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Facebook & Social Teaching윤영민(한양대 교수, 정보사회학)www.facebook.com/yunyoungminyunmin4@gmail.comwww.facebook.com/infosowww.twitter.com/yunyoungmin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발표 순서시작하면서온라인 수업 플랫폼의 변신두 가지 좌절이론의 발견해법의 플랫폼으로서의 FacebookFb그룹: Social teaching의 툴수업 공간 둘러보기수업을 어떻게 social화 할 것인가? Social mentoring의 조건Social mentoring의 활용Social mentoring의 효과Social mentoring의 도전Information Hub으로서의 수업 그룹교수의 역할온라인 수업 플랫폼으로서 Facebook의 한계마무리(추가) 성적 산정 방법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1. 시작하면서Web 2.0 환경의대학 수업개방, 공유, 참여(협력)교육의 수월성을 올릴 수 없을까?Web 2.0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수업의 수월성을 높이려고 했던 하나의 시도“어떤 생각을 갖고, 어떤 시도를 했으며, 어떤 일이 벌어졌으며, 어떤 어려움이 있었고, 어떤 성과를 거두었는가?”              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2. 온라인 수업 플랫폼의 변신Daum Café 한양사이버커뮤니티  Blogger.com  ? 다음 카페: 과제 제출, 학생들 조별활동에 도움: 네트워킹이 어려움한양사이버커뮤니티: 다음 카페에 비해 학사 D/B 이용의 이점, 효율적 성적 관리; 네트워킹이 어려움Blogger.com: 교수/학생에게 심리적 압박, 학생들의 참여도 증가(댓글, 평점매기기); 지나치게 개방됨네트워킹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공개 수위를 내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을까? 만족스럽지 않은 수업…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3. 두 가지 좌절온라인 수업플랫폼이 수업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못함: 교수의 teaching에서 학생의 자기주도 learning으로의 중심 이동을 일으키기에 역부족New media literacy (social media literacy) – 참여 기술(participatory skills)을 가르치기 어렵다(2010년 봄학기 <정보기술과 사회>)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4. 이론의 발견“참여문화와 생태학적 접근” Jenkins, Henry, Ravi Purushotma, MargaretWeigel, Katie Clinton, and Alice J. Robinsion. 2009.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http://mitpress.mit.edu/books/full_pdfs/Confronting_the_Challenges.pdf Cambridge), Mass.: The MIT Press.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5. 해법의 platform:FacebookFacebook as THE platform of social media카페보다 개방적이고, 블로그보다는 덜 개방적: 운영자가 개방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음수업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최적 환경으로 판단Facebook의 네 가지 영역프로파일: 개인적 영역, 친구들에게도 보임그룹: 단체 활동 영역, 정보공개 수준, 참여 수준 설정 가능페이지: 공개적(일방향적) 영역, 상업적, 정치적 활동 허용홈 - 뉴스 피드: 모든 정보가 모이고 관리되는 공간, 자기에게만 보임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6. Fb그룹: Social teaching의 툴의사표현 방법: 포스팅, 댓글 달기, 좋아요, 공유(링크) 하기, 토론, 쪽지 보내기, 이벤트( 정보사회학 입문2010)관리자, 운영진, 멤버 구분하여 그룹회원 관리 가능신 그룹에서는 운영진 지정이 불가능(예: Web 3.0을 공부하는 사람들)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7. 수업 공간 둘러보기<정보사회학 입문2010>정보 – syllabus토론 – 강의 노트, 과제 공고, 알림 등담벼락 – 과제 제출, 자료 공유, 멘토, 학생, 교수의 대화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8. 수업을 어떻게 social화 할 것인가?참여문화론에서 mentorship 아이디어를 가져옴학생들의 상부상조: 자기주도 학습을 개인이 아니라 집단 차원에서 수행(참여무화론에서 공동체 관여(community involvement) 아이디어를가져옴)온라인 social mentoring: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 혁신 포인트1-to-1 mentoring이 아니라 many-to-many mentoring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9. Social mentoring의 조건수업 전 상당기간 동안 incubating mentors:수업의 주제에 관심을 가진 전문가 pool 확보담당교수에 대한 신뢰 및 부채의식(?) 형성지식(혹은 학습) 커뮤니티 형성정보사회학 페이지가 학습 생태계의 주요한 축으로 역할그럼에도 쪽지를 통해 멘토 요청을 했을 때 60% 정도만 참여 의사 표현. 시간이 흐르면서 거의 모든 분들이 참여함.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10. Social mentoring의 활용그룹에서 멘토와 학생들, 혹은 멘토들 사이에 자유로운 대화를 유도영어 학습에 관한 대화로 ice breaking그룹 참여가 멘토와 학생들의 페이스북 활동의 자연스러운 일부가 되도록 함매주 과제를 올려 멘토들에게 코멘트 기회 제공멘토와 학생들이 fb ‘친구’가 되도록 유도학생들이 멘토들의fb사용을 볼 수 있도록 함멘토의SNS 사용에 대한 관찰, 분석 과제 내줌2주 동안의 활동에 대한 분석 과제친구 관계에 대한 분석 과제멘토들의페이스북 사용에 관한 소회 인터뷰 과제Offline mentoring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의 친밀한 관계 형성 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11. Social mentoring의 효과학생들이 멘토들을 보거나 따라 하면서 자연스럽게 트위터와fb 사용법을 배움멘토들의 격려와 지지로 학생들이 페이스북 활용에 비교적 쉽게 재미를 붙임멘토 자신들도 일종의 커뮤니티를 형성함: 온라인, 오프라인 미팅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짐멘토의 역할이 과목 주제를 넘어 인생 전반으로 확대됨역멘토십(reverse mentorship)이 발생함: 멘토도멘티로부터 배운다는 사실을 깨달음소셜 미디어 기반의 학습 혹은 지식 공동체 형성종강과 더불어 멘토와 학생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학습 프로젝트 시작: “Web 3.0을 공부하는 사람들”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12. Social mentoring의 도전교수가 멘토의 활동을 제어하기 어려움교수의 교육 철학과 방식을 강요할 수 없음일부 열정적인 멘토의 요청을 받아주기 어려움멘토링 매뉴얼 필요멘토-멘티의 관계를 제어하기 어려움학생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줌수업 참여자가 증가하면서 수업이 교수 통제를 벗어남수업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참여를 요청하는 사람들이 증가함. 일부는 옵저버로 수용.총 79명: 학생 33, 멘토33, 교수 1 조교 3, 청강생 3, 옵저버6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13. Information Hub으로서의 수업 그룹수업에 관련된 네트워크상의 정보를 모두 모을 수 있음학생들의 팀블로깅 프로젝트 공유학생들의 포스팅, 교수와 멘토들의포스팅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14. 교수의 역할Director DesignerCoachFacilitatorCommunity managerEvaluator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15. 온라인 수업 플랫폼으로서 Facebook의 한계검색 기능 없음정보, 대화, 자료가 거의 시간에 따른 배열만 가능수업 참여 계량화 기능 없음별도로 S/W개발, 매주 개인별 통계 게시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16. 마무리대학수업에 있어 social teaching이 가능과목에 따라서는 참여문화 및 생태적 접근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됨Facebook은 몇 가지 단점에도 불구하고 social teaching을 위한 우수한 플랫폼임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17. (추가) 성적 산정 방법상대 평가출석 30%, 수업참여 30%, 과제 40%시험 없음성적 평가의 가장 중요한 기준: “1) 수업 시간에 배운 서비스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이용하는가, 2) 그 서비스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활용하는가, 3)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다른 사람들과 얼마나 잘 대화하고 협력 하는 가이다.”수업참여도 측정: 팀블로깅 보고서;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등의 활동 통계 및 기록(학기말 보고서)과제 평가: 5회 과제 점수 평균기타: 페이스북에서 개별적 ‘노트’ 작성 횟수 및 노트에 달린 댓글수; 팀블로깅에서의 리더십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More Related Content

