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ATM  번호 표시창의 위치 및  번호 배열 방식의 사용성 평가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김미래 / 김민기 / 노지훈 / 편정희 관련분야  :  인간공학 < 대학생 프로젝트 경진대회 >
목차
용어 설명  ( 현재  ATM) ATM  계좌이체  번호 배열 방식 번호 표시창
연구배경 연구필요성  -  입 / 출금거래 업무 처리 비중 ( 건수 기준 ,  단위   : %) *  입출금거래는 입금 ,  출금 ,  자금이체 등의 실적을 포함  구 분  창구거래 CD/ATM  텔레뱅킹  인터넷뱅킹  2005. 3 월  26.9 45.1 11.5 16.5 2005. 6 월  26.9 44.2 12.5 16.4 2005. 9 월  26.4 44.7 12.0 16.9 2005.12 월  26.3 42.8 12.3 18.6 2006. 3 월  26 43.6 12.3 18.1 2006. 6 월  25.3 42.5 12.1 20.1 2006. 9 월  24 43.2 12.2 20.6 2006.12 월  22.1 43.9 12.2 21.8 2007. 3 월  21.7 44.7 11.4 22.2
기존 연구 Number Keypad Layout 은  Telephone Layout  과  Calculator Layout 으로 나뉨  (Bullinger et al., 2002).  연구배경 Telephone Layout  ATM  번호 배열 방식 Calculator Layout  Computer  번호 배열 방식
연구배경 기존연구 유통 업계에서 사용되는  POS(Point of Sale) terminal  를 이용하여  calculator layout 에서의 물리적 키패드와 터치스크린 비교 (Wilson et al.,1995). 공공 장소에서 사용되는  Kiosk terminal 을 이용하여 메뉴 , 입출력 버튼 등에 관한 종합적인 설계 방법 제시 (Maguire,1999). ATM 에서 숫자 입력 작업을 할 때 물리적 키패드와 터치 스크린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를 연령에 따라 비교 ( 김동진 ,2007).
연구목적 ATM 에서 계좌이체 작업이 중요하다    ATM 에서의 번호 배열 방식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없다 ATM  계좌이체 작업 및 숫자입력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 번호 배열 방식 개선  번호 표시창의 위치를 개선 사용자 실험을 통하여 적합한 번호 배열 방식 및 번호 표시창 위치 검증
실험설계 16 명의 피실험자 나이  ( 평균  : 21.4,  분산  : 3.46) 주 사용 손  ( 오른손  : 15 명 ,  양손  : 1 명 ) 성별  ( 남자  : 13 명 ,  여자  : 3 명 ) 주당  ATM  사용빈도  ( 평균  : 2.69,  분산  : 2.01) Macromedia Flash 8 Touch Screen 본과 전산실에서 실험 진행 피실험자 실험장비 및 환경
실험계획 번호 배열 방식 기존  ATM 컴퓨터용 번호  표시창의 위치 왼쪽 아래  ( 기존 ) Prototype 1 Prototype 2 위쪽 Prototype 3 Prototype 4 왼쪽 가운데 Prototype 5 Prototype 6 숫자 배열 중간 ( 투명도 ) Prototype 7 Prototype 8
실험계획 Prototype 2 Prototype 4 Prototype 1 Prototype 3
실험계획 번호 배열 방식 기존  ATM 컴퓨터용 번호  표시창의 위치 왼쪽 아래 Prototype 1 Prototype 2 위쪽 Prototype 3 Prototype 4 왼쪽 가운데 Prototype 5 Prototype 6 숫자 배열 중간 ( 투명도 ) Prototype 7 Prototype 8
실험계획 Prototype   6 Prototype   8 Prototype 5 Prototype 7
실험절차
수행작업 객관적 수행도 작업 수행시간  :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s 단위로 측정 Error rate :  ( 실제 버튼 입력 횟수  –  표준 입력 횟수 )/(  표준 입력 횟수 )*100 주관적 만족도 편의성  :  사용하기 편리한 정도 식별성  :  출력되는 숫자를 한눈에 쉽게 볼 수 있는 정도  조화성  :  숫자배열과 숫자 출력위치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정도  전반적 만족도  :  전반적으로  ATM 의 계좌이체 화면 구조를 만족하는 정도
