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IoT & 오픈소스
김형채 / 2013.05
1. IoT 개요
2. 시장 및 기술 동향
3. 국내외 정책 동향
4. IoT ecosystem
5. IoT 분야의 오픈소스
인터넷 패러다임의 진화
인터넷 패러다임은 지속적으로 진화화면서 연결된 기기가 급증
IoT 개요
Source : Morgan Stanley(2009). The Mobile Internet Report
M2M / IoT
M2M(Machine To Machin)과 IoT의 관계
- 사물인터넷을 M2M의 확장개념으로 인식하는 것이 일반적
- 기기간 단순 통신(M2M)에서 기기사람 간 통신까지 확대
- 사물 중심에서 인간을 둘러싼 환경 중심
IoT 개요
IoT / IoE
사물인터넷(The Internet of Things, IoT)
컴퓨터, 휴대폰 등 '전자기기'만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던 '인터넷 시대'를 지나,
커피포트, 쓰레기통, 타이어 등 '모든 종류의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IoE)
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Things) 등 연결되지 않은 세상의 나머지 99%까지 모두 인터넷에
연결돼 실시간 상호 소통함으로써 전례 없는 가치를 창출해내는 시대.
- 시스코 미래학자 데이브 에반스(Dave Evans)가 시스코 라이브 2013에서
IoT가 '기술'이라면, IoE는 단순히 '기술' 혹은 '기술들의 집합체'라기 보다는
실시간 연결성을 통해 지금과는 전혀 다르게 변화될 '미래의 생활 방식' 혹은 '생활 양식의 혁신'
으로 생각해야 한다.
IoT 개요
http://www.youtube.com/watch?v=TyzUqpqfCDA#t=81
IoT 서비스 예시
IoT 개요
기타 관련 기사
• 오픈소스가 스마트머신을 이끈다
– 사물인터넷(IoT)의 확산과 함께 기기의 스마트화를 이끄는 솔루션으로 오픈소스와 리눅스
가 일반화될 전망이다. 리눅스는 수년간 임베디드 기기에 이상적인 솔루션이란 점을 증명해
왔기 때문이다.
– http://www.techrepublic.com/blog/linux-and-open-source/10-predictions-for-
open-source-in-2014/
• IoT도 오픈소스 리눅스가 지배
– IPTV STB나 스마트홈폰(SoIP)을 홈게이트웨이로 활용하는 등 스마트홈 관련 서비스 출시
– SKT는 영국 ARM사와 자사 사물인터넷 플랫폼 ‘뫼비우스’ 공동 연구 협약 체결
–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15035
• 한국, 10년간 만물인터넷(IoE) 시장 가치 251조원
– “아직까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는 1%에 불과하다. 현재 연결되지 않은 것을 연결함으로
써 무수한 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 “ICT 기술을 총합하는 IoE는 새로운 금광”
–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18022
시장 및
기술동향
IoT 시대의 가시화 요인
• 모바일, 센서, 무선통신, 빅데이터 처리 등 핵심기술의 발전과 저가격화 소형화 되
면서 사물통신의 시대가 가시화.
– 소형화, 저가격화 되면서 모바일 기기에 연간 탑재되는 MEMS 센서 개수는
2007년 1,000만 개에서 2012년 35억개로 급증
– 모바일 인터넷 속도는 2000년 이후 1,000배 빨라졌으며,
빅데이터를 싸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하둡(Hadoop)과 같은 분석기술이 등장
IoT 개요
*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 반도체 기술로 실리콘 기판 위에 구현한 초소형 기계 부품
IoT에 대한 기대감 빠르게 확산 중
•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은 현재 100억 개에서 2020년 500억 개까지 증가
–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의 수는 이미 ’08년부터 사람 수를 초과(Cisco, 2013)
– 전세계 단말의 99.4%가 이직 인터넷 미연결로 연결 가능 단말 수요는 무궁무진(Cisco,
2013)
– 통신회선 기준으로 이용 기기는 1인당 2.5개에서 6.3개로 증가
– 이중 IoT 단말 비중은 현재 10% 수준에서 2020년 5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사물인터넷은 향후 10년간 총 19조 달러의 경제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
시장 및
기술동향
해외의 사물인터넷 추진 사례
• At&T는 가정 내 보안 & 자동화에 초
점을 맞춘 스마트홈 서비스 ‘Digital
Life’ 출시
– 2013년 4월 상용화 이후 미국 내
50여 곳으로 서비스 제공 지역 확대
• Deutsche Telekom의
스마트홈 서비스
– 주요 제조사 제휴를 통한
스마트홈 포털 지향
시장 및
기술동향
해외의 사물인터넷 추진 사례
시장 및
기술동향
국내 사물인터넷 추진 동향
• 통신사 중심으로 정부 기관/ 지자체/ 공공 서비스 수요 중심의 사업 진행
– kt: 환경부 원격진단/관리, 스마트그리드 제주시범단지 참여, skt의 법무부 전자발찌 프로
젝트 등
• 최근 시장 주도권 확보 위한 플랫폼 개발과 동시에 헬스케어/스마트홈 등 소비자 서
비스 출시 중
– IPTV STB나 스마트홈폰(SoIP)을 홈게이트웨이로 활용하는 등 스마트홈 관련 서비스 출시
– SKT는 영국 ARM사와 자사 사물인터넷 플랫폼 ‘뫼비우스’ 공동 연구 협약 체결
시장 및
기술동향
미래창조과학부 “사물인터넷기본계획” 확정
• 미래창조과학부는 5월 8일(목)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을
확정하였다고 밝혔다.
