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실시간 vs. 비실시간?
• 교육자와 수강생의 상호 작용(Interaction)
• 소통형 vs. 일방적
• 질의응답, 상황에 따른 수업 진행 조절
• 실시간 채팅 등
• 실시간 출석 확인
• 우수한 실시간 온라인 강의 플랫폼들
• ZOOM, Teams, Hangout Meet..
6. 온라인 강의 준비
• 오프라인 강의에 비해 4~5배 시간 소요
• 교안 작성(PPT)
• 실습 문제 만들기
• LMS 등록
• 실시간 강의
• 강의 녹화 동영상 배포(YouTube)
• 과제 출제 및 점검(구글 Classroom) 등
7. 수업 과목
• 클라우드 컴퓨팅 실습
• 2학년 3개 반, 3학점
• 사물인터넷 프로그래밍 기초
• 1학년 1개 반, 3학점
8. 수업 방식 : 온오프라인 융합
• 초기 : 100% 실시간 온라인 강좌
• 중반 : 구글 클래스 룸 사용
• 후반 ~ : 온오프라인 융합 수업
• Lecture : 온라인 (3반 통합)
• Lab : 오프라인 (3반 따로)
• 수업 후 실시간 강의 녹화 동영상 YouTube에 배포
• 과제 제출
• 대학 LMS -> 구글 클래스 룸
17. 수업 결과물
• YouTube 강의 동영상
• 클라우드 컴퓨팅 : http://bitly.kr/7b7TY1s5Zmr
• 사물인터넷 프로그래밍 기초 : http://bitly.kr/Q9GBJ24Wcxb
• 수업 기말 과제 동영상
• 2학년 박건우 : https://youtu.be/xRoeoGgbCvk
20. 기타 활용 사례
• 실시간 온라인 신입생 OT 개최
• 컴퓨터정보과 1,2학년 학생 전체, 교수님들 참여
• 구글 Hangout meet
• 해외 기업 실시간 온라인 취업 설명회 개최
• 청해진 사업 일본취업 과정 참여 학생(17명)
• 동경 Taurus Software Group Holdings Co., Ltd
• ZOOM
22. 실시간 + 비실시간 온라인
교육은 상호보완적
비실시간
플랫폼 :
교내 LMS,
기타 콘텐츠
제작 도구들
실시간
플랫폼 :
G-Suite,
Teams,
Zoom
23. 실시간 온라인 교육은 새로운 문화
• 우리대학의 문화로 정착되야 한다.
• 수업, 학생지도, 소규모 미팅, 각종 회의, 세미나, 행사 등
24. 성찰
• 우리는 잘 대응했는가?
• 학생들, 교육자들의 피드백 수집
• 다양한 분석, 문제점 파악, 대책 수립
• LMS의 문제
• 비대면 교육 도구의 파편화
• 행정 지원 및 체계 등
• 우리는 준비가 되어 있는가?
• 전문가 TF가 있는가?
• 체계적, 효과적인 비대면 교육 체계 수립과 운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