실험 결과 ANOVA  분석 결과 유의수준   5%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작업시간 Error rate 편의성 식별성 조화감 전반적 만족도 번호배열 방식 p=0.007 p=0.037 p=0.002 p=0.147 p=0.104 p=0.023 번호   표시   창 의  위치 p=0.005 p=0.056 p=0.013 p<0.001 p<0.001 p<0.001 Interaction p=0.658 p=0.309 p=0.453 p=0.855 p=0.765 p=0.746
객관적 수행 도 평가 결과 – 작업시간 실험 결과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작업시간 비교 번호배열 방식에 따른 작업시간 비교
객관적 수행 도 평가 결과 –  Error rate 실험 결과  번호배열 방식에 따른  Error rate  비교
실험 결과  주관적 만족도 평가 결과  -  편의성  번호배열 방식에 따른 편의성 비교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편의성 비교
실험 결과  주관적 만족도 평가 결과  -  식별성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식별성 비교
실험 결과  주관적 만족도 평가 결과  -  조화감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조화감 비교
실험 결과  주관적 만족도 평가 결과 – 전반적 만족도 번호배열 방식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 비교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 비교
실험 결과 요약 종속변인 비교 번호 배열 방식 작업시간 기존 방식  >  컴퓨터 방식 Error rate 기존 방식  >  컴퓨터 방식 편의성 기존 방식  <  컴퓨터 방식 전반적 만족도 기존 방식  <  컴퓨터 방식 번호 표시창의 위치 작업시간 기존  >  투명도  >  왼쪽 가운데  >  숫자버튼 위 편의성 기존  <  투명도  <  왼쪽 가운데  <  숫자버튼 위 식별성 투명도  <  기존  <  왼쪽 가운데  <  숫자버튼 위 조화감 투명도  <  기존  <  왼쪽 가운데  <  숫자버튼 위 전반적 만족도 투명도  <  기존  <  왼쪽 가운데  <  숫자버튼 위
Discussion  객관적 수행도 입력시간 및  Error rate  감소  사용자들이 컴퓨터 자판에 익숙 입력된 번호를 확인하는데 걸리는 시간 단축  주관적 만족도 편의성 증가 -  익숙한 컴퓨터 자판 배열 방식 식별성 증가 -  눈동자 ,  목의 추가 움직임을 줄임 조화감 증가 -  번호 표시창과 숫자 배열판 위치의 안정적 배열 전체적 만족도 증가  -  편의성 ,  식별성 ,  조화감의 전반적인 증가
결론 및 추후연구 결론 ATM 의 번호 배열 방식 및 번호 표시창의 위치가  사용자의 작업 수행도와 주관적 만족도에 영향 컴퓨터 자판의 번호 배열 방식 선호 번호 자판 위 번호 표시창 출력 선호  추후연구 실험자의 연령대에 따른 번호 배열 방식
 

More Related Content

PPT
E:\London
PDF
[기술풀이] FMC물결 탄 스마트폰, 기업전화망으로 전진
PDF
[기술풀이] SG,TG
PDF
Xener krp 100601_1
PPTX
Prezi 사용방법 및 활용방안 A to Z
PDF
Prezi 회사 소개 및 zooming 도구 설명서 노지훈 더미에게물어봐prezi
PPT
Anglo Saxon Chronicle
DOC
Pareto, long tail, and 1000 true fans
E:\London
[기술풀이] FMC물결 탄 스마트폰, 기업전화망으로 전진
[기술풀이] SG,TG
Xener krp 100601_1
Prezi 사용방법 및 활용방안 A to Z
Prezi 회사 소개 및 zooming 도구 설명서 노지훈 더미에게물어봐prezi
Anglo Saxon Chronicle
Pareto, long tail, and 1000 true fans

Similar to IMEN343 인간공학 term presentation (8)

DOC
Termproject ATM 사용편의성평가
PPTX
임베디드 시스템 –Atm 3차과제
PPTX
임베디드 시스템 –Atm 4차과제
PPTX
임베디드 시스템 –Atm 3차과제
PPTX
임베디드 시스템 –Atm 5차
PPTX
임베디드 시스템 –Atm 최종
PDF
Wearable FINtech :Banking App. UI Design for Smart Watches
PDF
[HFE] Presentation - Reservation system at POSTECH
Termproject ATM 사용편의성평가
