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국립중앙도서관 내부교육자료Semantic Digital LibraryPart 1: 웹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Linked Open Data2011.06.13.박진호, 국립중앙도서관 전문연구관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yPart 1: 웹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Semantic WebPart 2: RDF, RDFS, RDFa, Microformat, SKOS, SPARQLPart 3: Metadata and Metadata Interoperability            (MDR)Part 4: Vocabulary (FoaF, SIOC, PREMIS  등)Part 5: 온톨로지 구성 실습(Topic Map and RDF/OWL)
2[출처: http://www.flickr.com/photos/piterart/2564009481
3[출처: http://nl.linkeddata.kr/home/
4결국에는Linked Data, Semantic Web을 이야기 할 겁니다. 그런데 왜?Part 1: 웹의 과거와 현재
Semantic Web ?5
6Semantic Web?Web이란 ?Semantic이란?그러면Semantic Web이란?
7오늘은 준비운동 하는 날.
8Web?World Wide Web, WWW, W3로부르지만 일반적으로 Web
인터넷으로 접근 가능한 하이퍼텍스트 문서들의 상호연결 시스템9출발점Web 2.0 이전
10Vannevar Bush1945년 “As We May Think”
MEMEX  : “memory" 와 "index”의합성어
개인이 그들이 소장한 책, 기록, 소통과 관련된 모든 것들을 저장하고 압축할 수 있는 장치로 Memex를 생각함.
Memex는 초기 하이퍼텍스트 시스템 개발에 영향을 주었고, 결국 World Wide Web 탄생을 이끌어 냄“인간이 여러 세대에 걸쳐서 축적한 방대한 양의 자료들을 쉽고 빠르게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다면 인간의 지성은 크게 증가할 것”
11Vannevar BushMemex[출처 : http://www.mlbbada.com/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191930&page=8]
12Sputnik 11957년 10월 4일
소비에트 연방이 최초의 인공위성Sputnik 1 발사
US Department of Defence ARPA(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진보적 아이디어와 기술의 개발, 연구담당 창설
Internet[출처 : http://www.mlbbada.com/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191930&page=8]
13Joseph Licklider"Man-Computer Symbiosis (인간-컴퓨터의 공생)”
정보 저장과 검색에 대한 고도의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컴퓨터
1962년 ARPA의 정보처리국의 수장
미래 컴퓨터의 연구 모임(a group to further computer research) 구성[출처 : http://history-computer.com/Internet/Birth/Licklider.html]
14APARNETPacket Switching : 1969년 2월 : 4대의 컴퓨터로 구성된 최초 네트워크 구성
물리적으로 분리된 네트워크의 손실 없는 지속적인 연결
Robert Kahn(ARPA), Vinton Cerf(Stanford): 1974년 12월 Internet Transmission Control Program
Network Protocol 정립
1982년 TCP/IP 통신규약 완료, 인터넷의 등장151982 TCP/IP = Web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Internet_map_1024.jpg]
161990 Gopher and Archie[출처 : http://www.techtrainteam.com/services/olt/internet/ftp-0.html]1991년 미국 미네소타 대학에서 개발(고퍼는 미네소타 주의 별명)171990 Gopher and Archie[출처 : http://www.techtrainteam.com/services/olt/internet/ftp-0.html]인터넷 서비스로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컴퓨터 파일이나 문서가, 어느 anonymous FTP 서버에서 제공되는지를 찾아주는 프로그램,
아키 서버는 전세계 anonymous FTP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모든 디렉토리와 파일 이름을 읽어 온 다음, 거대한 색인을 만들어 두게 되며, 사용자가 질의어를 던지면 Archie는 미리 만들어 둔 인덱스에서 질의에 맞는 내용을 찾아서 보여줌181990 X-MAS, Tim Berners Lee(CERN)최초의 웹 브라우저 WorldWideWeb개발
NeXT에서만 구동[출처 : http://mashable.com/2010/07/04/web-founding-fathers/]
191991 최초의 www서버최초의 웹 브라우저 WorldWideWeb개발
NeXT에서만 구동[출처 : http://www.visionnet.nl/joomla/index.php/history-of/software/63-the-history-and-evolution-of-the-internet]
20WWW for NeXT, 1991, 최초의웹브라우저[출처 : http://www.visionnet.nl/joomla/index.php/history-of/software/63-the-history-and-evolution-of-the-internet]
211991, 사서 Louise AddisSLAC(Stanford Linear Accelerator Center)에 CERN의 시스템 이식
SLAC의 온라인 문서 목록 제공
미국 최초의 웹 서버[출처 : http://www.slac.stanford.edu/history/earlyweb/wizards.shtml               http://www.slac.stanford.edu/history/earlyweb/firstpages.shtml]
22그리고, 1993년 4월 30일..
