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Understanding My Data,
Myself: Supporting Self-
Reflection with Ubicomp
Technologies
+ Ubicomp 2011
-Ian Li et.al
/이현정
x 2015 Autumn
Personal Informatics
• Living by numbers, quantified self, self-surveillance, self-tracking, personal analytics으로 칭하기도 한다.
• Personal Informatics System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과 연관된 정보를 수집하여

<목적> : self-reflection과 self-knowledge를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 두개의 핵심 측면은: collection과 reflection
Collection Reflection
"necessary" "insightful"
자동기록
quantitive
자가기록
qualitative UX Solution?
Service Model
Tools for PI
- computers
- mobile devices
- sensors
Users' Self-Reflection
Needs
Data for PI
- physiological data
- behavior habits
- thoughts
Help User's Self-Reflect
• Living by numbers, quantified self, self-surveillance, self-tracking, personal analytics으로 칭하기도 한다.
• Personal Informatics System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과 연관된 정보를 수집하여

<목적> : self-reflection과 self-knowledge를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 두개의 핵심 측면은: collection과 reflection
Personal Informatics
Collection Reflection
"necessary" "insightful"
자동기록
quantitive
자가기록
qualitative UX Solution?
Service Model
Tools for PI
- computers
- mobile devices
- sensors
Users' Self-Reflection
Needs
Data for PI
- physiological data
- behavior habits
- thoughts
Help User's Self-Reflect
Feedback v
Data Visualization
• Living by numbers, quantified self, self-surveillance, self-tracking, personal analytics으로 칭하기도 한다.
• Personal Informatics System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과 연관된 정보를 수집하여

<목적> : self-reflection과 self-knowledge를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 두개의 핵심 측면은: collection과 reflection
Personal Informatics
Collection Reflection
"necessary" "insightful"
자동기록
quantitive
자가기록
qualitative UX Solution?
Service Model
Tools for PI
- computers
- mobile devices
- sensors
Users' Self-Reflection
Needs
Data for PI
- physiological data
- behavior habits
- thoughts
Help User's Self-Reflect
사람들은 PI를 왜 모을까?
사용자들은 PI에 대해서 무엇을 알고 싶어하는건가?
ActionReflectionIntegration
Models
CollectionPreparation
1) Model of Personal Informatics -> 시스템 중심
2) Transtheoretical Model of Behavior Change (TTM) -> 행동변화 중심
MaintenanceActionPreparationContemplationPrecontemplation
Personal informatics activity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들
행동변화를 하기 위한 동기와 능력의 단계들
ActionReflectionIntegration
Models
CollectionPreparation
1) Model of Personal Informatics -> 시스템 중심
2) Transtheoretical Model of Behavior Change (TTM) -> 행동변화 중심
MaintenanceActionPreparationContemplationPrecontemplation
Personal informatics activity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들
행동변화를 하기 위한 동기와 능력의 단계들
Methodology
• 자발적으로 self-tracking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 사전 설문에 응하게 하여서 1) 무슨 데이터를, 2) 얼마나 모으고 있는지에 대해 물어봄
• 현재 1가지 이상의 personal informatics를 사용하고 있어야 하며 최소 1달 이상 쓰고 있어야 함 

(반드시 health data일 필요는 없음)
• 91명 중에 최종 15명을 선정함
• 1시간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툴을 가지고 오도록 하였음 (30달러의 보상이 주어짐)
Results- Questions
행동을 변화 혹은 유지하기 위해서** / 나중에 다시 보기 위해 / 공유하기 위해 / 조정하기 위해 /과거를 회상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하기 위해 자신에 대한 데이터를 모은다.
상태(Status) / 과정 (History) / 목표(Goals) / 차이(Discrepancies) / 맥락(Context) / 요인(Factors)
?
사용자들은 모은 데이터에 대해 을 알고 싶어한다.?
Status : 단기
History : 장기
• 자동기록의 경우에는 스스로 알지 못하는 것 -> 확인하기 위해 디바이스나 앱을 들여다봄
• 자가기록의 경우에는 (ex. 잠의 질) 이미 아는 것 -> 기록을 남겨서 추적을 하기 위해
• 트랜드나 패턴을 보고 싶어함 -> 이는 일정 기간 이상동안 데이터를 축적해야지만 볼 수 있음
• 장기적으로 목표 지점에 도달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고 싶어함 -> 시각화의 이슈에 많이 의존함
Goal
• 목표의 설정을 위해서는 baseline이 존재해야하며 그 baseline을 기준으로 problem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함
• 무슨 목표를 세워서 지속하는게 옳은지에 대해 궁금해함 (목표가 반드시 선행하지는 않음)
• 목표의 level은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음 (Powers, 1973)
SequenceProgramPrincipleSystem Concept
이상화된 자신 가이드