임베디드 시스템 –Atm 3차과제
임베디드 시스템 –Atm 4차과제
임베디드 시스템 –Atm 3차과제
임베디드 시스템 –Atm 5차
임베디드 시스템 –Atm 최종
Wearable FINtech :Banking App. UI Design for Smart Watches
[HFE] Presentation - Reservation system at POSTECH
Ad

More from Jihoon Roh (16)

PDF
스토리텔러가 반한 발표도구 Prezi_노지훈
PPT
노지훈(국립중앙도서관 주최 논문 당선작)
PDF
시민 기부에 의한 NGO 기반의 공공 서비스 - 포항시 해변복구
PDF
시민 기부에 의한 NGO 기반의 공공 서비스 - 포항시 해변복구
PPT
RadioPulse ecomagination
PDF
도서관 이용자와의 소통 활성화 및 정보기술 발달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제공에 관한 연구
DOC
여행 사업에 적용된 롱테일의 사례 노지훈
PPT
IMEN381 MIS(경영정보시스템) Term presentation
PPT
IMEN390 공학설계1 Term presentation
PPT
2008 글로벌프론티어 발표용
PPT
2008 글로벌프론티어 보고서
PPT
IMEN203 재무회계 term presentation
PPT
IMEN490 공학설계2 Term presentation
PDF
IMEN491서비스경영 Term presentation
PPT
IMEN491벤처창업론 Term presentation
PPT
Wow Project
스토리텔러가 반한 발표도구 Prezi_노지훈
노지훈(국립중앙도서관 주최 논문 당선작)
시민 기부에 의한 NGO 기반의 공공 서비스 - 포항시 해변복구
시민 기부에 의한 NGO 기반의 공공 서비스 - 포항시 해변복구
RadioPulse ecomagination
도서관 이용자와의 소통 활성화 및 정보기술 발달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제공에 관한 연구
여행 사업에 적용된 롱테일의 사례 노지훈
IMEN381 MIS(경영정보시스템) Term presentation
IMEN390 공학설계1 Term presentation
2008 글로벌프론티어 발표용
2008 글로벌프론티어 보고서
IMEN203 재무회계 term presentation
IMEN490 공학설계2 Term presentation
IMEN491서비스경영 Term presentation
IMEN491벤처창업론 Term presentation
Wow Project
Ad

IMEN343 인간공학 term presentation

  • 1. ATM 번호 표시창의 위치 및 번호 배열 방식의 사용성 평가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김미래 / 김민기 / 노지훈 / 편정희 관련분야 : 인간공학 < 대학생 프로젝트 경진대회 >
  • 3. 용어 설명 ( 현재 ATM) ATM 계좌이체 번호 배열 방식 번호 표시창
  • 4. 연구배경 연구필요성 - 입 / 출금거래 업무 처리 비중 ( 건수 기준 , 단위 : %) * 입출금거래는 입금 , 출금 , 자금이체 등의 실적을 포함 구 분 창구거래 CD/ATM 텔레뱅킹 인터넷뱅킹 2005. 3 월 26.9 45.1 11.5 16.5 2005. 6 월 26.9 44.2 12.5 16.4 2005. 9 월 26.4 44.7 12.0 16.9 2005.12 월 26.3 42.8 12.3 18.6 2006. 3 월 26 43.6 12.3 18.1 2006. 6 월 25.3 42.5 12.1 20.1 2006. 9 월 24 43.2 12.2 20.6 2006.12 월 22.1 43.9 12.2 21.8 2007. 3 월 21.7 44.7 11.4 22.2
  • 5. 기존 연구 Number Keypad Layout 은 Telephone Layout 과 Calculator Layout 으로 나뉨 (Bullinger et al., 2002). 연구배경 Telephone Layout ATM 번호 배열 방식 Calculator Layout Computer 번호 배열 방식
  • 6. 연구배경 기존연구 유통 업계에서 사용되는 POS(Point of Sale) terminal 를 이용하여 calculator layout 에서의 물리적 키패드와 터치스크린 비교 (Wilson et al.,1995). 공공 장소에서 사용되는 Kiosk terminal 을 이용하여 메뉴 , 입출력 버튼 등에 관한 종합적인 설계 방법 제시 (Maguire,1999). ATM 에서 숫자 입력 작업을 할 때 물리적 키패드와 터치 스크린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를 연령에 따라 비교 ( 김동진 ,2007).