231993년 4월 30일 CERN은 WorldWideWeb의 소스코드 공개
NCSA(National Center for Supercomputing Applications) Mosaic 공개[출처 : http://www.w3.org/History/19921103-hypertext/hypertext/WWW/TheProject.html]
24웹에 정보들이 쌓이기 시작하고,우리는 웹 브라우저와 검색엔진(서비스)으로 정보를 탐색하기 시작
웹 브라우저, 검색엔진 춘추전국시대25우리는웹 브라우저로 HTTP 프로토콜을 활용해서 웹의 정보들을 활용
웹의 정보들은 아직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Documents들의 집합
HTML 문법(syntax)이 필요하고, 주로 많은 사람들이 아직 웹을 Reading하는 단계Web 1.0
26사실,Web 2.0이라는 용어가 나오기 전까지우리는 그냥 Web에 살았다.
27첫 번째 전쟁,웹 브라우저출처 : http://www.flickr.com/photos/kwerfeldein/5383598217/sizes/z/in/photostream/
28NCSA Mosaic Browser(1993)[출처 : http://bid.ankara.edu.tr/yardim/www/handbook/handbook.long.html]
29Cello Browser[출처 : http://bid.ankara.edu.tr/yardim/www/handbook/handbook.long.html]
30EINet Browsers[출처 : http://bid.ankara.edu.tr/yardim/www/handbook/handbook.long.html]
31Netscape Browsers(1994)[출처 : http://bid.ankara.edu.tr/yardim/www/handbook/handbook.long.html]
32Opera(1994년)[출처 : http://www.visionnet.nl/joomla/index.php/history-of/software/63-the-history-and-evolution-of-the-internet]
33Internet Explorer(1995)[출처 : http://bid.ankara.edu.tr/yardim/www/handbook/handbook.long.html]
34Internet Explorer(2003)[출처 : http://www.visionnet.nl/joomla/index.php/history-of/software/63-the-history-and-evolution-of-the-internet]
35지금은..
36Browser 점유율(2011.5)[출처 : http://marketshare.hitslink.com/report.aspx?qprid=0&qptimeframe=Y&qpmr=100&qpcustomd=&qpct=3#]
37Browser 점유율(2010~ 2011)[출처 : http://gs.statcounter.com/export/FCExporter.php]
38Browser 점유율(한국)[출처 : http://gs.statcounter.com/export/FCExporter.php]
39Browser 점유율(국가별)[출처 : http://farm5.static.flickr.com/4113/4995981390_9cf8349acd_b.jpg]
401994 TBL WWW Consortium 설립
두 번째 전쟁 검색엔진, 서비스웹 탐색 도구41출처 : http://www.flickr.com/photos/kwerfeldein/5383598217/sizes/z/in/photostream/
42World Wide Web Wanderer(1993.6)Matthew Gray(MIT, 현재 Google) : Perl기반 웹 로봇, www의 크기 측정43Aliweb(1993.11)MartijnKoster(현재 Google) : Aliweb은 전문검색 엔진은 아니며, 각 사이트의 웹 관리자들이 사이트를 기술해 놓은 Index파일을 활용Happy Birthday![출처 : http://themecraft.net/www/aliweb.com]
44Yahoo (1994.2)David Filo와 JerryYang이 스탠포드 대학 전기공학 재학 중 개발
첫 이름은 “Jerry and David's Guide to the World Wide Web”
디렉토리 검색[출처 : http://www.desinapster.com/showthread.php?p=15708][출처 : http://www.techcn.com.cn/index.php?doc-view-141005.html]
45JumpStation(1994.2)Jonathon Fletcher 개발, 최초의 크롤러 기반 검색엔진World Wide Web Worm(1994.3)크롤로 기반 검색엔진으로 콜로라도 대학 Oliver McBryan 교수가 개발
1999년 GoTo.com이 매입했고 오늘날 Overture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46Webcrawler(1994.6)워싱턴 대학 재학 중이던 Brian Pinkerton이개발
전문 색인 크롤러 사용, 1995년 AOL이 사서, 1997년 Excite에 되팜[출처 : http://kevin0960.tistory.com/entry/검색엔진Search-Engine의-피-말리는-역사]
47Infoseek(1994.7)Steve Kirschl가 개발. 크게 주목받지 못함
