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HCD+SHIS
                    Hear
                  Create

               20120206


                    Project :
Technology Underserved 2012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Research Flow

1                    2                                  3
Introduction         Hear                               Create




1. Goal              1. Identify a Design challenge     1. Develop the Approach
2. Main Topic        2. Recognize Existing Knowledge        Participatory Co-design
3. 3 Lenses of HCD   3. Identify People to speak with       Empathic Design

4. HCD process                                          2. Share Stories
                     4. Choose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terview           3. Identify Patterns
                         Group Interview                    Extract Key Insights

                         Self-Document                      Find Themes
                                                            Create Frameworks
                     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Interview guide                4. Create Opportunity Areas
                         Sacrificial Concepts           5. Brainstorm New Solutions
                         Interview Techniques
                     6. Develop Your Mindset
                         Beginner’s Mind
                         Observe vs. Interpret                                        2
FINAL GOAL
Deaf & Dumb 학교와
SHIS Girls Academy 아이들에게 필요한
“적정 수준”의 ICT 개발




                               3
Research GOAL
< ICT 솔루션 제안을 위한 문제 지점 파악>
1. 일상 생활과 행동 관찰
2. 명시적, 비명시적 니즈 파악
3. 환경적, 사회 문화적 맥락 파악




                             4
일상생활




정보행동           기술
              리터러시




   Main Topic
                     5
3 LENSES OF HCD

                                 Start Here




                                 Desirability         What do people desire?




What is technically
                                                              What can be
and organizationally   Feasibility              Viability
                                                              financially viable?
feasible?




                               SOLUTIONS

                                                                                    6
HCD process




                          2월 조사

H   >> People’s Stories                        C   >> Themes
    >> Observations of Constituents’ Reality       >> Opportunities
    >> Deeper Understanding of Needs,              >> Solutions
    Barriers and Constraints

                                                                                    7
Research Flow

1                    2                                  3
Introduction         Hear                               Create




1. Goal              1. Identify a Design challenge     1. Develop the Approach
2. Main Topic        2. Recognize Existing Knowledge        Participatory Co-design
3. 3 Lenses of HCD   3. Identify People to speak with       Empathic Design

4. HCD process                                          2. Share Stories
                     4. Choose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terview           3. Identify Patterns
                         Group Interview                    Extract Key Insights

                         Self-Document                      Find Themes
                                                            Create Frameworks
                     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Interview guide                4. Create Opportunity Areas
                         Sacrificial Concepts           5. Brainstorm New Solutions
                         Interview Techniques
                     6. Develop Your Mindset
                         Beginner’s Mind
                         Observe vs. Interpret                                        8
Theory                                                           Hear

   do or not do

   What will qualitative              What wil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o?               research methods NOT do?

   사람들의 니즈                            ‘평균값’, 경향을 측정하는 것

   리서치 초기 단계에서 유용
                                      상대적으로 큰 샘플
   “우리는 아무것도 모른다”에서 시작

                                      공통된 사례들에 대한 일반화
   집단, 장소, 사물, 제도간의 관계적인
   dynamics를 맵핑, 분석에 용이


   개별 케이스 하나하나가 갖는
   구체성과 특수성.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 people, and the community.

                                                                        9
2.1 Identify a Design Challenge                                                                 Hear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STEP 6.
 To do 리스트 작성과           직면한 상황      기관의 관점에서          우선 순위 정하기         이해관계 고려해               공유를 위해
    선정기준 정하기.             그려보기         문제들을 다시                             문제 좁히기              간결하게 표현
  (ex 새로운 것인가?                       Re-frame해보기
기존에 있었던 것인가?)



Tip                                                   Watch out
1   - Guide to questions to the field research.       기존의 기술이나 개념에 갇혀 생각하지 말아라.
    - 조직의 리더쉽이나 팀단위의 작업                               대신, 혁신을 위한 Springboard를 생각해라.
    - 탐색해보고 싶은 가능성들의 범위에 구체적으로 접근

2 - 기술,상품,특정 서비스가 아닌 인간 조건에 맞춰져야
    - 아직 발견되지 않은 가치를 찾을 수 있을 만큼 넓은 범위
    - 관리할 수 있는 단계로 토픽 수준 좁히기.
                                                      Try
                                                      Create, Define, Adapt와 같은 Action verb로
                                                      Design Challenge를 시작하라.
                                                      또는 How can...? 과 같은 물음으로 시작하라.


                                                                                                            9
2.2. Recognize Existing Knowledge                                                 Hear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팀이 볼 수 있도록      팀에게 포스트잇을 나누어 각자 포스트잇을 읽게 하고             또 다른 포스트잇에 주       리서치 방법, 인원 모
Design Challenge를 주고, 그들이 주제에 대해서 Design Challenge 밑에 붙     제에 대해 각자 모르는      집, 인터뷰 가이드를 만
          게시하기 아는것 쓰게 하기 (포스트잇       이고, 서로 동의하지 않을                것을 쓰고      드는 데에 도움이 되도
                     한개당 하나의 정보씩)         시에 의견을 내기            다른 곳에 붙이기       록 포스트잇들을 같은
                                                                                  테마끼리 나누기


 Try
 1 첫번째 포스트잇에는 Design Challenge와 관련되어 알고 있는 것들을 나열한다:
 •사람들에게 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을 원하는지
 •어떠한 기술이 이 Challenge를 도울 수 있는지
 •다른 곳에서는 어떠한 해결책과 아이디어들이 시도되어지고 있는지
 •Challenge를 어떻게 풀어갈 지에 대한 이전의 가설들
 서로 모순 되는 부분이 있는가? 이 팀이 가장 자신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2 다음으로 지금은 모르지만 앞으로 배워야하는 것들을 나열한다:
 •현지인들이 어떤것들을 하고, 생각하고, 느끼는지
 •그들이 주어진 것에 대해서 어떻게 가치를 여기는지
 •그들이 미래에 필요한 것은 무엇일 것인지
 •어떤 부분이 리서치를 가장 필요로 하는가? 인원은 어떻게 모을 것인가? 어떤 카테고리가 가이드를 만드는데 필요한가?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데에 있어 어려운 점은 무엇일지


                                                                                             11
2.3. Identify People to speak with                                           Hear


                       STEP 1.                          STEP 2.                STEP 3.
  어떤 범위에서 사람들을 고를 것인지 정하고,           참여자 모집에 적당한 장소를 정하기 지역         커뮤니티 미팅 및 인터뷰를
                몇가지 옵션을 정하기           주민들에게 리서치에 좋은 지역을 추천받            잡을 수 있도록 적합한
     (예.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진보와 보수,         고 2~5개 정도의 서로 다른필드 사이트를            연락처 목록를 받기
               땅이 많거나 적거나 등)                             고르기      연락처 목록에 남녀가 모두 포함
       옵션들 중 한 두가지로 범위를 좁혀서          (예. 건조지대와 습지대, 중앙부와 주변부)                되도록 하기
   극단적인 케이스도 포함될 수 있도록 하기


Gender                                      Watch out
어떤 커뮤니티에서는 남성 스태프가 여성을 인터뷰하는 것을             그룹 세션은 개인 인터뷰를 하게 될 개개인을 알아보기 좋은 방
싫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성 주민을 모집하고 인터뷰 할 때          법이다. 하지만, 어떤 커뮤니티는 연구자들에게 성공한 사례들
는 여성 스태프가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나 남성들만을 보여주기를 원할 수도 있다.


Tip 1
• 전체의 1/3정도는 우리의 ‘이상적인’ 대상일 것이                             2 경제적인 범위에서 부유한 집단에서
  다. 그들은 새로운 기술에 빨리 적응하고 원하는 반                             가난한 집단을 모두 포함하기위해 아래질
  응을 보여줄 것이다.                                              문을 한다:
• 다른 1/3의 참여자는 정 반대의 스펙트럼에 위치할                             •“자녀를 학교에 보낼 수 있는가?”
  것이다. 가난하고 새로운 기술에 저항하며 문제가                               •“자신의 집을 수리할 수 있는가?”
  되는 행동을 보여줄 수 있다.                                         •“수확의 어려움, 질병 문제가 있는가?”
• 중간지대의 1/3 참여자는 양 극단의 평균에 속한
  다.

                                                                                     13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Hear
 2.1 Identify a Design Challenge      현지 이슈 및 상황 요인, 우선 순위 등을 고려해서
                                      목표 설정

                                                        안과병원 ICT교육 문제


                                                        IT소외계층
                                                        문제 해결     D&D 교육 문제
                                                                  여성 인권 문제


 2.2. Recognize Existing Knowledge
     Design Challenge와 관련해
     1. 지금 현재 알고 있는 것들
     2. 더 알아봐야 할 것 들을
     생각해보고 분류했다.


 2.3. Identify People to speak with
     현지 조사 대상인 SHIS와 지속적 연락을 통해 필드 코디네이션   여학교 학생과 가족            SES따라 차등
     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 대상 선정                    D&D학생(고학년)과 가족        SES따라 차등

     대상에 친근한 접근을 위해 주의사항 안내 받음             여학교, D&D교사
                                           시설 관계자



                                                                              10
2.4. Choose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terview                           Hear



                           STEP 1.                                    STEP 2.
인터뷰 가이드를 작성한 후 (필드 가이드를 참고하여) 두명           팀이 연습 인터뷰를 하면서 배운것이 무엇인지 물어보기
                이 팀이되어 인터뷰 연습하기                            또한, 빠진 주제가 있는지?
 한명은 인터뷰하는 사람 다른 한명은 인터뷰 받는 사람의                     해야할 질문을 하지 않지는 않았는지?
           입장이 되어 연습 인터뷰를 실행하기                                       확인하기



Watch out
리서치 팀에 많은 인원이 있다면, 한 인터뷰에 참여하는 팀원은 3명을 넘으면 안된다.
참여자들을 긴장시키면 안되고, 참여자의 집에 많은 인원이 들어가기에 힘들 수도 있다.



Tip
1인터뷰는 외부의 청중이 없이 진행되어야한다. 이웃이나 친구 혹은                    2  참여자들도 알아볼 수 있도록 각자의
다른 사람들이 지켜보고 있다면 참여자가 하고싶은 말을 못하거나 영                    역할을 잘 분담한다:
향을 받아 다른 이야기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 사람은 인터뷰를 진행
하지만 이러한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것이 힘들수도 있다.                          •노트테이킹
한가지 방법은 리서치 팀중 한명이 다른 청중들에게 평행적인 대화를                    •사진 찍기
이끌어내 다른 장소로 유도하여 인터뷰 내용을 듣지 못하게 할수있
다,


                                                                                  15
2.4. Choose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terview                           Hear



                           STEP 1.                                    STEP 2.
인터뷰 가이드를 작성한 후 (필드 가이드를 참고하여) 두명           팀이 연습 인터뷰를 하면서 배운것이 무엇인지 물어보기
                이 팀이되어 인터뷰 연습하기                            또한, 빠진 주제가 있는지?
 한명은 인터뷰하는 사람 다른 한명은 인터뷰 받는 사람의                     해야할 질문을 하지 않지는 않았는지?
           입장이 되어 연습 인터뷰를 실행하기                                       확인하기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2/12일 워크샵에서 연습)
 Main topic과 Research Goal.
                                            1. 무엇이 되고싶은가.
 1,2,3 단계를 참조해 질문지 구성
 쉬운 인터뷰 진행을 위해 카드, 템플릿 준비                   + 그것이 되고 싶은 이유,
                                              될 수 있는 방법, 내가 해야할 일 등
 여학교                                        2. 친구들과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인터뷰 in school : 1인당 30-40분(1팀x3명x3일=9명)    + 이야기 내용, 방법, 이유, 제일 많이 이야기하는 것 등

 D&D학교                                      3. 시험 공부는 어떻게 하는가
 인터뷰 in school : 1인당 30-40분(1팀x3명x3일=9명)
                                            + 정보의 신뢰도, 정보 소스, 습득 방법, 정리 방법, 암기법 등
 Total 18명                                  4. 제일 행복했던 기억(좋을 때)
                                                                  암묵적 니즈, 가치관
                                               제일 힘들었던 기억(나쁠 때)
 조사팀 구성 : 최대 3인
 (모더레이터, 노트테이커, 사진/동영상)
                                                                                    16
2.4. Choose Research Method Group Interview                               Hear



                                  STEP 1.                       STEP 2.
          그룹 인터뷰 가이드를 작성한 후, 두명이 팀이되어         각 팀에서 논의해서 나온 의견을 공유하여
         인터뷰를 연습하면서 조용한 사람들을 어떻게 참여시                  가장 좋은 방법을 선택하기
              킬 것인지, 너무 많이 이야기 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제어시킬 것인지 논의히기



Watch out
남녀의 시각이 평등하게 여겨지는가? 그렇지 않다면, 남녀 따로 인터뷰를 진행하는 것이 적당하다.
정치적 힘이 있는 사람이 참여야하는가? 그들의 존재는 다른 사람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떨어뜨릴 수 있다.
커뮤니티에서 당신을 펀딩이나 자선사업가로 이해하고 있지는 않은가? 자신의 요구나 니즈를 왜곡하여 표현할 수 있다.


