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1982년 TCP/IP 통신규약 완료, 인터넷의 등장151982 TCP/IP = Web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Internet_map_1024.jpg]
30. 161990 Gopher and Archie[출처 : http://www.techtrainteam.com/services/olt/internet/ftp-0.html]1991년 미국 미네소타 대학에서 개발(고퍼는 미네소타 주의 별명)171990 Gopher and Archie[출처 : http://www.techtrainteam.com/services/olt/internet/ftp-0.html]인터넷 서비스로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컴퓨터 파일이나 문서가, 어느 anonymous FTP 서버에서 제공되는지를 찾아주는 프로그램,
31. 아키 서버는 전세계 anonymous FTP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모든 디렉토리와 파일 이름을 읽어 온 다음, 거대한 색인을 만들어 두게 되며, 사용자가 질의어를 던지면 Archie는 미리 만들어 둔 인덱스에서 질의에 맞는 내용을 찾아서 보여줌181990 X-MAS, Tim Berners Lee(CERN)최초의 웹 브라우저 WorldWideWeb개발
38. 미국 최초의 웹 서버[출처 : http://www.slac.stanford.edu/history/earlyweb/wizards.shtml http://www.slac.stanford.edu/history/earlyweb/firstpages.shtml]
41. NCSA(National Center for Supercomputing Applications) Mosaic 공개[출처 : http://www.w3.org/History/19921103-hypertext/hypertext/WWW/TheProject.html]
42. 24웹에 정보들이 쌓이기 시작하고,우리는 웹 브라우저와 검색엔진(서비스)으로 정보를 탐색하기 시작
61. 두 번째 전쟁 검색엔진, 서비스웹 탐색 도구41출처 : http://www.flickr.com/photos/kwerfeldein/5383598217/sizes/z/in/photostream/
62. 42World Wide Web Wanderer(1993.6)Matthew Gray(MIT, 현재 Google) : Perl기반 웹 로봇, www의 크기 측정43Aliweb(1993.11)MartijnKoster(현재 Google) : Aliweb은 전문검색 엔진은 아니며, 각 사이트의 웹 관리자들이 사이트를 기술해 놓은 Index파일을 활용Happy Birthday![출처 : http://themecraft.net/www/aliweb.com]
70. 대부분의 엔진이 자유로운 이용을 지향하던 시절 Infoseek는 전문 검색 서비스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를 생각함[출처 : http://kevin0960.tistory.com/entry/검색엔진Search-Engine의-피-말리는-역사]
86. 59ZIP (1996.8)전문 서퍼가 직접 사람의 손으로 인터넷의 자원, 정보를 주제별로 정리, 분류한 자료들을 검색 서비스[출처 : http://www.a24s.com/data/jeongbotongsinhakseub/jbgs/book/chp3/chp3-3-1.htm]
117. 872.0 용어의 시작Dale Doughertythe editor and publisher of MAKE, and general manager of the Maker Media division of O'Reilly Media, Inc“닷컴 붕괴 후 웹의 변화를 Web 2.0이라 하면 어떻겠습니까?”2004년 오라일리와 미디어라이브 인터네셔널의 컨퍼런스 브레인스토밍 세션에서 오라일리의 부사장 데일 도허티(Dale Dougherty)에 의해 사용 웹의 변화를 나타내는 대명사
118. 정의 내려진 개념이 아니라 닷컴 붕괴 후의 웹의 흐름, 현상을 설명하는 말88Web1.0 Vs Web2.0초기 브레인스토밍 과정에서 웹2.0의 개념을 기술했던 사항들로 전형적인 Web2의 예제들이라기 보다는 변화의 양상에 있는 서비스들과 동향 등을비교DoubleClickGoogle AdsenseOfotoFlickrAkamaiBitTorrentMp3.comNapsterBritannica OnlinewikipediaPersonal WebsitesbloggingeviteUpcoming.org and EVDBDomain name speculationSearch engine optimizationPage viewCost per clickScreen scrapingWeb servicepublishingparticipationContents management systemwikisDirectory(taxonomy)Tagging(folksonomy)stickinesssyndication
119. 892004년 이후 Web 2.0은 이용자 참여, 개방, 네트워크 효과 등의 기본 개념을바탕으로 사회전반에 걸친 변화 양상을 대표하는 용어로 자리매김“Web 2.0 is a set of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y trends that collectively form the basis for the next generation of the Internet—a more mature, distinctive medium characterized by user participation, openness, and network effects.”[출처: Web 2.0 Principles and Best Practices, Fall 2006, O’Reilly Media Inc.]
