 - (2) 년 회계검토 의견서 2020 김한수 회계감사의 사임의사 표명으로 금번 총회에서는 외부 인사의 회계 ○ 검토 의견서로 총회에서 승인해 줄 것을 요청함
  • 24. - 24 - 4. 년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의 검토 2021 (1) 년 주요 키워드 2021 그린뉴딜 기후위기 탄소중립 코로나 # # # # 19 개인형이동장치 자전거 보행 #PM( ) # # 대중교통재정지원 신공항건설 온실가스 미세먼지 # # # # 보궐선거 대선 지방선거 택시 주택공급정책 # # # # # (2) 녹색교통운동 활동 방향 ① 미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사람이 중심인 친환경 교통의 확대 :「 」 ② 비전 시민들의 보행권 확보 및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 활성화에 기 : 「 여」 ③ 년 활동방향 2021 : 친환경 교통수단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활동 자동차 배출가스 줄이기 - : , 대중교통 서비스 확대 보행 자전거 이용 환경 개선 , / /PM 안전하고 편리한 녹색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시민 캠페인 자전거 보행 - : /PM, 교통사고 피해 가정 지원 장학금 지원 규모 개선 부모의 심리적 안정 프로그램 - : , 확대 (3) 년 주요 활동 2021 ① 기후위기 그린뉴딜 등 최근 환경 이슈와 관련된 교통분야의 관련 제도 , 정비 활동 1) 노후자동차 운행제한제도 개선을 위한 대기관리권역 특별법 개정 활동 사업목적 및 배경 ○ 년 환경부와 진행한 노후자동차 운행제한제도 정비방향 도출 연구 - 2020 ‘ ’ 를 통해 미세먼지 특별법 과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 ‘ ’ ‘ 법 에서 운행제한의 대상과 지역을 변경하는 안을 환경부에 제안 ’ 당시 노후경유차 운행제한제도의 도입 시기 및 조정의 내용을 포함하는 -
  • 25. - 25 -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국회등에 입법과 ‘ ’ 개정 운동 진행 ○ 사업내용 지역별 지자체별 운행제한 제도의 도입 시기 및 조정의 내용을 환경부 - , 장관이 고시하도록 변경하고 운행제한 대상에 해당하는 자동차 등급의 , 범위와 시행 시기를 시행 규칙에 명시하여 년차별 단계적으로 강화 / 여전히 남아있는 제도별로 상이한 과태료 문제 해결을 위해 부과기준을 - 별표에 명시 ○ 사업추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와 상반기 중 공청회 순회 토론회 형태로 진행 가능 - , ( ) 한 개별의원이 아닌 협의체 구조로 확대를 고려하여 진행 시민사회 환경회의 전문가 영역에서 공감대를 높을수 있는 제안으로 확 - ( ), 대 2) 등급 이외 배출가스 저감이 필요한 등급 차량에 대한 중앙정부의 저감 대 5 책 마련 제도화 사업목적 및 배경 ○ 년 환경부 사업에서 다루지 못한 등급 이외차량 등급 에 대한 저 - 2020 5 (3~4 ) 감 방안 마련을 위한 사업으로 중 대형차량과 비도로부문 오염까지 고려 / 하는 확대 조사 연구 사업 시행중 월 완료 (2021.4 ) 사업내용 ○ 현행 저감장치 부착 및 조기폐차에 관한 지원제도의 현황 및 근거자료 수 - 집하여 제도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우선적으로 환경부 소관법률 위주 로 개편하고 필요에 따라 유관 법령까지 일부 검토 현재 또는 장래 가 시행될 지역의 저감장치 부착 및 조기폐차의 대상 - LEZ 이 되는 차량의 대수를 파악하여 연차별 예산규모 제시 배출가스 등급 차량의 저감사업 진행시 휘발유 및 가스차는 삼원촉매장 - 4 치 부착사업으로 진행 대안은 조기폐차 중심으로 진행하되 최근 예산 편 , 성은 저감장치 부착사업을 일몰하고 조기폐차 쪽으로 조금 더 기우는 추 세 최근 정부의 선언에 따라 톤 화물차에 대한 전기차 개 - 2050 Net Zero 1 조사업을 검토하고 신규사업 도출 시 선박 농기계 등 비도로 부문을 포 ,