"be physically fit"
프로그램

"일주일에 3번
뛰세요."
시퀀스
"런닝화를 신고, 밖에
나가서, 여의도 공원
을 3바퀴 도세요."
decision making 기계/앱이 대체 가능
할거 같은 부분
• 아주 구체적인 목표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의 경우, 목표를 찾으면 data collection을 그만두는 경향을 보임.

ex.) blood sugar level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내기 위한 실험적 데이터 수집
Results- Questions
Discrepancy
• 목표(goal)와 상태(status)를 비교하는 행위를 반복함
• 차이를 발견하면 이를 좁히는 program-level goal을 찾고자 함
• 데이터를 축적한 기간이 오래될수록 차이를 좁히려는 노력에 대한 압박감을 덜 느껴함

(당장 오늘 채워야해 -> 주말에 시간날때 몰아서 하자)
Context
• 상황의 기록은 요인 발견의 가능성을 내포함
• 현재 자신(in the present)에게 일어나는 일이 다른 사건으로 설명될 수 있을지 궁금해함
• 감정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주관적인 것과 함께 보고자 하는 경향이 강함
Factors
• 장기적인 관점에서 행동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고자 함 

(ex. 체중 감소 - 칼로리 섭취 - 운동량 - 물 섭취량 - 수면 시간)
• 고로 여러가지 데이터를 holistic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좋음
• 여러 데이터를 보는 것이 어렵고, 정확한 요인이 무엇인지 해석해내기 어려움
Results- Questions
차이점?
Results- Phases
상태(status) & 차이 (Discrepancy)
사용자들은 Maintenance 단계에서는 데이터에서 보고 싶어한다.?
Maintenance
• 필요없는 데이터는 더이상 수집하지 않으며,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만 모은다 

(지속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타이밍 일 수 있음, 효용가치가 떨어진다고 느낄 수 있는 시점이기 때문)
1) 무슨 목표를 달성해야하는지 앎 2) 자신의 행동이 무엇에 영향을 받았는지 앎
Discovery
사용자들은 Discovery 단계에서는 데이터에서 보고 싶어한다.?
과정 (History) & 목표 (Goals) & 맥락(Context) & 요인(Factor)
• 사전 지식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함 (context로 표현될 수 있음)
• 여러가지 가설을 세워서 하나씩 검증해 나감
1) 무슨 목표를 달성해야하는지 모름 2) 자신의 행동이 무엇에 영향을 받았는지 모름
Results- Transition between phases
• 사용자들은 하나의 단계에서만 머물지 않고 maintenance와 discovery를 전환함
“When I first became diabetic, I needed to keep track of everything. At this point in my life, I've had diabetes for
about 15 years, and I no longer write anything down.”
• Maintenance 단계로 들어가는 이유는 

1) 모든 정보를 트래킹 하는 것은 "onerous(부담)"하며 

2) 정확한 수치는 아니어도 트랜드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 

(지속 사용은 정확한 수치를 알아야할때만 필요한가, 기계가 가장 잘하는 일이기도 하지 않은가, 

Self aware를 가져야하는 일과 정확한 수치가 필요한 일 )
She still kept track of her physical activity, but for her food tracking, she just “keeps a mental note of it and just
overall have become more self aware of what I eat and stuff.”
Features
Supporting the Maintenance Phase
• 이미 많은 디바이스들이 status를 측정해주기 때문에 maintenance를 서포트 하는 것은 여럽지 않음 

