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urvey of GPS and Car Navigation System Ubitrotech Co., Ltd. Telematics 개발팀 김 준 호 2007-02-05
2. Table of contents GPS 개요 특징과 역사 GPS 의 구성 요소 우주부문 , 제어부문 , 사용자 부문 GPS 기본 원리 삼각 측량법 , 의사 거리 (Pseudo range), 시간 측정 위성위치 측정 , 오차 수정 GPS 상세 기능 GPS 신호의 구조 , 항법 메시지 , Ephemeris/Almanac TTFF (Time to First Fix), GPS 수신기 기능 및 분류 GPS 의 응용 분야 About GPS
3. Table of contents 네비게이션이란 ? CNS(Car Navigation System) 의 주요 기술 및 기능 전자수치지도 (DRM), 차량 위치추적 시스템 , Map Matching, 경로 탐색 각종 부가 기능 주소 검색 , 관심지점 (POI), 실시간 교통 정보 , 음성 안내 , 교차로 확대 카 네비게이션 관련 업체 CNS 시장 현황 CNS 의 발전 방향 Prime Center ( Seoul, Korea ) About Car Navigation System
4. GPS 개요 NAVSTAR GPS NAVigation Satellite Time And Rang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통하여 시각과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범 지구적 위치결정 체계 미 국방성에서 구축한 위성을 이용한 전파 항법 장치 코드화된 정보를 전송하는 위성 네트워크로 , 위성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지구상의 모든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 가능함 3 차원 위치 , 속도 , 시간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 전세계 대상 24 시간 서비스 . 별도의 사용료 없음 군사용 , 항공 / 선박 , 측지 , 레져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중 What is GPS?
5. GPS 개요 20 년에 걸쳐 미국 국방성에서 개발한 150 억불의 시스템 1995 년 4 월 27 일 완전 가동 (Full Operation) – 21 개의 주위성과 3 개의 보조위성 배치 완료 측위 기법에 따라 다양한 정확도 분포를 가짐 (mm - 100m) 위치결정과 동등한 정확도로 속도와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 지구상 어느 곳에서나 날씨 , 기상에 관계없이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 수평성분과 수직성분을 제공하므로 3 차원정보를 제공한다 . 수동적인 단방향 서비스 ( 위성 수신기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 ) 세계 측지기준계 (WGS84) 를 사용하므로 지역 기준계 사용자는 좌표계의 변환이 필요 미국의회가 다목적 사용을 전제로 승인 무제한 사용이 가능 - 새로운 유틸리티 개발 가능성 GPS 의 특징
6. GPS 개요 GPS 의 역사 (1) 내 용 연 도 ICAO 와 91 년의 선언을 확인하고 , SPS 를 변경할 경우 최소 6 년 전에 통보하기로 함 1992 년 SPS 서비스 93 년부터 가능 , 이후 최소 10 년간 무료사용 허용 선언 1991 년 SA 가동 중지 (91 년 6 월까지 – 걸프전 ) 1990 년 8 월 SA(Selective Availability) 첫 가동 1990 년 3 월 첫 Block II 위성 발사 (Rockwell 사 제작 ) 1989 년 GPS 완성 후 민간에게 무료로 사용 허용할 것을 레이건 대통령이 선언 (KAL-007 피격사건 후 ) 1983 년 첫 Block I 위성 발사 , 78 년 ~ 85 년 사이 11 개의 위성이 발사됨 (Rockwell 사 제작 ) 1978 년 Timation 과 시스템 621B 가 통합되어 DNSS(Defense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으로 명명 . 후에 NAVSTAR GPS 로 발전됨 . 1973 년 위성에 기초한 측량 및 항해 시스템 개발 착수 ( 미 공군 : 시스템 621B, 해군 : Transit, Timation) 1960 년대