대부분의 엔진이 자유로운 이용을 지향하던 시절 Infoseek는 전문 검색 서비스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를 생각함[출처 : http://kevin0960.tistory.com/entry/검색엔진Search-Engine의-피-말리는-역사]
48Lycos(1994.7)1994년 7월 20일에 54,000개 문서의 목록으로 출발. 한달 후 390,000 이상의 문건 달성(당시에는 혁명적)
카네기 멜론 대학의 Machale Mauldin [출처 : http://www.icehousedesigns.com/webarchive/images/1997_december_lycos.jpg]
49SavvySearch(1995.3)콜로라도 주립대학 학생이었던 Daniel Dreilinger가 개발
메타 검색엔진으로 1999년 10월 CNET이 인수하여, Search.com으로개명[출처 : http://surfpack.com/savvysearch_com]
50Metacrawler(1995.7)워싱턴 대학 개발[출처 : http://www.a24s.com/data/jeongbotongsinhakseub/jbgs/book/chp3/chp3-3-1.htm]
51Excite (1995.9)스탠포드 학생 6명의 참여로 개발[출처 : http://www.a24s.com/data/jeongbotongsinhakseub/jbgs/book/chp3/chp3-3-1.htm]
52Inktomi (1995.9)1995년 9월 26 공개당시 캘리포니아 대학 서버로 직접 검색 가능
오늘날 일반적인 대규모 병렬처리기법 개척[출처 : http://www.a24s.com/data/jeongbotongsinhakseub/jbgs/book/chp3/chp3-3-1.htm]
53까치네 (1995) 1995년 대구대학교 전산동아리[출처:http://www.a24s.com/data/jeongbotongsinhakseub/jbgs/book/chp3/chp3-3-1.htm]
54코시크(1995) 국내 최초의 웹 검색엔진[출처:http://www.a24s.com/data/jeongbotongsinhakseub/jbgs/book/chp3/chp3-3-1.htm]
55AltaVista(1995.12)1995년 12월 15일 1,600만 문서 색인으로 시작
멀티 스레드크롤러 사용 WWW의 대부분을 검색. 최초의 자연어처리.[출처 : http://www.icehousedesigns.com/webarchive/images/1996_october_altavista.jpg]
56Google (1996.1) Larry Page and Sergey Brin[출처:http://en.wikipedia.org/wiki/File:Google1998.png]
57한미르 (1996) 한국통신 멀티미디어연구소[출처:http://www.a24s.com/data/jeongbotongsinhakseub/jbgs/book/chp3/chp3-3-1.htm]
58HotBot(1996.5, 2002.12)1996년 5월  HotWired와 Inktomi함께함. [출처 : http://blogs.warwick.ac.uk/mmannion]
59ZIP (1996.8)전문 서퍼가 직접 사람의 손으로 인터넷의 자원, 정보를 주제별로 정리, 분류한 자료들을 검색 서비스[출처 : http://www.a24s.com/data/jeongbotongsinhakseub/jbgs/book/chp3/chp3-3-1.htm]
60LookSmart(1996.10) Tracey Ellery와 남편인 Evan Thornley가 설립[출처 : http://members.tripod.com/a_pizano/html/cap11.html]
61미스다찾니(1996) 1996년 한국과학기술원 승현석이 연구용으로 개발(메타검색엔진)[출처 : http://www.a24s.com/data/jeongbotongsinhakseub/jbgs/book/chp3/chp3-3-1.htm]
62엠파스(1996) 자연어 검색, 파일확장자별 검색 등[출처 : http://web.archive.org/web/19991128174208/http://www.empas.com/]
63심마니 (1996) 1996년 '한글과컴퓨터'에서 개발하였으나 데이콤에서 인수[출처:http://www.a24s.com/data/jeongbotongsinhakseub/jbgs/book/chp3/chp3-3-1.htm]
64Northern Light(1997)1996년 '한글과컴퓨터'에서 개발하였으나 데이콤에서 인수[출처:http://web.archive.org/web/19971210205553/http://www.northernlight.com/]
65Overture (GoTo.com) (1998.2)최초의 위치과금방식(pay-for-placement) 모델.[출처 http://www.webpagepublicity.com/search-engine-submission.html]
66Naver (1998)[출처 http://web.archive.org/web/19981212015838/http://naver.com/]
67AlltheWeb(1999.5)노르웨이 FAST사가 가장 큰 규모의 웹페이지 인덱스임을 주장하며 설립68Teoma(2001.4)Rutgers 대학 컴퓨터공학자 그룹이 설립
구글의PageRank와 다른 특정 주제의 인기도를 분석하는 링크 알고리즘[출처: http://www.yenra.com/teoma-search-engine/]