  • 26. - 26 - 함해 이에 대한 타당성 검토 현재의 건설기계 종 덤프트럭 콘크리트 펌프 콘크리트 믹서트럭 굴삭기 지 - 5 ( · · · · 게차 외 다른 건설기계의 저감사업 포함 기준 또는 정밀검사 기준 등 기 ) 술적 제시 ○ 사업추진 한국자동차환경협회 사업으로 현재 연구용역 진행중 - 향후 연구진 한국자동차연구원 아주대학교 인덕대학교 녹색교통운 - (KEI, , , , 동 회의를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한 후 환경부에 제안 ) 3) 공공버스 에코 운전시스템 모니터링 및 정책 확대방안 마련 사업목적 및 배경 ○ 수송부문의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저감 효과 측정을 위해 대중교통의 중 - 요 수단 중 하나인 버스의 연비 개선 효과를 조사하고 향후 도입이 필요 한 지자체에 제안 사업내용 ○ 운전시스템은 시내버스의 연비 효율을 증진시키고 난폭운전을 방지하 - ECO 며 안전운행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 장비 수송부문의 에너지 저감 효과측정을 위해 기존 버스회사 또는 지자체에 - 서 운영하고 있는 운전시스템의 도입전과 후 연비개선의 효과 조사 ECO 현재 에코운전시스템은 서울 대전 대구에서는 모든 시내버스에 적용을 - , , , 부산 경기 안양 고양 인천 창원에서는 부분 적용하여 운영중 , ( , ), , 적용 전후 연비효과 개선과 기타 장 단점에 대해 조사 및 평가후 결과를 - , 토대로 각 지자체별로 확산할수 있는 방안 수립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전문가 의견 수렴 정책 방안 수립 - , 사업추진 ○ 현재 수송 에너지 연비 효율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중인 정부산하기관인 - 한국에너지공단의 연구 과제로 진행 예정 수의계약 월중 ( 3 )
  • 27. - 27 - ② 교통 수송부문 기후위기 대응 정책 제안 및 조사 활동 / 1) 지속가능하고 정의로운 탄소중립 수송부문 정책과제 마련 정책위원회 활 , ( 동) 사업목적 및 배경 ○ 정부는 년 월 한국판 뉴딜 그린뉴딜 과 년 월 일 탄 - 2020 7 ( ) , 2020 10 28 2050 소중립 계획과 함께 월에는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하였음 12 수송부문에서는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 내연기관 친환경차 과 새로운 기 - ( ) → 술을 활용한 교통시스템의 효율화 지능형교통시스템 자율주행 드 ( (C-ITS), , 론텍 등 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고 탄소중립 선언의 실행을 위한 세부 정 ) 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음 그린 모빌리티 확대 빅데이터 자동차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한 - LEZ, , 자동차의 이용 수요를 줄이고 친환경 수단으로의 전환에 대한 방안 논의 , 가 필요한 상황임 이에 정부와 지자체가 탄소중립을 위해 추진해야할 정책 과제를 의 - NGO 관점에서 발굴하고 제안할 필요가 있음 ○ 사업내용 도시 교통 환경문제 등과 관련된 전문적인 사항에 대한 조사 연구 및 - , , , 정책대안 마련하는 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위원회 