Tip
1 Guideline                                   2  참여자들에게 심리적 거리감을 주지않도록 경제/사회
•다양한 경제적 배경을 가진 7~10명의 사람들                    적 위계를 알 수 있는 장벽을 줄여야한다.
•장소 :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공 장소를 고른다.            •참여자와 유사한 방식의 옷차림을 한다
•성별 : 지역의 문화에 따라 성별을 고르게 또는 단일하게 구성한다.        (협회 로고가 새겨진 티셔츠같은 것들은 피한다)
•나이 : 주제와 지역의 컨텍스트에 따라 아이들과 부모, 어린이와 어        •같은 눈높이로 참여자와 동석
른을 섞어서 구성한다.                                  •한 명 이상의 리서치멤버가 참여할 경우 참여자들/리서치
                                              멤버들 따로 않지 말고 섞어 앉는다


                                                                                 17
2.4. Choose Research Method Group Interview                           Hear



                                STEP 1.                  STEP 2.
       그룹 인터뷰 가이드를 작성한 후, 두명이 팀이되어 인 각 팀에서 논의해서 나온 의견을 공유하여 가
       터뷰 연습하면서 조용한 사람들을 어떻게 참여시킬 것             장 좋은 방법을 선택하기
       인지, 너무 많이 이야기 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제어시
                          킬 것인지 논의히기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2/12일 워크샵에서 연습)
 Main topic과 Research Goal.
 1,2,3 단계를 참조해 질문지 구성                 1. 가족 구조와 역할
 쉬운 인터뷰 진행을 위해 카드, 템플릿 준비             + 가족 수, 위계 구조, 역할 등
 여학교                                  2. 가족의 일과
 인터뷰 in house : 1가구당 1시간-1시간 30분
                                        라이프사이클
 (1팀x1가구x3일=6가구)
                                      3. 가족의 물건
 D&D학교                                  그들의 보물 but 우리에겐 잡동사니는
 인터뷰 in house : 1가구당 1시간-1시간 30분
 (1팀x1가구x3일=6가구)                      4. 피교육 니즈/이유
 6가구                                  + (여성문제) 왜 학교에 보내는지, 무엇이 되었으면 하는지

 조사팀 구성 : 최대 3인
 (모더레이터, 노트테이커, 사진/동영상)
                                                                             18
2.4. Choose Research Method Self-Document                           Hear



                         STEP 1.           STEP 2.                 STEP 3.
  사람들이 어떠한 것들을 기록하면 좋을지 정하기 도구와 그 도구를 어떻게 사용하        기록한 데이터를 함께 리뷰하며,
-  그들의 감정이나 일상, 가족생활, 소득, 행동 등 는지 설명해주고 몇일동안 스스      기록한 것이 무엇인지 뿐아니라
이것을 기반으로 어떠한 방법이 가장 적절한지 정하기          로 기록하게 하기       왜, 그리고 어떠한 감정으로 기
-           사진,다이어리, 목소리 녹음 등                            록하게 되었는 지 물어보기



Try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음성 녹음기나 일기장 등을 사용하여 기록하게 할때,
방법을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고
이렇게 쉬운 방법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방법이 더 쉬울 수록 참여자들이 더 많은 데이터를 모아올 수 있다.


Tip                                             Gender
1 주로 청소년들이나 어린 아이들은       2 셀프 도큐멘테이션에 대해 도움    그 커뮤니티에서 누가 어떠한 정보에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들을 표현하는        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이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한다.
것을 좋아하고 어른들에 비해 새로운       기록한 예제를 보여주고 시간을 들    성별, 나이, 계급 등에 따라 기록하는
것에 대한 위협을 덜 받기때문에 좋은      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데이터가 다를 수도 있으므로 민감하
참여자가 될 수 있다.              준다.                   게 참여자를 고르도록한다.
.                                               .


                                                                             19
2.4. Choose Research Method Self-Document                                    Hear



                         STEP 1.           STEP 2.                          STEP 3.
  사람들이 어떠한 것들을 기록하면 좋을 지 정하기 도구와 그 도구를 어떻게 사용하                기록한 데이터를 함께 리뷰하며,
-  그들의 감정이나 일상, 가족생활, 소득, 행동 등 는지 설명해주고 몇일동안 스스               기록한 것이 무엇인지 뿐아니라
이것을 기반으로 어떠한 방법이 가장 적절한지 정하기          로 기록하게 하기                왜, 그리고 어떠한 감정으로 기
-           사진,다이어리, 목소리 녹음 등                                     록하게 되었는 지 물어보기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Journey map (여학교)        Life Cycle (집 방문)          Self-Photo Activity
 학교에서 일어나는 정보활동 수집         1. 가족의 하루                    가족들의 소중한 물건
 템플릿 준비                                                 ; 각 가족마다 가장 소중한 물건을
                          2. 엄마, 아빠의 일생                 직접 사진찍기
 ex. 숙제 내주기 실험 or 시험 공부   (일반적인 life cycle을 알기 위해,      print-out해서 보면서 말하기
 하는 과정 함께 그려보기 (인터뷰       결혼/출산/취업 등)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어떻게 쓰
 중)                                                     는지, 어떻게 보관하는지 등)




                                                                                      20
2.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Interview Guide                                  Hear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Design Challenge 중 이    주제들을 메인주제와             주제들 중       두명씩 팀을 지어 각      다시 전체의 팀에게 각
 필드 스터디에서 다루어            섭주제들로 나누기      성별에 따라 특별하게             카테고리에      팀에서 도출된 질문들을
     질 주제들을 고르기                         나눠야 하는 것이 있는      속한 주제들에 알맞는      공개하고 빠진 질문들을
                                             지 살펴보기         질문들을 도출하기              추가하기



Tip
1 먼저 편안한 문제들로 참여자들을              2 폭넓고 지향적인 질문들을 한다.       3  “만약에 당신이라면…” 등의 점점 깊이 파
편하게 만들어준다.                       •미래에 대한 기대/욕망             고드는 질문을 한다.
•가족 구성원                          •시스템과 관련된 질문들             •소득을 얻는 방법
•각각 어떤 역할을 맡았는지                                            •Innovation challenge에 대한 질문들
•요즘 이야기                                                    •Sacrificial Concepts

Try
1 인터뷰에서 다루고싶은 관련분야           2 포스트잇을 이용해 이와 관련한 답을 끌어 낼 수 있          3 포스트잇의 순서를 이동
에 대해 생각하며 시작한다:              는 질문들을 도출한다:                            해 어떤 순서로 질문을 할 것
•생계 수단                       •인생에 문제가 있을때 누구에게 조언을 구합니까?             인지 정한다
•정보 수집 방법                    •작년 중에 새로운 방법 (농사 등)에 대해 들어본적이 있
•자금 조달                       습니까? 어디서 들었습니까?


                                                                                              21
2.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Sacrificial Concepts                        Hear
 시나리오 기반의 문제들이나 Sacrificial Concepts는 추상적이고 어려운 질문들
 을 조금 더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STEP 1.                      STEP 2.                           STEP 3.
 알고싶은 질문들 중 추상적인                추상적인 질문을 두개의                 시나리오 중 몇개의 변수를 바꾸고
       질문을 뽑아내기                       옵션이 주어진                        다시 질문을 해보기
파트너에게 추상적 질문을 하고             시나리오 기반의 문제로 바꾸고                * 여러 방법으로 질문을 해보면서
            반응보기            파트너에게 질문을 하고 반응보기                         무엇을 느꼈는가?



Tip                              Try
추상적인 질문들이란:                      1 Sacrificial Concepts를 만들어 추상적 질문을 덜 추상적이게 만든다.
•위험요소나 보험, 보장성에 대한 질문             “새로운 기술을 사는데에 위험을 줄이기 위해 어떻게 지불을 할 것인가?” 보다
•트레이드오프(거래)에 대한 질문                는
•투자 가치나 미래 행동에 대한 질문              두가지 상황을 설명하고 하나를 고르게 한다: “당신의 농장을 반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들이 있다. 첫번째 기술은 $1000이지만 보장이 없다. 두번째 기술
                                  은 $1500이지만 두번째 추수까지 당신의 농장의 결과물을 두배로 불려줄 수
                                  있고 그렇지 못하면 돈을 돌려준다는 보장이 있다. 어떤것을 선택하겠는가?”


2 두가지 상황, 혹은 지금 그들이 처       3 말로 설명할 수도 있지만, 사진이나 그림 4 당신의 Design Challenge와 Big
한 상황을 비교하여 개념을 돕는다.         등으로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이것은 사 Question을 살펴보라. 어떤 주제를 더 깊이
                            람이 다룰수있는 물건일 수도 있고 그들에게 알아보고 싶은가? 그것에 대해 알맞는 대화
                            직접 경험을 해보게 할 수도 있다.       를 이끌 수 있도록 Sacrificial Concept를 만
                                                      든다.


                                                                                      23
2.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Interview Techniques                                  Hear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두명이 짝을 지어 연습 하기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사람(A)        B가 A와 함께         B가 A와 함께      “Five Whys를 통해 어떤
(적어도 둘 중 한명(A)은 모     이 상대방(B)에게 어떻게 새로      Show Me 테크      Five Whys 테크           정보를 얻었는가?”
           바일 폰을       운 전화번호를 저장하는지에         닉을 수행하기          닉을 수행하기        “Show Me를 통해 어떤
     가지고 있어야 함)                대해 설명하기.                                             정보를 얻었는가?”



 Try                               Discuss
  심플한 예제로 시작한다.                    각각 다른 테크닉에서 어떤 종류의 정보를
  마지막으로 연락처를 어떻게 저장했는지             얻게 되는지 비교한다.
  SHOW ME를 통해 알아본다.                그리고 필드에서 그것을 적용시킨다
  그리고 FIVE WHYS를 수행한다.


SHOW ME                 DRAW IT                 5 WHY’S                   THINK ALOUD
인터뷰 대상자가 사용하고 소         참여자들에게 그것과 관련된 경험 다섯번 연속적으로 “왜?”라는                특정한 태스크를 수행하는 과정
통하는 것들을 (물건, 공간, 도      을 그림이나 낙서 등으로 표현하 질문을 던진다. 이는 사람들                 내내 그들이 어떤 생각을 하는
구 등) 보여달라 한다.           도록 한다. 이는 미리 추정한 것 중로 하여금 그들의                     지 크게 말하도록
사진을 찍어나 노트를 적어 그        틀린것을 찾아내고, 그들이 활동 행동을 뒷받침하는 이유/근거                 한다. 이는 사용자들의 동기나
것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을 어떻게, 어떤 순서로 생각하는 를 끌어낼 수 있게 한다.                 자각등을 깨달을 수 있게 도와
                        지 알수 있다.                                          준다.