7. GPS 개요 GPS 의 역사 (2) 미 대통령 SA 해제 발표 – 2000 년 5 월 1 일부로 SA 해제 실시 2000 년 제 3 의 민간용 GPS 신호를 1176.45Mhz(L5) 에 할당 (IGEB Working Group) 1999 년 미 부통령 고어 발표 – L2 주파수 (1227.6Mhz) 에 민간용 C/A-code 신호 추가 , 2005 년까지 제 3 의 신호 추가 1998 년 IGEB 결성 ( 미 DoD 와 DoT 의 공동기구 ) 민간용 서비스 (SPS) 를 위한 새로운 신호 추가 및 주파수 할당 계획 1997 년 미 대통령 지시문 발표 -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GPS 무료 사용 . 10 년 이내 고의 오차 (SA) 제거 예정 1996 년 정상 가동 (FOC : Full Operation Capabillity) 선언 . 군사용 실험 종료 1995 년 4 월 미국 클린턴 대통령의 선언 . GPS 신호를 국제사회에 제공할 것을 공표함 1995 년 초기 정상 가동 선언 . 24 개의 위성군 완성 (Block I / II / II A), SPS 실시 1993 년 내 용 연 도
8. GPS 의 구성요소 우주 부문 일정한 궤도를 돌며 항법신호를 전송 제어 부문 위성의 위치를 추적 / 측정하고 각종 보정 데이터를 전송 사용자 부문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 속도 , 시간 등을 계산 3 대 구성 요소
9. GPS 의 구성요소 우주 부문은 GPS 를 유지하기 위한 위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 24 개 위성군 ( 항법용 21 개 + 예비용 3 개 ) 주기 : 11 시간 58 분 고도 : 약 20200km ( 정지궤도위성의 경우는 약 36,000km) 궤도 수 : 6 개 경사궤도면 : 적도 면과 55 도 각 궤도당 위성수 : 4 개의 위성 존재 . 궤도면의 간격 : 각각의 궤도는 60 도를 유지 시계 : 4 개의 원자시계 - Cesium 시계 2 개 + Rubidium 시계 2 개 - 오차 : 10-13 - 10-14(BlockⅡ) -> 10-15 - 10-14(BlockⅡR) 통신 방식 : CDMA 방식으로 L-band 이중 주파수 반송파 이용 - L1 : 1.57542 GHZ, L2 : 1.22760 GHZ ※ 위와 같은 위성배치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지평선 5 도 이상에서 24 시간 4 대 이상의 위성을 관측하기 위한 것이다 . 우주 부문
10. GPS 의 구성요소 지상에 설치된 시설물로 , 우주 부분의 위성들을 관리하는 지휘 통제소 역할 . 위성의 추적 , 건강상태 체크와 위성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무 제어 부문의 구성 1 개의 주 관제국 ( 유사시를 대비해 두 개의 예비 주 관제국 배치 ) 위치 : 미국 콜로라도 주 콜로라도 스프링의 팔콘 공군기지 임무 : GPS 위성에 대한 총지휘 ( 궤도 수정 , 예비위성 작동결정 ) 부 관제국으로부터 GPS 위성 추적 신호를 수집 보정 된 위성위치와 시각 데이터를 지상국으로 전송 4 개의 무인 추적국 모든 GPS 위성을 추적하여 신호 수집 수집된 위성 신호를 주 관제국에 신호 전달 궤도 추적 과 예측 및 전리층 대류권 지연 관찰 3 개의 지상국 ( 위성 안테나 ) 미 공군에서 관리하며 , 주 관제국으로부터 전송 받은 자료를 위성에 송신 위성에 정보 ( 시계 보정치 , 궤도 보정치 , 사용자에게 전달될 메시지 ) 를 전달할 수 있는 Uplink 안테나를 갖춤 . 제어 부문
11. GPS 의 구성요소 GPS 수신기와 사용자로 구성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기의 위치와 속도 , 시간을 계산 (4 개 이상 위성의 동시 관측이 필요함 ) 기능에 의한 분류 : Navigation, Mapping, Survey 등의 용도 이용자 집단에 의한 분류 민간용 수신기 : C/A 코드 수신 (L1 반송파 ) 군용 수신기 : P 코드 수신 (L1, L2 반송파 ) 사용자 부문
12. GPS 기본 원리 GPS 의 원리 X 수신기는 위성을 이용한 ‘ 삼각측량 ’을 통해 현재 위치를 계산함 삼각측량을 위해서 , 수신기는 전파신호의 전송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위성과의 거리 ( 의사거리 :Pseudorange) 를 계산 소요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각 을 알아야 함 위성과의 거리 뿐만 아니라 , 위성의 정확한 위치 도 필요 위성신호가 대기를 통과하여 수신되기까지 발생하게 되는 오차를 수정 해야 함 1 2 3 4 5
