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Related Content
[1st TEDx명동] 식민근대화 Vs 자주근대화 조소앙 평전 2. 김삼웅 저-한겨레신문 2024 Trend Updates: What Really Works In SEO & Content Marketing Storytelling For The Web: Integrate Storytelling in your Design Process Featured (20)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and Competition – SCHREPEL – June 2024 OECD dis... How to Leverage AI to Boost Employee Wellness - Lydia Di Francesco - SocialHR... 2024 State of Marketing Report – by Hubspot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ChatGPT Product Design Trends in 2024 | Teenage Engineerings How Race, Age and Gender Shape Attitudes Towards Mental Health AI Trends in Creative Operations 2024 by Artwork Flow.pdf PEPSICO Presentation to CAGNY Conference Feb 2024 Content Methodology: A Best Practices Report (Webinar) How to Prepare For a Successful Job Search for 2024 Social Media Marketing Trends 2024 // The Global Indie Insights Trends In Paid Search: Navigating The Digital Landscape In 2024 5 Public speaking tips from TED - Visualized summary ChatGPT and the Future of Work - Clark Boyd Getting into the tech field. what next Google's Just Not That Into You: Understanding Core Updates & Search Intent How to have difficult conversations Introduction to Data Science Time Management & Productivity - Best Practices History 0.7
- 1. 북간도
중광단(1911)
서일, 계화, 채오
대종교
서전서숙(1906, 용정)
이상설, 이동녕,
정순만, 여준
신민회(1906,비밀결사)
양기탁, 이동녕, 전덕기, 안창호,
이동휘, 노백린, 유동열,
신채호, 박은식, 윤치호
대한매일신보
상동청년회
정순만, 박용만, 이회영, 이상설,
이준, 이갑, 이승훈, 전덕기
서간도 삼원보
이회영, 이시영 등 6형제
이동녕, 이상룡,
김동삼, 유인석
+ 3.1 운동탄압
105인 사건(1911)
간민교육회(1907)
명동(김약연),
정동, 은진, 명신, 광성, 창동, 북일
신산회, 생산조합, 판매조합
교육보
간민회(1913, 자치정부)
→ 간도국민회(1914)
이동휘, 김약연, 김영학, 구춘선, 마진
임정 소속
경학사(1911)
신흥강습소
→ 신흥학교, 백산농장(1914)
부민단(1912) → 부민회 → 한족회(1919)
허혁, 이상룡, 김동삼, 이탁
서로군정서(1919)
이상룡, 김동삼, 지청천
대한통군부(1922.6)
채상덕, 고할신, 김창환
→ 통의부, 의용군
→ 서간도 사변