                                                                                                     25
2.6. Develop Your Mindset Beginner's Mind                                   Hear
 이미 친숙한 주제에 대한 연구를 할 때 기존의 경험에 바탕 한 가정이나 고정관념을 버리고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하는 것이 중
 요하다. 하지만 우리는 주로 세상을 이전의 경험과 우리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에 기반하여 판단하기 때문에 이는 매우 어렵다.
 이러한 색안경은 우리의 집중을 흐트려뜨릴 수 있고, 중요한 이슈를 놓치게 만들 수 있다.



                 STEP 1.     STEP 2.                    STEP 3.                STEP 4.
디자인팀에게 사진을 보여주고 무엇이 어떠한 과거 경험이 추정에 대해 반대 로직을 세워 다시 질문             새로운 정보가 제공 된다면
  눈에 띄는지 찾아내게 하고,그들의 그러한 설명을 하게       (예.“하얀 코트를 입은 건 가장 깨끗한      판단이 어떻게 바뀌는 지 물
 개인적인 추정에 의해 설명을 할 때     했는지 물어보기 (소독한) 상태여야 하기떄문 아닐까요?           어본다 (예. “만약 이 지역에
   주의하기 (예. “하얀코트를 입은                그렇담 감독하는 입장이 아니라 일을 하        서는 하얀색이 하인들이 입
       사람이 메니저로 보여요”)                            는 사람 아닐까요?)      는 옷의 색깔이라고 말해준
                                                                   다면 어떤가요? 이 장면을
               STEP 5.                                  STEP 6.     어떻게 다르게 볼까요?
  디자인팀에게 이 연습과정을 통해       리서치를 할때 “초심”으로 돌아가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무엇을 배웠는지 물어본다        당신이 답을 알 것같은 질문도 해야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진
                                          짜 답이 예상 외일 수도 있으므로


 Watch out
  계속하여 Design Challenge를 초심으로 다가가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생각한다. 특히 필드에서 리서치를 하는 중에도...
 Try
  pg.67의 사진을 보고 답하세요.
  • 무엇이 당신의 눈에 띄나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 어떤 개인적인 경험이 생각났나요?
  •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어떠한 가정도 하지 않고 사진을 볼 수 있나요?
  • 사진 속의 인물이나 상황에 대한 어떠한 맥락적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어떠한 질문을 할 수 있을까요?



                                                                                     27
2.6. Develop Your Mindset Observe vs. Interpret                        Hear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것은 상대방의 행동과 동기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과 같다.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그들의 물질적, 인지적,
 사회적이나 문화적 니즈를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된다. 아래 연습은 그냥 관찰하는것과 (observe) 의미를 해석하며 보는것
 (interpret) 의 차이점을 알게해주고, 세상을 볼 때 편견과 색안경을 끼고 보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STEP 1.           STEP 2.                                  STEP 3.
 “이 그림에서 어떠한 일이 일어 “이런 행동을 하는 이유가 뭘까 만약 사람들이 힘들어 한다면, 아래와     “진짜 답을 찾기 위해 어떠
나고 있습니까?” 질문하고, 해석 요?” 질문하고, 5가지 이상의            같은 아이디어를 주기:   한 질문을 하겠습니까” 라
이 첨가된 답에 대해서는 보이는       해석을 내놓도록 하기 “이 사람은 자신이 부유하다는 것을 이 고 질문하고, 디자인 팀에게
   것만을 묘사하도록 지시하기                       웃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공공장소의 도움 될만 한 것들을 리스트
                                        자신의 옷을 걸어놓고 있을 수 있다.”               하기


 Try
  pg.69의 사진을 보고 관찰과 해석의 다른 점
  을 이해하는 것을 연습한다.
  • 어떠한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보이는 것 그대로 묘사하세요.
      아직 해석은 하지 마세요.
  • 이러한 행동의 이유는 무엇일까요?
      5개의 가능한 해석을 생각해보세요.
  • 실제 답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당신의 해석이 맞았는지 알 수 있도록
      사진 속 여인에게 물어볼 수 있는
       5개의 질문을 생각해보세요.




                                                                               29
+ Observation based on Photo                              Hear
대상자의 행동, 관습, 버릇, 소지품 등에 대한 데이터를 객관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리서치 방법

인터뷰 : 대상자의 인식, 사고방식, 명시적 니즈, 가치관
관찰 : 객관적인 행동, 관습, 사용하는 소지품, 환경 등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2/12일 워크샵에서 연습)
 월-목, 총 4일
 오전 2시간씩 총 8시간 관찰


 월요일 오전
   - 학교 내 관찰
   - 교사 인터뷰 실시
                                       조사원 2인 1팀
 화-목요일 오전 (학교)                           - 포토그래퍼 1인, 노트테이커 1인
   - 학생들의 행동 관찰
   - 사용하는 소지품, 활용 방법                   여학교, D&D 각 한 팀씩 총 4인
   - 학교 환경                             or
                                       여학교, D&D 각 두 팀씩 총 8인
 화-목요일 오후 (집으로 가는 길, 집)
   - 등하교 환경
   - 등하교 하는 방법, 중간에 하는 일
   - 집안 환경
   - 집안의 물건

                                                                 29
Research Flow

1                    2                                  3
Introduction         Hear                               Create




1. Goal              1. Identify a Design challenge     1. Develop the Approach
2. Main Topic        2. Recognize Existing Knowledge        Participatory Co-design
3. 3 Lenses of HCD   3. Identify People to speak with       Empathic Design

4. HCD process                                          2. Share Stories
                     4. Choose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terview           3. Identify Patterns
                         Group Interview                    Extract Key Insights

                         Self-Document                      Find Themes
                                                            Create Frameworks
                     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Interview guide                4. Create Opportunity Areas
                         Sacrificial Concepts           5. Brainstorm New Solutions
                         Interview Techniques
                     6. Develop Your Mindset
                         Beginner’s Mind
                         Observe vs. Interpret                                        26
Theory                                                                       Create

    Synthesis (통합) 이란 우리가 관찰 과정 중 본              프로토타이핑은 솔루션을 빠르고 적은 투자로
    것과 들은 것에 대해서 이해를 하는 과정이다.                    tangible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어떻게 알맞은 디자인을 할지 빠르게 배우고, 솔
 Synthesis takes us from inspiration to          루션을 세상에 공개하는 속도를 높여준다.
 ideas, from stories to strategic
 directions                                  Prototyping is about building to think,
                                             acknowledging that the process of
    우리가 배운것들을 모으고, 편집하고, 생각해
    보면서 synthesis는 새로운 관점과 혁신의 기             making ideas real and tangible helps us
    회를 제공한다.                                 to refine and iterate the ideas very quickly

                                                 당신의 물품이나 서비스의 여러가지 측면을 보여
    Defer Judgment 나 Build on the Ideas of       줄 수 있는 몇개의 다른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것
    Others 같은 브레인스토밍 방법은 상상치 못
                                                 은 사람들에게 진실성있는 피드백을 얻을 수 있을
    한 혁신을 이끌어 내는데 검증된 방법이다.
                                                 뿐 아니라, 팀이 조급하게 한가지 아이디어에 달
                                                 라붙는 것을 방지해준다.
 Brainstorming makes us think
 expansively and without constraints             피드백은 디자인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는
                                                 주민들을 직접적으로 디자인 과정에 포함시킨다.
    정말 현실성 없는 해결책들을 제시하는 연습
    은 때때로 적절하고 근거있는 아이디어를 생                  Feedback inspires further iterations to
    각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3개의 진정 창조적인 혁신을 이끌어 내는데                  make solutions more compelling for
    100개의 아이디어가 필요할 지도 모른다.                  constituents

                                                                                       32
3.1. Develop the Approach Participatory Co-design                             Create
 • 그 지역의 전문가와 지식이 많이 필요할 때
 • “외부”에서 전해진 솔루션들이 쉽게 적용되지 않을 떄
 • 커뮤니티가 정치적으로 그것을 필요로 할 때



                        STEP 1.                STEP 2.                            STEP 3.
       디자인 팀멤버로서 좋은 주민을 고르기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co-design 세                  커뮤니티의 needs, goals,
정하는 기준은 때에 따라 다르게 된다. 예를들어, 성 션을 (한번 혹은 여러번) 정하고, 사전           priorities에 집중하여 co-design
공적이고 정치적으로 영향력있는 인물이 필요한가? 에 세션의 과정과 목적에 대한 설명을                              세션을 진행하기
   혹은 커뮤니티의 일반적인 인물이 더 낳은가?                       하기
                아니면 그 둘의 조함?


Try
1 co-design workshop을 개최하라. 커뮤니 2 in-context 참여를 통해 긴 시   3 지역의 전문가와 가장 좋은 관행을 알아
티에서 8~20명의 사람들을 모아 함께 design     간동안 co-design을 진행한다. 몇   본다. 성공적이라고 생각되는 사람들에 대해
challenge에 해답을 디자인한다.            일이나 몇 주동안 가족들과 함께        다른 커뮤니티 사람들에게 물어본다. 그들과
Challenge를 만들어낸 문제들의 이야기들에       지내면서 사람들에게 문제점들에         시간을 정하고 그들의 지식에 도움을 받아
대해 말해준다.                         대해서 비공식적으로 물어볼수 있        함께 솔루션을 개발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을 “How Might We?” 문    고, 집이나 농장, 커뮤니티에서 함
제로 바꾸어준다.                        께 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Gender
사람들에게 직접 자신의 문제 이야기들이나           새로운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문
“How Might We?” 문제를 추가하도록 한다.    제점이 발생한 시점에서 솔루션을        디자인팀과 co-design팀에 여성을 포함시키
참여자들과 해결책에 대하여 브레인스톰하고,          개발하는데 매우 좋다              도록한다. 가족과 함께 살 때, 남편, 아내 그
프로토타입을 위해 필요한 재료가 있는 지 확인                                 외 가족구성원들과 각각 같은 양의 시간을
한다.                                                       보내라. 세션을 개최할때는 여자, 남자 따로
                                                          할 것인지 함께 할 것인지 정한다.


                                                                                            33
3.2. Share Stories                                                                    Create

      Research                                 story
                    data                                                  idea
                                           구체적인 디테일
                                                                          solution
                                           특정 상황/이벤트
                    information          진짜 사람들의 진짜 생활                특정 문제에 대한 해결책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무언가를 붙일 수 있       각자에게 포스트잇과       각자 보고 듣고 정리       만났던 피관찰자에 대        포스트잇 내용을 모두
   는) 벽이 있는 방에,       마커를 나눠주고, 동     했던 기록을, 관찰내       해, 한명 한명씩 말하        붙여놓고, 전지별로
  모두가 둥글게 둘러앉        시에 붙일 수 있는 커     용을, 이에 대한 생각      며 모두에게 공유한다         나누어 붙이며, 여러
             는다      다란 전지도 준비한다      을 말하면서 적는다                           개의 스토리를 만든다


Tip
      1 디테일이 사라지지 않도록, 가급적 조사 직후 ASAP으로 진행한다. 한명이 만                       Try to avoid
      난 피관찰자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나머지 사람들이 포스트잇에 적어나간다. 포                         Generalizing(일반화)
      스트잇 내용은 추후 기억하기 쉽도록 한 문장을 넘지 않게 한다. 물론 생각하며                         Prescribing(진단)
      ‘이 내용이 프로젝트에 의미하는 바는 무얼까?’는 항상 생각하자. 이 3가지는 기                       Hypothesizing(추측)
      억하자.                                                                Judging(판단)
      1)구체적으로 표현해라, 예를 들면 어떤 시간대였는지,                                      Evaluating(평가)
      2)자세히 묘사하자, 오감을 살려라,                                                Assuming(가정)
      3)6하 원칙에 충실히!