13. GPS 기본 원리 삼각 측량법 (1) 하나의 위성으로부터의 정확한 거리를 알고 있다면 , 현재 위치는 위성을 중심으로 하는 구면의 어느 한 지점이다 11,000 miles 11,000 miles 12,000 miles 두 개의 위성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면 , 현재 위치는 두 구면이 서로 겹치는 원 위의 한 지점이 된다
14. GPS 기본 원리 세 개의 위성과의 거리를 측정하면 현재 위치는 두 개의 점 중 하나가 된다 . 삼각 측량법 (2) 세 개의 구면이 서로 겹치는 곳은 단 두 개의 점 뿐이다 12,000 miles 11,000 miles 10,000 miles
15. GPS 기본 원리 3 차원 공간에서의 위치 결정을 위해서는 4 개의 위성이 필요 실제로는 2 차원에 가까운 지표면 위의 공간이 대상이므로 3 개의 위성만으로도 측정이 가능함 4 번째 위성의 정보는 고도 ( 높이 ) 측정과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사용 삼각 측량법 (3) 네 번째 위성과의 거리를 측정하면 단 하나의 점으로 현재 위치를 확정 할 수 있다 .
16. GPS 기본 원리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기까지의 거리 = 신호의 발생 시점과 수신시점의 시간차이 X 전파의 속도 ( 빛의 속도 ) 전파신호의 전송 소요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GPS 위성은 신호에 일정 간격으로 고유한 잡음 (Pseudo Random Noise) 을 추가하여 발생시킴 수신기 자체의 잡음 발생 타이밍과 위성에서 수신한 잡음신호 타이밍의 차이가 전파의 이동 소요 시간이다 . ( 그림 참조 ) 수신기에 내장된 시계의 오차로 인해 계산된 거리와 실제 거리 사이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Pseudo range( 의사거리 ) 라 한다 . Pseudo range ( 의사거리 ) Receiver PRN Satellite PRN Time Difference
17. GPS 기본 원리 위성과의 거리 측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시간이다 . GPS 위성은 지극히 정확도가 높은 원자시계를 탑재하고 있음 . 수신기에는 원자시계 대신 비교적 정확도가 낮은 시계를 탑재 . 시간 오차로 인해 의사거리 (Pseudo range) 와 실 거리 (Real range) 의 차이가 발생 . 수신기는 그림과 같이 여러 개의 위성에서 보내온 전파를 수신하여 의사 거리의 오차를 줄이고 수신기 자체의 시간을 정확히 맞출 수 있다 . 시간 동기화
18. GPS 기본 원리 수신기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위성과의 거리와 함께 각 위성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한다 . GPS 위성들은 일정한 궤도를 따라 비행 중이며 , 궤도에서 벗어날 경우 제어부문의 통제에 의해 주기적으로 궤도 수정이 이루어진다 . 제어부문의 추적국은 위성의 정확한 위치를 관측 하여 주 관제국에 보고하고 , 위치 정보는 지상국의 Uplink 안테나를 통해 해당 위성에 전송된다 . 위성이 전송하는 전파신호는 거리측정을 위한 PRN (Pseudo Random Noise) 부호와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항법 메세지로 이루어진다 . 수신기는 항법 메시지를 분석하여 신호를 보낸 위성의 위치를 알아낸다 . 위성 위치 측정
19. GPS 기본 원리 구조적 오차 위성 위치 및 시간 오차 : 제어부문에 의해 주기적으로 감시 / 보정됨 ( 다른 오차에 비해 적음 ) 전리층과 대류층의 굴절로 인한 거리 오차 : 항법 메시지에 대기 굴절모델을 포함하여 오차를 계산 잡음 (Noise) : 수신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잡음 . 필터링 장치를 통해 차단함 . 다중 경로 오차 : 건물 등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신호로 인한 오차 .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약한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오차를 줄인다 . 오차 수정 (1) Ephemeris Satellite Clock S/A(Selective Availability) Ionospheric Tropospheric Receiver Clock Receiver Noise MultiPath 오차 범위 위성위치 오차 3m S/A( 현재는 없음 ) 30m 전리층 굴절 30m 대류층 굴절 30m 다중 경로 5m 50Km 200Km