국내외
정책동향
해외 주요국가 사물인터넷 추진현황
국내외
정책동향
•2025년까지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6대 혁신적인 파괴적 기술’ 중
하나로 ‘사물인터넷’을 선정하여 기술로드맵 수립(’08년)
•Reshoring Initiative(제조업본국회귀)로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제조업 혁신 추진
중(’10년)
미국
•EU는 사물인터넷 액션플랜 수립(’09년)
•영국는 사물인터넷 연구개발에 4,500만 파운드 투입 발표(’14.3.9)
•독일은 Industry 4.0를 통해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제조업 생산성 30% 향상 추
진
유럽
•12차 5개년(2011~2015) 계획에 ‘사물망 12-5 발전규획’을 발표(’11년)
•감지(感知)중국의 전략으로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등을 타겟으로 한 사물인터
넷 시범단지(우한시 등 193개) 등 추진
중국
•u-Japan 전략(’04년), i-Japan 2015 전략(‘09년), Active Japan ICT전략(‘12년
) 등을 통해 사물인터넷 산업정책 추진 중
일본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핵심 도메인
IoT
ecosystem
구 분 생태계 현황
서비스(S)
•(공공) 다양한 시범사업을 추진하였으나, 개발․운영비용 부담 등으로 확산 저조
•(산업) 대기업 중심으로 도입, 중소기업은 비용문제로 도입 저조
•(개인) 웨어러블, 가전, 자동차 등은 글로벌 기업 간 경쟁 중
중소기업은 다양한 생활제품 응용분야에 진출 노력 중
플랫폼(P)
•국내 대기업은 플랫폼을 개발 중이나, 글로벌 시장 주도력 부족
•국내 중소기업은 플랫폼 부재로 시장진입 어렵고, 글로벌 기업에 종속우려
•oneM2M*(’12.7월) 중심으로 국제표준화 추진 중(’14.8월 완료예정)
네트워크(N)
•급증하는 트래픽을 SW로 유연하게 처리하는 기술 개발 중
•원격지 사물 연결을 위한 저전력 장거리 비면허 대역 통신요구 증대
•5G, Giga인터넷, IPv6 등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개발․구축 중
디바이스(D)
•스마트폰 이후 글로벌 기업 중심으로 실감․지능․융합형 디바이스 개발 경쟁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센서 등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 전망
보안(Se)
•IoT 서비스(홈․가전, 의료 등) 보안 침해사고 사례가 나타남에 따라 보안
대책 논의를 시작하는 단계
•설계단계부터 보안, 프라이버시 등을 고려한 기술 및 서비스 개발 필요
사물인터넷 생태계 기업현황
IoT
ecosystem
모듈/칩 기기 네트워크 솔루션 서비스
디바이스 도메인 게이트웨이 도메인 서비스 도메인
삼성, 동부
누리텔레
콤, LS산전
등
삼성, 현대
등
소비재 제
조사
kt, skt,
U+
퀄컴, TI,
ARM 등
이루온, 유
엔젤, LS산
전 등 산업
재
CJ 등
MVNO 사
업자
- 한전, 도로공사
- SDS, LG CNS SK C&C
등 SI 사업자
• 원격 제어
• 에너지 관리
• 시설 관제
• Security 등
• 통신사는 네트워크에서 솔루션, 서비스로 사업 확대를 모색 중이나, 시장이 B2B 중심
으로 확산되면서 제조사와 솔루션 사업자(SI) 중심으로 흘러가는 중
• 아직 규모가 작은 B2C 시장에서도 제조사의 앱을 통한 직접 서비스 제공이 일반화
IoT 서비스 플랫폼 동향
• IoT 플랫폼 전쟁
IoT
ecosystem
IoT 디바이스 플랫폼 동향
• IoT 디바이스 플랫폼
IoT
ecosystem
국외 IoT/M2M 표준화 단체
IoT 표준화
IoT 기술 표준은 유럽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및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고, EC는 정책적으로 확
산에 주력. ITU-T를 중심으로 IoT에 관련된 표준화 활동
IoT 기술 표준화 동향
IoT 표준화
국내 IoT 표준화 활동
•M2M네트워크 인프라, 통신 프로토콜, M2M관리, 서비스 플랫폼, 단말 및 통신모듈에 대
한 표준화 전략 수립TTA 표준화 전략맵 2012
•M2M 서비스 요구사항, M2M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무선 접속 기술, 상용 플랫폼 간의 인
터페이스기술 표준화 등 표준 추진
•ITU-T, 3GPP, oneM2M 등 국제표준화 공동협력
•oneM2M 제출 표준 4건 개발 중
TTA PG 708(사물지능통신
프로젝트 그룹)
•휴대폰과 PES 서비스 서버 사이에 사용자의 프로파일, 서비스 프로토콜 표준화가 진행 중
TTA PG 703(모바일 플랫폼
및 서비스 프로젝트 그룹)
•RFID/USN 기술 사양 및 서비스 모델TTA PG 311(RFID/USN)
•M2M 요구사항, 구조 포럼표준 제정 (‘11.12)
•M2M 요소기술 및 표준화 대상 기술분석, M2M 식별체계, 이동성, 원격 디바이스관리 등