69Wisenut(2001.9)[출처: http://en.wikipedia.org/wiki/File:Wisenut.png/]
70Bing (2009.6)
71검색엔진 시장 점유율(2011.5)[출처 : http://www.karmasnack.com/about/search-engine-market-share/]
72검색엔진 시장 점유율(2011.3)[출처 : http://searchenginewatch.com/article/2049731/comScore-March-2011-Search-Engine-Market-Share-Infographic/]
73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유럽)[출처 : http://www.chandlernguyen.com/2011/03/search-engine-market-share-by-country-mar-2011.html]
74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중국)[출처 : http://www.2chinable.com/china-search-engine-market/376-analysisgoogle-chinas-market-share-fell-blow-20-in-q4-2010]
75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일본)[출처 : http://www.them.pro/Search-engine-market-share-country]
76검색엔진 시장 점유율(한국)[출처 : http://www.them.pro/Search-engine-market-share-country]
77검색엔진 시장 점유율(한국)[출처 : http://www.them.pro/Search-engine-market-share-country]
78Wake Up!!
79이제,Web 2.0 & SNS
80나는 살아있다=나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한다.
81[ 출처 : http://www.kabrenlevinson.com/blog/2008/11/19/litc-part-2-why-web-20/]
82이제, 우리는웹에 내 이야기를 하고, 누군가와 같이 이야기합니다.
정보를 찾는 것 이외에 스스로 정보를 만들어 냅니다.
다양한 도구(Blog, Twitter, Facebook, Mobile.)들로 끊임없이 정보 공유
Read and Write하는 단계Web 2.0
832.0 전성시대[출처 http://blog.analystik.ca/2009/05/20-une-image-vaut-mille-mots/]
842.0 전성시대[출처 http://blog.analystik.ca/2009/05/20-une-image-vaut-mille-mots/]
85언제부터..
86언제부터.. .comBubble생존사례[출처: http://livingstingy.blogspot.com/2011/01/another-dot-com-bubble.html]
872.0 용어의 시작Dale Doughertythe editor and publisher of MAKE, and general manager of the Maker Media division of O'Reilly Media, Inc“닷컴 붕괴 후 웹의 변화를 Web 2.0이라 하면 어떻겠습니까?”2004년 오라일리와 미디어라이브 인터네셔널의 컨퍼런스 브레인스토밍 세션에서 오라일리의 부사장 데일 도허티(Dale Dougherty)에 의해 사용 웹의 변화를 나타내는 대명사
 정의 내려진 개념이 아니라 닷컴 붕괴 후의 웹의 흐름, 현상을 설명하는 말88Web1.0 Vs Web2.0초기 브레인스토밍 과정에서 웹2.0의 개념을 기술했던 사항들로 전형적인 Web2의 예제들이라기 보다는 변화의 양상에 있는 서비스들과 동향 등을비교DoubleClickGoogle AdsenseOfotoFlickrAkamaiBitTorrentMp3.comNapsterBritannica OnlinewikipediaPersonal WebsitesbloggingeviteUpcoming.org and EVDBDomain name speculationSearch engine optimizationPage viewCost per clickScreen scrapingWeb servicepublishingparticipationContents management systemwikisDirectory(taxonomy)Tagging(folksonomy)stickinesssyndication
892004년 이후 Web 2.0은 이용자 참여, 개방, 네트워크 효과 등의 기본 개념을바탕으로 사회전반에 걸친 변화 양상을 대표하는 용어로 자리매김“Web 2.0 is a set of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y trends that collectively form the basis for the next generation of the Internet—a more mature, distinctive medium characterized by user participation, openness, and network effects.”[출처: Web 2.0 Principles and Best Practices, Fall 2006, O’Reilly Media Inc.]