      2
      1) story공유 전에 관련 기록들을 미리 모아놓자, 사진은 미리 프린트하여 붙여놓는다
      2)가급적이면 한번에 한명씩, 그룹미팅이었을 경우는 특정 커뮤니티의 단일 스토리화할 수 있다
      3)특정 information이 여러 내용을 담고 있을 경우, 이를 분리하여 포스트잇에 적는다
      4)일반화해서 적지 말고, 생생한 디테일을 묘사해서 적는다


                                                                                              29
3.3. Identify Patterns Extract Key Insights                                            Create


                                              Research                      pattern
               relationship                                                 theme
                                         data, information
                   insight




               STEP 1.                    STEP 2.                 STEP 3.                  STEP 4.
   모두가 포스트잇이 붙여진 벽            이들을 모은 뒤, 연관된 것들        각각의 그룹핑마다 insight      insight를 정리된 포스트잇을
    으로 가서, 가장 흥미롭거나                 끼리 그룹핑한다        statement를 명료하게 적어                 모두가 공유한다
   놀라웠던 5개의 내용을 선택                                    새로운 포스트잇에 적는다
                  한다


What is insight?
-뭔가 예상치 못했던 새로움, 당신으로 하여금 자리에서 일어나서 주의를 기울이게 할 수 있는 것
-개개인별 스토리들에 대한 추론을 통해 이를 총괄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
-(observation+quote=insight)

Tip 1 버릴 디테일은 버리고, 정말 놀랍고, 흥미롭고,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key information을 선택한다
    2 서로 연관되는 것들을 모아 big thought로 통합해보자
    3 insight들끼리 같은 레벨이 되도록 만든다. 다른 레벨의 insight가 있을 경우, 레벨/정도를 맞출 수 있도록
     reframe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30
3.3. Identify Patterns Find Themes                                                   Create

                                            Research                      pattern
              relationship                                                theme
                                        data, information
                 insight



               STEP 1.                   STEP 2.                STEP 3.                  STEP 4.
   모두가 포스트잇이 붙여진 벽           이들을 모은 뒤, 몇개의 테마      테마별 같은 level인지 확인      각 테마별로 title을 만들고 포
  으로 가서, 가장 흥미롭거나 놀                    로 분류한다      한다. 너무 구체적이면 보다         스트잇으로 붙인다. 이 때 다
  라웠던 5개의 내용을 선택한다                                 큰 테마화, 너무 일반적이면        음 4단계를 위해, 다른 테마별
                                                        이를 세분화해본다           약간의 빈공간을 남겨둔다


 Ways
 -여러개의 내용이 하나의 bucket에 담길 수 있는 category를 찾는다
 -category별 같은 레벨인지 확인하고
 -포스트잇을 옮겨가며, 다른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며 grouping을 서로 다르게 해본다

                                                                Try   P.O.I.N.T 테크닉
Tip                                                                   insight, theme를 뽑을 때 이
1 theme을 찾을 때는 한 팀으로 같이 협업한다                                          와 같이 구분하여 뽑아보자
2 같은 팀원들이 만족할때까지 grouping을 시도해본다                                      P=Problems/O=Obstacle/
3 모든 내용을 포함하는 큰 theme가 있을 경우는 작은 여러개의 theme로 나눠본다.                    I=Insights/N=Needs/
이때 구성정보들간의 연관성뿐만이 아니라, 차이점도 염두해 두자                                    T=Themes


                                                                                                   31
3.3. Identify Patterns Create Frameworks                                               Create



                               Process Map
                                                   Relational Map

                                                                        Two-by-Two Matrix
       Venn Diagram




                       STEP 1.                        STEP 2.                    STEP 3.
   story공유하는 과정에서, 다른 상위의 개       좀 더 상위의 구조가 있을 경우 해당 팀원에          팀 단위에서 이를 보다 견고하게
   념이나 시스템, 다른 차원의 정보와 연계           게 예시와 같이 그림으로 그려보게 한다                      발전시킨다
                 되는지 확인한다                           (hcd 예제)



What is a framework?        Gender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세부적 정보를 보다 상위의 시스템         -여성이 보는 관점과, 남성이 보는 관점으로 나누어,            -SGA대상 여성문제를 분석할 경
맥락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            서로 다른 2개의 framework에서 이를 비교해본다           우, 같은 영역에 대해 성별 차이를
-framework을 그림으로서, 보다       1)어떤 차이가 있는가?                            확인해본다
전체적 관점에서 문제를 조망할 수          2)성별 자체가 theme가 되는가?
있다                          3)집 내부 활동, 돈을 얻을 수 있는 기회요소와 장애
                            요소 등에 있어 남녀 차이가 있는가?


                                                                                            32
3.4. Create Opportunity Areas                                                           Create

            current status로부터 future possibility를 비쥬얼화
            opportunity는 기존의 문제점, 또는 니즈를 보다 ‘미래적’ 관점으로 재조망하는 것
            opportunity 자체가 하나의 solution이라기 보다는, 여러개의 solution이 도출될 수 있는 기반




             STEP 1.                    STEP 2.                   STEP 3.                    STEP 4.
  팀원 모두에게, 이제 기존 정       새로운 색의 포스트잇을 나눠          개별 theme당 적어도 15분         opportunity area를 찾는 과
  보 분석에서 새로운 아이디어        주고,‘How might we...?’로   동안 opportunity area를 도         정에서 막힐 경우,찾은
    화로 넘어감을 공지해준다        시작되는 opportunity를 적       출하고, 이를 theme 옆에            insight를 같이 읽어본다
                                       게끔 한다                   붙여놓는다


Tip                                                  Watch out
                                                     opportunity area 자체가 이미 solution이 되는 건 아
1 statement를 ‘How might we...?’(어떻게 하면 우리가~~~할       닌지 확인한다. 지나친 비약을 방지하기 위함이니.
 수 있을까?)으로 시작해라. 또는 약자로 HMW로 시작하던지

2 insight와는 다른 색의 포스트잇을 써라. 다음단계를 위해서                Try
 insight와 opportunity를 구분하는게 좋다.                     opportunity area 로 언급된 것이 구체적 solution처럼
                                                     들릴 경우, 다시 돌아가 반문해보자. “왜 이러한 solution
3 질적 측면보다는 양적 측면에 신경쓴다                               을 제시한 것인가?” “이 solution을 통해 어떤 니즈가 충
                                                     족되는건가?”
4 다음단계인 브레인스토밍으로 가기위한 3~5개의 HMW를                     *어떤 니즈가 나왔을 경우, “그럼 그 needs를 어떻게 하
 가려낼 때는 우선, 실제 할 수 있는지 feasibility 보다는 현지            면 ~~~할 수 있을까?”, HMW화 한다
 이들의 desirability 에 초점을 맞춘다


                                                                                                       33
3.5. Brainstorm New Solutions                                                   Create
브레인스토밍은 제약조건과 상관없이 발산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이다. 난상토론은 아니지만, 아이디어를 많이 내야 할 수 있다.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3~5개의 HMW 각 HMW 로 아이디어          HMW에 대한 장애요       브레인스토밍 원칙에        하나의 HMW당
   (How might we...?) 를 포스트잇에 적어        소 또한 적어 붙인다         따라 진행한다      15~30분 진행한다
    를 서로 다른 전지나       붙인다. 한 포스트잇
          벽에 붙인다      당 하나의 아이디어.


7 Rules   1 이 단계에서 ‘나쁜 아이디어’란 없다. 평가는 유보해라
          2 진짜 혁신적 아이디어는 wild idea에서 비롯된다. 맘껏 사고하게끔 하라
          3 but 보다는 and이다. 혹여라도 누군가의 idea가 맘에 안들거든 거기에 덧붙여서 보다 나아지게끔 해라
          4 그렇다고 topic을 벗어나지는 않게끔
          5 이성적 측면과 비쥬얼 창의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다
          6 한번에 한개의 아이디어씩
          7 질보다는 양이다. 아이디어 갯수를 정해놓고, 이를 가볍게 뛰어넘어본다

워밍업       A,B 페어로 짝을 짓는다, A가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본다
          1)A양이 아이디어별로 설명을 한다. 이 때 B는 무조건 No라고 대답하고, 그 이유를 말한다 (2~3분 진행)
          2)이번엔 B가 아이디어를 생각해 말하고, A는 무조건 YES라고 하며, 이를 보강해본다 (역시 2~3분 진행)
          3)어떤 방법이 좋았는지 이야기해본다. 십중팔구 후자를 선호할 것이다


                                                                                          34
Plan

                   월                      화                         수                         목


                              Observation
                              (여학교, D&D 각 2팀씩)
   오전      Observation                                  Observation               Observation
 (10~12)   (여학교, D&D 각 2팀씩)                             (여학교, D&D 각 2팀씩)          (여학교, D&D 각 2팀씩)
                              Journey Map
                              (숙제 내주기)


                              Interview (학교)            Interview (학교)            Interview (학교)
                              1팀 : 여학교, 1인당 30-40       1팀 : 여학교, 1인당 30-40       1팀 : 여학교, 1인당 30-40
                              분, 3명                     분, 3명                     분, 3명
   오후      Interview
                              2팀 : D&D, 1인당 30-40       2팀 : D&D, 1인당 30-40       2팀 : D&D, 1인당 30-40
  (2~4)    (여학교, D&D 교사)
                              분, 3명                     분, 3명                     분, 3명

                              Journey Map               Journey Map               Journey Map

                              Interview (집)             Interview (집)             Interview (집)
                              1팀 : 여학교 학생               1팀 : 여학교 학생               1팀 : 여학교 학생
  방과후                         2팀 : D&D 힉생               2팀 : D&D 힉생               2팀 : D&D 힉생
  (4~6)
                              Life Cycle & Self-Photo   Life Cycle & Self-Photo   Life Cycle & Self-Photo
                              Activity                  Activity                  Activity


  저녁                                              Eye Care 교육

                                       Review & 하루 정리 & 내일 일정 공유
                                       관찰 자료(사진, 포스트잍) 클러스터링


                                                                                                            35
Plan

       논의

       내부
       1. 조사원 코디네이팅
       2. 구체적인 타임 테이블
       3. 워크샵 준비
       4. 준비물


       외부
       1. 인터뷰 참여자 코디네이션
       2. 현지 상황 체크리스트 확인


       향후 일정

                        2/6                2/9                 2/12            2/16
       연구 방법론 확정              pilot연구 진행         Pilot 결과 발표          최종 리허설
                                                 방법론 수행 교육            최종 교육
       field coordination     검증 및 평가
                              세부 조정
       toolkit making


                                                                                      36

More Related Content

PDF
Ass 10.10 ideo hcd h
PDF
제 6회 DGMIT UI&UX 컨퍼런스: 디자인 전문기업 성공 사례
PDF
협의 창의 발상을 위한 개방형 플랫폼(Korean)
PDF
[Nux]07 design
PDF
창의발상 오픈협업 플랫폼 프로토 제안
PDF
[Imr]week07 [자동 저장]
PDF
[Imr]week06
PDF
[Imr]week04
Ass 10.10 ideo hcd h
제 6회 DGMIT UI&UX 컨퍼런스: 디자인 전문기업 성공 사례
협의 창의 발상을 위한 개방형 플랫폼(Korean)
[Nux]07 design
창의발상 오픈협업 플랫폼 프로토 제안
[Imr]week07 [자동 저장]
[Imr]week06
[Imr]week04

Viewers also liked (7)

PDF
Hcd intro1
KEY
Techunder_HCD workshop
PDF
시나리오 베이스 디자인 방법론 (Scenario Based Design)
PDF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PDF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이해와 실습 (Seoul Creative Lab 교육과정): 김정태
PDF
IDEO's design thinking.
PDF
아이템 도출을 위한 Design Thinking
Hcd intro1
Techunder_HCD workshop
시나리오 베이스 디자인 방법론 (Scenario Based Design)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이해와 실습 (Seoul Creative Lab 교육과정): 김정태
IDEO's design thinking.
아이템 도출을 위한 Design Thinking
Ad

Similar to Techunder_HCD 방법론 발제 (20)