PDF
2012 kmis summer_박상혁성행남(마인드맵)
PDF
이러닝 업계에서 살아남기
PDF
이러닝 사이트 운영하기
PDF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교수전략개발
PPT
지식서비스 기반의 이러닝 산업 업그레이드 방안
PPT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PDF
이러닝 콘텐츠 교수설계 실무
PPTX
Flipped Learning 과 지속가능한 교수방법
2012 kmis summer_박상혁성행남(마인드맵)
이러닝 업계에서 살아남기
이러닝 사이트 운영하기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교수전략개발
지식서비스 기반의 이러닝 산업 업그레이드 방안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이러닝 콘텐츠 교수설계 실무
Flipped Learning 과 지속가능한 교수방법

Similar to Facebook&socialteaching (20)

DOCX
페이스북 그룹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에 관한 이야기
PDF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
PPTX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PPTX
소셜러닝(Social learning)
PDF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PPTX
Social learning의 특성과 성공요인
PPTX
프레젠테이션1
PPTX
Et studio 기획안 0921
PDF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PDF
2013춘계이러닝학회 유비온 오병주_발표자료
PDF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PPT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PPTX
교육과정Ppt
PDF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0기_OLIVE_탐방계획서
PDF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PPT
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
PPT
대학 교육을 통한 오픈 소스 커뮤니티 육성
PPT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PPTX
Bigcamp in sxs_wedu
DOCX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페이스북 그룹을 이용한 온라인 수업에 관한 이야기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법 박희용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소셜러닝(Social learning)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Social learning의 특성과 성공요인
프레젠테이션1
Et studio 기획안 0921
나는 학교다: 서울대 학생들의 Self-directed Online Learning 현황 및 행태 연구
2013춘계이러닝학회 유비온 오병주_발표자료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교육과정Ppt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0기_OLIVE_탐방계획서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
대학 교육을 통한 오픈 소스 커뮤니티 육성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Bigcamp in sxs_wedu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Ad