(maintenance단계와 지속 사용을 혼돈해서는 안됨)
• alert을 자주 주어 "잘하고 있다"를 알려주는 것은 매우 성가실 수 있으므로, something wrong일 때 데이터와 engage할 수 

있도록 함.
상태(status) & 차이 (Discrepancy)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 알림을 줘라.
- bothersome하지 않은 알림의 시점에 대한 고민 (ex. 사용자에게 시간대 지정)
목표를 달성하고 있지 못할때 보조하라.
- suggestion을 주거나 resolution을 준다. (ex. 저녁을 늦게 먹으면 잠을 잘 못자는 경향이 있는데, 저녁 식사를 당겨보지 그래?)
Features
Supporting the Discovery Phase
• Discovery 단계를 support하는 것에는 많은 가능성/챌린지들이 있음.
과정 (History) & 목표 (Goals) & 맥락(Context) & 요인(Factor)
항상, 어디서든지, 자주 데이터를 모아라.
-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맥락에서, 자주
- 자동화된 기록이 이 영역을 대신할 수 있을 것 -> 사용자는 데이터를 탐험하고 해석하는데 집중할 수 있음 (maintenance 와 대비됨)
- 그러나 지나친 자동화는 사용자의 engagement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함
다양한 수집 툴을 지원하라.
- 모든걸 다 수집할 수 있는 ultimate data collection tool을 기다려라!! Piped dream, too much into the future
- 다양한 툴을 지원하고, integration은 시스템에서 해라
다양한 데이터를 함께 보여주라.
- 대부분은 현재 silos of data임
-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모은 데이터를 한군데에서 함께 볼 수 있도록 지원해야함
Features
Supporting the Discovery Phase
과정 (History) & 목표 (Goals) & 맥락(Context) & 요인(Factor)
데이터 수집 비용을 줄여라
- Lifelong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임
- Relevance Paradox: 데이터가 중요해지는 순간에 바로 패턴을 볼 수 있는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음.

(ex. 갑자기 허리가 아프기 시작, 당장 고치고 싶지만 그 요인을 유추할만한 data감 모아져 있지 않음)
Features
Supporting the Transitions
사용자가 어느 단계에 있는지 파악하라.
- 어느 단계에 있느냐에 따라 주어야 하는 정보가 달라지기 때문임
- 사용자가 어느 단계에 있는지 sense data를 통해 자동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ubicomp의 과제임
제공하는 정보량은 달라져도 수집되는 데이터의 양은 동일해야함.
- discovery에서 maintenance로 접어들면 사용자는 적은 정보를 필요로함
-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데이터 수집도 줄이면 갑자기 event가 발생하였을때 적절한 suggestion을 해줄 수 없음

고로 데이터 수집은 사용자의 단계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수집해야함

More Related Content

PDF
Beyond Self-Tracking and Reminders: Designing Smartphone Apps That Support Habit
PDF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PPTX
KnowMe and ShareMe: Understanding Automatically Discovered Personality Trai...
PDF
0126 패턴 랭귀지 ios 가이드라인
PPTX
160602
PDF
Effects of Simultaneous and Sequential Work Structures
PDF
UX 조사 방법과 테크닉
PDF
Beyond post it
Beyond Self-Tracking and Reminders: Designing Smartphone Apps That Support Habit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KnowMe and ShareMe: Understanding Automatically Discovered Personality Trai...
0126 패턴 랭귀지 ios 가이드라인
160602
Effects of Simultaneous and Sequential Work Structures
UX 조사 방법과 테크닉
Beyond post it

Viewers also liked (20)