  • 7. 연구목적 ATM 에서 계좌이체 작업이 중요하다 ATM 에서의 번호 배열 방식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없다 ATM 계좌이체 작업 및 숫자입력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 번호 배열 방식 개선 번호 표시창의 위치를 개선 사용자 실험을 통하여 적합한 번호 배열 방식 및 번호 표시창 위치 검증
  • 8. 실험설계 16 명의 피실험자 나이 ( 평균 : 21.4, 분산 : 3.46) 주 사용 손 ( 오른손 : 15 명 , 양손 : 1 명 ) 성별 ( 남자 : 13 명 , 여자 : 3 명 ) 주당 ATM 사용빈도 ( 평균 : 2.69, 분산 : 2.01) Macromedia Flash 8 Touch Screen 본과 전산실에서 실험 진행 피실험자 실험장비 및 환경
  • 9. 실험계획 번호 배열 방식 기존 ATM 컴퓨터용 번호 표시창의 위치 왼쪽 아래 ( 기존 ) Prototype 1 Prototype 2 위쪽 Prototype 3 Prototype 4 왼쪽 가운데 Prototype 5 Prototype 6 숫자 배열 중간 ( 투명도 ) Prototype 7 Prototype 8
  • 10. 실험계획 Prototype 2 Prototype 4 Prototype 1 Prototype 3
  • 11. 실험계획 번호 배열 방식 기존 ATM 컴퓨터용 번호 표시창의 위치 왼쪽 아래 Prototype 1 Prototype 2 위쪽 Prototype 3 Prototype 4 왼쪽 가운데 Prototype 5 Prototype 6 숫자 배열 중간 ( 투명도 ) Prototype 7 Prototype 8
  • 12. 실험계획 Prototype 6 Prototype 8 Prototype 5 Prototype 7
  • 14. 수행작업 객관적 수행도 작업 수행시간 :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s 단위로 측정 Error rate : ( 실제 버튼 입력 횟수 – 표준 입력 횟수 )/( 표준 입력 횟수 )*100 주관적 만족도 편의성 : 사용하기 편리한 정도 식별성 : 출력되는 숫자를 한눈에 쉽게 볼 수 있는 정도 조화성 : 숫자배열과 숫자 출력위치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정도 전반적 만족도 : 전반적으로 ATM 의 계좌이체 화면 구조를 만족하는 정도
  • 15. 실험 결과 ANOVA 분석 결과 유의수준 5%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작업시간 Error rate 편의성 식별성 조화감 전반적 만족도 번호배열 방식 p=0.007 p=0.037 p=0.002 p=0.147 p=0.104 p=0.023 번호 표시 창 의 위치 p=0.005 p=0.056 p=0.013 p<0.001 p<0.001 p<0.001 Interaction p=0.658 p=0.309 p=0.453 p=0.855 p=0.765 p=0.746
  • 16. 객관적 수행 도 평가 결과 – 작업시간 실험 결과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작업시간 비교 번호배열 방식에 따른 작업시간 비교
  • 17. 객관적 수행 도 평가 결과 – Error rate 실험 결과 번호배열 방식에 따른 Error rate 비교
  • 18. 실험 결과 주관적 만족도 평가 결과 - 편의성 번호배열 방식에 따른 편의성 비교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편의성 비교
  • 19. 실험 결과 주관적 만족도 평가 결과 - 식별성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식별성 비교
  • 20. 실험 결과 주관적 만족도 평가 결과 - 조화감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조화감 비교
  • 21. 실험 결과 주관적 만족도 평가 결과 – 전반적 만족도 번호배열 방식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 비교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 비교
  • 22. 실험 결과 요약 종속변인 비교 번호 배열 방식 작업시간 기존 방식 > 컴퓨터 방식 Error rate 기존 방식 > 컴퓨터 방식 편의성 기존 방식 < 컴퓨터 방식 전반적 만족도 기존 방식 < 컴퓨터 방식 번호 표시창의 위치 작업시간 기존 > 투명도 > 왼쪽 가운데 > 숫자버튼 위 편의성 기존 < 투명도 < 왼쪽 가운데 < 숫자버튼 위 식별성 투명도 < 기존 < 왼쪽 가운데 < 숫자버튼 위 조화감 투명도 < 기존 < 왼쪽 가운데 < 숫자버튼 위 전반적 만족도 투명도 < 기존 < 왼쪽 가운데 < 숫자버튼 위
  • 23. Discussion 객관적 수행도 입력시간 및 Error rate 감소 사용자들이 컴퓨터 자판에 익숙 입력된 번호를 확인하는데 걸리는 시간 단축 주관적 만족도 편의성 증가 - 익숙한 컴퓨터 자판 배열 방식 식별성 증가 - 눈동자 , 목의 추가 움직임을 줄임 조화감 증가 - 번호 표시창과 숫자 배열판 위치의 안정적 배열 전체적 만족도 증가 - 편의성 , 식별성 , 조화감의 전반적인 증가
  • 24. 결론 및 추후연구 결론 ATM 의 번호 배열 방식 및 번호 표시창의 위치가 사용자의 작업 수행도와 주관적 만족도에 영향 컴퓨터 자판의 번호 배열 방식 선호 번호 자판 위 번호 표시창 출력 선호 추후연구 실험자의 연령대에 따른 번호 배열 방식
  • 25.  