복벽주의 – 의군부(1923)
참의부(1924)-임정 지지
정의부(1924)
대한정의단(1919)
창의격문
군정회 → 군정부 확대
북로군정서(1919.12) → 대한군정서
김좌진
임정 소속, 일민보/신국보
서간도
대한독립단(1919.04)
박장호, 조맹선, 백삼규,
조병준, 전덕원, 박양섭
복벽주의
평안남북도, 황해도, 만주
기원독립단(단군)
박장호, 조맹선
민국독립단(공)
조병준, 신우현
광한단(1920.2)
현정경, 김이대,
김관성, 이시열
전원위원제, 모험대 조직
광복군사령부(1920.2)
대한의용군사의회
한족회, 대한독립단,
청년단연합회 등
→ 광복군총영(1920.8)
임정 군무부 직할(6개영)
조맹선, 여순근, 이탁
대한북로독군부(1920.03)
대한독립군(홍범도)
+대한국민회군(안무)
+군무도독부(최진동)
+대한군정서(김좌진)
봉오동전투, 청산리 대첩
의사부 → 조선독립기성회
→ 대한국민회(1920,행정,
간도대한민회/간도국민회/
북간도대한국민회/대한민회)
임정 소속
대한독립청년단(1919, 안동현)
→ 대한청년단연합회
함석은, 오학수, 조재건
→ 신흥무관학교(1919)
이시영, 지청천, 이범석
대한독립군비단(1919,창바이현)
태극단, 광복단, 대진단지부, 흥업단지부
대한국민단(1921)
김호, 이은향, 윤병용
신민부(1925)
의민단(1919,왕청현)
천주교, 방우룡, 김연군
대한신민단(1919)
김규면,한광택,최상진
- 2. 자유시 사변(1921.6) 이후
서로군정서
공화주의
대한독립단
유림 복벽주의
광한단
광복군사령부(광복군총영)
+ 서로군정서 소장파
남만한족통일회의(8단 9회, 1922.8)
대한통의부, 의용군
김동삼, 채상덕
남만통일회(1922)
대한통군부(행정+군사)
채상덕, 고할신, 김창환
서간도사변(1922.10)
복벽주의 통의부 탈퇴, 의군부 설립
전덕원, 채상덕, 김평식, 오석영, 박대호
1924.6 참의부 건설, 임정산하 선언
1924.7 전만(全滿)통일회의 주비회
대한광정단(김호), 대한독립군(이장녕),
대한독립군단(윤각)
1924.11
정의부 건설(전만통일회)
대한독립단, 학우회 X
입법/사법/행정 3권분립 민주공화제
단국기원 연호
중앙/지방/구의회 설치
서로군정서 해산
서간도
북간도
1925.1 부여족통일회의
1925.3 신민부 설립
대한독립군정서(김혁, 조성환),
대한독립군단(김좌진, 남성극),
중동선교육회장(윤우현) 등 민선대표
삼권분립체제
(중앙집행위원회, 의회 참의원, 사법부 검사원)
군구제(軍區制)와 둔전제(屯田制)
1926.7 임정 홍진 국무령 통합운동
1928.5 민족유일당 건설 회의, 정의부 외 18개 재만 단체
1928.12 혁신의회(길림)
민족유일당재만책진회
신민부 군정부, 참의부 주류파, 정의부 탈퇴파,
일부 사회주의자
회장 김동삼, 중앙집행위원장 김원식,
군사 황학수/지청천, 민정 김승학
→ 한족총연합회(김좌진) → 한국독립당(홍진,지청천) →
신한독립당(1934, + 한국혁명당)
1929.4 국민부
정의부 주류파와 신민부 민정파, 참의부 비주류
회장 김동삼, 중앙집행위원장 김원식,
군사 황학수/지청천, 민정 김승학
조선혁명당(1929.9), 현익철
→ 조선민족혁명당(1935), 재건(1937)
조선혁명군 : 이진탁, 양세봉, 이웅 (중국군, 영릉가 전투)
대한민국임시정부육군주만참의부
백광운, 조능식, 박응백, 김원상, 조태빈
민사부 관할구역 - 13개 지역행정구
집안·무송·장백·안도·통화·유화 관할
1928 혁신의회 참여로 해체
1929 국민부 참여
전민족유일당촉성회
개인본위 조직론
단체 해산, 개인본위로 민족 유일당 건설
전민족유일당협의회
단체본위 조직론
기존 단체 연합, 민족유일당 건설
- 3. 북간도
동도군정서(북로군정서) → 제2연대
김좌진
동도독군부(대한독립군) → 제1연대
홍범도
대한독립군,국민회군,도독부군,
의군단군,신민단군
대한독립군단(1920.12, 밀산)