구성하고 전문가 포럼 토론회 기획기사 이슈 페이퍼 발간 등을 진행 , , , 정책위원회 구성 정책위원장 송상석 정책위원 운영위원 및 내부이 - : : / : 사 외부 전문가 결합 , 전문가 포럼 주요 논의 과제 탄소중립 수송 포럼 - 2050 「 – 」 탄소중립을 위한 도시 정책과 교통 정책의 방향 · 2050 지자체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방안 재정 지원 필요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 , 수요응답형 버스 운영등 서비스 개선방안 준공영제 운영의 개선방안 , ) 보행 및 자전거 활성화 교통 체계에서의 역할 이용 활성화 필요성 · /PM : , 운행차 수요 감소 정책 지자체 확대방안 운행제한제도 혼잡통행료 · : (LEZ), , 녹색교통진흥지역 등의 지자체 확산과 관련한 법 제도의 정비방안 /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의 연차별 확대방안 내연기관 등록금지 친환경차 · : , 의무판매제 등 자동차 소비구조 전환을 위한 전략 과제 내연기관 산업전환 친환경차 관련산업 · : , 지원 일자리 전환 저탄소차 협력금 등 , ,
  • 28. - 28 - 공론화를 위한 토론회 가제 수송부문 탄소중립 그린뉴딜로 가 - : “ : 2050 , 능한가?” 사업추진 ○ 전문가 포럼 - 상반기 월 회 포럼 진행 월 총 회 이상 각 주제별 발제 · : 2 : 4~6 ( 5 ), 토론 및 의견수렴 1~2, 하반기 정책제안을 위한 제안서 작성 월 · : (7~9 ) 정책 대안 내용은 정책위원회 또는 사무처 활동에서 정부 및 지자체에 제 - 안하고 환경단체와 연대하여 수송부문 정책으로 적극 제안 사무처 이슈페이퍼 발간 월별 성명서 논평 언론 기획기사 칼 · : (Brief , ), , , ( 럼 영상제작 시민 켐페인 ), , 위원회 활동 탄소중립위원회 대통령직속 심의의결기구 환경부 민간환 · : ( ), 경정책협의회 서울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 에너지정책위원회 참여 , · 교통연구원 그린뉴딜 관련 수송분야 정책 제안 · 환경단체 한국환경회의 기후위기비상행동 시민사회연대기구 등 탄소중 · ( , ), 립 논의그룹과 연대 수송부문 영역에서의 정책 제안 참여 , 2) 버스 대중교통 서비스의 지속적인 운영과 확대를 위한 중앙정부 지원 법 , 제도화 활동 사업목적 및 배경 ○ 지하철과 버스 등 수도권 및 지방의 대중 교통 운영상의 어려움이 발생하 - 고 있어 현재 지자체 예산으로만 지원되는 상황에서 중앙 정부의 대중교 통 운영에 대한 지원이 필요 대중교통에 지원할수 있는 정부의 운영지원에 관한 방안을 마련하고 민간 - 에는 정부지원과 관련하여 운영 회사의 책임에 대한 이슈 문제점 개선 , 방안 마련 사업내용 ○ 대중교통 지원과 관련된 여러 관련법 제도를 검토하고 관련법 개정안 마 - 련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교통시설특별회계법 여 : , , 객자동차 운수사업법 도시철도법 교통기본법 제정 , , ( ) 개정안으로 법률자문 최종 개정안 마련 입법부 국회 와 공청회 또는 연 - , , ( )
  • 29. - 29 - 대기구 기후위기 그린뉴딜 와 협업하여 개정 공론화 ( , ) 군 중소 중대 도시의 대중교통운행실태 현황 운행거리수송량 변화 등 - , , , 이동량에 대한 데이터 확보 및 대중교통 운영자 버스 에 대한 조정 협의 ( ) , 등 워크샵 토론회 진행 , 사업추진 ○ 공공교통네트워크 등과 개정안 논의 법 제도 개선방안 지역 단체 경기도 - , 수원 성남 등에 제안하여 연대강화 중앙정부와 국회 개정법안 제출 ( , ) , 기후위기비상행동 등 그린뉴딜 기후위기 대응 정책 활동으로 제안 - / 3) 도로변 교통량 변화에 따른 미세먼지 개수 변화 모니터링 (PN) 사업목적 및 배경 ○ 자동차 