PDF
Researcher-Centered Design of Statistics: Why Bayesian Statistics Better Fit ...
PDF
Ambient influence
PDF
Exercise repetition detection for resistance training based on smartphones
PPTX
160428 Do Users' Perceptions of Password Security Match Reality?
PDF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PDF
Exploring the Design Space of Glanceable Feedback for Physical Activity Trackers
PDF
Send Me a Different Message: Utilizing Cognitive Space to Create Engaging Mes...
PPTX
Augur Mining Human Behaviors from Fiction to Power Interactive Systems CHI 2016
PDF
UX toolkits
PDF
기호학에 대한 기본 이해.
PDF
Ui patterns
PDF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PPTX
SNU UX Lab) Exploring Memory in Email Refinding
PPTX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PDF
My Phone and Me: Understanding People's Receptivity to Mobile Notifications
PDF
Beyond post it snuux
PDF
2015 f/w ux트렌드
PPTX
2015 f:w ux trend report
PPTX
Choice, transparency, coordination, and quality among direct to-consumer tele...
PPTX
Mapping user preference to privacy default settings
Researcher-Centered Design of Statistics: Why Bayesian Statistics Better Fit ...
Ambient influence
Exercise repetition detection for resistance training based on smartphones
160428 Do Users' Perceptions of Password Security Match Reality?
SNU UX Lab 패턴랭귀지 (The origin of Pattern Language)
Exploring the Design Space of Glanceable Feedback for Physical Activity Trackers
Send Me a Different Message: Utilizing Cognitive Space to Create Engaging Mes...
Augur Mining Human Behaviors from Fiction to Power Interactive Systems CHI 2016
UX toolkits
기호학에 대한 기본 이해.
Ui patterns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SNU UX Lab) Exploring Memory in Email Refinding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My Phone and Me: Understanding People's Receptivity to Mobile Notifications
Beyond post it snuux
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 trend report
Choice, transparency, coordination, and quality among direct to-consumer tele...
Mapping user preference to privacy default settings
Ad

Similar to Understanding My Data Myself [Ubicomp 2011] (20)

PDF
Using Context to Reveal Factors that Affect Physical Activity
PDF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PDF
Understanding self reflection: how people refelct on personal data through vi...
PDF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PDF
Guess the data, data work to understand how people make sense of and use simp...
PDF
Designing the HCI Technology for Flexible, Semi-Automated Personal Tracking E...
PDF
Why we use and abandon smart devices
PDF
[도서 리뷰] 헤드 퍼스트 데이터 분석 ( Head First Data Analysis )
PDF
Data-Driven UX: 구체적 방법과 사례들
PDF
Understanding Users’ Perception Towards Automated Personality Detection with ...
PDF
자유의지 HCI
PDF
6th.lecture.step2.observation
PDF
[PAP] 실무자를 위한 인과추론 활용 : Best Practices
PDF
[팝콘 시즌1] 최보경 : 실무자를 위한 인과추론 활용 - Best Practices
PPTX
2017 주요 기술 흐름 및 개요
PDF
8th.lecture.step2.observation
PDF
[팝콘 시즌1] 윤석진 : 조직의 데이터 드리븐 문화를 위해 극복해야하는 문제들
PDF
빅데이터의 다음 단계는 예측 분석이다
PDF
데이터과학의 정의와 대표과제 도출
PPTX
빅데이터전문가교육 2학기
Using Context to Reveal Factors that Affect Physical Activity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Understanding self reflection: how people refelct on personal data through vi...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Guess the data, data work to understand how people make sense of and use simp...
Designing the HCI Technology for Flexible, Semi-Automated Personal Tracking E...
Why we use and abandon smart devices
[도서 리뷰] 헤드 퍼스트 데이터 분석 ( Head First Data Analysis )
Data-Driven UX: 구체적 방법과 사례들
Understanding Users’ Perception Towards Automated Personality Detection with ...
자유의지 HCI
6th.lecture.step2.observation
[PAP] 실무자를 위한 인과추론 활용 : Best Practices
[팝콘 시즌1] 최보경 : 실무자를 위한 인과추론 활용 - Best Practices
2017 주요 기술 흐름 및 개요
8th.lecture.step2.observation
[팝콘 시즌1] 윤석진 : 조직의 데이터 드리븐 문화를 위해 극복해야하는 문제들
빅데이터의 다음 단계는 예측 분석이다
데이터과학의 정의와 대표과제 도출
빅데이터전문가교육 2학기
Ad