20. GPS 기본 원리 다중 경로 (Multi-Path) 오차 인공위성에서 직접적으로 수신된 전파 이외에 건물 등에 반사되어 들어오는 신호로 인하여 발생하는 오차 반사된 신호는 더 길어진 경로를 통해 인공위성에 들어옴으로 결과적으로 틀린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 반사된 신호는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대부분 수신기는 신호의 세기를 비교해서 약한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오차를 줄인다 . 오차 수정 (2)
21. GPS 기본 원리 기하학적 오차 측위 시 이용되는 위성들의 배치상황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 수신기 주위로 위성이 고르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오차가 작아짐 보이는 위성이 고르게 배치된 정도를 DOP (Dilution of Precision) 이라고 함 ( 2 이하 : 매우 우수 , 4-5 : 보통 , 6 이상 : 오차 심함 ) PDOP (Positional DOP) 가장 많이 사용되는 DOP 수치 구조적 오차에 PDOP 를 곱한 값이 측위 오차가 된다 . 대부분의 수신기는 PDOP 가 작은 위성 조합을 선택하여 측위 계산을 수행하도록 설계됨 . 오차 수정 (3)
22. GPS 상세 기능 GPS 위성은 L1, L2 두 개의 Microwave 반송파에 신호를 실어 보낸다 . L1: 표준 측위를 위한 반송파 (1575.4MHz) L2: 정밀 측위를 위한 반송파 (1227.6MHz) 반송파에 실려 전송되는 신호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 C/A Code : L1 반송파에 담겨지는 Data. 거리 측정을 위한 PRN Code 를 포함하고 있으며 , 민간에서 일반적인 용도로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 . P Code : L1 과 L2 에 모두 변조되는 PRN Code. C/A Code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 . 군사용으로 사용함 . 항법 메시지 (50Hz Navigation Data) : L1 에 변조되는 정보 . 위성의 위치 , 시간 , 상태 등의 정보 GPS 신호의 구조
23. GPS 상세 기능 항법메시지는 위성의 위치를 수신기에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 전체 25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 프레임은 5 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 1,2,3 번 서브프레임 (30 초마다 반복 ) 시계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계수 Ephemeris( 위성력 ) : 해당 위성의 정밀 궤도 데이터 4,5 번 서브프레임 Almanac : 모든 위성에 대한 개략적인 궤도 데이터 기타 : 전리층 굴절오차 보상치 (IONO) 등 전체 위성데이터의 수신에는 12.5 분이 소요됨 (30 초 X 25 개 프레임 ) 항법 메시지 (Navigation Data)
24. GPS 상세 기능 Ephemeris 위성의 현재 정확한 좌표와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수신 후 수 시간 동안만 유효 ( 위치 계산에 이용 가능 ) 30 초 주기로 반복 전송됨 Almanac 24 개의 모든 위성에 대한 궤도 예측 데이터 GPS 수신기 내부에 저장되어 대략적인 위성 위치 추정에 사용됨 수신 후 장기간 동안 ( 일주일 ~ 한달 ) 이용 가능 반복 주기 12.5 분 Ephemeris and Almanac
25. GPS 상세 기능 수신기 시동 후 , 최초의 측위 결과를 출력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 GPS 수신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주요 요소 GPS 수신기에 보존된 Almanac 과 Ephemeris 데이터에 따라 아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됨 ( 소요시간은 주위 환경과 수신기 성능에 따라 달라짐 ) TTFF (Time to First Fix) 수초 ~ 15 초 30 초 이내 약 30 초 ~ 1 분 12 분 ~ 15 분 소요시간 공장 출하 초기상태에서 수신을 시작한 경우 . 