PDF
[Isd]06 service design_discover
PDF
[Imr]week1
PDF
[Imr]week05
PDF
Hcd 방법론 intro
PPTX
(강의용) 사회적 경제와 디자인 띵킹_김재훈
PPTX
디자인씽킹과 앙터프러너십: 숨겨진 니즈와 지속가능한 솔류션을 위한 통합모델과 사례
PDF
[Nux]08 paper
PDF
[Imr]week3
PDF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PDF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PDF
Crevate service-design-method-deck-silk-card
PDF
(실습용) 인간 중심 디자인 툴킷 워크북 김재훈
PDF
DesignThinking_11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PPTX
[IMR2014]WEEK05
PPTX
4회 적정기술포럼 시장중심 적정기술 개발을 위한 방법론 (김정태)
PDF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문제해결(Ver1)"
PDF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 문제해결 방법"
PDF
[I3 d]08 service_design_discover_
PDF
[I3 d]08 service_design_discover_
PDF
[Nux]06 ux
[Isd]06 service design_discover
[Imr]week1
[Imr]week05
Hcd 방법론 intro
(강의용) 사회적 경제와 디자인 띵킹_김재훈
디자인씽킹과 앙터프러너십: 숨겨진 니즈와 지속가능한 솔류션을 위한 통합모델과 사례
[Nux]08 paper
[Imr]week3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Crevate service-design-method-deck-silk-card
(실습용) 인간 중심 디자인 툴킷 워크북 김재훈
DesignThinking_11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IMR2014]WEEK05
4회 적정기술포럼 시장중심 적정기술 개발을 위한 방법론 (김정태)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문제해결(Ver1)"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 문제해결 방법"
[I3 d]08 service_design_discover_
[I3 d]08 service_design_discover_
[Nux]06 ux
Ad

More from techunder_snu (14)

PPTX
ICT4D안의 인문학적 DNA - 박창호(CT4D, 
 중이온가속기구축사업단 정보협력팀장) / 제3회 ICT4D포럼
PPT
장기 후원활동에 필요한 Local Management - 최혜희 (키맥스, KOPION 장기단원)
 / 제3회 ICT4D포럼
PPT
한국형 성장이 시사하는 개도국 지원사업과 그 역할에 대한 담론 - 조계수 (부천대학교 ODA연구소, ICThope) / 제 3회 ICT4D포럼
PDF
Growing - 인도네시아, 씨앗, 그 이후: 박세영 (한국교원대학교) 
/ 제3회 ICT4D포럼
PDF
ITU-D 의 개발협력활동 - 김애연 (전 KISDI) /제3회 ICT4D포럼
PDF
문화예술활동을 통한 개발도상국 청소년 이해 :ICT4D포럼(차풍/천주교의정부교구)
PDF
ACU project, 아세안과의 도약:ICT4D포럼(이수민/아세안사이버대학 설립사무국)
PDF
올라이츠 빌리지 프로젝트 진행 과정 :ICT4D포럼(박중석/한국GPF재단)
PDF
전기도 없는 오지 마을에서, ICT의 강렬한 열망을 보다 :ICT4D포럼(박자연/HoE)
PDF
인간중심디자인툴킷(HCD)을 활용한 개발협력 현장에서의 니즈파악 프로젝트 :ICT4D포럼(김정태/MYSC이사)
PDF
삼성전자 ICT 사회공헌활동 소개 :ICT4D포럼(김대현/삼성전자)
PDF
Techunder_Methodology Book
PDF
Techunder_Shadia 2011 결과보고서
PDF
Techunder_정보통신기술은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가져올까?
ICT4D안의 인문학적 DNA - 박창호(CT4D, 
 중이온가속기구축사업단 정보협력팀장) / 제3회 ICT4D포럼
장기 후원활동에 필요한 Local Management - 최혜희 (키맥스, KOPION 장기단원)
 / 제3회 ICT4D포럼
한국형 성장이 시사하는 개도국 지원사업과 그 역할에 대한 담론 - 조계수 (부천대학교 ODA연구소, ICThope) / 제 3회 ICT4D포럼
Growing - 인도네시아, 씨앗, 그 이후: 박세영 (한국교원대학교) 
/ 제3회 ICT4D포럼
ITU-D 의 개발협력활동 - 김애연 (전 KISDI) /제3회 ICT4D포럼
문화예술활동을 통한 개발도상국 청소년 이해 :ICT4D포럼(차풍/천주교의정부교구)
ACU project, 아세안과의 도약:ICT4D포럼(이수민/아세안사이버대학 설립사무국)
올라이츠 빌리지 프로젝트 진행 과정 :ICT4D포럼(박중석/한국GPF재단)
전기도 없는 오지 마을에서, ICT의 강렬한 열망을 보다 :ICT4D포럼(박자연/HoE)
인간중심디자인툴킷(HCD)을 활용한 개발협력 현장에서의 니즈파악 프로젝트 :ICT4D포럼(김정태/MYSC이사)
삼성전자 ICT 사회공헌활동 소개 :ICT4D포럼(김대현/삼성전자)
Techunder_Methodology Book
Techunder_Shadia 2011 결과보고서
Techunder_정보통신기술은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가져올까?