More from Hyunjeong Lee (9)

PPTX
Unsupervised Clickstream Clustering for User Behavior Analysis CHI2016
PDF
healbegobe experience
PDF
2015 s:s ux trend report
PDF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 요인 [한국HCI학회2015]
PDF
What do you think about machines that think
PPTX
Crumbs: Lightweight Daily Food Challenges [CHI2016]
PDF
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
PDF
Perceptions of fear appeal and preference for feedback in tailored health com...
PDF
2014 ux trend report
Unsupervised Clickstream Clustering for User Behavior Analysis CHI2016
healbegobe experience
2015 s:s ux trend report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 요인 [한국HCI학회2015]
What do you think about machines that think
Crumbs: Lightweight Daily Food Challenges [CHI2016]
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
Perceptions of fear appeal and preference for feedback in tailored health com...
2014 ux trend report

Understanding My Data Myself [Ubicomp 2011]

  • 1. Understanding My Data, Myself: Supporting Self- Reflection with Ubicomp Technologies + Ubicomp 2011 -Ian Li et.al /이현정 x 2015 Autumn
  • 2. Personal Informatics • Living by numbers, quantified self, self-surveillance, self-tracking, personal analytics으로 칭하기도 한다. • Personal Informatics System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과 연관된 정보를 수집하여
 <목적> : self-reflection과 self-knowledge를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 두개의 핵심 측면은: collection과 reflection Collection Reflection "necessary" "insightful" 자동기록 quantitive 자가기록 qualitative UX Solution? Service Model Tools for PI - computers - mobile devices - sensors Users' Self-Reflection Needs Data for PI - physiological data - behavior habits - thoughts Help User's Self-Reflect
  • 3. • Living by numbers, quantified self, self-surveillance, self-tracking, personal analytics으로 칭하기도 한다. • Personal Informatics System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과 연관된 정보를 수집하여
 <목적> : self-reflection과 self-knowledge를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 두개의 핵심 측면은: collection과 reflection Personal Informatics Collection Reflection "necessary" "insightful" 자동기록 quantitive 자가기록 qualitative UX Solution? Service Model Tools for PI - computers - mobile devices - sensors Users' Self-Reflection Needs Data for PI - physiological data - behavior habits - thoughts Help User's Self-Reflect Feedback v Data Visualization
  • 4. • Living by numbers, quantified self, self-surveillance, self-tracking, personal analytics으로 칭하기도 한다. • Personal Informatics System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과 연관된 정보를 수집하여
 <목적> : self-reflection과 self-knowledge를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 두개의 핵심 측면은: collection과 reflection Personal Informatics Collection Reflection "necessary" "insightful" 자동기록 quantitive 자가기록 qualitative UX Solution? Service Model Tools for PI - computers - mobile devices - sensors Users' Self-Reflection Needs Data for PI - physiological data - behavior habits - thoughts Help User's Self-Reflect 사람들은 PI를 왜 모을까? 사용자들은 PI에 대해서 무엇을 알고 싶어하는건가?