미리 저장된 Almanac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측위를 시작하면 , 전체 위성의 Almanac 정보를 수신해야 하므로 장시간이 소요된다 . Factory Start 유효한 Full Ephemeris 데이터가 수신기에 남아있는 상태로 측위를 개시하는 것 ( 최종 수신 이후 수십 분 이내에 재시동 한 경우 ) Hot Start 이전 수신 데이터 (Almanac, Ephemeris 정보의 일부 , 대략적인 위치 등 ) 가 수신기에 남아있는 상태에서 재시동한 경우 최종 수신 후 수 시간 내에 재시동한 경우이며 Ephemeris 일부만 수신함 . Warm Start 수신기가 장시간 꺼져 있었던 경우 . (12 시간 ~ 1 일 ) 일부 Almanac 정보가 남아있지만 유효 Ephemeris 정보는 전혀 없는 상태 . Ephemeris 데이터의 Full set 을 수신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임 . Cold Start 설 명 구 분
26. GPS 상세 기능 GPS 수신기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 , 속도 및 시각 정보를 추출해 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 처리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분류 C/A code pseudorange receiver C/A code carrier phase receiver P code carrier phase receiver Y code carrier phase receiver A/D 변환 형태에 따른 분류 Precorrelation A/D conversion receiver Postcorrelation A/D conversion receiver 위성 추적방식에 따른 분류 Sequential receiver Multiplexing receiver Parallel/Continuous receiver GPS 수신기 기능 및 분류
28. 네비게이션 개요 사용자로 하여금 ‘무엇인가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 Car Navigation System ( 차량 자동 항법 장치 ) 위성 항법장치가 내장되어 차량의 위치를 자동으로 표시해 주는 장치 GPS 위성의 전파를 수신하여 차량 내부에 장착한 모니터에 차량의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경로 등을 표시하여 주는 장치를 말한다 . What is Navigation?
29. CNS 의 주요 기술 및 기능 CNS 용 전자지도는 제한된 하드웨어 환경에서 작동 콤팩트하고 빠르며 호환성이 있어야 함 전자지도의 구성 속성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위상 (Topology) 데이터 측지 측량의 시각에서 구축되는 관념적인 지도와 달리 , 응용성을 고려한 컴퓨터적인 측면에서 설계 구축되어야 함 . 부가적인 요구사항 업데이트의 용이성 , 확장 가능성 작은 화면에서의 자유로운 확대 / 축소 / 이동을 위해 타일단위로 구성 지형 속성의 선택적인 출력 ( 축적에 따른 지명 표시 여부 등 ) 전자수치지도 (Digital Road Map)
30. CNS 의 주요 기술 및 기능 GPS 방식 : 절대 측위 시스템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 DR (Dead Reckoning) 방식 : 상대 측위 시스템 관성 항법장치 원리를 이용 자이로 (GYRO) 센서 , 휠 (Wheel) 센서 , 스피드 센서 ,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하는 시스템 GPS 보다 훨씬 이전부터 일반 항법분야 ( 항공기 , 선박 등 ) 에 이용된 기술 하이브리드 방식 GPS 방식과 DR 방식을 혼합하여 두 시스템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는 방식 GPS 위성신호에 의한 위치 측정 중 지형상태나 고층의 건물에 가려 신호를 받지 못할 경우에 , DR 방식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를 보정한다 . 차량 위치추적 시스템
31. CNS 의 주요 기술 및 기능 위치 추적시스템으로 파악한 차량의 위치정보와 디지털 지도 상의 도로를 일치시켜주는 소프트웨어 기술 . 차량의 주행 궤적과 지도에 그려진 도로의 형상을 조합해서 현재 위치와 궤적을 표시한다 . Map Matching Map Matching
