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용어정리
• 귀환회로 (Feedback)
– 어떤 게이트의 출력이 다른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는 경우
• 안정된 상태 ( stable state )
– 입력이 없는 경우에도 전(前)출력이 유지되는 상태
• 레벨 트리거 ( level trigger )
– Clock이 완전히 상승된 경우에
• 엣지 트리거 ( edge trigger )
– Clock이 상승되는 순간
• 래치 ( Latch )
– 레벨 트리거 속성를 이용하는 논리회로
• 플립플롭 ( Flip flop )
– 엣지 트리거 속성을 이용하는 논리회로
9. 클럭 (clock)
사이클
0.05 0.075 0.1
주기
주기가 0.05라며 주파수는1/0.05로 초당 20사이클
이는 20Hz 라고 표현
10. 정보를 저장장치
X1
Y1
Y2
X2
X1을 닫으면 전구가 켜지며, 그 이후에는 스위치가 열리 더라도 Y2가 유지
X2을 닫으면 전구가 꺼지며, 그 이후에는 스위치가 열리 더라도 Y2가 유지
12. Flip flop ?
• 정보를 유지할 수 있음
• 이전 출력을 기억
• 1개의 f/f는 1bit의 정보를 저장
• Register의 구성요소
• RS, JK, D, T f/f가 존재
• 이 챕터에서는 D f/f만을 다룸
Willam Henry Eccles
13. Filp flop은 시소와 유사
• 2가지의 안정된 상태만 존재 ( Q , Q`)
– 불안정한 상태로 남아 있지 않음
14. SR f/f
• 2개의 NOR 게이트, 2개의 귀환회로로 구성
S R Q Q`
Q와 Q`는 서로 반대되는 출력 1 0 1 0
S(set)은 Q를 1로 설정 (Q`는 0) 0 1 0 1
R(reset)은 Q를 0으로 초기화 (Q`는 1) 0 0 Q Q`
1 1 허용되지 않음
31. 3bit ripple counter
• 각 f/f의 출력이 다음 f/f의 클럭 입력으로 들어가는 형태
– 각 f/f을 거쳐 가므로 결과를 나타내기까지 시간이 걸림
0000 0
• 즉, 첫 f/f의 출력 시간과 마지막 f/f의 출력 시간이 틀림
0001 1
• 전파지연 (propagation delay)
0010 2
– 비동기식 카운터 0011 3
0100 4
0101 5
0110 6
0111 7
1000 8
1001 9
1010 10
1011 11
1100 12
1101 13
1110 14
11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