More from Young-Min Yun (10)

PPTX
College Teaching using Facebook
PPTX
Internet, SNS, & Community
PPTX
정보기술과 사회 2011 강의노트3 2
PPTX
정보기술과 사회 2011 강의노트3 1
PPTX
정보기술과 사회 2011 강의노트3
PPTX
Habermas의 공론장에 대한 강의2
PPTX
Habermas의 공론장에 대한 강의1
PPTX
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2
PPTX
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1
PPTX
Sampling
College Teaching using Facebook
Internet, SNS, & Community
정보기술과 사회 2011 강의노트3 2
정보기술과 사회 2011 강의노트3 1
정보기술과 사회 2011 강의노트3
Habermas의 공론장에 대한 강의2
Habermas의 공론장에 대한 강의1
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2
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1
Sampling
Ad

Facebook&socialteaching

  • 1. Facebook & Social Teaching윤영민(한양대 교수, 정보사회학)www.facebook.com/yunyoungminyunmin4@gmail.comwww.facebook.com/infosowww.twitter.com/yunyoungmin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2. 발표 순서시작하면서온라인 수업 플랫폼의 변신두 가지 좌절이론의 발견해법의 플랫폼으로서의 FacebookFb그룹: Social teaching의 툴수업 공간 둘러보기수업을 어떻게 social화 할 것인가? Social mentoring의 조건Social mentoring의 활용Social mentoring의 효과Social mentoring의 도전Information Hub으로서의 수업 그룹교수의 역할온라인 수업 플랫폼으로서 Facebook의 한계마무리(추가) 성적 산정 방법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3. 1. 시작하면서Web 2.0 환경의대학 수업개방, 공유, 참여(협력)교육의 수월성을 올릴 수 없을까?Web 2.0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수업의 수월성을 높이려고 했던 하나의 시도“어떤 생각을 갖고, 어떤 시도를 했으며, 어떤 일이 벌어졌으며, 어떤 어려움이 있었고, 어떤 성과를 거두었는가?” 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4. 2. 온라인 수업 플랫폼의 변신Daum Café 한양사이버커뮤니티  Blogger.com  ? 다음 카페: 과제 제출, 학생들 조별활동에 도움: 네트워킹이 어려움한양사이버커뮤니티: 다음 카페에 비해 학사 D/B 이용의 이점, 효율적 성적 관리; 네트워킹이 어려움Blogger.com: 교수/학생에게 심리적 압박, 학생들의 참여도 증가(댓글, 평점매기기); 지나치게 개방됨네트워킹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공개 수위를 내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을까? 만족스럽지 않은 수업…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5. 3. 두 가지 좌절온라인 수업플랫폼이 수업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못함: 교수의 teaching에서 학생의 자기주도 learning으로의 중심 이동을 일으키기에 역부족New media literacy (social media literacy) – 참여 기술(participatory skills)을 가르치기 어렵다(2010년 봄학기 <정보기술과 사회>)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6. 4. 이론의 발견“참여문화와 생태학적 접근” Jenkins, Henry, Ravi Purushotma, MargaretWeigel, Katie Clinton, and Alice J. Robinsion. 2009.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http://mitpress.mit.edu/books/full_pdfs/Confronting_the_Challenges.pdf Cambridge), Mass.: The MIT Press.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7. 5. 해법의 platform:FacebookFacebook as THE platform of social media카페보다 개방적이고, 블로그보다는 덜 개방적: 운영자가 개방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음수업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최적 환경으로 판단Facebook의 네 가지 영역프로파일: 개인적 영역, 친구들에게도 보임그룹: 단체 활동 영역, 정보공개 수준, 참여 수준 설정 가능페이지: 공개적(일방향적) 영역, 상업적, 정치적 활동 허용홈 - 뉴스 피드: 모든 정보가 모이고 관리되는 공간, 자기에게만 보임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8. 6. Fb그룹: Social teaching의 툴의사표현 방법: 포스팅, 댓글 달기, 좋아요, 공유(링크) 하기, 토론, 쪽지 보내기, 이벤트( 정보사회학 입문2010)관리자, 운영진, 멤버 구분하여 그룹회원 관리 가능신 그룹에서는 운영진 지정이 불가능(예: Web 3.0을 공부하는 사람들)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9. 7. 수업 공간 둘러보기<정보사회학 입문2010>정보 – syllabus토론 – 강의 노트, 과제 공고, 알림 등담벼락 – 과제 제출, 자료 공유, 멘토, 학생, 교수의 대화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10. 