표준을 개발 중
M2M/IoT 포럼
•M2M을 포함한 BcN 기술의 확장을 연구하고, 이동통신망에서 진행 중인 MTC 기술의 장
기적 발전에 대해 연구개발을 추진 중FN2020 포럼
IoT 표준화
IoT 분야의 표준화 과제
IoT 표준화
1 2 3
IoT 단말에 대한 표준이 제정
되어 있지 않아 IoT 게이트웨
이는 단말을 만들 때 마다 통
신기술에 맞는 별도의 제품을
개발해야 하는 실정
4G 기술, 블루투스, 와이파
이, 지그비(ZigBee)와 같은
기술 발전 속도에 비해 IoT 표
준화가 뒤처짐. 보다 체계적
인 표준화 작업이 필요
IoT 플랫폼과 관련 인프라 보
유 기업, IoT 관련 서비스 개
발 기업 간 협력 모델을 개발
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
부의 IoT 시장 생태계 조성 노
력이 필요
오픈소스 하드웨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IoT 활성화를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의 필요성
• 개방형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오픈소스 대두
• 오픈소스의 가장 큰 장점은 상호운용성을 기반으로 사실표준화가 이루어 진다는 점.
• 오픈소스는 각 사물들이 상호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 방법.
IoT 표준화
전자부품연구원 : 개방형 IoT 플랫폼 Mobius 개요
AllSeen Alliance
IoT 분야의
오픈소스
• 리눅스재단을 중심으로 가전업계가 뭉쳐 하나의 표
준 플랫폼으로 만들려는 움직임
• 2013년 리눅스재단과 퀄컴, 하이얼, 샤프, 파나소닉,
LG전자, 시스코 등 23개 업체가 참여한 IoT 연합체
인 ‘올신얼라이언스(AllSeen Alliance)’을 출범.
• 이들은 상호운용이 가능한 장치 및 서비스를 실현하
기 위한 오픈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의 개발에 상호
협력.
• 퀄컴은 이 올신얼라이언스에 자사가 개발한 장치간
연결 기술 ‘올조인(AllJoyn)’의 소스코드를 넘겼다.
• 이 프레임워크가 보편화 되면 서로 다른 업체들이 만
든 디바이스와 서비스, 콘텐츠가 서로 연결될 수 있
다. 하이얼이 만든 TV와 LG전자의 냉장고가 연결돼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도 있는 것이다.
https://allseenalliance.org/
the Thing System
IoT 분야의
오픈소스
• http://thethingsystem.com/
• Node.js 로 작성된 개방형 홈네트워크 IoT 플랫폼
• The steward 라고 불리는 중앙제어 소프트웨어와 클라이언트로 구성.
IoT 클라우드 플랫폼 Xively(자이블리)
IoT 분야의
오픈소스
• 다양한 오픈 하드웨어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웹으로 연동하여 앱 개발을 지원하는
IoT용 PaaS 서비스
OpenIoT
IoT 분야의
오픈소스
• http://www.openiot.eu/
• 오픈사물인터넷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자금지원을 받은 연구 프로젝트로 클라
우드 컴퓨팅 제공 모델을 활용하는 새로운 오픈, 대규모, 지능형 사물인터넷 애플리
케이션을 새롭게 총체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이 목표.
오픈소스 하드웨어(OSHW)
IoT 분야의
오픈소스
• 해당 제품과 똑같은 모양 및 기능을 가진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모든 것
• (회로도, 자재 명세서, 인쇄 회로 기판 도면 등)을 대중에게 공개한 HW
- 벤처/개인이 HW 디자인을 오픈소스로 공개, 일반인이 개발에 참여하여 제품 완성/발전
• OSHW는 2005년 ‘아두이노(Arduino)’의 등장으로 활성화되기 시작,
• 최근에는 새로운 생산수단과 투자방식의 부각으로 더욱 높은 가능성이 열림
- 3D 프린터가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부품 제작, 킥스타터 등 크라우드펀딩 방식 투자
오픈소스 하드웨어(OSHW) 관련 커뮤니티 및 행사
IoT 분야의
오픈소스
• 오픈 하드웨어의 참여자들은 오픈 소프트웨어와 비슷한 방식으로 정보를 소통,
• 물리적 제품을 제작해야 하는 특성상 오프라인 모임도 활발
아두이노(Arduino)
IoT 분야의
오픈소스
• http://www.arduino.cc/
• 메인보드 위에 WiFi, Ethernet, Zigbee 등 다양한 통신모듈을 손쉽게 연결 가능
• 독자적인 통합개발환경(IDE)을 제공하여 간편한 펌웨어 업로드 등 SW 개발 지원
RasWIK
IoT 분야의
오픈소스
• http://postscapes.com/internet-of-things-award/project/raswik-raspberry-pi-
wireless-inventors-kit/
• Raspberry Pi로 구성된 무선 개발 키트
• 영국의 하드웨어 제조사 Ciseco에서 출시.