32. CNS 의 주요 기술 및 기능 차량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 또는 임의의 두 지점 )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를 찾아주는 기술 경로 탐색의 수학적인 개념은 이미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음 . CNS 에서의 경로 탐색 개념은 제한된 하드웨어 성능과 전자 수치지도라는 특수한 데이터에 밀접한 관계를 가짐 . 단순히 수치적인 Algorithm 의 적용은 불가능 , 추가적인 기술의 적용이 필요 경로 탐색의 기술 최단 경로 (Static Routing) 다중 경로 (Alternative Routing) 최적 경로 (Dynamic Routing) ( 위 아래로 기술적 난이도 높아짐 ) 경로 탐색
33. CNS 의 주요 기술 및 기능 North Up 일반적인 지도와 같이 화면 상단을 북쪽으로 고정하여 표시하는 기능 Heading Up 차량의 진행 방향을 항상 화면 상단으로 고정하는 기능 진행 방향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가 좌우로 회전함 North Up 보다 구현이 어렵지만 운전자의 방향성을 일관성 있게 유지시켜줌 North Up / Heading Up
34. CNS 의 각종 부가 기능 주요 시설물 , 역 , 공항 , 터미널 , 호텔 등을 좌표로 전자 수치지도에 표시하는 데이터 . 목적지 검색에 사용되는 검색 데이터와 화면에 표시만 되는 바탕 데이터로 구분 목적지에 대한 정보 ( 명칭 ) 를 직접 입력하여 검색하거나 , 업종별 분류에 따라 단계적으로 최종 목적지를 검색하는 방법이 가능함 . POI (Point of Interest)
35. CNS 의 각종 부가 기능 지번과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특정 주소 또는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위치를 검색하는 기능 행정구역 단계별로 검색하거나 직접 주소 명을 입력하여 검색 전화번호 검색의 경우 , 번호 또는 상호명으로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 주소 / 전화번호 검색 기능
36. CNS 의 각종 부가 기능 단순히 목적지로의 최단경로만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 실시간으로 교통상황을 확인해 빠른 길을 찾아주는 기능 주요 도로의 교통상황 ( 차량 소통 속도 , 사고 및 정체 여부 ) 을 수집하는 시스템과 수집된 정보를 송 / 수신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함 국내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의 종류 핸드폰 통신망 서비스 (Nate-drive, K-Ways 등 ) : 각 통신사별 서비스 가입 및 단말기 구입 필요 Idio (MBC FM 채널 ) : FM 라디오 채널을 통해 교통정보 송출 TPEG ( 지상파 DMB) : 서비스 예정 , 현재 시험방송 중 실시간 교통정보 안내 Idio 수신기 TPEG 지원 네비게이션 핸드폰 서비스
37. CNS 의 각종 부가 기능 음성 안내 기능 주행 관련 정보 , 진행 방향 관련 정보 등을 음성으로 안내해 주는 기능 Text to Speech (TTS) 기술을 이용해 문자데이터를 음성으로 읽어 줌 . 보다 세밀한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것이 최근의 성향이다 . 예 : “100m 앞에서 구로공단 방면으로 우회전 하십시오” 교차로 확대 기능 복잡한 교차로에 진입 시 , 진행 경로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주요 교차로에 대한 확대 지도를 표시해 주는 기능 음성 안내 및 교차로 확대 기능
38. 카 네비게이션 제품 차량 장착형 네비게이션 차량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순정품 상태의 제품과 애프터 마켓용 제품으로 구분된다 다른 종류의 제품에 비해 화면이 크고 (4~7 인치 ) DMB 수신 기능과 DVD 플레이어 , 후방 카메라 등의 다른 제품과의 연결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PDA 형 네비게이션 휴대성과 편리성이 뛰어남 액정 화면의 크기가 차량 장착형에 비해 작은 불편함이 있음 GPS 안테나를 내장하여 보행 중에도 위치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제품도 있음 핸드폰형 네비게이션 SKT 의 Nate Drive, KTF 의 K-Ways 등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제품 기능을 지원하는 핸드폰을 구입해야 하며 , 매달 별도의 요금이 부과됨 카 네비게이션의 종류