총사령관 : 김규식
참모장 : 이장령
여단장 : 지청천
총재 : 서일
부총재 : 홍범도, 김좌진, 조성환
북로군정서, 대한독립군, 대한신민회,
대한국민회, 군무도독부, 의군부, 혈성단, 야단,
대한정의군정사
군무도독부군 → 제3연대
최진동
대한북로독군부(1920.5)
대한국민회 산하
대한독립군(홍범도)
+국민회군(안무)
+군무도독부(최진동)
삼둔자 전투
봉오동 전투(1920.6)
1920.7,10
청산리 대접(1920.10)
ㄴ 백운평 전투 : 김좌진(북로군정서), 이범석
ㄴ 완루구 전투 : 홍범도
ㄴ 천수평 전투 : 김좌진
ㄴ 만록구 전투, 고동하 전투 : 김좌진, 홍범도
연해주 참변(1920.4)
훈춘사건(1920.10) → 일 간도출병
경신참변(1920)
극동공화국 무장해제 요구
X 북로군정서 (서일, 김좌진, 이범석)
O 총군부(최진동), 국민회군대(안무),
대한독립군(홍범도), 북로군정서(박두희)
다반군대 : 최니콜라이
독립단군대 : 박그레고리, 최파샤
이만군대 : 김표도르(상하이파)
니항군대(사할린 대대) : 박일리야, 김민선(상하이파)
상하이파(치타 한인부) 이르쿠츠크파(코민테른 지지)
전한군사위원회
이용, 채영, 한운룡
장기영, 박일리야
대한의용군사령부
홍범도, 안무, 서일,
조욱, 지청천, 이용,
채영, 최진동
고려공산군 군정회의
갈란다라시월린
유동얄, 최고려, 오하묵
자유대대 : 오하묵, 최고려(이르쿠츠파)
← 전로한인공산당
고려혁명군(1921.6)
고려군정의회
자유대대 + 대한독립군+국민회군
(홍범도, 안무)
자유시 사변(흑하사변)
대한의용군 무장해제 요구
- 4. 연해주
13도의군(1910), 성명회
최재형, 이범윤, 유인석,
홈범도, 이상설
한인사회당(1918)
이동휘, 오바실리,
유동열, 김립, 김알렉산드라
권업회(1911)
권업신문
대한광복군 정부(1914)
이상설, 이동휘
연해주,북간도,서간도
상하이 동제사(1912)
신규식, 박은식, 신채호,
조소앙, 김규식, 문일평, 홍명희
* 박달학원
신한혁명당(1915)
당수 : 고종
신규식, 박은식, 조성환, 이동휘
이상설, 유동열, 성낙형, 이춘일
조선사회당(1917.8)
신규식
만국사회당대회(조선독립 승인)
대동단결선언(임정수립,
국민주권설)
전로한족회 총회(1917)
원호 ↔ 여호
자치강화 ↔ 소비에트지지
한인대표자회의(1918)
문창범, 김립, 김주프로프
전로한족회 헌정회의(1918)
반볼셰비키
신한청년당(1918)
여운형
김규식, 김철, 문일병,
정인보, 신규식, 장덕수
대한국민의회(1919)
문창범, 김철훈, 오창환
임정 참여 X
고려공산당(1921.5)
미국 공립협회(1905, 샌프란시스코)
안창호, 공립신보
국민회(1909.2)
박용만, 이승만
한인합성협회(1907, 하와이)
이재명,
전명운, 장인환 후원
대동보국회
대한인국민회(1910.2)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1911.3, 1912)
박용만, 신한민보
한인소년병학교(1909.6)
박용만, 정한경
대조선 국민군단(1914.6, 하와이)
산넘어병학교, 둔전병제
숭무학교(1910, 멕시코)
대한부인회(1913,하와이)
북미지방총회
하와이지방총회
멕시코지방회
시베리아지방총회(1911)
만주지방총회(1911)
흥사단(1913, 샌프란시스코)
안창호
대조선독립단(1919,하와이)
박용만
한인비행사양성소(1920.1)
노백린
- 5. 풍기광복단(1913, 채기중)
대동청년단(1909)
서상일, 안희제, 남형우
달성친목회 (1908,대구) 조선국권회복단(1915,대구)
윤상태, 서상일, 박상진,
이시영
대구28인 사건
백산상회(1914, 안희제)
대한광복회(1915)
박상진, 채기중,
우재룡, 권영만, 김좌진
상덕태상회, 대동상점
대한독립의군부(1912, 임병찬, 전라도)