• 선만 장착하면 자신만의 무선 프로젝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공
오픈소스 하드웨어(OSHW) 플랫폼
IoT 분야의
오픈소스
•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제품의 지능 역할을 하는 오픈 하드웨어의 핵심이며,
• 대표적으로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비글본블랙이 있음
-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 소형 단일보드 컴퓨터 등으로 불리며, 센서 등 입력장치, 외부장치 컨트롤
기능, 무선통신 모듈과 손쉽게 연결, 개당 30~40불에 누구나 구매 가능
• 성능 개선과 활용도의 증가로 최근 2~3년간 판매량 급증 추세
-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각각 출시 이후 누적 100만대 이상의 판매실적 기록
• 전통적인 칩 벤더인 인텔 역시 오픈 하드웨어 움직임에 동참하기 위해 아두이노와 손잡고
IoT와 웨어러블을 겨냥한 ‘갈릴레오 보드’ 출시 (‘13.10월)
오픈 하드웨어 IoT 제품 사례
IoT 분야의
오픈소스
• 스마트 홈, 커넥티드 카 등 수많은 IoT 제품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오고 있음
• 특히, 저렴한 비용과 짧은 개발기간은 기존 제조사를 능가하는 수준
그외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IoT 분야의
오픈소스
• http://postscapes.com/internet-of-things-award/open-source/
• 2013년 선정된 IoT 분야의 오픈소스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PDF
Ques12「AIのテスト~誤検知と検出漏れ~」
PDF
失敗の話
PDF
IIJmio meeting 15 IIJの考えるフルMVNOとか
PDF
Active shape appearance model-presentation 1st
PDF
디지털 트윈:현실 세계의 미러링, 그 가능성과 한계
PPTX
地理分散DBについて
PDF
行政院會簡報:經濟部簡報:美國對中國半導體管制及我方因應策略
PPT
Lockfree list
Ques12「AIのテスト~誤検知と検出漏れ~」
失敗の話
IIJmio meeting 15 IIJの考えるフルMVNOとか
Active shape appearance model-presentation 1st
디지털 트윈:현실 세계의 미러링, 그 가능성과 한계
地理分散DBについて
行政院會簡報:經濟部簡報:美國對中國半導體管制及我方因應策略
Lockfree list

What's hot (20)

PDF
ISPの向こう側、どうなってますか
PDF
大域マッチングコスト最小化とLiDAR-IMUタイトカップリングに基づく三次元地図生成
PDF
分散システムの限界について知ろう
PPTX
[DL輪読会]BERT: Pre-training of Deep Bidirectional Transformers for Language Und...
PDF
IIJmio meeting #2 IIJmioとIPv6の話
PDF
楽天のデータサイエンス/AIによるビッグデータ活用
PDF
IIJmio meeting 26 プライベートLTEとパブリックLTEの相互運用における問題とその解決
PDF
並行実行制御の最適化手法
PDF
TidalScaleで複数の物理サーバを集約しインメモリーコンピューティングを実現
PDF
SSII2021 [SS1] Transformer x Computer Visionの 実活用可能性と展望 〜 TransformerのCompute...
PDF
CS立体図を自作して公開してみた
PDF
IIJmio meeting 16 「通信速度」に影響を与える要素とは
PDF
IIJmio meeting 9 IIJのモバイル&バックボーンインフラ
PPTX
PredCNN: Predictive Learning with Cascade Convolutions
PDF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토연구원 세미나 자료
PPTX
Structured Light 技術俯瞰
PDF
BERT+XLNet+RoBERTa
PPTX
금융It시스템의 이해 2편
PDF
디지털 트윈, 스마트 시티, 그리고 오픈소스
PDF
Tableauによるデータ可視化と機械学習によるデータ分析
ISPの向こう側、どうなってますか
大域マッチングコスト最小化とLiDAR-IMUタイトカップリングに基づく三次元地図生成
分散システムの限界について知ろう
[DL輪読会]BERT: Pre-training of Deep Bidirectional Transformers for Language Und...
IIJmio meeting #2 IIJmioとIPv6の話
楽天のデータサイエンス/AIによるビッグデータ活用
IIJmio meeting 26 プライベートLTEとパブリックLTEの相互運用における問題とその解決
並行実行制御の最適化手法
TidalScaleで複数の物理サーバを集約しインメモリーコンピューティングを実現
SSII2021 [SS1] Transformer x Computer Visionの 実活用可能性と展望 〜 TransformerのCompute...