902.0 의 성질Web 2.0- 플랫폼으로서의 웹집단지성(?, collective intelligence) 활용
 소프트웨어 릴리즈 주기의 종말
 가벼운(lightweigh) 프로그래밍 모델
단일 디바이스를 넘어선 소프트웨어
풍부한 사용자 경험
통제 대신 협력GoogleBitTorrentCollective IntelligenceWikipediaDel.icio.ustagsfolksonomyblogLong tail
912.0 의 성질플랫폼으로서의 웹플랫폼으로서의 웹 최초 주장!! 그러나..웹 브라우저가 갖는 강력한 시장지배력지속적인 소프트웨어 개선만 존재판매 없이(있기는 하다) 사용만 존재중요한 것은?
922.0 의 성질The Long tail파레토 법칙 Vs 크리스앤더슨(Chris Anderson) 80:20, 발생확률 혹은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이 무시되는 경향Amazon   BitTorrent웹 콘텐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작은 사이트들의 힘(collective power)Google ad.BitTorrentamazon꼬리의 힘!!
932.0 의 성질Collective Intelligence하나보다 둘이 낫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아마존, 네이버지식인, 위키피디아, 홈쇼핑…..플리커, 델리셔스 = 폭소노미블로그? RSS!! = 링크에서 구독으로
942.0 의 성질소프트웨어 릴리스 주기의 종말제품이 아니라 서비스!!!서비스는 중단이 없다!!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신해야 한다.구글의 시스템관리, 네트워킹, 로드 밸런싱 기술
952.0 의 성질가벼운 프로그래밍 모델혼자서, 둘이서, 셋이서, 합체의 미학단순한 것이 살아남는다. RSS, SOAP모두가 이해하고 누구와도 잘 어울린다 = mash up
96The Web as Platform=The Web is an eco-system….. 인터넷으로 알려진 사이버 스페이스와 이를 구성하는 다양한 서비스나 데이터,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인간활동 모두를 생태계라는 큰 틀 내에서 설명이 가능하며, 이를 웹 생태계 Web EcoSystem이라 정의할 수가 있을 것이다. 생태계 내에서 구성물들이 상호작용하고 진화해나가고 또 죽음을 맞이하는 이런 일련의 행위나 현상들이 웹 생태계 내에서 관측가능할 것이다. …..[출처: http://subeco.tistory.com/?page=6]
97The Web as Platform
98The Web as Platform웹을 플랫폼으로 거의 모든 정보활동이 일어나고,정보들은 웹에서 탄생하고 풍부해지고 재창조되고, 공유되고, 확산되고, 소멸된다.
99SNS웹을 더욱 풍성하게, 더욱 풍성한 소통이 가능하게.웹 가속기 = SNS
100SNS주로 웹을 기반으로 해서 사람들을 연결시키는 서비스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정보(profile)가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
가장 활발히 사용되는 서비스는 Twitter, Facebook, Youtube등임101SNS 유형SNS는 두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 가능
Internal social networking (ISN): 회사, 학회등 닫힌 사적인 영역의 커뮤니티(예, ARPANET)
External social networking (ESN):개방된 공적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로 Facebook등이 대표적임[출처: http://www.slideshare.net/zibatsu89/social-network-service-2340526]
1022004년 2월 하버드 대학 Mark Zuckerberg개발
2011년 ¼분기까지 665백만이용자
2011년 4월 기준 한국이용자는 3,593,040명출처 : http://www.socialbakers.com/blog/143-facebook-gains-80-million-new-accounts-in-the-first-quarter-of-2011/
103
104
105[출처: http://www.socialbakers.com/facebook-statistics/]
106[출처: http://www.socialbakers.com/facebook-statistics/]
107[출처: http://www.socialbakers.com/facebook-statistics/]
108[출처: http://www.socialbakers.com/facebook-statistics/]
109
110Twitter2006년 3월 Jack Dorsey가 개발해 7월에 서비스
전세계 약 200백만 이용자가 사용중이며, 하루에 약 65백만 트윗이 생성되고 800,000만의 검색이 이루어짐[출처: http://en.wikipedia.org/wiki/Twitter]
111
112LinkedIn비즈니스 관련 소셜 네트워킹
2002년 12월 설립되어 2003년 5월 서비스 시작
2011년 3월 22일자 보고서에 의하면 100백만명의 이용자가 사용[출처: http://en.wikipedia.org/wiki/Twitter]
113
114- 15만 회원 확보- 하루평균30건 채용
115foursquare위치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로 모바일을 기반으로 함
GPS 활용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로 자신이 위치한 장소에 대해 “check-in”을 하고 간단한 텍스트 메시지 등을 입력
2009년 Dennis Crowley와NaveenSelvadurai에의해 개발
2011년 4월 8백만 이용자 확보[출처: http://en.wikipedia.org/wiki/Foursquare_(social_network)]