Editor's Notes

  • #2: 안녕하십니까 . 2 조의 발표를 맡게 된 김미래입니다 . 저희 연구 주제는 ATM 번호 표시창의 위치 및 번호 배열방식의 사용성 평가 입니다 .
  • #3: 전반적 발표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희의 연구배경 및 목적을 살펴보시고 , 연구가 어떤 방법으로 어떤 식으로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그리고 그 결과를 아노바 분석을 통하여 어떤 유효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 그 결과의 원인에 대해 분석한 후 결론을 맺겠습니다 .
  • #4: 먼저 본 연구에 주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 이 그림은 현재 우리가 ATM 의 계좌이체 기능을 사용할 때 볼수 있는 화면입니다 . 보시는 바와 같이 입력 시 사용하는 숫자 버튼의 구조를 ‘번호배열 방식’이라고 하며 , 우리가 입력한 숫자가 출력되는 부분을 ‘번호 표시창’ 이라고 하겠습니다 .
  • #5: 다음으로 연구배경을 살펴보겠습니다 . 아시다시피 오늘날 인터넷뱅킹 사용의 증가로 은행의 창구업무 및 ATM 기의 사용 비중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 / 하지만 입금 , 출금 및 계좌이체 관련 업무처리 비중은 ATM 기가 인터넷 뱅킹의 두배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 또한 이 비중은 지속적으로 4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이는 ATM 에서의 입금 , 출금 및 계좌이체 업무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6: 우리가 ATM 기를 사용할 때 번호를 입력하는 일은 불가피합니다 . 실제 우리 주변의 번호 입력판의 배열은 크게 전화기 방식과 계산기방식의 두가지로 나뉘는데 , 현재 ATM 기는 전화기 방식을 , 컴퓨터는 계산기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 #7: 기존의 ATM 과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는데요 , 유통업계에서의 물리적 키패드와 터치스크린의 비교에 관한 연구 , 버튼의 크기 및 간격에 관한 설계방법 , ATM 에서 연령에 따른 물리적 키패드와 터치스크린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
  • #8: 하지만 계좌이체 작업이 중요한 ATM 에서 번호배열 방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 지지 않은 상황입니다 . 그래서 저희 조는 ATM 에서의 숫자입력작업의 효율성의 향상시키기 위해 ATM 의 어떠한 번호배열방식이 더 적합한지 사용자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습니다 . 이와 더불어 우리가 계좌이체를 할때 번호 표시창 및 번호 배열 판 그리고 계좌번호를 한번에 보기가 힘든 점을 보완하기 위해 번호 표시창의 위치를 개선하고자 적합한 위치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습니다 .
  • #9: 실험에 동원된 피실험자는 16 명이며 , 평균 나이는 21 세입니다 . 실험장비는 플레쉬를 통하여 구현하였으며 , LCD 터치스크린 모니터로 실험을 수행하였습니다 .
  • #10: 실험은 번호배열방식 및 번호창의 위치에 따라 총 8 개의 Prototype 을 사용하였습니다 . 번호 배열방식은 앞서 언급한 두방식을 평가하였고 번호표시창의 위치는 손으로 가려서 불편함이 확실한 위치를 제외한 , 번호 입력부의 위쪽 , 왼쪽 가운데 , 투명도를 이용하여 숫자배열 중간에 출력되도록하는 방식 , 그리고 기존 방식을 평가하였습니다 . 1,2,3,4 에 해당하는 것이 다음과 같다 .
  • #11: 실험에 사용된 Prototype 은 다음과 같습니다 .
  • #12: 5,6,7,8 에 해당하는 것이 다음과 같다 .
  • #14: 실험절차는 실험자들에게 실험 목적 및 방법을 설명하고 , 터치스크린의 사용 벙법을 숙지시켰으며 , 실험자가 모르는 13 자리의 계좌번호를 입력하는 실험을 8 개의 Prototype 에 각각 세번씩 실험을 수행하였습니다 . 이때 객관적 수행도를 측정하였고 , 사용자들에게 설문을 통하여 주관적 만족도를 평가하였습니다 .