CS立体図を自作して公開してみた
IIJmio meeting 16 「通信速度」に影響を与える要素とは
IIJmio meeting 9 IIJのモバイル&バックボーンインフラ
PredCNN: Predictive Learning with Cascade Convolutions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토연구원 세미나 자료
Structured Light 技術俯瞰
BERT+XLNet+RoBERTa
금융It시스템의 이해 2편
디지털 트윈, 스마트 시티, 그리고 오픈소스
Tableauによるデータ可視化と機械学習によるデータ分析
Ad

Viewers also liked (10)

PDF
IoT(사물인터넷) 제품 및 서비스 동향
PDF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사례 분석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PDF
Io tcw15 안진섭-iot기술이 적용된 제품들
PDF
IoT 제품 리뷰 - 약 20개의 IoT 제품 리뷰
PDF
Internet of Things - Iot Solution 73 - 사물인터넷 제품 리뷰 73
PPSX
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
PDF
IoT, 기술의 혁신과 미래 그리고 통찰
PDF
IOT 비즈니스기회
PDF
[1C6]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과 Node.js로 구현하는 IoT 플랫폼
PDF
Internet of Things
IoT(사물인터넷) 제품 및 서비스 동향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사례 분석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Io tcw15 안진섭-iot기술이 적용된 제품들
IoT 제품 리뷰 - 약 20개의 IoT 제품 리뷰
Internet of Things - Iot Solution 73 - 사물인터넷 제품 리뷰 73
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
IoT, 기술의 혁신과 미래 그리고 통찰
IOT 비즈니스기회
[1C6]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과 Node.js로 구현하는 IoT 플랫폼
Internet of Things
Ad

Similar to IoT & 오픈소스 (20)

PDF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PDF
Internet of Things
PDF
개방형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
PDF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PDF
Future of IoT 20171129 rapa suny kim
PDF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PDF
사물 인터넷을 넘어 지능형 사물 인터넷 시대로!_강지나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PDF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PDF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PDF
IoT 서비스 아키텍처 분석 및 Case Study-Innovation Seminar
PDF
사물인터넷 산업의 주요동향
PDF
IoT 구현을 위한 오픈 데이터 이슈
PDF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플랫폼 및 기술 동향
PPSX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시대의 공개SW
PDF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PDF
Iot 전개 동향 및 주요 이슈
PDF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PDF
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
PDF
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
PDF
Keit 13-05-이슈5(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Internet of Things
개방형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Future of IoT 20171129 rapa suny kim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 인터넷을 넘어 지능형 사물 인터넷 시대로!_강지나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IoT 서비스 아키텍처 분석 및 Case Study-Innovation Seminar
사물인터넷 산업의 주요동향
IoT 구현을 위한 오픈 데이터 이슈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플랫폼 및 기술 동향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시대의 공개SW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Iot 전개 동향 및 주요 이슈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
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
Keit 13-05-이슈5(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

More from Kevin Kim (20)

PDF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PDF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PDF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PDF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PDF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PDF
에듀테크 산업에서 개방형OS 하모니카 활용
PDF
출연연의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PDF
개방형 데스크톱 OS 기술동향
PDF
언제 애자일을 써야 좋을까? The better ways of developing software
PDF
오픈R&D 성과관리
PDF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PDF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PDF
오픈 R&D 거버넌스
PDF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PDF
오픈소스와 거버넌스
PDF
공개SW 거버넌스 실무
PDF
공개SW거버넌스(개요)
PDF
애자일이야기
PDF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PDF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Agile 적용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에듀테크 산업에서 개방형OS 하모니카 활용