120. 902.0 의 성질Web 2.0- 플랫폼으로서의 웹집단지성(?, collective intelligence) 활용
126. 912.0 의 성질플랫폼으로서의 웹플랫폼으로서의 웹 최초 주장!! 그러나..웹 브라우저가 갖는 강력한 시장지배력지속적인 소프트웨어 개선만 존재판매 없이(있기는 하다) 사용만 존재중요한 것은?
127. 922.0 의 성질The Long tail파레토 법칙 Vs 크리스앤더슨(Chris Anderson) 80:20, 발생확률 혹은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이 무시되는 경향Amazon BitTorrent웹 콘텐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작은 사이트들의 힘(collective power)Google ad.BitTorrentamazon꼬리의 힘!!
128. 932.0 의 성질Collective Intelligence하나보다 둘이 낫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아마존, 네이버지식인, 위키피디아, 홈쇼핑…..플리커, 델리셔스 = 폭소노미블로그? RSS!! = 링크에서 구독으로
129. 942.0 의 성질소프트웨어 릴리스 주기의 종말제품이 아니라 서비스!!!서비스는 중단이 없다!!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신해야 한다.구글의 시스템관리, 네트워킹, 로드 밸런싱 기술
130. 952.0 의 성질가벼운 프로그래밍 모델혼자서, 둘이서, 셋이서, 합체의 미학단순한 것이 살아남는다. RSS, SOAP모두가 이해하고 누구와도 잘 어울린다 = mash up
131. 96The Web as Platform=The Web is an eco-system….. 인터넷으로 알려진 사이버 스페이스와 이를 구성하는 다양한 서비스나 데이터,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인간활동 모두를 생태계라는 큰 틀 내에서 설명이 가능하며, 이를 웹 생태계 Web EcoSystem이라 정의할 수가 있을 것이다. 생태계 내에서 구성물들이 상호작용하고 진화해나가고 또 죽음을 맞이하는 이런 일련의 행위나 현상들이 웹 생태계 내에서 관측가능할 것이다. …..[출처: http://subeco.tistory.com/?page=6]
139. External social networking (ESN):개방된 공적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로 Facebook등이 대표적임[출처: http://www.slideshare.net/zibatsu89/social-network-service-2340526]
142. 2011년 4월 기준 한국이용자는 3,593,040명출처 : http://www.socialbakers.com/blog/143-facebook-gains-80-million-new-accounts-in-the-first-quarter-of-2011/
169. 2001년 Jimmy Wales와 Larry Sanger에 의해서 서비스 시작해서 현재는 가장 사랑받는 사이트 중 하나로 365백만의 독자 확보[출처: http://http://en.wikipedia.org/wiki/Wikipedia]
178. Mr. HatemMahmoudSyntax is the study of grammarSemantics is the study of meaningSyntax is how to say somethingSemantic is the meaning behind what you sayDifferent syntaxes may have the same semantic:x += yx = x + y128
179. 129오늘날의 웹문서 중심의 Web(Web of Documents) - HTMLResource링크Resource링크링크ResourceResource링크링크링크Resource링크ResourceResource
181. 131우리가 지향하는 바는Data(Things) 중심의 Web(Web of data)SSDLPPTdc:publisherdc:creator박진호NLKo:workplaceo:homepagewww.nl.go.krp:emailp:titleSenior resear_cherJino.kor@gmail.com
193. XML은 DTD, XML Schema로 자기기술이 가능함(Self-descriptive)140HTML Vs XMLHTML<H1>시멘틱 디지털도서관이란</H1> <UL> <LI>강사 : 박진호<LI>일시 : 2011.06.10<LI>장소 : 국립디지털도서관 2층 대강의실 <LI>대상 : 국립중앙도서관 직원 </UL> XML<lectureOfNLK> <title>시멘틱 디지털도서관이란</title> <lecturer>박진호</lecturer > <date>2011.06.10</date> <place>국립중앙도서관 2층 대강의실</place> <targetAudience>국립중앙도서관 2층 대강의실</ targetAudience ></lectureOfNLK>