운행이 많은 도심과 도로 주변에서의 나노미세먼지 배출현황이 전 - 혀 파악되어 있지 많으며 자동차의 미세먼지 개수 관리정책과 대책도 수 , 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 정부의 미세먼지 모니터링은 와 중심으로 농도에 집중하고 - PM 2.5 PM 10 있지만 이와 별개로 국민건강 차원에서 개수 관리도 필요한 상 (Number) 황 도로변 교통량 변화에 따른 미세먼지 개수 변화 측정 및 기초자료 발간 - 사업내용 ○ 연도별 기간별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정책의 효과측정을 위하여 주요 간 - , 선도로변 미세먼지 개수를 정기적으로 측정 분기별 또는 반기별 교통량 ( , , 측정소와 미세먼지 측정소가 동일한 장소 선정 예 신촌 동작대로 시흥 , : , , 로) 기존의 복잡한 조사과정을 간소화 하고 조사 시간과 횟수를 늘려 데이터 - 축적하고 향후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그 변화량과 정책의 효과등을 평가 소개하는 소책자 및 브로셔 제작 정책제안 기초자료로 활용 , , 정기적 측정을 통한 데이터 축적 향후 정부에 정책 제안 가능한 수준의 - , 브리프 또는 보고서 발간 , 사업추진 ○ 서울연구원 작은연구 또는 자체예산 추진 - ,
  • 30. - 30 - 4) 연비 운전을 통한 자동차 온실가스 미세먼지 절감 시범사업 / 사업목적 및 배경 ○ 년 연구된 스마트운전 평가시스템 앱을 활용하여 운전자의 연비운전 - 2020 ( 을 유도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시스템 의 시범사업을 통한 운영 상 문 ) 제점 및 개선 필요사항 등을 사전 발굴하고 전국적으로 확대 가능한 정책 모델 개발 스마트운전 평가시스템의 앱 기반 프로토타입 구축 참여자 모집 및 현장 - , 운영 모니터링 등 합리적인 사업 추진체계 마련 사업내용 ○ 시범사업 운영 및 홍보 스마트운전 참여자 모집 및 운영을 통한 시범사 - ( ) 업을 추진하며 운영 상 문제점 도출 및 개선 , 스마트운전 시범사업 및 본 사업 활성화를 위한 홍보 추진 언론 기고 유 - ( , 튜브 홍보 지면광고 등 , ) 언론사 보도자료 배포 녹색교통운동 홈페이지 페이스북 유투 , , SNS( , ☞ 브 인스타그램 등 지면광고 등 통해 사업 참여 홍보 , ), 스마트운전 시범사업 참여자 모집 개인 단체 승용 승합 화물차 등 - ( / , / / ) 일반시민 택배사 자동차보험사 플랫폼운수업자 자동차제작사 등에 , , , , ☞ 사업 취지 및 참여방법 홍보하여 시범사업 참여 요청 참여자별 스마트운전 평가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 시범사업 운영 개월이상 참여자의 감축지표에 따라 상품권 지급 (1 ), (2 ☞ 만원 만원 등 권종별 지급 참여율과 감축량 등 고려 , 1 , ) 스마트운전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연계방안 제시 -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제도 환경부 탄소포인트제도 지역화폐 발행 등 , , ☞ 연계방안 제시 향후 개인 배출권 거래제도에 편입 방안 마련 , ③ 탄소중립 실천 캠페인 린이 캠페인 : 5 사업목적 및 배경 ○ 기후위기 상황에서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탄소중립 실천 캠페인 진행 - 보행 워린이 자전거 자린이 대중교통 타린이 택시 콜린이 킥린이 - ( ), ( ), ( ), ( ), PM( ) 을 주로 이용하는 시민들이 녹색교통수단 이용에 대한 공유 실천을 유도 · 하고 시민들의 불편사항 개선사항 들을 통해 녹색교통의 중점 활동을 모 / 색