출연연의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개방형 데스크톱 OS 기술동향
언제 애자일을 써야 좋을까? The better ways of developing software
오픈R&D 성과관리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오픈 R&D 거버넌스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오픈소스와 거버넌스
공개SW 거버넌스 실무
공개SW거버넌스(개요)
애자일이야기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Agile 적용

IoT & 오픈소스

  • 2. 1. IoT 개요 2. 시장 및 기술 동향 3. 국내외 정책 동향 4. IoT ecosystem 5. IoT 분야의 오픈소스
  • 3. 인터넷 패러다임의 진화 인터넷 패러다임은 지속적으로 진화화면서 연결된 기기가 급증 IoT 개요 Source : Morgan Stanley(2009). The Mobile Internet Report
  • 4. M2M / IoT M2M(Machine To Machin)과 IoT의 관계 - 사물인터넷을 M2M의 확장개념으로 인식하는 것이 일반적 - 기기간 단순 통신(M2M)에서 기기사람 간 통신까지 확대 - 사물 중심에서 인간을 둘러싼 환경 중심 IoT 개요
  • 5. IoT / IoE 사물인터넷(The Internet of Things, IoT) 컴퓨터, 휴대폰 등 '전자기기'만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던 '인터넷 시대'를 지나, 커피포트, 쓰레기통, 타이어 등 '모든 종류의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IoE) 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Things) 등 연결되지 않은 세상의 나머지 99%까지 모두 인터넷에 연결돼 실시간 상호 소통함으로써 전례 없는 가치를 창출해내는 시대. - 시스코 미래학자 데이브 에반스(Dave Evans)가 시스코 라이브 2013에서 IoT가 '기술'이라면, IoE는 단순히 '기술' 혹은 '기술들의 집합체'라기 보다는 실시간 연결성을 통해 지금과는 전혀 다르게 변화될 '미래의 생활 방식' 혹은 '생활 양식의 혁신' 으로 생각해야 한다. IoT 개요 http://www.youtube.com/watch?v=TyzUqpqfCDA#t=81
  • 7. 기타 관련 기사 • 오픈소스가 스마트머신을 이끈다 – 사물인터넷(IoT)의 확산과 함께 기기의 스마트화를 이끄는 솔루션으로 오픈소스와 리눅스 가 일반화될 전망이다. 리눅스는 수년간 임베디드 기기에 이상적인 솔루션이란 점을 증명해 왔기 때문이다. – http://www.techrepublic.com/blog/linux-and-open-source/10-predictions-for- open-source-in-2014/ • IoT도 오픈소스 리눅스가 지배 – IPTV STB나 스마트홈폰(SoIP)을 홈게이트웨이로 활용하는 등 스마트홈 관련 서비스 출시 – SKT는 영국 ARM사와 자사 사물인터넷 플랫폼 ‘뫼비우스’ 공동 연구 협약 체결 –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15035 • 한국, 10년간 만물인터넷(IoE) 시장 가치 251조원 – “아직까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는 1%에 불과하다. 현재 연결되지 않은 것을 연결함으로 써 무수한 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 “ICT 기술을 총합하는 IoE는 새로운 금광” –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18022 시장 및 기술동향
  • 8. IoT 시대의 가시화 요인 • 모바일, 센서, 무선통신, 빅데이터 처리 등 핵심기술의 발전과 저가격화 소형화 되 면서 사물통신의 시대가 가시화. – 소형화, 저가격화 되면서 모바일 기기에 연간 탑재되는 MEMS 센서 개수는 2007년 1,000만 개에서 2012년 35억개로 급증 – 모바일 인터넷 속도는 2000년 이후 1,000배 빨라졌으며, 빅데이터를 싸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하둡(Hadoop)과 같은 분석기술이 등장 IoT 개요 *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 반도체 기술로 실리콘 기판 위에 구현한 초소형 기계 부품
  • 9. IoT에 대한 기대감 빠르게 확산 중 •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은 현재 100억 개에서 2020년 500억 개까지 증가 –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의 수는 이미 ’08년부터 사람 수를 초과(Cisco, 2013) – 전세계 단말의 99.4%가 이직 인터넷 미연결로 연결 가능 단말 수요는 무궁무진(Cisco, 2013) – 통신회선 기준으로 이용 기기는 1인당 2.5개에서 6.3개로 증가 – 이중 IoT 단말 비중은 현재 10% 수준에서 2020년 5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사물인터넷은 향후 10년간 총 19조 달러의 경제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 시장 및 기술동향
  • 10. 해외의 사물인터넷 추진 사례 • At&T는 가정 내 보안 & 자동화에 초 점을 맞춘 스마트홈 서비스 ‘Digital Life’ 출시 – 2013년 4월 상용화 이후 미국 내 50여 곳으로 서비스 제공 지역 확대 • Deutsche Telekom의 스마트홈 서비스 – 주요 제조사 제휴를 통한 스마트홈 포털 지향 시장 및 기술동향
  • 11. 해외의 사물인터넷 추진 사례 시장 및 기술동향
  • 12. 국내 사물인터넷 추진 동향 • 통신사 중심으로 정부 기관/ 지자체/ 공공 서비스 수요 중심의 사업 진행 – kt: 환경부 원격진단/관리, 스마트그리드 제주시범단지 참여, skt의 법무부 전자발찌 프로 젝트 등 • 최근 시장 주도권 확보 위한 플랫폼 개발과 동시에 헬스케어/스마트홈 등 소비자 서 비스 출시 중 – IPTV STB나 스마트홈폰(SoIP)을 홈게이트웨이로 활용하는 등 스마트홈 관련 서비스 출시 – SKT는 영국 ARM사와 자사 사물인터넷 플랫폼 ‘뫼비우스’ 공동 연구 협약 체결 시장 및 기술동향
  • 13. 미래창조과학부 “사물인터넷기본계획” 확정 • 미래창조과학부는 5월 8일(목)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을 확정하였다고 밝혔다. 국내외 정책동향