8. 수업을 어떻게 social화 할 것인가?참여문화론에서 mentorship 아이디어를 가져옴학생들의 상부상조: 자기주도 학습을 개인이 아니라 집단 차원에서 수행(참여무화론에서 공동체 관여(community involvement) 아이디어를가져옴)온라인 social mentoring: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 혁신 포인트1-to-1 mentoring이 아니라 many-to-many mentoring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11. 9. Social mentoring의 조건수업 전 상당기간 동안 incubating mentors:수업의 주제에 관심을 가진 전문가 pool 확보담당교수에 대한 신뢰 및 부채의식(?) 형성지식(혹은 학습) 커뮤니티 형성정보사회학 페이지가 학습 생태계의 주요한 축으로 역할그럼에도 쪽지를 통해 멘토 요청을 했을 때 60% 정도만 참여 의사 표현. 시간이 흐르면서 거의 모든 분들이 참여함.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12. 10. Social mentoring의 활용그룹에서 멘토와 학생들, 혹은 멘토들 사이에 자유로운 대화를 유도영어 학습에 관한 대화로 ice breaking그룹 참여가 멘토와 학생들의 페이스북 활동의 자연스러운 일부가 되도록 함매주 과제를 올려 멘토들에게 코멘트 기회 제공멘토와 학생들이 fb ‘친구’가 되도록 유도학생들이 멘토들의fb사용을 볼 수 있도록 함멘토의SNS 사용에 대한 관찰, 분석 과제 내줌2주 동안의 활동에 대한 분석 과제친구 관계에 대한 분석 과제멘토들의페이스북 사용에 관한 소회 인터뷰 과제Offline mentoring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의 친밀한 관계 형성 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13. 11. Social mentoring의 효과학생들이 멘토들을 보거나 따라 하면서 자연스럽게 트위터와fb 사용법을 배움멘토들의 격려와 지지로 학생들이 페이스북 활용에 비교적 쉽게 재미를 붙임멘토 자신들도 일종의 커뮤니티를 형성함: 온라인, 오프라인 미팅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짐멘토의 역할이 과목 주제를 넘어 인생 전반으로 확대됨역멘토십(reverse mentorship)이 발생함: 멘토도멘티로부터 배운다는 사실을 깨달음소셜 미디어 기반의 학습 혹은 지식 공동체 형성종강과 더불어 멘토와 학생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학습 프로젝트 시작: “Web 3.0을 공부하는 사람들”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14. 12. Social mentoring의 도전교수가 멘토의 활동을 제어하기 어려움교수의 교육 철학과 방식을 강요할 수 없음일부 열정적인 멘토의 요청을 받아주기 어려움멘토링 매뉴얼 필요멘토-멘티의 관계를 제어하기 어려움학생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줌수업 참여자가 증가하면서 수업이 교수 통제를 벗어남수업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참여를 요청하는 사람들이 증가함. 일부는 옵저버로 수용.총 79명: 학생 33, 멘토33, 교수 1 조교 3, 청강생 3, 옵저버6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15. 13. Information Hub으로서의 수업 그룹수업에 관련된 네트워크상의 정보를 모두 모을 수 있음학생들의 팀블로깅 프로젝트 공유학생들의 포스팅, 교수와 멘토들의포스팅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16. 14. 교수의 역할Director DesignerCoachFacilitatorCommunity managerEvaluator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17. 15. 온라인 수업 플랫폼으로서 Facebook의 한계검색 기능 없음정보, 대화, 자료가 거의 시간에 따른 배열만 가능수업 참여 계량화 기능 없음별도로 S/W개발, 매주 개인별 통계 게시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18. 16. 마무리대학수업에 있어 social teaching이 가능과목에 따라서는 참여문화 및 생태적 접근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됨Facebook은 몇 가지 단점에도 불구하고 social teaching을 위한 우수한 플랫폼임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19. 17. (추가) 성적 산정 방법상대 평가출석 30%, 수업참여 30%, 과제 40%시험 없음성적 평가의 가장 중요한 기준: “1) 수업 시간에 배운 서비스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이용하는가, 2) 그 서비스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활용하는가, 3)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다른 사람들과 얼마나 잘 대화하고 협력 하는 가이다.”수업참여도 측정: 팀블로깅 보고서;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등의 활동 통계 및 기록(학기말 보고서)과제 평가: 5회 과제 점수 평균기타: 페이스북에서 개별적 ‘노트’ 작성 횟수 및 노트에 달린 댓글수; 팀블로깅에서의 리더십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
  • 20.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2010 이러닝 교수자 1차 워크숍 발제 인하대학교 201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