Techunder_HCD 방법론 발제

  • 1. HCD+SHIS Hear Create 20120206 Project : Technology Underserved 2012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 2. Research Flow 1 2 3 Introduction Hear Create 1. Goal 1. Identify a Design challenge 1. Develop the Approach 2. Main Topic 2. Recognize Existing Knowledge Participatory Co-design 3. 3 Lenses of HCD 3. Identify People to speak with Empathic Design 4. HCD process 2. Share Stories 4. Choose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terview 3. Identify Patterns Group Interview Extract Key Insights Self-Document Find Themes Create Frameworks 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Interview guide 4. Create Opportunity Areas Sacrificial Concepts 5. Brainstorm New Solutions Interview Techniques 6. Develop Your Mindset Beginner’s Mind Observe vs. Interpret 2
  • 3. FINAL GOAL Deaf & Dumb 학교와 SHIS Girls Academy 아이들에게 필요한 “적정 수준”의 ICT 개발 3
  • 4. Research GOAL < ICT 솔루션 제안을 위한 문제 지점 파악> 1. 일상 생활과 행동 관찰 2. 명시적, 비명시적 니즈 파악 3. 환경적, 사회 문화적 맥락 파악 4
  • 5. 일상생활 정보행동 기술 리터러시 Main Topic 5
  • 6. 3 LENSES OF HCD Start Here Desirability What do people desire? What is technically What can be and organizationally Feasibility Viability financially viable? feasible? SOLUTIONS 6
  • 7. HCD process 2월 조사 H >> People’s Stories C >> Themes >> Observations of Constituents’ Reality >> Opportunities >> Deeper Understanding of Needs, >> Solutions Barriers and Constraints 7
  • 8. Research Flow 1 2 3 Introduction Hear Create 1. Goal 1. Identify a Design challenge 1. Develop the Approach 2. Main Topic 2. Recognize Existing Knowledge Participatory Co-design 3. 3 Lenses of HCD 3. Identify People to speak with Empathic Design 4. HCD process 2. Share Stories 4. Choose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terview 3. Identify Patterns Group Interview Extract Key Insights Self-Document Find Themes Create Frameworks 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Interview guide 4. Create Opportunity Areas Sacrificial Concepts 5. Brainstorm New Solutions Interview Techniques 6. Develop Your Mindset Beginner’s Mind Observe vs. Interpret 8
  • 9. Theory Hear do or not do What will qualitative What wil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o? research methods NOT do? 사람들의 니즈 ‘평균값’, 경향을 측정하는 것 리서치 초기 단계에서 유용 상대적으로 큰 샘플 “우리는 아무것도 모른다”에서 시작 공통된 사례들에 대한 일반화 집단, 장소, 사물, 제도간의 관계적인 dynamics를 맵핑, 분석에 용이 개별 케이스 하나하나가 갖는 구체성과 특수성.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 people, and the community. 9
  • 10. 2.1 Identify a Design Challenge Hear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STEP 6. To do 리스트 작성과 직면한 상황 기관의 관점에서 우선 순위 정하기 이해관계 고려해 공유를 위해 선정기준 정하기. 그려보기 문제들을 다시 문제 좁히기 간결하게 표현 (ex 새로운 것인가? Re-frame해보기 기존에 있었던 것인가?) Tip Watch out 1 - Guide to questions to the field research. 기존의 기술이나 개념에 갇혀 생각하지 말아라. - 조직의 리더쉽이나 팀단위의 작업 대신, 혁신을 위한 Springboard를 생각해라. - 탐색해보고 싶은 가능성들의 범위에 구체적으로 접근 2 - 기술,상품,특정 서비스가 아닌 인간 조건에 맞춰져야 - 아직 발견되지 않은 가치를 찾을 수 있을 만큼 넓은 범위 - 관리할 수 있는 단계로 토픽 수준 좁히기. Try Create, Define, Adapt와 같은 Action verb로 Design Challenge를 시작하라. 또는 How can...? 과 같은 물음으로 시작하라. 9
  • 11. 2.2. Recognize Existing Knowledge Hear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팀이 볼 수 있도록 팀에게 포스트잇을 나누어 각자 포스트잇을 읽게 하고 또 다른 포스트잇에 주 리서치 방법, 인원 모 Design Challenge를 주고, 그들이 주제에 대해서 Design Challenge 밑에 붙 제에 대해 각자 모르는 집, 인터뷰 가이드를 만 게시하기 아는것 쓰게 하기 (포스트잇 이고, 서로 동의하지 않을 것을 쓰고 드는 데에 도움이 되도 한개당 하나의 정보씩) 시에 의견을 내기 다른 곳에 붙이기 록 포스트잇들을 같은 테마끼리 나누기 Try 1 첫번째 포스트잇에는 Design Challenge와 관련되어 알고 있는 것들을 나열한다: •사람들에게 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을 원하는지 •어떠한 기술이 이 Challenge를 도울 수 있는지 •다른 곳에서는 어떠한 해결책과 아이디어들이 시도되어지고 있는지 •Challenge를 어떻게 풀어갈 지에 대한 이전의 가설들 서로 모순 되는 부분이 있는가? 이 팀이 가장 자신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2 다음으로 지금은 모르지만 앞으로 배워야하는 것들을 나열한다: •현지인들이 어떤것들을 하고, 생각하고, 느끼는지 •그들이 주어진 것에 대해서 어떻게 가치를 여기는지 •그들이 미래에 필요한 것은 무엇일 것인지 •어떤 부분이 리서치를 가장 필요로 하는가? 인원은 어떻게 모을 것인가? 어떤 카테고리가 가이드를 만드는데 필요한가?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데에 있어 어려운 점은 무엇일지 11
  • 12. 2.3. Identify People to speak with Hear STEP 1. STEP 2. STEP 3. 어떤 범위에서 사람들을 고를 것인지 정하고, 참여자 모집에 적당한 장소를 정하기 지역 커뮤니티 미팅 및 인터뷰를 몇가지 옵션을 정하기 주민들에게 리서치에 좋은 지역을 추천받 잡을 수 있도록 적합한 (예.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진보와 보수, 고 2~5개 정도의 서로 다른필드 사이트를 연락처 목록를 받기 땅이 많거나 적거나 등) 고르기 연락처 목록에 남녀가 모두 포함 옵션들 중 한 두가지로 범위를 좁혀서 (예. 건조지대와 습지대, 중앙부와 주변부) 되도록 하기 극단적인 케이스도 포함될 수 있도록 하기 Gender Watch out 어떤 커뮤니티에서는 남성 스태프가 여성을 인터뷰하는 것을 그룹 세션은 개인 인터뷰를 하게 될 개개인을 알아보기 좋은 방 싫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성 주민을 모집하고 인터뷰 할 때 법이다. 하지만, 어떤 커뮤니티는 연구자들에게 성공한 사례들 는 여성 스태프가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나 남성들만을 보여주기를 원할 수도 있다. Tip 1 • 전체의 1/3정도는 우리의 ‘이상적인’ 대상일 것이 2 경제적인 범위에서 부유한 집단에서 다. 그들은 새로운 기술에 빨리 적응하고 원하는 반 가난한 집단을 모두 포함하기위해 아래질 응을 보여줄 것이다. 문을 한다: • 다른 1/3의 참여자는 정 반대의 스펙트럼에 위치할 •“자녀를 학교에 보낼 수 있는가?” 것이다. 가난하고 새로운 기술에 저항하며 문제가 •“자신의 집을 수리할 수 있는가?” 되는 행동을 보여줄 수 있다. •“수확의 어려움, 질병 문제가 있는가?” • 중간지대의 1/3 참여자는 양 극단의 평균에 속한 다. 13
  • 13.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Hear 2.1 Identify a Design Challenge 현지 이슈 및 상황 요인, 우선 순위 등을 고려해서 목표 설정 안과병원 ICT교육 문제 IT소외계층 문제 해결 D&D 교육 문제 여성 인권 문제 2.2. Recognize Existing Knowledge Design Challenge와 관련해 1. 지금 현재 알고 있는 것들 2. 더 알아봐야 할 것 들을 생각해보고 분류했다. 2.3. Identify People to speak with 현지 조사 대상인 SHIS와 지속적 연락을 통해 필드 코디네이션 여학교 학생과 가족 SES따라 차등 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 대상 선정 D&D학생(고학년)과 가족 SES따라 차등 대상에 친근한 접근을 위해 주의사항 안내 받음 여학교, D&D교사 시설 관계자 10
  • 14. 2.4. Choose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terview Hear STEP 1. STEP 2. 인터뷰 가이드를 작성한 후 (필드 가이드를 참고하여) 두명 팀이 연습 인터뷰를 하면서 배운것이 무엇인지 물어보기 이 팀이되어 인터뷰 연습하기 또한, 빠진 주제가 있는지? 한명은 인터뷰하는 사람 다른 한명은 인터뷰 받는 사람의 해야할 질문을 하지 않지는 않았는지? 입장이 되어 연습 인터뷰를 실행하기 확인하기 Watch out 리서치 팀에 많은 인원이 있다면, 한 인터뷰에 참여하는 팀원은 3명을 넘으면 안된다. 참여자들을 긴장시키면 안되고, 참여자의 집에 많은 인원이 들어가기에 힘들 수도 있다. Tip 1인터뷰는 외부의 청중이 없이 진행되어야한다. 이웃이나 친구 혹은 2 참여자들도 알아볼 수 있도록 각자의 다른 사람들이 지켜보고 있다면 참여자가 하고싶은 말을 못하거나 영 역할을 잘 분담한다: 향을 받아 다른 이야기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 사람은 인터뷰를 진행 하지만 이러한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것이 힘들수도 있다. •노트테이킹 한가지 방법은 리서치 팀중 한명이 다른 청중들에게 평행적인 대화를 •사진 찍기 이끌어내 다른 장소로 유도하여 인터뷰 내용을 듣지 못하게 할수있 다, 15
  • 15. 2.4. Choose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terview Hear STEP 1. STEP 2. 인터뷰 가이드를 작성한 후 (필드 가이드를 참고하여) 두명 팀이 연습 인터뷰를 하면서 배운것이 무엇인지 물어보기 이 팀이되어 인터뷰 연습하기 또한, 빠진 주제가 있는지? 한명은 인터뷰하는 사람 다른 한명은 인터뷰 받는 사람의 해야할 질문을 하지 않지는 않았는지? 입장이 되어 연습 인터뷰를 실행하기 확인하기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2/12일 워크샵에서 연습) Main topic과 Research Goal. 1. 무엇이 되고싶은가. 1,2,3 단계를 참조해 질문지 구성 쉬운 인터뷰 진행을 위해 카드, 템플릿 준비 + 그것이 되고 싶은 이유, 될 수 있는 방법, 내가 해야할 일 등 여학교 2. 친구들과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인터뷰 in school : 1인당 30-40분(1팀x3명x3일=9명) + 이야기 내용, 방법, 이유, 제일 많이 이야기하는 것 등 D&D학교 3. 시험 공부는 어떻게 하는가 인터뷰 in school : 1인당 30-40분(1팀x3명x3일=9명) + 정보의 신뢰도, 정보 소스, 습득 방법, 정리 방법, 암기법 등 Total 18명 4. 제일 행복했던 기억(좋을 때) 암묵적 니즈, 가치관 제일 힘들었던 기억(나쁠 때) 조사팀 구성 : 최대 3인 (모더레이터, 노트테이커, 사진/동영상) 16
  • 16. 2.4. Choose Research Method Group Interview Hear STEP 1. STEP 2. 그룹 인터뷰 가이드를 작성한 후, 두명이 팀이되어 각 팀에서 논의해서 나온 의견을 공유하여 인터뷰를 연습하면서 조용한 사람들을 어떻게 참여시 가장 좋은 방법을 선택하기 킬 것인지, 너무 많이 이야기 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제어시킬 것인지 논의히기 Watch out 남녀의 시각이 평등하게 여겨지는가? 그렇지 않다면, 남녀 따로 인터뷰를 진행하는 것이 적당하다. 정치적 힘이 있는 사람이 참여야하는가? 그들의 존재는 다른 사람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떨어뜨릴 수 있다. 커뮤니티에서 당신을 펀딩이나 자선사업가로 이해하고 있지는 않은가? 자신의 요구나 니즈를 왜곡하여 표현할 수 있다. Tip 1 Guideline 2 참여자들에게 심리적 거리감을 주지않도록 경제/사회 •다양한 경제적 배경을 가진 7~10명의 사람들 적 위계를 알 수 있는 장벽을 줄여야한다. •장소 :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공 장소를 고른다. •참여자와 유사한 방식의 옷차림을 한다 •성별 : 지역의 문화에 따라 성별을 고르게 또는 단일하게 구성한다. (협회 로고가 새겨진 티셔츠같은 것들은 피한다) •나이 : 주제와 지역의 컨텍스트에 따라 아이들과 부모, 어린이와 어 •같은 눈높이로 참여자와 동석 른을 섞어서 구성한다. •한 명 이상의 리서치멤버가 참여할 경우 참여자들/리서치 멤버들 따로 않지 말고 섞어 앉는다 17
  • 17. 2.4. Choose Research Method Group Interview Hear STEP 1. STEP 2. 그룹 인터뷰 가이드를 작성한 후, 두명이 팀이되어 인 각 팀에서 논의해서 나온 의견을 공유하여 가 터뷰 연습하면서 조용한 사람들을 어떻게 참여시킬 것 장 좋은 방법을 선택하기 인지, 너무 많이 이야기 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제어시 킬 것인지 논의히기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2/12일 워크샵에서 연습) Main topic과 Research Goal. 1,2,3 단계를 참조해 질문지 구성 1. 가족 구조와 역할 쉬운 인터뷰 진행을 위해 카드, 템플릿 준비 + 가족 수, 위계 구조, 역할 등 여학교 2. 가족의 일과 인터뷰 in house : 1가구당 1시간-1시간 30분 라이프사이클 (1팀x1가구x3일=6가구) 3. 가족의 물건 D&D학교 그들의 보물 but 우리에겐 잡동사니는 인터뷰 in house : 1가구당 1시간-1시간 30분 (1팀x1가구x3일=6가구) 4. 피교육 니즈/이유 6가구 + (여성문제) 왜 학교에 보내는지, 무엇이 되었으면 하는지 조사팀 구성 : 최대 3인 (모더레이터, 노트테이커, 사진/동영상) 18