  • 14. 해외 주요국가 사물인터넷 추진현황 국내외 정책동향 •2025년까지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6대 혁신적인 파괴적 기술’ 중 하나로 ‘사물인터넷’을 선정하여 기술로드맵 수립(’08년) •Reshoring Initiative(제조업본국회귀)로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제조업 혁신 추진 중(’10년) 미국 •EU는 사물인터넷 액션플랜 수립(’09년) •영국는 사물인터넷 연구개발에 4,500만 파운드 투입 발표(’14.3.9) •독일은 Industry 4.0를 통해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제조업 생산성 30% 향상 추 진 유럽 •12차 5개년(2011~2015) 계획에 ‘사물망 12-5 발전규획’을 발표(’11년) •감지(感知)중국의 전략으로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등을 타겟으로 한 사물인터 넷 시범단지(우한시 등 193개) 등 추진 중국 •u-Japan 전략(’04년), i-Japan 2015 전략(‘09년), Active Japan ICT전략(‘12년 ) 등을 통해 사물인터넷 산업정책 추진 중 일본
  • 15.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핵심 도메인 IoT ecosystem 구 분 생태계 현황 서비스(S) •(공공) 다양한 시범사업을 추진하였으나, 개발․운영비용 부담 등으로 확산 저조 •(산업) 대기업 중심으로 도입, 중소기업은 비용문제로 도입 저조 •(개인) 웨어러블, 가전, 자동차 등은 글로벌 기업 간 경쟁 중 중소기업은 다양한 생활제품 응용분야에 진출 노력 중 플랫폼(P) •국내 대기업은 플랫폼을 개발 중이나, 글로벌 시장 주도력 부족 •국내 중소기업은 플랫폼 부재로 시장진입 어렵고, 글로벌 기업에 종속우려 •oneM2M*(’12.7월) 중심으로 국제표준화 추진 중(’14.8월 완료예정) 네트워크(N) •급증하는 트래픽을 SW로 유연하게 처리하는 기술 개발 중 •원격지 사물 연결을 위한 저전력 장거리 비면허 대역 통신요구 증대 •5G, Giga인터넷, IPv6 등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개발․구축 중 디바이스(D) •스마트폰 이후 글로벌 기업 중심으로 실감․지능․융합형 디바이스 개발 경쟁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센서 등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 전망 보안(Se) •IoT 서비스(홈․가전, 의료 등) 보안 침해사고 사례가 나타남에 따라 보안 대책 논의를 시작하는 단계 •설계단계부터 보안, 프라이버시 등을 고려한 기술 및 서비스 개발 필요
  • 16. 사물인터넷 생태계 기업현황 IoT ecosystem 모듈/칩 기기 네트워크 솔루션 서비스 디바이스 도메인 게이트웨이 도메인 서비스 도메인 삼성, 동부 누리텔레 콤, LS산전 등 삼성, 현대 등 소비재 제 조사 kt, skt, U+ 퀄컴, TI, ARM 등 이루온, 유 엔젤, LS산 전 등 산업 재 CJ 등 MVNO 사 업자 - 한전, 도로공사 - SDS, LG CNS SK C&C 등 SI 사업자 • 원격 제어 • 에너지 관리 • 시설 관제 • Security 등 • 통신사는 네트워크에서 솔루션, 서비스로 사업 확대를 모색 중이나, 시장이 B2B 중심 으로 확산되면서 제조사와 솔루션 사업자(SI) 중심으로 흘러가는 중 • 아직 규모가 작은 B2C 시장에서도 제조사의 앱을 통한 직접 서비스 제공이 일반화
  • 17. IoT 서비스 플랫폼 동향 • IoT 플랫폼 전쟁 IoT ecosystem
  • 18. IoT 디바이스 플랫폼 동향 • IoT 디바이스 플랫폼 IoT ecosystem
  • 19. 국외 IoT/M2M 표준화 단체 IoT 표준화 IoT 기술 표준은 유럽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및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고, EC는 정책적으로 확 산에 주력. ITU-T를 중심으로 IoT에 관련된 표준화 활동
  • 20. IoT 기술 표준화 동향 IoT 표준화
  • 21. 국내 IoT 표준화 활동 •M2M네트워크 인프라, 통신 프로토콜, M2M관리, 서비스 플랫폼, 단말 및 통신모듈에 대 한 표준화 전략 수립TTA 표준화 전략맵 2012 •M2M 서비스 요구사항, M2M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무선 접속 기술, 상용 플랫폼 간의 인 터페이스기술 표준화 등 표준 추진 •ITU-T, 3GPP, oneM2M 등 국제표준화 공동협력 •oneM2M 제출 표준 4건 개발 중 TTA PG 708(사물지능통신 프로젝트 그룹) •휴대폰과 PES 서비스 서버 사이에 사용자의 프로파일, 서비스 프로토콜 표준화가 진행 중 TTA PG 703(모바일 플랫폼 및 서비스 프로젝트 그룹) •RFID/USN 기술 사양 및 서비스 모델TTA PG 311(RFID/USN) •M2M 요구사항, 구조 포럼표준 제정 (‘11.12) •M2M 요소기술 및 표준화 대상 기술분석, M2M 식별체계, 이동성, 원격 디바이스관리 등 표준을 개발 중 M2M/IoT 포럼 •M2M을 포함한 BcN 기술의 확장을 연구하고, 이동통신망에서 진행 중인 MTC 기술의 장 기적 발전에 대해 연구개발을 추진 중FN2020 포럼 IoT 표준화
  • 22. IoT 분야의 표준화 과제 IoT 표준화 1 2 3 IoT 단말에 대한 표준이 제정 되어 있지 않아 IoT 게이트웨 이는 단말을 만들 때 마다 통 신기술에 맞는 별도의 제품을 개발해야 하는 실정 4G 기술, 블루투스, 와이파 이, 지그비(ZigBee)와 같은 기술 발전 속도에 비해 IoT 표 준화가 뒤처짐. 보다 체계적 인 표준화 작업이 필요 IoT 플랫폼과 관련 인프라 보 유 기업, IoT 관련 서비스 개 발 기업 간 협력 모델을 개발 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 부의 IoT 시장 생태계 조성 노 력이 필요 오픈소스 하드웨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23. IoT 활성화를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의 필요성 • 개방형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오픈소스 대두 • 오픈소스의 가장 큰 장점은 상호운용성을 기반으로 사실표준화가 이루어 진다는 점. • 오픈소스는 각 사물들이 상호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 방법. IoT 표준화 전자부품연구원 : 개방형 IoT 플랫폼 Mobius 개요
  • 24. AllSeen Alliance IoT 분야의 오픈소스 • 리눅스재단을 중심으로 가전업계가 뭉쳐 하나의 표 준 플랫폼으로 만들려는 움직임 • 2013년 리눅스재단과 퀄컴, 하이얼, 샤프, 파나소닉, LG전자, 시스코 등 23개 업체가 참여한 IoT 연합체 인 ‘올신얼라이언스(AllSeen Alliance)’을 출범. • 이들은 상호운용이 가능한 장치 및 서비스를 실현하 기 위한 오픈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의 개발에 상호 협력. • 퀄컴은 이 올신얼라이언스에 자사가 개발한 장치간 연결 기술 ‘올조인(AllJoyn)’의 소스코드를 넘겼다. • 이 프레임워크가 보편화 되면 서로 다른 업체들이 만 든 디바이스와 서비스, 콘텐츠가 서로 연결될 수 있 다. 하이얼이 만든 TV와 LG전자의 냉장고가 연결돼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도 있는 것이다. https://allseenalliance.org/
  • 25. the Thing System IoT 분야의 오픈소스 • http://thethingsystem.com/ • Node.js 로 작성된 개방형 홈네트워크 IoT 플랫폼 • The steward 라고 불리는 중앙제어 소프트웨어와 클라이언트로 구성.