116[출처: http://en.wikipedia.org/wiki/File:Foursquare-Android-Nearbyvenues.png]
117delicious소셜북마킹서버스로 웹 상의 북마킹 자료를 저장, 공유하고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2003년 Joshua Schachter가 설립
5.3백만 이용자와 180백만의 유일한 북마크URL보유[출처: http://en.wikipedia.org/wiki/Delicious_(website)]
118
119Wikipedia웹기반의 개방형 협력 백과사전 비영리 위키미디어 재단 지원
전세계 자발적 참여이용자에 의해 18백만 건 등록(3.6백만 영어)
2001년 Jimmy Wales와 Larry Sanger에 의해서 서비스 시작해서 현재는 가장 사랑받는 사이트 중 하나로 365백만의 독자 확보[출처: http://http://en.wikipedia.org/wiki/Wikipedia]
120Wikipedia[출처: http://en.wikipedia.org/wiki/File:Wikipedia_content_by_subject.png]
121중요한 것은…
122Personal Ecosystem: User 2.0 : 4 domains of activity[출처 : http://www.flickr.com/photos/activeside/2367540964/sizes/m/in/photostream/]
123[출처 : http://blog.analystik.ca/2009/05/20-une-image-vaut-mille-mots/]
124그럼, Web 3.0Semantic Web이란.
125아직까지웹의 문서들은 HTML로 작성HTML은 문법으로 숨겨진 의미(meaning, Semantics)를표현하지는 못함
126만약 컴퓨터가,우리처럼 Meaning을 이해할 수 있다면,우리(사람)의 정보검색(탐색)은 더 풍요로워질 것임
127이것이 Web 3.0OrSemantic Web
Mr. HatemMahmoudSyntax is the study of grammarSemantics is the study of meaningSyntax is how to say somethingSemantic is the meaning behind what you sayDifferent syntaxes may have the same semantic:x += yx = x + y128
129오늘날의 웹문서 중심의 Web(Web of Documents) - HTMLResource링크Resource링크링크ResourceResource링크링크링크Resource링크ResourceResource
130[출처 : http://www.slideshare.net/sandhaus/all-about-rnews-evan-sandhaus]
131우리가 지향하는 바는Data(Things) 중심의 Web(Web of data)SSDLPPTdc:publisherdc:creator박진호NLKo:workplaceo:homepagewww.nl.go.krp:emailp:titleSenior resear_cherJino.kor@gmail.com
132뭐가 다른데?
133Wikipedia Vs Dbpedia
134Wikipedia Vs Dbpediahttp://en.wikipedia.org/wiki/Samul_nori
http://dbpedia.org/page/Samul_nori135어떻게?
136Metadata, XML, RDF/OWLSPARQL…
137Semantic Web layer Cake[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File:Semantic-web-stack.png]
138Metadata, XML
139XMLXML은 메타 언어(meta-language)
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약자
데이터를서술하기 위해 개발
XML 태그는정의된 것이 없음, 스스로 자신의 태그를 정의할 수 있음
XML은 DTD, XML Schema로 자기기술이 가능함(Self-descriptive)140HTML Vs XMLHTML<H1>시멘틱 디지털도서관이란</H1>    <UL>          <LI>강사 : 박진호<LI>일시 : 2011.06.10<LI>장소 : 국립디지털도서관 2층 대강의실         <LI>대상 : 국립중앙도서관 직원   </UL> XML<lectureOfNLK>     <title>시멘틱 디지털도서관이란</title>     <lecturer>박진호</lecturer >     <date>2011.06.10</date>     <place>국립중앙도서관 2층 대강의실</place>     <targetAudience>국립중앙도서관 2층 대강의실</ targetAudience ></lectureOfNLK>
141XML Vs RDFXML은데이터(문서)의 구조 정의RDF는 데이터(문서)의 구문의 의미 정의(기계가 이해)[출처 : http://www.oreillynet.com/xml/blog/2005/09/the_difference_between_xml_and.html]
142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웹 상의 자원을 기술하기 위한 W3C 표준
Resource: URI를  갖는 모든 것
Description: 자원(resource)들의 속성, 특성, 관계 기술
Framework: 위의 것들을 기술하기 위한 모델, 언어, 문법[김동범, 2010.12.03 Linked Data의 RDF 어휘 이해하고 체험하기, 2010 Korea Semantic Web Conference]
143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이 정보를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표준 방법
RDF로 기술된 것은 웹에서 보여주기 위함은 아님144RDF 모델RDF는 SPO, 주어(Subject)/술어(Predicate)/목적어(Object)로 구성됨
“인간에 대한 예의”의“작가”는“공지영”이다.