39. 카 네비게이션 업체 팅크웨어 ( http:// www.thinkwaresys.com ) 네비게이션 S/W ‘ 아이나비’를 개발하고 이를 타사 단말기 뿐만 아니라 자체 제작 단말기에 탑재하여 판매 . 만도맵앤소프트와 함께 전체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며 양강 체제를 구축 만도맵앤소프트 ( http:// www.speednavi.co.kr ) ‘ 맵피’와 ‘지니’라는 브랜드로 현대오토넷 , 카포인트 , 미오테크놀러지 등 주요 30 여개 하드웨어 업체의 100 여개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S/W 를 공급 시터스 ( http:// www.citus.co.kr ) SK 의 지도데이터를 활용한 ‘루센’이라는 S/W 를 개발 . ‘ 아이나비’와 ‘맵피’ 위주의 네비게이션 S/W 시장에 새로운 경쟁자로 부상 중 . 국내 주요 네비게이션 S/W 업체
40. 카 네비게이션 업체 Navteq ( http:// www.navteq.com ) 미국을 기반으로 한 세계 최대의 네비게이션 지도 업체 1985 년에 설립 , 현재 2000 명 이상의 직원을 둔 기업으로 성장 Google Earth 에 전세계 전자지도를 공급 2005 년에는 한국의 전자지도 회사인 PMI 를 인수함 TeleAtlas ( http:// www.teleatlas.com ) 벨기에에 본사를 둔 디지털지도 기업 . 미국의 Navteq 과 함께 전세계 전자지도 시장을 양분하고 있음 . TomTom ( http:// www.tomtom.com ) 네델란드 기업으로 , 2001 년부터 각종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S/W 를 출시하여 세계적인 주목을 받음 미국 최대 자동차메이커인 GM 사와 협력하여 미국에 시장확대에 성공 해외 주요 네비게이션 S/W 업체
41. 카 네비게이션 업체 Garmin 북미 GPS 시스템 디바이스 시장의 약 50% 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기업 해상용 GPS 리시버를 시작으로 , 걸프전 등에 가민의 제품이 사용된 이후 자동차용 , 레저용 등 다양한 목적의 GPS 제품을 선보이고 있음 Margellan Garmin 사와 함께 북미 네비게이션 시장을 대표하는 기업 네비게이션 단말기 (RoadMate 시리즈 ) 와 지도 등을 판매 그 외 Cobra Electronics, Navman 등 해외 네비게이션 H/W 업체
42. 네비게이션 시장 현황 국내 시장 지상파 DMB 서비스와의 결합으로 2006 년 이후 폭발적인 성장 2007 년에는 지상파 DMB 서비스의 전국 확대와 TPEG 서비스 개시로 더욱 높은 성장율을 보일 것으로 기대됨 2006 년 국내 네비게이션 시장 : 150 만대 가량 ( 전체 등록차량의 9.5%) 2008 년까지 전체 차량의 50% 정도에 장착될 것으로 전망 기존의 단말기 브랜드 위주로 판매되던 시장 경향이 S/W 브랜드를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됨 시장
43. 네비게이션 시장 현황 일본 복잡한 도로와 교통 혼잡으로 인하여 가장 먼저 카 네비게이션을 상용화 도로 교통정보 통신 시스템인 VICS (Vehicl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ystem) 를 통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무상으로 제공 현재 새로 출고되는 차량의 약 80% 에 네비게이션이 장착되어 출고됨 . (Before Market 의 시장 비율이 높음 ) 시장
44. 네비게이션 시장 현황 유럽 향후 5 년 내 가장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 ( 일본 / 북미 시장에 비해 ) 2005 년 기준 약 12 억 달러 규모 2010 년 예상 시장 규모 25 억 달러 ( 예상 성장률 103%) 북미 일본 / 한국 시장에 비해 네비게이션의 보급과 활용률이 떨어짐 2005 년 기준 시장 규모 4 억 6 천만 달러 2010 년 예상 시장 규모 7 억 8 천만 달러 예상 ( 예상 성장률 91%) 시장
45. 네비게이션의 발전 방향 단순한 경로 안내 기능에서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됨 각종 서비스가 통합된 Telematics 개념 단순한 차량 탑재기가 아닌 다양한 가치 사슬이 존재하는 산업으로 성장 향후 발전 가능성
46. 네비게이션의 발전 방향 차량과 관련된 컴퓨터 및 무선통신의 혼합 기술 멀티미디어 이동 통신의 무선접속 플랫폼 상에서 구축되는 , 지능화된 도로정보 통신 시스템의 집합체 ITS 기반 Telematics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