  • 26. IoT 클라우드 플랫폼 Xively(자이블리) IoT 분야의 오픈소스 • 다양한 오픈 하드웨어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웹으로 연동하여 앱 개발을 지원하는 IoT용 PaaS 서비스
  • 27. OpenIoT IoT 분야의 오픈소스 • http://www.openiot.eu/ • 오픈사물인터넷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자금지원을 받은 연구 프로젝트로 클라 우드 컴퓨팅 제공 모델을 활용하는 새로운 오픈, 대규모, 지능형 사물인터넷 애플리 케이션을 새롭게 총체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이 목표.
  • 28. 오픈소스 하드웨어(OSHW) IoT 분야의 오픈소스 • 해당 제품과 똑같은 모양 및 기능을 가진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모든 것 • (회로도, 자재 명세서, 인쇄 회로 기판 도면 등)을 대중에게 공개한 HW - 벤처/개인이 HW 디자인을 오픈소스로 공개, 일반인이 개발에 참여하여 제품 완성/발전 • OSHW는 2005년 ‘아두이노(Arduino)’의 등장으로 활성화되기 시작, • 최근에는 새로운 생산수단과 투자방식의 부각으로 더욱 높은 가능성이 열림 - 3D 프린터가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부품 제작, 킥스타터 등 크라우드펀딩 방식 투자
  • 29. 오픈소스 하드웨어(OSHW) 관련 커뮤니티 및 행사 IoT 분야의 오픈소스 • 오픈 하드웨어의 참여자들은 오픈 소프트웨어와 비슷한 방식으로 정보를 소통, • 물리적 제품을 제작해야 하는 특성상 오프라인 모임도 활발
  • 30. 아두이노(Arduino) IoT 분야의 오픈소스 • http://www.arduino.cc/ • 메인보드 위에 WiFi, Ethernet, Zigbee 등 다양한 통신모듈을 손쉽게 연결 가능 • 독자적인 통합개발환경(IDE)을 제공하여 간편한 펌웨어 업로드 등 SW 개발 지원
  • 31. RasWIK IoT 분야의 오픈소스 • http://postscapes.com/internet-of-things-award/project/raswik-raspberry-pi- wireless-inventors-kit/ • Raspberry Pi로 구성된 무선 개발 키트 • 영국의 하드웨어 제조사 Ciseco에서 출시. • 선만 장착하면 자신만의 무선 프로젝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공
  • 32. 오픈소스 하드웨어(OSHW) 플랫폼 IoT 분야의 오픈소스 •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은 제품의 지능 역할을 하는 오픈 하드웨어의 핵심이며, • 대표적으로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비글본블랙이 있음 -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 소형 단일보드 컴퓨터 등으로 불리며, 센서 등 입력장치, 외부장치 컨트롤 기능, 무선통신 모듈과 손쉽게 연결, 개당 30~40불에 누구나 구매 가능 • 성능 개선과 활용도의 증가로 최근 2~3년간 판매량 급증 추세 -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각각 출시 이후 누적 100만대 이상의 판매실적 기록 • 전통적인 칩 벤더인 인텔 역시 오픈 하드웨어 움직임에 동참하기 위해 아두이노와 손잡고 IoT와 웨어러블을 겨냥한 ‘갈릴레오 보드’ 출시 (‘13.10월)
  • 33. 오픈 하드웨어 IoT 제품 사례 IoT 분야의 오픈소스 • 스마트 홈, 커넥티드 카 등 수많은 IoT 제품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오고 있음 • 특히, 저렴한 비용과 짧은 개발기간은 기존 제조사를 능가하는 수준
  • 34. 그외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IoT 분야의 오픈소스 • http://postscapes.com/internet-of-things-award/open-source/ • 2013년 선정된 IoT 분야의 오픈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