“http://www.amazon.com/Human-Decency-Jiyoung-Gong/dp/8988095928” has a creator whose value is “http://en.wikipedia.org/wiki/Gong_Ji-young”.주어(Subject) 술어(Predicate) 목적어(Object)
145RDF 모델(2)“http://www.amazon.com/Human-Decency-Jiyoung-Gong/dp/8988095928” has a creator whose value is “http://en.wikipedia.org/wiki/Gong_Ji-young”.주어(Subject) 술어(Predicate) 목적어(Object)
146RDF Graph Model주어(Subject)목적어(Object)술어(Predicate)
147RDF Graph Model(2)http://www.amazon.com/Human-Decency-Jiyoung-Gong/dp/8988095928http://purl.org/dc/terms/creator Gong Ji-young
148
149RDF Graph Model(3)http://www.amazon.com/Human-Decency-Jiyoung-Gong/dp/8988095928http://purl.org/dc/terms/creator http://purl.org/dc/terms/publisher http://en.wikipedia.org/wiki/Gong_Ji-youngJimoondanghttp://dbpedia.org/property/periodhttp://dbpedia.org/property/name1963-presentGong Ji-young
150RDF/XML로 표현<RDF xmlns: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xmlns:dc=http://purl.org/dc/terms/              xmlns:dbpprop="http://dbpedia.org/property/" >       <Description about=“http://www.amazon.com/Human-Decency-Jiyoung- Gong/dp/8988095928”>              <dc:publisher>Jimoondang</dc:publisher>              <dc:creator rdf:resource=“http://en.wikipedia.org/wiki/Gong_Ji-young”/>        </Description>       <Description about=“http://en.wikipedia.org/wiki/Gong_Ji-young”>              <dbpprop:name>Gong Ji-young</dbpprop:name>             <dbpprop:period>1963-present</dbpprop:period >       </Description></RDF>
151RDF 심화과정은 다음강의에
152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인간에 대한 예의공지영작가(writtenBy)TypeType소설(Class), 책작가(Class), 사람이런 게 필요하다.
153우리는 온톨로지로 가고 있다.
154Ontology철학 : 존재론(存在論), 존재학(存在學)
Onto(being) + logos(word)
세상의 구성요소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연구
언어학 : An ontology is a specification of a conceptualization.
개념(화)의 명시적 명세, 시소러스의 확장 개념155Ontology컴퓨터, 웹 분야
an ontology is an explicit formal specification of a shared conceptualization(Gruber, 1993)
An ontology provides a shared vocabulary, which can be used to model a domain — that is, the type of objects and/or concepts that exist, and their properties and relations.(Arvidsson, 2008)
공유된 개념의 명시적 형식(?)156Ontologyan ontology is an explicit formal specification of a shared conceptualization
shared conceptualization: 인간과 컴퓨터가 공유하는 개념화
Explicit Formal: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상세하게 개념, 개념간의 관계 등을 표현157Ontology개념화
우리 눈에 보이는 사물혹은 추상적인 것들을 구체적인 집합으로 만듦
SUV, 덤프트럭, 세단 = 탈것(Vehicle)
남자, 여자 = 사람
라이언헤드, 롭드와프, 더치= 토끼분류!!