194. 141XML Vs RDFXML은데이터(문서)의 구조 정의RDF는 데이터(문서)의 구문의 의미 정의(기계가 이해)[출처 : http://www.oreillynet.com/xml/blog/2005/09/the_difference_between_xml_and.html]
219. an ontology is an explicit formal specification of a shared conceptualization(Gruber, 1993)
220. An ontology provides a shared vocabulary, which can be used to model a domain — that is, the type of objects and/or concepts that exist, and their properties and relations.(Arvidsson, 2008)
221. 공유된 개념의 명시적 형식(?)156Ontologyan ontology is an explicit formal specification of a shared conceptualization
262. 184hCalendarhCalendar is a simple, open, distributed calendaring and events format, using a 1:1 representation of standard iCalendar (RFC2445) VEVENT properties and values in semantic HTML or XHTML. 185hCalendar<DIV id=hcalendar-국립중앙도서관-내부교육-시멘틱-웹-튜토리얼class=vevent> <A class=urlhref="http://www.nl.go.kr/events/swtutorial"> <ABBR class=dtstart title=2011-06-13T09:0000>June 13, 2011 09</ABBR> <ABBR class=dtend title=2011-06-13T12:00>12pm</ABBR> : <SPAN class=summary>국립중앙도서관 내부교육 시멘틱 웹 튜토리얼</SPAN> at <SPAN class=location>국립중앙도서관</SPAN></A><DIV class=description>국립중앙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시멘틱 웹 튜토리얼</DIV>
330. 218"The Semantic Web is an extension of the current web in which information is given well-defined meaning, better enabling computers and people to work in cooperation." Tim Berners-Lee, James Hendler, OraLassila, The Semantic Web, Scientific American, May 2001
331. 219복잡한 게 아닙니다. 기계가 이해할 수 있다(No)사람과 기계가 같이 이해할 수 있는 공유의 장!기계가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좀 더 엄격하고, 정확하고, 명확한 규칙과 정의가 필요
335. 223Is your data 5 star? 1 Star – On the web, open licence.2 Star – Machine-readable data. 3 Star – Non-propietary format. 4 Star – RDF Standards.5 Star – Linked RDF.
342. 228우리가 알고 있는 플랫폼 = Computing platformA computing platform is some sort of hardware architecture and software framework (including application frameworks) that allows software to run. Typical platforms include a computer's architecture, operating system, programming languages and related user interface (run-time system libraries or graphical user interface).[출처 : Wikipedia.org]
349. 235도서관이 뭘 해야할까..뭘 할 수 있을까.RDF공부를 더해야하나… 저걸 언제 다 배우지도서관에서 저걸 언제 다하지? 누가?프로그래밍을 배워야하나..힘들다.일단 포기.
350. 236우리는 우리가 잘하는 걸 하면 됩니다.남들이 부러워하고 당연히 우리가 할 것.(전거. 목록..) 시멘틱 웹? RDF, OWL, SPAQLE.. 기술을 배우라는 게 아닙니다. 우리가 가진 걸로 소통해야 하니까기왕 소통할거면.나도 알고 너도 알고 기계도 알 수 있는 방식으로 대화를 하자는 거지요.표준!!마지막으로 IT가 세상을 바꾸기는 하지만. 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우리가 구축한 플랫폼을 버리지 마십시오. 낡은 것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