  • 5. ActionReflectionIntegration Models CollectionPreparation 1) Model of Personal Informatics -> 시스템 중심 2) Transtheoretical Model of Behavior Change (TTM) -> 행동변화 중심 MaintenanceActionPreparationContemplationPrecontemplation Personal informatics activity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들 행동변화를 하기 위한 동기와 능력의 단계들
  • 6. ActionReflectionIntegration Models CollectionPreparation 1) Model of Personal Informatics -> 시스템 중심 2) Transtheoretical Model of Behavior Change (TTM) -> 행동변화 중심 MaintenanceActionPreparationContemplationPrecontemplation Personal informatics activity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들 행동변화를 하기 위한 동기와 능력의 단계들
  • 7. Methodology • 자발적으로 self-tracking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 사전 설문에 응하게 하여서 1) 무슨 데이터를, 2) 얼마나 모으고 있는지에 대해 물어봄 • 현재 1가지 이상의 personal informatics를 사용하고 있어야 하며 최소 1달 이상 쓰고 있어야 함 
 (반드시 health data일 필요는 없음) • 91명 중에 최종 15명을 선정함 • 1시간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툴을 가지고 오도록 하였음 (30달러의 보상이 주어짐)
  • 8. Results- Questions 행동을 변화 혹은 유지하기 위해서** / 나중에 다시 보기 위해 / 공유하기 위해 / 조정하기 위해 /과거를 회상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하기 위해 자신에 대한 데이터를 모은다. 상태(Status) / 과정 (History) / 목표(Goals) / 차이(Discrepancies) / 맥락(Context) / 요인(Factors) ? 사용자들은 모은 데이터에 대해 을 알고 싶어한다.? Status : 단기 History : 장기 • 자동기록의 경우에는 스스로 알지 못하는 것 -> 확인하기 위해 디바이스나 앱을 들여다봄 • 자가기록의 경우에는 (ex. 잠의 질) 이미 아는 것 -> 기록을 남겨서 추적을 하기 위해 • 트랜드나 패턴을 보고 싶어함 -> 이는 일정 기간 이상동안 데이터를 축적해야지만 볼 수 있음 • 장기적으로 목표 지점에 도달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고 싶어함 -> 시각화의 이슈에 많이 의존함
  • 9. Goal • 목표의 설정을 위해서는 baseline이 존재해야하며 그 baseline을 기준으로 problem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함 • 무슨 목표를 세워서 지속하는게 옳은지에 대해 궁금해함 (목표가 반드시 선행하지는 않음) • 목표의 level은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음 (Powers, 1973) SequenceProgramPrincipleSystem Concept 이상화된 자신 가이드
 "be physically fit" 프로그램
 "일주일에 3번 뛰세요." 시퀀스 "런닝화를 신고, 밖에 나가서, 여의도 공원 을 3바퀴 도세요." decision making 기계/앱이 대체 가능 할거 같은 부분 • 아주 구체적인 목표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의 경우, 목표를 찾으면 data collection을 그만두는 경향을 보임.
 ex.) blood sugar level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내기 위한 실험적 데이터 수집 Results- Questions
  • 10. Discrepancy • 목표(goal)와 상태(status)를 비교하는 행위를 반복함 • 차이를 발견하면 이를 좁히는 program-level goal을 찾고자 함 • 데이터를 축적한 기간이 오래될수록 차이를 좁히려는 노력에 대한 압박감을 덜 느껴함
 (당장 오늘 채워야해 -> 주말에 시간날때 몰아서 하자) Context • 상황의 기록은 요인 발견의 가능성을 내포함 • 현재 자신(in the present)에게 일어나는 일이 다른 사건으로 설명될 수 있을지 궁금해함 • 감정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주관적인 것과 함께 보고자 하는 경향이 강함 Factors • 장기적인 관점에서 행동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고자 함 
 (ex. 체중 감소 - 칼로리 섭취 - 운동량 - 물 섭취량 - 수면 시간) • 고로 여러가지 데이터를 holistic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좋음 • 여러 데이터를 보는 것이 어렵고, 정확한 요인이 무엇인지 해석해내기 어려움 Results- Questions 차이점?
  • 11. Results- Phases 상태(status) & 차이 (Discrepancy) 사용자들은 Maintenance 단계에서는 데이터에서 보고 싶어한다.? Maintenance • 필요없는 데이터는 더이상 수집하지 않으며,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만 모은다 