  • 31. - 31 - 관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보행 자전거 대중교통 이용 확대의 필요성 - , , 에 대한 내용을 전달 사업내용 ○ 온라인 기반 녹색교통수단 이용 해시태그 캠페인 - (SNS ) 탄소중립 워린이 # # 녹색교통수단에 대해 궁금한 내용에 대한 영상 카드뉴스 제작 궁금한 이 - / ( 야기 G) 서울버스 색깔의 비밀 지하철의 혼잡도는 어떻게 제공될까 / ? 개인택시 가나다라는 무얼까? ④ 녹색교통 활동 지속을 위한 꾸준한 모금 활동 1)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 모금 캠페인 확대 외부 기관과 협업을 통한 캠페인 기획 및 홍보 ○ 주 슬로워크 신시어리 아리에뜨 디자인생선가게 더디앤씨 굿임패트 - ( ) , , , , , , 더 브리지 적정마케팅 연구소 등 전문기관 컨택 , 사업 브랜딩 컨설팅 디자인을 통해 지원사업을 효과적으로 알리고 모금 - , 으로 연계 할 수 있도록 진행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꾸준한 모금활동 ○ 다음같이가치 해피빈 모금함에 꾸준한 활동 모금함 게시로 각 사업에 필 - , 요한 사업비 모금 코로나 아이들 교육 물품 장학금 증액과 같이 모금컨텐츠 확장 - , , 년 사업 별 모금기간 및 진행기간 [21 ] 구분 목표 기간 월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장학 사업 내부 지원 만원 800 모금 기간 사업 기간 대학생 장학금 장학금 만원 600 모금 기간 사업 기간 물품 지원 년 학기 20 1 년 학기 20 2 만원 500 모금 기간 사업 기간 가정 심리 상담비 만원 600 모금기간 사업기간 교통 안전 캠페인 만원 500 모금기간 사업기간
  • 32. - 32 - 2) 후원 회원 잠재적 후원자 대상 모금 캠페인 진행 , 목 적 ○ 정기적으로 녹색교통 활동을 알려 모금을 요청 - 진행방식 ○ 잠재적 후원자인 졸업생 대학교 장학생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피해가정 - , 지원사업 활동 안내와 졸업 후 후원을 한 대상 인터뷰 컨텐츠 등을 발송 녹색교통 정기 일시 후원자 대상으로 정기적인 증액과 정기회원 요청 진 - / 행 시민 캠페인 참여자 대상으로 녹색교통 활동 홍보 및 후원 유도 - 컨텐츠 캠페인 뿐만 아니라 후원 계기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모금을 제안 - , 3) 후원행사 후원의 밤 ○ 코로나 상황에 따라 고려하여 오프라인 온라인 후원행사 진행 - ( ) 상반기 내 진행 - 일일호프 ○ 코로나 상황에 따라 고려하여 진행방식 변경 - 년과 같이 유자녀 활동 모금 등 사업에 대한 후원 등으로 연계하여 - 2020 진행 월 진행 - 12 일일호프 또는 온라인 모금 캠페인 - 4) 꾸준하고 일정화된 회원관리 MRM web ○ 구글 애널리틱스 연동을 활용한 회원관리 및 분석 - 온라인 모금 캠페인 진행 시 후원자의 유입경로 확인하여 성과 분석 - , 정기 일시 후원금액 납부구분 결제수단 등으로 나눠 분석 - / , , , 후원자 관리 지속 및 활동 피드백 향상 ○ 기준 후원 회원 가입주기별로 감사인사 전달 년 주기 - (1/5/10/15/20 ) 신규 즉시 개월 개월 등 탈퇴 회원 관리 매뉴얼 일정화 개선 - ( /3 /6 ), 감사인사 전달을 위한 굿즈 감사장은 캠페인 성이 있는 물품으로 개선 - ,