조선 총독부에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
조선국민회(1915,장일환)
항일무장기독교단체
단천자립단(1915, 함경남도)
천도구국단 (1914, 이종일 )
한성임시정부(1919)
이규갑, 홍진
13도 대표자회의 → 국민대회
임시정부선포문, 약법6조
집정관 총재 : 이승만
국무총리 : 이동휘
조소앙
국내
의용단(1920, 김석황)
조선민족대동단(1919)
전협, 최익환
김가진 총재, 의친왕 이강
조선불교회 → 불교동맹(1914)
한용운
조선물산장려회(1920)
조만식
의열단(1919.11.10)
김원봉, 김두전, 이명건, 이종암
조선 혁명 간부 학교를 설립
의열단 공약10조, 칠가살
밀양·진영 폭탄반입사건
부산경찰서 폭탄투척의거
밀양경찰서 폭탄투척의거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상해황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투척 및 삼판통(三坂通)·효제동 의거
동경 니주바시 폭탄투척의거
동양척식회사 및 식산은행폭탄투척의거
조선혁명선언(신채호,1922)
5 파괴(이족통치, 특권계급, 경제약탈제도, 사회불평등, 노예적 문화사상)
5 건설(고유적 조선, 자유적 조선 민중 민중적 조선, 민중적 사회, 민중적 문화)
상하이청년동맹회(1924.4)
윤자영
의열단 한인애국단(1931,상해)
김구(임정 국무령)
한중 우의(韓中友誼)와 일본 수뇌암살
이봉창(천황암살),
윤봉길(훙커우공원)
이덕주, 유진만(조선총독암살미수사건)
최흥식, 유상근(국제연맹조사단원암살미수사건)
- 6. 2차 코민테른(1919)
이르쿠츠크 러시아공산당 시베리아국
동양국 – 동양비서부(보리스 슈미야츠키)
이르쿠츠크파 지지
이르쿠츠크 공산당
한인지부(1920.1)
오하묵, 김철훈,
박승만, 박알렉세이
남만춘
한인공산당(1920.5, 상하이)
이동휘, 박진순, 김립, 이한영
--------------
여운형, 조완구, 신채호,
안병찬, 조동호, 선우혁,
윤기섭, 김두봉(임시정부)
전로한인공산당
중앙총회(1920.7)
전한공산당
창립대회(1921)
1922.12 고려공산당 해산 명령
코민테른 산하 꼬르뷰로(고려총국) 설치
이동휘, 윤자영(상해파)
한명서, 장건상, 김만겸(이르쿠츠크파)
김재봉(꼬르뷰로 국내부 → 화요회)
아무르주 한인의회(1920,자유시)
최고려, 이훈 + 대한국민의회
자유대대
조선혁명가대회(1918.3)
러시아 하바롭스크
이동녕, 양기탁, 안공근
이동휘, 유동열
김알렉산드라, 오하묵
볼셰비키 연대
한인사회당(1918.5)
이상설, 이동휘
김알렉산드라, + 신민회 좌파
조직부, 선전부, 군사부
한인적위대(최초 무장투쟁, 우수리전투)
1919.11
이동휘 통합임시정부 국무총리
한인사회당 → 상하이
박진순, 한형권, 김립
(러시아,대일한로공수동맹)
고려공산당 중앙총회(1921.5)
이르쿠츠크파
김만겸, 김철훈, 장건상,
최고려, 한명세,
여운형, 조동호, 김단야, 임원근, 박헌영
소비에트 정부 수립
대한국민의회, 상해임정 거부
자유시 참변
(1921.6)
조선공산당(1925.5)
13인회
서울파(고려공산연맹), 북풍파
화요파, 상해파, 조선노동당
코민테른 승인
1922.10 고려공산당 연합대회
베르흐네우진스크
상하이파 주도, 이르쿠츠크파 거부
대한국민의회
연해주 → 아무르주
한인빨치산
박일리야
→ 니항사건,
니콜라옙스크 사건
→ 4월참변, 연해주 참변
최재형 X
한인사회주의단체 대표자회의(치타)
→ 극동국 한인부(1920.12)
박애, 계봉우, 장도정, 박창은
고려공산당 상해파(1921.5)
이동휘, 김규면, 김립,
박진순, 김철수, 장덕수
민족해방 → 프로레타리아 혁명
- 7. 신아동맹단(1916,동경)
김철수
조선노동공제회(1920.4)
박중화, 박이규, 오상근
노동자 이익, 노동야학, 소작쟁의
한인사회당(1918)