158
159개념외연 [양적개념: 합치면 개념을 나타냄]내포[질적개념: 합쳐도 개념을 나타내지 못함]외연 [양적개념: 합치면 개념을 나타냄]
160토끼외연 라이언헤드, 롭드와프, 더치내포큰 귀를 가지고 앞발보다 뒷발이 길고 시뻘건 눈을 가진 포유류
161Ontology 요소클래스(Class) : 개념, 조직화된 언어
관계(Relation) :  개념간의 관계
함수(Function) :  개념 간의 관계가 갖는 값, 속성이 계속해서 적용
공리(Axiom) : 추론의 기반. 유효한 규칙. 증명 없이 자명한 진리, 다른 명제 증명하는 전제
인스턴스(Instance) : 개념을 표현하는 대상 객체162Elements of Linked Open Data Stack(revison 3)
163문학인문학rangeisWrittenBysubClassOfsubClassOfsubClassOfdomain소설소설가시인RDFStypetype인간에 대한 예의공지영isWrittenByRDF
164RDF SchemaRDF를 확장하기 위한 소규모의 Vocabulary를 정의
Class, subClassOf, type
Property, subPropertyOf
Domain, range165RDF Schema Example(RDF Description)<?xml version="1.0"?><rdf:RDFxmlns: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xmlns: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xml:base="http://www.animals.fake/animals#"><rdf:Descriptionrdf:ID="animal">  <rdf:typerdf:resource="http://www.w3.org/2000/01/rdf-schema#Class"/></rdf:Description><rdf:Descriptionrdf:ID="horse">  <rdf:typerdf:resource="http://www.w3.org/2000/01/rdf-schema#Class"/>  <rdfs:subClassOfrdf:resource="#animal"/></rdf:Description></rdf:RDF>[출처 : http://www.w3schools.com/rdf/rdf_schema.asp]
166RDF Schema Example(RDF Class)<?xml version="1.0"?><rdf:RDFxmlns: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xmlns: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xml:base="http://www.animals.fake/animals#"><rdfs:Classrdf:ID="animal" /><rdfs:Classrdf:ID="horse">  <rdfs:subClassOfrdf:resource="#animal"/></rdfs:Class></rdf:RDF>[출처 : http://www.w3schools.com/rdf/rdf_schema.asp]

More Related Content

PDF
فيزياء للصف الثاني الثانوي 2017 - موقع ملزمتي
PDF
History of internet / 인터넷의 역사
PDF
웹을 지탱하는 기술
PDF
웹을 지탱하는 기술
PDF
Browser history and overview
PPTX
인터넷 혁명
PDF
Basic of web ref.웹을지탱하는기술_01
PDF
Invisible Web UI/UX ?
فيزياء للصف الثاني الثانوي 2017 - موقع ملزمتي
History of internet / 인터넷의 역사
웹을 지탱하는 기술
웹을 지탱하는 기술
Browser history and overview
인터넷 혁명
Basic of web ref.웹을지탱하는기술_01
Invisible Web UI/UX ?

Similar to (2011.6.13)semantic webtutorial (20)

PPT
20091022 웹2 정보문화이해과정 강장묵
PDF
도서관과 링크드데이터[TQK]
PPTX
WWW
PPTX
WWW
PDF
KTH Easing Markup DAY01
PPTX
링크드 데이터 사례
PPT
e-learning 3.0 시대, SNS 기반 차세대 e-러닝 플랫폼의 발전 방향 : 삶과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박춘원
PPT
Web 2.0 기술을 활용한 Library 2.0 적용사례
PDF
library linked data
PPTX
[15.09.17] 인터넷과 웹의 역사 그리고 현재의 트렌드
PPT
11장 인터넷의등장배경
PPT
인터넷의등장배경
PPT
LOD 해외 사례(미국,영국,독일,Etc)
PPT
Moving From Small Science To Big Science
PPT
Itmt2009
PDF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PPTX
웹의 분화 현상
PPTX
웹의 분화 현상
PPTX
웹의 분화 현상
20091022 웹2 정보문화이해과정 강장묵
도서관과 링크드데이터[TQK]
WWW
WWW
KTH Easing Markup DAY01
링크드 데이터 사례
e-learning 3.0 시대, SNS 기반 차세대 e-러닝 플랫폼의 발전 방향 : 삶과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박춘원
Web 2.0 기술을 활용한 Library 2.0 적용사례
library linked data
[15.09.17] 인터넷과 웹의 역사 그리고 현재의 트렌드
11장 인터넷의등장배경
인터넷의등장배경
LOD 해외 사례(미국,영국,독일,Etc)
Moving From Small Science To Big Science
Itmt2009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웹의 분화 현상
웹의 분화 현상
웹의 분화 현상
Ad

More from Hansung University (20)

PDF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PDF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PDF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PDF
RDF 해설서
PDF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PDF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PDF
Linked Open Data
PPTX
2014 odb 한국현황
PDF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PDF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PDF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PDF
digital archiving
PDF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PPTX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PDF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PDF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PPTX
PDF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PPTX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PPTX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RDF 해설서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Linked Open Data
2014 odb 한국현황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digital archiving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Ad

(2011.6.13)semantic webtuto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