  • 33. - 33 - ⑤ 교통사고 피해가정 지원사업 1) 미취학 및 교통안전공단 미지원 대상 장학사업 사업내용 ○ 상 하반기 신규 장학생 미취학 아동 수시 선발 - , , 현 장학생 명으로 명 내외 추가 선발로 명 내외 장학생 규모 유 - 93 7 100 지 장학생 선발 시 교통안전공단 협조 하에 추천 및 선발 진행 - 년 장학금 증액 후 장학금액에 대한 논의가 없었음 현 기금 상황을 - 2013 , . 확인하고 증액 논의 및 추가 모금 계획 수립 사업 일정 ○ 구분 월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미취학 접수 선발 초중고 접수 선발 2) 대학생 장학사업 사업내용 ○ 녹색교통 홈페이지 공고 및 졸업생 대상으로 유선 홍보 - SMS, 서류 심사는 정량적 정성적 평가로 진행하며 심사위원 구성은 녹색교통 - , , 임원 현대자동차 관계자 등으로 구성 , 학기별 명 만원 전달 - 15 , 150 워크샵 간담회는 코로나 상황에 따라 소수인원 인터뷰 또는 대면 비대면 - , ( ) 진행 진행 내용은 영상과 모음집으로 제작하여 후원기관 및 후원자에게 전달 - 예정 3) 물품지원사업 사업내용 ○ 현재 지원받고 있는 미취학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교복 도서 지원 - , /
  • 34. - 34 - 연간 만원 규모 - 40 상반기 회 하반기 회 총 연 회 신청을 받아 지원 - 2 , 2 4 지원받은 학생의 감사편지 사진 자료 직접 배달을 통해 후기 수집 - , , 신규 물품 지원 확대 예정 온라인 수업용 태블릿 지원 검토 다음 같 - ( PC , 이가치 모금함으로 만원 확보 기업에 사업후원 요청 제안서 제출 400 , ) 4) 지역별 교육프로그램 사업내용 ○ 체험위주의 프로그램으로 수도권 경상 호남 지역에서 진행 - , , 코로나로 인해 현재 일시 중단한 상태 코로나 상황에 따라 내부 논의 후 - , 진행 예정 5) 심리상담 지원 참여자 확대를 위한 홍보 진행 ○ 심리 자가진단 회 심리 상담과 같은 접근하기 쉬운 방법을 통해 상담의 - , 1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사업 참여자 사례 공유 - 사업 진행 방식에 대한 보다 자세한 안내 진행 - 사업 대상자를 보호자에서 자녀까지 확대 - 사업 홍보 일정 정례화 - 진행 방식 ○ 개인 상담 최소 회기 를 전문 상담기관과 연계 - ( 10 ) 상담 이후 기관과 가정 면담을 통해 추가 상담 여부 논의 - 전문 상담 기관 외에 정신건강의학과 검사 및 진료 연계 - 비슷한 사례끼리 유대감과 교류를 위한 집단 간담회 진행 코로나 상황에 - ( 따라 시기 논의 연 회 , 1~2 )
  • 35. - 35 - ⑥ 녹색교통 온라인 시민 홍보 확대 1) 모든 사업 단위 시민확산 모금 방안 고려하여 실행 / 기존엔 사업 내 홍보를 위해 단순히 를 활용해서 내용을 제작하고 업 - SNS 로드 하는데에만 급급했다면 컨텐츠를 만든 이후의 이를 확산시키는 방 , 안으로 유튜브 채널을 확대 운영하고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을 활용하여 시 / 민 캠페인을 진행 시민과 공유하여 그들의 관심 이끌어내고 시민들이 의견을 온라인 채널을 - 통해 받을 수 있도록 기획 2) 녹색교통의 주요 활동의 필요성을 알리는 컨텐츠 제작 우리 활동과 활동의 필요성을 알리는 내용으로 구성 - 기후위기 그린뉴딜에서 친환경차 보급정책이외에 교통과 관련된 정책이 - , 별도로 고려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시점 최근 활동 뿐 만 아니라 기존의 보행권 자전거 대중교통 활동 중 성과 - , , , 낸 활동을 바탕으로 이러한 정책 추진의 필요성을 알릴 컨텐츠를 제작 현재 영상으로 제작되고 있는 궁금한 이야기 교통 환경분야의 궁금할 - ‘ G’ ( / 만한 이야기를 영상으로 제작하는 컨텐츠 를 월 회이상 제작 ) 2 영상을 메인 컨텐츠 생산물로 하되 시기성과 내용에 따라 블로그 글 인 - , , 포그래픽 카드뉴스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 , 상반기에는 주 단위로 전체 회의를 진행하여 컨텐츠 아이디어 논의 및 업 - 무 분장 3) 보행권 시민 확산 온라인 강좌 제작 교통정책에서 우선순위로 추진되어야 할 보행과 관련된 사업들의 필요성 - 등을 녹색교통 내부에서 재정비 보행권 안전속도 보행환경 개선사례 공모전 등 주요한 활동을 돌아보 - , 30, , 며 보행권의 의미 필요성 활동내용 등을 정리하여 강의자료 형태의 영상 , , 제작 기존에 보행권과 관련된 활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신 민만기 공동대표 - , 진장원 이사 내부 활동가 참여 ,