  • #15: 실험에서 수행한 작업 즉 . 종속 변수로는 작업 수행시간 , 에러율 , 편의성 , 식별성 , 조화성 , 전반적 만족도를 고려하였습니다 . 작업 시간은 세 번 측정 중 에러가 있었던 경우를 제외한 실험의 평균값을 사용하였습니다 . 그리고 주관적 만족도는 0~7 점 사이의 값으로 측정하였습니다 .
  • #16: Two-way 아노바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 보시는 것과 같이 알파가 0,05 인 유의수준에서 번호배열방식과 번호표시창의 위치는 대부분 유의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 하지만 번호 배열방식과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 교호작용이 있을 것 같다는 예상과는 달리 , 객관적 수행도 및 주관적 만족도 모두 , 번호배열방식과 번호표시창의 위치에서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습니다 .
  • #17: 각각의 유의한 실험 결과를 다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작업시간에서의 번호배열 방식은 기존 ATM 방식과 컴퓨터 번호 배열 방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서도 기존 ATM 방식과 숫자 버튼 위에 위치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 #18: 에러율에서의 번호배열 방식은 기존 ATM 방식과 컴퓨터 번호 배열 방식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
  • #19: 주관적 만족도인 편의성의 번호배열 방식은 기존 ATM 방식과 컴퓨터 번호 배열 방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서도 기존 ATM 방식과 숫자 버튼 위에 위치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 #20: 식별성에서 번호 표시창의 위치는 투명도 및 기존 ATM 방식과 숫자 버튼 위에 위치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 #21: 조화감에서 번호 표시창의 위치는 투명도 및 기존 ATM 방식과 숫자 버튼 위에 위치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 #22: 전반적 만족도에서의 번호배열 방식은 기존 ATM 방식과 컴퓨터 번호 배열 방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번호 표시창의 위치에서도 투명도 및 기존 ATM 방식과 숫자 버튼 위에 위치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 #23: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 번호배열방식에서 컴퓨터 배열 방식이 기존 ATM 의 배열방식보다 버튼 제시 방식의 작업시간 , 에러율은 낮으며 편의성 , 전반적 만족도는 높게 평가되었다 . 또한 번호표시창의 위치에서 번호표시창이 숫자버튼 위에 위치하는 것이 기존방식보다 작업 시간이 짧으며 편의성 , 식별성 , 조화감 , 전반적 만족도는 높게 평가되었다 .
  • #24: 이렇게 컴퓨터 배열방식이 기존 ATM 보다 입력시간 및 에러율이 낮게 나온 것은 컴퓨터 사용빈도가 많아지면서 컴퓨터 자판에 더 익숙해졌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 기존 ATM 과 같은 배열방식에는 전화기가 있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선전화기보다는 휴대폰을 사용하는데 휴대폰의 경우 ATM 기처럼 검지 손가락으로 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엄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ATM 기 사용시 휴대폰의 영향보다는 컴퓨터의 영향을 많이 받아 컴퓨터 자판에 더 친숙하다고 생각되어집니다 . 또한 번호표시창의 위치도 기존 ATM 보다 숫자버튼 위에 위치하는 것이 입력된 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움직임 및 시간을 줄여주어 작업시간이 감소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됩니다 . 이와 같은 동일한 이유로 모든 주관적 만족도에서 기존 방식보다 컴퓨터 배열방식과 숫자버튼 위에 번호표시창이 위치하는 것이 높게 평가되었다고 생각됩니다 . 다만 투명도를 이용한 번호표시창이 눈동자와 목의 움직임은 가장 적지만 만족도측면에서 가장 낮게 평가 된 것은 동일한 숫자가 동시에 비슷한 위치에 출력되어 사용자에 혼란감을 주었기 때문이라 판단합니다 .
  • #25: 최종 결론을 내리면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방식은 번호 배열 방식은 컴퓨터의 숫자 배열방식이며 , 출력되는 번호 표시창의 위치는 숫자 자판 위를 선호한다는 것이며 이는 성 및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을 통하여 확인하였습니다 . 본 실험의 피실험자가 주로 컴퓨터 사용빈도가 높은 20 대 대학생에게 국한 되었기 때문에 추후 연구로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라 선호하는 번호 배열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이상으로 저의 발표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