  • 18. 2.4. Choose Research Method Self-Document Hear STEP 1. STEP 2. STEP 3. 사람들이 어떠한 것들을 기록하면 좋을지 정하기 도구와 그 도구를 어떻게 사용하 기록한 데이터를 함께 리뷰하며, - 그들의 감정이나 일상, 가족생활, 소득, 행동 등 는지 설명해주고 몇일동안 스스 기록한 것이 무엇인지 뿐아니라 이것을 기반으로 어떠한 방법이 가장 적절한지 정하기 로 기록하게 하기 왜, 그리고 어떠한 감정으로 기 - 사진,다이어리, 목소리 녹음 등 록하게 되었는 지 물어보기 Try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음성 녹음기나 일기장 등을 사용하여 기록하게 할때, 방법을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고 이렇게 쉬운 방법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방법이 더 쉬울 수록 참여자들이 더 많은 데이터를 모아올 수 있다. Tip Gender 1 주로 청소년들이나 어린 아이들은 2 셀프 도큐멘테이션에 대해 도움 그 커뮤니티에서 누가 어떠한 정보에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들을 표현하는 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이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한다. 것을 좋아하고 어른들에 비해 새로운 기록한 예제를 보여주고 시간을 들 성별, 나이, 계급 등에 따라 기록하는 것에 대한 위협을 덜 받기때문에 좋은 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데이터가 다를 수도 있으므로 민감하 참여자가 될 수 있다. 준다. 게 참여자를 고르도록한다. . . 19
  • 19. 2.4. Choose Research Method Self-Document Hear STEP 1. STEP 2. STEP 3. 사람들이 어떠한 것들을 기록하면 좋을 지 정하기 도구와 그 도구를 어떻게 사용하 기록한 데이터를 함께 리뷰하며, - 그들의 감정이나 일상, 가족생활, 소득, 행동 등 는지 설명해주고 몇일동안 스스 기록한 것이 무엇인지 뿐아니라 이것을 기반으로 어떠한 방법이 가장 적절한지 정하기 로 기록하게 하기 왜, 그리고 어떠한 감정으로 기 - 사진,다이어리, 목소리 녹음 등 록하게 되었는 지 물어보기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Journey map (여학교) Life Cycle (집 방문) Self-Photo Activity 학교에서 일어나는 정보활동 수집 1. 가족의 하루 가족들의 소중한 물건 템플릿 준비 ; 각 가족마다 가장 소중한 물건을 2. 엄마, 아빠의 일생 직접 사진찍기 ex. 숙제 내주기 실험 or 시험 공부 (일반적인 life cycle을 알기 위해, print-out해서 보면서 말하기 하는 과정 함께 그려보기 (인터뷰 결혼/출산/취업 등)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어떻게 쓰 중) 는지, 어떻게 보관하는지 등) 20
  • 20. 2.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Interview Guide Hear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Design Challenge 중 이 주제들을 메인주제와 주제들 중 두명씩 팀을 지어 각 다시 전체의 팀에게 각 필드 스터디에서 다루어 섭주제들로 나누기 성별에 따라 특별하게 카테고리에 팀에서 도출된 질문들을 질 주제들을 고르기 나눠야 하는 것이 있는 속한 주제들에 알맞는 공개하고 빠진 질문들을 지 살펴보기 질문들을 도출하기 추가하기 Tip 1 먼저 편안한 문제들로 참여자들을 2 폭넓고 지향적인 질문들을 한다. 3 “만약에 당신이라면…” 등의 점점 깊이 파 편하게 만들어준다. •미래에 대한 기대/욕망 고드는 질문을 한다. •가족 구성원 •시스템과 관련된 질문들 •소득을 얻는 방법 •각각 어떤 역할을 맡았는지 •Innovation challenge에 대한 질문들 •요즘 이야기 •Sacrificial Concepts Try 1 인터뷰에서 다루고싶은 관련분야 2 포스트잇을 이용해 이와 관련한 답을 끌어 낼 수 있 3 포스트잇의 순서를 이동 에 대해 생각하며 시작한다: 는 질문들을 도출한다: 해 어떤 순서로 질문을 할 것 •생계 수단 •인생에 문제가 있을때 누구에게 조언을 구합니까? 인지 정한다 •정보 수집 방법 •작년 중에 새로운 방법 (농사 등)에 대해 들어본적이 있 •자금 조달 습니까? 어디서 들었습니까? 21
  • 21. 2.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Sacrificial Concepts Hear 시나리오 기반의 문제들이나 Sacrificial Concepts는 추상적이고 어려운 질문들 을 조금 더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STEP 1. STEP 2. STEP 3. 알고싶은 질문들 중 추상적인 추상적인 질문을 두개의 시나리오 중 몇개의 변수를 바꾸고 질문을 뽑아내기 옵션이 주어진 다시 질문을 해보기 파트너에게 추상적 질문을 하고 시나리오 기반의 문제로 바꾸고 * 여러 방법으로 질문을 해보면서 반응보기 파트너에게 질문을 하고 반응보기 무엇을 느꼈는가? Tip Try 추상적인 질문들이란: 1 Sacrificial Concepts를 만들어 추상적 질문을 덜 추상적이게 만든다. •위험요소나 보험, 보장성에 대한 질문 “새로운 기술을 사는데에 위험을 줄이기 위해 어떻게 지불을 할 것인가?” 보다 •트레이드오프(거래)에 대한 질문 는 •투자 가치나 미래 행동에 대한 질문 두가지 상황을 설명하고 하나를 고르게 한다: “당신의 농장을 반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들이 있다. 첫번째 기술은 $1000이지만 보장이 없다. 두번째 기술 은 $1500이지만 두번째 추수까지 당신의 농장의 결과물을 두배로 불려줄 수 있고 그렇지 못하면 돈을 돌려준다는 보장이 있다. 어떤것을 선택하겠는가?” 2 두가지 상황, 혹은 지금 그들이 처 3 말로 설명할 수도 있지만, 사진이나 그림 4 당신의 Design Challenge와 Big 한 상황을 비교하여 개념을 돕는다. 등으로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이것은 사 Question을 살펴보라. 어떤 주제를 더 깊이 람이 다룰수있는 물건일 수도 있고 그들에게 알아보고 싶은가? 그것에 대해 알맞는 대화 직접 경험을 해보게 할 수도 있다. 를 이끌 수 있도록 Sacrificial Concept를 만 든다. 23
  • 22. 2.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Interview Techniques Hear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두명이 짝을 지어 연습 하기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사람(A) B가 A와 함께 B가 A와 함께 “Five Whys를 통해 어떤 (적어도 둘 중 한명(A)은 모 이 상대방(B)에게 어떻게 새로 Show Me 테크 Five Whys 테크 정보를 얻었는가?” 바일 폰을 운 전화번호를 저장하는지에 닉을 수행하기 닉을 수행하기 “Show Me를 통해 어떤 가지고 있어야 함) 대해 설명하기. 정보를 얻었는가?” Try Discuss 심플한 예제로 시작한다. 각각 다른 테크닉에서 어떤 종류의 정보를 마지막으로 연락처를 어떻게 저장했는지 얻게 되는지 비교한다. SHOW ME를 통해 알아본다. 그리고 필드에서 그것을 적용시킨다 그리고 FIVE WHYS를 수행한다. SHOW ME DRAW IT 5 WHY’S THINK ALOUD 인터뷰 대상자가 사용하고 소 참여자들에게 그것과 관련된 경험 다섯번 연속적으로 “왜?”라는 특정한 태스크를 수행하는 과정 통하는 것들을 (물건, 공간, 도 을 그림이나 낙서 등으로 표현하 질문을 던진다. 이는 사람들 내내 그들이 어떤 생각을 하는 구 등) 보여달라 한다. 도록 한다. 이는 미리 추정한 것 중로 하여금 그들의 지 크게 말하도록 사진을 찍어나 노트를 적어 그 틀린것을 찾아내고, 그들이 활동 행동을 뒷받침하는 이유/근거 한다. 이는 사용자들의 동기나 것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을 어떻게, 어떤 순서로 생각하는 를 끌어낼 수 있게 한다. 자각등을 깨달을 수 있게 도와 지 알수 있다. 준다. 25
  • 23. 2.6. Develop Your Mindset Beginner's Mind Hear 이미 친숙한 주제에 대한 연구를 할 때 기존의 경험에 바탕 한 가정이나 고정관념을 버리고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하는 것이 중 요하다. 하지만 우리는 주로 세상을 이전의 경험과 우리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에 기반하여 판단하기 때문에 이는 매우 어렵다. 이러한 색안경은 우리의 집중을 흐트려뜨릴 수 있고, 중요한 이슈를 놓치게 만들 수 있다. STEP 1. STEP 2. STEP 3. STEP 4. 디자인팀에게 사진을 보여주고 무엇이 어떠한 과거 경험이 추정에 대해 반대 로직을 세워 다시 질문 새로운 정보가 제공 된다면 눈에 띄는지 찾아내게 하고,그들의 그러한 설명을 하게 (예.“하얀 코트를 입은 건 가장 깨끗한 판단이 어떻게 바뀌는 지 물 개인적인 추정에 의해 설명을 할 때 했는지 물어보기 (소독한) 상태여야 하기떄문 아닐까요? 어본다 (예. “만약 이 지역에 주의하기 (예. “하얀코트를 입은 그렇담 감독하는 입장이 아니라 일을 하 서는 하얀색이 하인들이 입 사람이 메니저로 보여요”) 는 사람 아닐까요?) 는 옷의 색깔이라고 말해준 다면 어떤가요? 이 장면을 STEP 5. STEP 6. 어떻게 다르게 볼까요? 디자인팀에게 이 연습과정을 통해 리서치를 할때 “초심”으로 돌아가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무엇을 배웠는지 물어본다 당신이 답을 알 것같은 질문도 해야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진 짜 답이 예상 외일 수도 있으므로 Watch out 계속하여 Design Challenge를 초심으로 다가가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생각한다. 특히 필드에서 리서치를 하는 중에도... Try pg.67의 사진을 보고 답하세요. • 무엇이 당신의 눈에 띄나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 어떤 개인적인 경험이 생각났나요? •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어떠한 가정도 하지 않고 사진을 볼 수 있나요? • 사진 속의 인물이나 상황에 대한 어떠한 맥락적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어떠한 질문을 할 수 있을까요? 27
  • 24. 2.6. Develop Your Mindset Observe vs. Interpret Hear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것은 상대방의 행동과 동기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과 같다.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그들의 물질적, 인지적, 사회적이나 문화적 니즈를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된다. 아래 연습은 그냥 관찰하는것과 (observe) 의미를 해석하며 보는것 (interpret) 의 차이점을 알게해주고, 세상을 볼 때 편견과 색안경을 끼고 보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STEP 1. STEP 2. STEP 3. “이 그림에서 어떠한 일이 일어 “이런 행동을 하는 이유가 뭘까 만약 사람들이 힘들어 한다면, 아래와 “진짜 답을 찾기 위해 어떠 나고 있습니까?” 질문하고, 해석 요?” 질문하고, 5가지 이상의 같은 아이디어를 주기: 한 질문을 하겠습니까” 라 이 첨가된 답에 대해서는 보이는 해석을 내놓도록 하기 “이 사람은 자신이 부유하다는 것을 이 고 질문하고, 디자인 팀에게 것만을 묘사하도록 지시하기 웃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공공장소의 도움 될만 한 것들을 리스트 자신의 옷을 걸어놓고 있을 수 있다.” 하기 Try pg.69의 사진을 보고 관찰과 해석의 다른 점 을 이해하는 것을 연습한다. • 어떠한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보이는 것 그대로 묘사하세요. 아직 해석은 하지 마세요. • 이러한 행동의 이유는 무엇일까요? 5개의 가능한 해석을 생각해보세요. • 실제 답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당신의 해석이 맞았는지 알 수 있도록 사진 속 여인에게 물어볼 수 있는 5개의 질문을 생각해보세요. 29
  • 25. + Observation based on Photo Hear 대상자의 행동, 관습, 버릇, 소지품 등에 대한 데이터를 객관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리서치 방법 인터뷰 : 대상자의 인식, 사고방식, 명시적 니즈, 가치관 관찰 : 객관적인 행동, 관습, 사용하는 소지품, 환경 등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2/12일 워크샵에서 연습) 월-목, 총 4일 오전 2시간씩 총 8시간 관찰 월요일 오전 - 학교 내 관찰 - 교사 인터뷰 실시 조사원 2인 1팀 화-목요일 오전 (학교) - 포토그래퍼 1인, 노트테이커 1인 - 학생들의 행동 관찰 - 사용하는 소지품, 활용 방법 여학교, D&D 각 한 팀씩 총 4인 - 학교 환경 or 여학교, D&D 각 두 팀씩 총 8인 화-목요일 오후 (집으로 가는 길, 집) - 등하교 환경 - 등하교 하는 방법, 중간에 하는 일 - 집안 환경 - 집안의 물건 29
  • 26. Research Flow 1 2 3 Introduction Hear Create 1. Goal 1. Identify a Design challenge 1. Develop the Approach 2. Main Topic 2. Recognize Existing Knowledge Participatory Co-design 3. 3 Lenses of HCD 3. Identify People to speak with Empathic Design 4. HCD process 2. Share Stories 4. Choose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terview 3. Identify Patterns Group Interview Extract Key Insights Self-Document Find Themes Create Frameworks 5. Develop an Interview Approach Interview guide 4. Create Opportunity Areas Sacrificial Concepts 5. Brainstorm New Solutions Interview Techniques 6. Develop Your Mindset Beginner’s Mind Observe vs. Interpret 26