이동휘, 김립, 박진순
상하이 한국공산당(1920)
여운형 등 참여
전로한인공산당(1920.1)
김철훈, 이성, 남만춘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1921.5)
한명세, 남만춘, 여운형
상하이파 고려공산당(1921.5)
이동휘, 윤자영, 김철수
베르흐네우진스크
고려공산당 연합대회
1922.10
상하이파 중심,
이르쿠츠쿠파 거부
고려총국(꼬르뷰로)
이동휘(X), 한명세, 장건상,
김만경, 정재달
사회혁명당(1920, 서울)
김철수, 윤자영, 최팔용,
김명식, 장덕수 등
최초 계급 및 사유재산 타파
국내 상하이파
김영식, 장덕수
좌파 신생활사(1922)
김명식, 유진희
우파 이봉수
고려총국 국내부(1923)
김재봉,
김약수, 신백우, 이봉수, 원우관
고려공산당창립준비위원회
(오르그뷰로,1924)
남만준, 김철훈, 박응칠
사회혁명당(1921, 도쿄)
김사국, 김사민
→ 신인동맹회(1922.2,서울)
조선공산당(1920.3)
김한, 신백우, 정재달
무산동지회(중립당) (통합)조선공산당(1922.3)
무산자동맹회
고려공산동맹(1923.1) 서울파
김사국, 이영, 정백
신사상연구회(1923.7)
윤덕병, 원우관, 김찬, 홍명희
무산자동맹회
화요회(1924.11)
박헌영, 조봉암,
김단야, 김찬 등 참여
북성회(1922.12)
김약수
조선청년연합회(1920.12)
116개 회원 단체
오상근, 윤자영, 이영 등
김윤식 사회장,
사기공산당 사건으로 분열
흑도회(1921,일본)
김약수, 박열, 김사국
무정부주의
까엔당,
건설사 → 북풍회(1924)
조선노농총연맹(1924.4)
북풍회+화요회+상하이파
서울청년회(1921.1)
이득년, 오상근, 김명식,
김사국(사회주의)↔ 장덕수(민족)
적박단
연합회계
통일조선공산당(1926.12)
일월회,서울파 신파 등 'ML파‘
ML당, 3차 조선공산당
신간회 결성,
노동총동맹, 농민총동맹 분리
13인회(1924)
북풍회,서울파,화요회,
신생활사, 고려총국 국내부 등
조선공산당(1925.4)
13인회+해외파+오르그뷰로
민족해방, 반제국주의
조선노동당(1924.8)
전일, 이남두, 이봉길
의권단
조선 민흥회
정우회 선언 → 신간회(1927)
이상재, 홍명희
조선청년총동맹(1924)
민중계몽
- 8. 임시정부 8인위원회
이동녕, 이시영, 조소앙,
조성환, 이광, 현순, 신석우, 이광수
임시의정원(1919.4)
이동녕 초대의장
임시정부(1919.4.11)
국무총리 : 이승만
안창호(내무), 김규식(외무), 최재형(재무),
이시영(법무), 이동휘(군무), 문창범(교통)
임시헌장 제정 10개조
이시영, 조소앙, 남형우, 신익회
임시의정원법(4.29)
임시의정원 합병결의(7.11)
상해, 한인사회당, 대한국민의회(X)
통합 임시정부(1920.01.3)
국무총리 : 이동휘 - 독립전쟁론
이동녕(내무), 신규식(법무), 이시영(재무)
연동제, 교통국, 인구세, 애국금, 독립공채
경무국(김구)
독립신문(이광수, 주요한)
파리위원부(1919.4)
김규식, 이관용, 조소앙
→ 만국사회당대회(1920) 한국독립지지결의안 통과
대영제국 한국친우회(1920.11)
군사통일촉성회(1920.9, 베이징)
신채호 이회영, 박용만, 신숙
→ 군사통일주비회(1921.4)
임정과 임시의정원 불신임 결의
임시헌법 공포(9.11)
한성+상하이+노령 정부 통합
3.1 혁명, 8장 58개조
대통령제 + 내각책임제
민족주의 계열
독립전쟁파(만주)
사회주의 계열
한인사회당(이동휘)
실력양성파(안창호)
외교주의(이승만) – 기호파 지지
신한혁명당
임정 반대 : 신채호, 박용만, 이회영, 대한국민의회
국민대표회의(1923.1)
135개 단체 125명 대표(만주, 노령, 미주, 상하이, 베이징 등)
개조파 : 안창호, 여운형
이동휘, 윤자영 등 상하이파 고려공산당