  • 36. - 36 - 4) 뉴스레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활동 알리기 매월 마지막 주금요일 월 회 을 발송일로 지정 를 통해 발송 - ( 1 ) , SMS 녹색교통 활동 소식 두가지를 선정하여 발송 - 부정기적으로 분야별 이슈대응 활동 성명서 기자회견문 등 해당 기간에 - , , 발송 5) 연간 활동 보고서 제작 및 발송 이미지와 내용이 간략히 정리된 자료로 재가공 - 홈페이지 및 우편으로 후원 회원에게 발송 월 - (3 )
  • 37. - 37 - (4) 년 예산계획안 2021 ① 녹색교통운동 일반회계 녹색교통운동 일반회계 수입부 단위 원 < > ( : ) 수입내역 당기 년 예산 (2021 ) 전기 년 결산 (2020 ) 후원‧ 기부금 정기후원 50,000,000      38,570,000 일시후원 15,000,000          6,470,400 후원행사 65,000,000        59,470,000 활동사업 수입 프로젝트 사업 150,000,000             137,569,095 유자녀활동 운영비 31,000,000  29,041,370 사업 외 수입 잡수입 7,000,000         6,274,111 수입 총계 318,000,000             277,394,976 지출부 단위 원 < > ( : ) 지출내역 당기 년 예산 (2021 ) 전기 년 결산 (2020 ) 인건비 급여 101,000,000 86,883,765 일반운영비 복리후생비 세금 임차료 등 , , 35,000,000 35,616,178 회원사업비 도서인쇄비 회원활동비 후원행사비 등 , , 18,000,000 15,247,910 활동사업비 교통 환경분야 사업 연구진 인건비 · , 150,000,000 인건비 ( 100,000,000) 157,412,223 (117,046,240) 연대사업비 활동분담금 회비 후원금 등 , , 4,000,000 3,751,000 사업 외 비용 지급이자 잡손실 고정자산손실 등 , , 10,000,000 10,043,345 지출 총액 318,000,000 308,954,421
  • 38. - 38 - ② 교통사고유자녀 특별회계 교통사고유자녀 특별회계 수입부 < > 단위 원 ( : ) 수입내역 당기 년 예산 (2021 ) 전기 년 결산 (2020 ) 후원 기부금 ‧ 정기후원 50,000,000               46,066,000 일시후원 350,000,000             336,512,200 프로젝트 사업비 80,000,000               80,000,000 사업 외 수입 1,000,000                 1,250,587 수입 총액* 481,000,000             463,828,787 지출부 < > 단위 원 ( : ) 지출내역 당기 년 예산 (2021 ) 전기 년 결산 (2020 ) 장학 사업비 250,000,000             247,500,000 교육 사업비 35,000,000               35,810,187 모금 사업비 15,000,000               11,703,838 프로젝트 사업비 120,000,000             101,998,803 유자녀활동 운영비 31,000,000               29,041,370 지출 총액* 451,000,000             426,054,198 당기 수입과 지출 차액 만원은 유자녀 기금 적립금으로 누적 * 3,000 .
  • 39. - 39 - 5. 기타안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