 (지속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타이밍 일 수 있음, 효용가치가 떨어진다고 느낄 수 있는 시점이기 때문) 1) 무슨 목표를 달성해야하는지 앎 2) 자신의 행동이 무엇에 영향을 받았는지 앎 Discovery 사용자들은 Discovery 단계에서는 데이터에서 보고 싶어한다.? 과정 (History) & 목표 (Goals) & 맥락(Context) & 요인(Factor) • 사전 지식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함 (context로 표현될 수 있음) • 여러가지 가설을 세워서 하나씩 검증해 나감 1) 무슨 목표를 달성해야하는지 모름 2) 자신의 행동이 무엇에 영향을 받았는지 모름
  • 12. Results- Transition between phases • 사용자들은 하나의 단계에서만 머물지 않고 maintenance와 discovery를 전환함 “When I first became diabetic, I needed to keep track of everything. At this point in my life, I've had diabetes for about 15 years, and I no longer write anything down.” • Maintenance 단계로 들어가는 이유는 
 1) 모든 정보를 트래킹 하는 것은 "onerous(부담)"하며 
 2) 정확한 수치는 아니어도 트랜드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 
 (지속 사용은 정확한 수치를 알아야할때만 필요한가, 기계가 가장 잘하는 일이기도 하지 않은가, 
 Self aware를 가져야하는 일과 정확한 수치가 필요한 일 ) She still kept track of her physical activity, but for her food tracking, she just “keeps a mental note of it and just overall have become more self aware of what I eat and stuff.”
  • 13. Features Supporting the Maintenance Phase • 이미 많은 디바이스들이 status를 측정해주기 때문에 maintenance를 서포트 하는 것은 여럽지 않음 
 (maintenance단계와 지속 사용을 혼돈해서는 안됨) • alert을 자주 주어 "잘하고 있다"를 알려주는 것은 매우 성가실 수 있으므로, something wrong일 때 데이터와 engage할 수 
 있도록 함. 상태(status) & 차이 (Discrepancy)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 알림을 줘라. - bothersome하지 않은 알림의 시점에 대한 고민 (ex. 사용자에게 시간대 지정) 목표를 달성하고 있지 못할때 보조하라. - suggestion을 주거나 resolution을 준다. (ex. 저녁을 늦게 먹으면 잠을 잘 못자는 경향이 있는데, 저녁 식사를 당겨보지 그래?)
  • 14. Features Supporting the Discovery Phase • Discovery 단계를 support하는 것에는 많은 가능성/챌린지들이 있음. 과정 (History) & 목표 (Goals) & 맥락(Context) & 요인(Factor) 항상, 어디서든지, 자주 데이터를 모아라. -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맥락에서, 자주 - 자동화된 기록이 이 영역을 대신할 수 있을 것 -> 사용자는 데이터를 탐험하고 해석하는데 집중할 수 있음 (maintenance 와 대비됨) - 그러나 지나친 자동화는 사용자의 engagement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함 다양한 수집 툴을 지원하라. - 모든걸 다 수집할 수 있는 ultimate data collection tool을 기다려라!! Piped dream, too much into the future - 다양한 툴을 지원하고, integration은 시스템에서 해라 다양한 데이터를 함께 보여주라. - 대부분은 현재 silos of data임 -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모은 데이터를 한군데에서 함께 볼 수 있도록 지원해야함
  • 15. Features Supporting the Discovery Phase 과정 (History) & 목표 (Goals) & 맥락(Context) & 요인(Factor) 데이터 수집 비용을 줄여라 - Lifelong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임 - Relevance Paradox: 데이터가 중요해지는 순간에 바로 패턴을 볼 수 있는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음.
 (ex. 갑자기 허리가 아프기 시작, 당장 고치고 싶지만 그 요인을 유추할만한 data감 모아져 있지 않음)
  • 16. Features Supporting the Transitions 사용자가 어느 단계에 있는지 파악하라. - 어느 단계에 있느냐에 따라 주어야 하는 정보가 달라지기 때문임 - 사용자가 어느 단계에 있는지 sense data를 통해 자동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ubicomp의 과제임 제공하는 정보량은 달라져도 수집되는 데이터의 양은 동일해야함. - discovery에서 maintenance로 접어들면 사용자는 적은 정보를 필요로함 -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데이터 수집도 줄이면 갑자기 event가 발생하였을때 적절한 suggestion을 해줄 수 없음
 고로 데이터 수집은 사용자의 단계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수집해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