김동삼, 이진산 등 서로군정서, 한족회 등 서간도
창조파 : 신채호, 박용만, 신숙 등 베이징통일회의
김만겸 등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윤해, 문창범 등 대한국민의회
임시정부 : 신규식, 김구
협성회
이동녕, 조완구, 윤기섭, 김구
임정 지지
1924.6 국무총리 이동녕
내무 김구, 외무 조소앙, 재무 이시영
1924.12 임시의정원, 박은식 – 국무총리 & 대통령 대리
구미위원부 폐지령
1925.3.11 이승만 면직 결정(탄핵심판위원회)
1925 이상룡 국무령, 2차개헌 의원내각제
1926.7 홍진 국무령, 3대 강령
1927 3차 개헌 : 국무위원 집단지도체제, 민족유일당
1931 한인애국단(김구)
1934 대한민국임시정부건국강령(삼균주의)
1937.8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김구)
1940 4차 개헌 : 내각책임제(주석, 의정원 선출)
1944 5차 개헌 : 국무위원회 – 행정부
1932 ~1940 임정이동
상하이 → 항저우 → 전장 → 창사 → 광둥 → 류저우 →
치장 → 충칭
- 9. 한국혁명당(1929,난징)
윤기섭,정태식,신익희,김홍일
독립운동 단체의 대동단결
중국 국민정부와 연합 전선
중한연합의용군 조직
혁신의회(1928)
유일독립당촉성회
참의부와 신민부의 군정파,
정의부 촉성회파
한족총연합회(김좌진)
→ 한국독립당(1930)
동북만의 의병·유림·대종교
홍진, 지청천
한국독립당군(지청천, 황학수)
신한독립당(1934, + 한국혁명당 합당)
홍진,김원식,윤기섭,연병호,지청천
민족주의를 기초로 하는 정권·생계·문화의 독립
민주적 신건설을 완성
민족혁명당 합당(1935.7)
조선민족전선연맹(1937)
조선민족혁명당(김원봉)
+조선민족해방자동맹(김규광)
+조선혁명자연맹(유자명)
+조선청년전위동맹(최창익)
임시정부 참여(1942,김규식, 장건상)
조선의용대(1938.10)
→ 1942년 5월 광복군 제1지대로 편입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1932.11, 상하이)
→ 민족혁명당(1935.7)
김원봉, 조선의열단중심
광복동지회(김규식)
조선혁명당(최동오)
의열단(한일래,박건웅)
한국독립당(이유필,송병조,김두봉)
한국혁명당(윤기섭,신익희)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1937.8)
한국국민당(김구)
한국독립당(조소앙)
조선혁명당(지청천)
미주 대한인국민회(북미대한인국민회)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대한인단합회
대한인부인구제회
대한인동지회
한인애국단 등 9개 단체
광복진선
한국국민당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
한국국민당(1935,항저우)
김구, 이동녕, 조완구, 이시영
삼균주의, 토지국유화
서양 문화 반대,
공산주의/사회주의 반대, 소련연합 반대
한국국민당청년단,
한국청년전위단
한국독립당(1930)
이동녕, 이시영,
김구, 안창호, 조소앙
삼균주의(정치,경제,교육)
태극기 민족혁명론
한국혁명운동통일7단체회의(1939.8)
한국독립당(1940.4)
조선혁명당(1929.9)
국민부 정당
현익철, 현정경, 이웅, 고이허
조선혁명군
대일전선통일동맹 참여(1932.11)
조선민족혁명당 합병(1935)
조선혁명당(1937, 난징 재건)
지청천,최동오·유동열,
이광제,박창세,양기탁
조선민족혁명당(1937.1)
김규식, 김원봉
1. 조선국내/외의 민족통일전선을 촉진할 것
2. 광범한 통일적 중한민족연합전선을 건설할 것
3. 전민족을 발동해 중국의 항일전선에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