  • 27. Theory Create Synthesis (통합) 이란 우리가 관찰 과정 중 본 프로토타이핑은 솔루션을 빠르고 적은 투자로 것과 들은 것에 대해서 이해를 하는 과정이다. tangible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어떻게 알맞은 디자인을 할지 빠르게 배우고, 솔 Synthesis takes us from inspiration to 루션을 세상에 공개하는 속도를 높여준다. ideas, from stories to strategic directions Prototyping is about building to think, acknowledging that the process of 우리가 배운것들을 모으고, 편집하고, 생각해 보면서 synthesis는 새로운 관점과 혁신의 기 making ideas real and tangible helps us 회를 제공한다. to refine and iterate the ideas very quickly 당신의 물품이나 서비스의 여러가지 측면을 보여 Defer Judgment 나 Build on the Ideas of 줄 수 있는 몇개의 다른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것 Others 같은 브레인스토밍 방법은 상상치 못 은 사람들에게 진실성있는 피드백을 얻을 수 있을 한 혁신을 이끌어 내는데 검증된 방법이다. 뿐 아니라, 팀이 조급하게 한가지 아이디어에 달 라붙는 것을 방지해준다. Brainstorming makes us think expansively and without constraints 피드백은 디자인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는 주민들을 직접적으로 디자인 과정에 포함시킨다. 정말 현실성 없는 해결책들을 제시하는 연습 은 때때로 적절하고 근거있는 아이디어를 생 Feedback inspires further iterations to 각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3개의 진정 창조적인 혁신을 이끌어 내는데 make solutions more compelling for 100개의 아이디어가 필요할 지도 모른다. constituents 32
  • 28. 3.1. Develop the Approach Participatory Co-design Create • 그 지역의 전문가와 지식이 많이 필요할 때 • “외부”에서 전해진 솔루션들이 쉽게 적용되지 않을 떄 • 커뮤니티가 정치적으로 그것을 필요로 할 때 STEP 1. STEP 2. STEP 3. 디자인 팀멤버로서 좋은 주민을 고르기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co-design 세 커뮤니티의 needs, goals, 정하는 기준은 때에 따라 다르게 된다. 예를들어, 성 션을 (한번 혹은 여러번) 정하고, 사전 priorities에 집중하여 co-design 공적이고 정치적으로 영향력있는 인물이 필요한가? 에 세션의 과정과 목적에 대한 설명을 세션을 진행하기 혹은 커뮤니티의 일반적인 인물이 더 낳은가? 하기 아니면 그 둘의 조함? Try 1 co-design workshop을 개최하라. 커뮤니 2 in-context 참여를 통해 긴 시 3 지역의 전문가와 가장 좋은 관행을 알아 티에서 8~20명의 사람들을 모아 함께 design 간동안 co-design을 진행한다. 몇 본다. 성공적이라고 생각되는 사람들에 대해 challenge에 해답을 디자인한다. 일이나 몇 주동안 가족들과 함께 다른 커뮤니티 사람들에게 물어본다. 그들과 Challenge를 만들어낸 문제들의 이야기들에 지내면서 사람들에게 문제점들에 시간을 정하고 그들의 지식에 도움을 받아 대해 말해준다. 대해서 비공식적으로 물어볼수 있 함께 솔루션을 개발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을 “How Might We?” 문 고, 집이나 농장, 커뮤니티에서 함 제로 바꾸어준다. 께 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Gender 사람들에게 직접 자신의 문제 이야기들이나 새로운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문 “How Might We?” 문제를 추가하도록 한다. 제점이 발생한 시점에서 솔루션을 디자인팀과 co-design팀에 여성을 포함시키 참여자들과 해결책에 대하여 브레인스톰하고, 개발하는데 매우 좋다 도록한다. 가족과 함께 살 때, 남편, 아내 그 프로토타입을 위해 필요한 재료가 있는 지 확인 외 가족구성원들과 각각 같은 양의 시간을 한다. 보내라. 세션을 개최할때는 여자, 남자 따로 할 것인지 함께 할 것인지 정한다. 33
  • 29. 3.2. Share Stories Create Research story data idea 구체적인 디테일 solution 특정 상황/이벤트 information 진짜 사람들의 진짜 생활 특정 문제에 대한 해결책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무언가를 붙일 수 있 각자에게 포스트잇과 각자 보고 듣고 정리 만났던 피관찰자에 대 포스트잇 내용을 모두 는) 벽이 있는 방에, 마커를 나눠주고, 동 했던 기록을, 관찰내 해, 한명 한명씩 말하 붙여놓고, 전지별로 모두가 둥글게 둘러앉 시에 붙일 수 있는 커 용을, 이에 대한 생각 며 모두에게 공유한다 나누어 붙이며, 여러 는다 다란 전지도 준비한다 을 말하면서 적는다 개의 스토리를 만든다 Tip 1 디테일이 사라지지 않도록, 가급적 조사 직후 ASAP으로 진행한다. 한명이 만 Try to avoid 난 피관찰자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나머지 사람들이 포스트잇에 적어나간다. 포 Generalizing(일반화) 스트잇 내용은 추후 기억하기 쉽도록 한 문장을 넘지 않게 한다. 물론 생각하며 Prescribing(진단) ‘이 내용이 프로젝트에 의미하는 바는 무얼까?’는 항상 생각하자. 이 3가지는 기 Hypothesizing(추측) 억하자. Judging(판단) 1)구체적으로 표현해라, 예를 들면 어떤 시간대였는지, Evaluating(평가) 2)자세히 묘사하자, 오감을 살려라, Assuming(가정) 3)6하 원칙에 충실히! 2 1) story공유 전에 관련 기록들을 미리 모아놓자, 사진은 미리 프린트하여 붙여놓는다 2)가급적이면 한번에 한명씩, 그룹미팅이었을 경우는 특정 커뮤니티의 단일 스토리화할 수 있다 3)특정 information이 여러 내용을 담고 있을 경우, 이를 분리하여 포스트잇에 적는다 4)일반화해서 적지 말고, 생생한 디테일을 묘사해서 적는다 29
  • 30. 3.3. Identify Patterns Extract Key Insights Create Research pattern relationship theme data, information insight STEP 1. STEP 2. STEP 3. STEP 4. 모두가 포스트잇이 붙여진 벽 이들을 모은 뒤, 연관된 것들 각각의 그룹핑마다 insight insight를 정리된 포스트잇을 으로 가서, 가장 흥미롭거나 끼리 그룹핑한다 statement를 명료하게 적어 모두가 공유한다 놀라웠던 5개의 내용을 선택 새로운 포스트잇에 적는다 한다 What is insight? -뭔가 예상치 못했던 새로움, 당신으로 하여금 자리에서 일어나서 주의를 기울이게 할 수 있는 것 -개개인별 스토리들에 대한 추론을 통해 이를 총괄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 -(observation+quote=insight) Tip 1 버릴 디테일은 버리고, 정말 놀랍고, 흥미롭고,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key information을 선택한다 2 서로 연관되는 것들을 모아 big thought로 통합해보자 3 insight들끼리 같은 레벨이 되도록 만든다. 다른 레벨의 insight가 있을 경우, 레벨/정도를 맞출 수 있도록 reframe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30
  • 31. 3.3. Identify Patterns Find Themes Create Research pattern relationship theme data, information insight STEP 1. STEP 2. STEP 3. STEP 4. 모두가 포스트잇이 붙여진 벽 이들을 모은 뒤, 몇개의 테마 테마별 같은 level인지 확인 각 테마별로 title을 만들고 포 으로 가서, 가장 흥미롭거나 놀 로 분류한다 한다. 너무 구체적이면 보다 스트잇으로 붙인다. 이 때 다 라웠던 5개의 내용을 선택한다 큰 테마화, 너무 일반적이면 음 4단계를 위해, 다른 테마별 이를 세분화해본다 약간의 빈공간을 남겨둔다 Ways -여러개의 내용이 하나의 bucket에 담길 수 있는 category를 찾는다 -category별 같은 레벨인지 확인하고 -포스트잇을 옮겨가며, 다른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며 grouping을 서로 다르게 해본다 Try P.O.I.N.T 테크닉 Tip insight, theme를 뽑을 때 이 1 theme을 찾을 때는 한 팀으로 같이 협업한다 와 같이 구분하여 뽑아보자 2 같은 팀원들이 만족할때까지 grouping을 시도해본다 P=Problems/O=Obstacle/ 3 모든 내용을 포함하는 큰 theme가 있을 경우는 작은 여러개의 theme로 나눠본다. I=Insights/N=Needs/ 이때 구성정보들간의 연관성뿐만이 아니라, 차이점도 염두해 두자 T=Themes 31
  • 32. 3.3. Identify Patterns Create Frameworks Create Process Map Relational Map Two-by-Two Matrix Venn Diagram STEP 1. STEP 2. STEP 3. story공유하는 과정에서, 다른 상위의 개 좀 더 상위의 구조가 있을 경우 해당 팀원에 팀 단위에서 이를 보다 견고하게 념이나 시스템, 다른 차원의 정보와 연계 게 예시와 같이 그림으로 그려보게 한다 발전시킨다 되는지 확인한다 (hcd 예제) What is a framework? Gender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세부적 정보를 보다 상위의 시스템 -여성이 보는 관점과, 남성이 보는 관점으로 나누어, -SGA대상 여성문제를 분석할 경 맥락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 서로 다른 2개의 framework에서 이를 비교해본다 우, 같은 영역에 대해 성별 차이를 -framework을 그림으로서, 보다 1)어떤 차이가 있는가? 확인해본다 전체적 관점에서 문제를 조망할 수 2)성별 자체가 theme가 되는가? 있다 3)집 내부 활동, 돈을 얻을 수 있는 기회요소와 장애 요소 등에 있어 남녀 차이가 있는가? 32
  • 33. 3.4. Create Opportunity Areas Create current status로부터 future possibility를 비쥬얼화 opportunity는 기존의 문제점, 또는 니즈를 보다 ‘미래적’ 관점으로 재조망하는 것 opportunity 자체가 하나의 solution이라기 보다는, 여러개의 solution이 도출될 수 있는 기반 STEP 1. STEP 2. STEP 3. STEP 4. 팀원 모두에게, 이제 기존 정 새로운 색의 포스트잇을 나눠 개별 theme당 적어도 15분 opportunity area를 찾는 과 보 분석에서 새로운 아이디어 주고,‘How might we...?’로 동안 opportunity area를 도 정에서 막힐 경우,찾은 화로 넘어감을 공지해준다 시작되는 opportunity를 적 출하고, 이를 theme 옆에 insight를 같이 읽어본다 게끔 한다 붙여놓는다 Tip Watch out opportunity area 자체가 이미 solution이 되는 건 아 1 statement를 ‘How might we...?’(어떻게 하면 우리가~~~할 닌지 확인한다. 지나친 비약을 방지하기 위함이니. 수 있을까?)으로 시작해라. 또는 약자로 HMW로 시작하던지 2 insight와는 다른 색의 포스트잇을 써라. 다음단계를 위해서 Try insight와 opportunity를 구분하는게 좋다. opportunity area 로 언급된 것이 구체적 solution처럼 들릴 경우, 다시 돌아가 반문해보자. “왜 이러한 solution 3 질적 측면보다는 양적 측면에 신경쓴다 을 제시한 것인가?” “이 solution을 통해 어떤 니즈가 충 족되는건가?” 4 다음단계인 브레인스토밍으로 가기위한 3~5개의 HMW를 *어떤 니즈가 나왔을 경우, “그럼 그 needs를 어떻게 하 가려낼 때는 우선, 실제 할 수 있는지 feasibility 보다는 현지 면 ~~~할 수 있을까?”, HMW화 한다 이들의 desirability 에 초점을 맞춘다 33
  • 34. 3.5. Brainstorm New Solutions Create 브레인스토밍은 제약조건과 상관없이 발산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이다. 난상토론은 아니지만, 아이디어를 많이 내야 할 수 있다.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3~5개의 HMW 각 HMW 로 아이디어 HMW에 대한 장애요 브레인스토밍 원칙에 하나의 HMW당 (How might we...?) 를 포스트잇에 적어 소 또한 적어 붙인다 따라 진행한다 15~30분 진행한다 를 서로 다른 전지나 붙인다. 한 포스트잇 벽에 붙인다 당 하나의 아이디어. 7 Rules 1 이 단계에서 ‘나쁜 아이디어’란 없다. 평가는 유보해라 2 진짜 혁신적 아이디어는 wild idea에서 비롯된다. 맘껏 사고하게끔 하라 3 but 보다는 and이다. 혹여라도 누군가의 idea가 맘에 안들거든 거기에 덧붙여서 보다 나아지게끔 해라 4 그렇다고 topic을 벗어나지는 않게끔 5 이성적 측면과 비쥬얼 창의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다 6 한번에 한개의 아이디어씩 7 질보다는 양이다. 아이디어 갯수를 정해놓고, 이를 가볍게 뛰어넘어본다 워밍업 A,B 페어로 짝을 짓는다, A가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본다 1)A양이 아이디어별로 설명을 한다. 이 때 B는 무조건 No라고 대답하고, 그 이유를 말한다 (2~3분 진행) 2)이번엔 B가 아이디어를 생각해 말하고, A는 무조건 YES라고 하며, 이를 보강해본다 (역시 2~3분 진행) 3)어떤 방법이 좋았는지 이야기해본다. 십중팔구 후자를 선호할 것이다 34
  • 35. Plan 월 화 수 목 Observation (여학교, D&D 각 2팀씩) 오전 Observation Observation Observation (10~12) (여학교, D&D 각 2팀씩) (여학교, D&D 각 2팀씩) (여학교, D&D 각 2팀씩) Journey Map (숙제 내주기) Interview (학교) Interview (학교) Interview (학교) 1팀 : 여학교, 1인당 30-40 1팀 : 여학교, 1인당 30-40 1팀 : 여학교, 1인당 30-40 분, 3명 분, 3명 분, 3명 오후 Interview 2팀 : D&D, 1인당 30-40 2팀 : D&D, 1인당 30-40 2팀 : D&D, 1인당 30-40 (2~4) (여학교, D&D 교사) 분, 3명 분, 3명 분, 3명 Journey Map Journey Map Journey Map Interview (집) Interview (집) Interview (집) 1팀 : 여학교 학생 1팀 : 여학교 학생 1팀 : 여학교 학생 방과후 2팀 : D&D 힉생 2팀 : D&D 힉생 2팀 : D&D 힉생 (4~6) Life Cycle & Self-Photo Life Cycle & Self-Photo Life Cycle & Self-Photo Activity Activity Activity 저녁 Eye Care 교육 Review & 하루 정리 & 내일 일정 공유 관찰 자료(사진, 포스트잍) 클러스터링 35
  • 36. Plan 논의 내부 1. 조사원 코디네이팅 2. 구체적인 타임 테이블 3. 워크샵 준비 4. 준비물 외부 1. 인터뷰 참여자 코디네이션 2. 현지 상황 체크리스트 확인 향후 일정 2/6 2/9 2/12 2/16 연구 방법론 확정 pilot연구 진행 Pilot 결과 발표 최종 리허설 방법론 수행 교육 최종 교육 field coordination 검증 및 평가 세부 조정 toolkit making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