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목적 주요사업내용
생태귀농학교 서울, 부산, 광주, 대구, 대전, 창원, 화천, 거창
생명가치를 바탕으로 농업·
맞춤형귀농학교 소농학교, 여성귀농학교, 가족귀농학교, 산재장해인귀
농촌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
농학교
의식을 고취시키고 귀농희
망자들이 농촌으로 돌아가 귀농통문 귀농정보를 위한 계간지 총58호 발행
튼튼한 귀농을 통하여 건강 귀농총서 귀농자에 필요한 도서 총25권 발간
한 삶을 도모하며 나아가
보다 활력 있는 생태적 농 지자체협약 강진,봉화,성주,순창,하동
촌공동체를 만들 수 있도록 농가살림강좌 연12회(된장, 염색, 산나물, 막걸리, 효소, 집수리 등)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마을도우미 연 2회(토양워크샵, 적정기술보급 등)
토종종자보급 종자보급(연1회) 및 조사 채집
●귀농운동의 사회화 텃밭보급소 도시농업운동(주말농장, 도시농부학교, 도시농장조성
●귀농희망자 교육 훈련 및 운영, 도시농업조례와 정책 등)
●귀농자 조직 활동 귀농귀촌전국대회 귀농귀촌의 정보공유 진안1회, 강진2회
●예비 귀농자 정착 지원 귀농인의 날 연1회
●국·내외 생태공동체 연대
●농촌마을공동체 조성 연
지역귀농지원센터 춘천, 괴산, 완주, 홍성, 화천, 상주 6개소 운영
구 농가일손돕기 청년생태농활(연1회), 일손돕기(수시)
귀농지탐방 귀농학교 수료자대상으로 귀농지 탐방(수시)
소농지원 네팔과 국제소농연대사업
3. 욕구에 부합하는 교육
여름가족귀농학교 : 휴가기간을 이용하여 예비귀농가족들이
함께 참가 4박5일, 연1회, 45명
여성귀농학교 : 여성 특유의 감성을 살려서 여성귀농인의 사례
를 통해 한계와 현실을 이해하고 준비할 수 있는 여성들만을
위한 귀농학교 2박3일, 연1회, 25명
산재장해인귀농학교 : 산재장해인을 위한 귀농훈련과정으로
근로복지공단과 공동으로 진행 4박5일, 연1회, 30명
이주여성귀농학교(예정) : 한국농촌문화와 괴리되고 차별받는
이주여성인들을 위한 귀농정착과정으로 한국사회에서 불고있
는 귀농귀촌의 의미를 이해하고 희망을 나누는 과정 2박3일,
연1회, 15명
꼬마농부캠프(예정) : 농부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아이들이라
는 기치로 농사와 농촌문화를 배우고 체험하는 캠프 4박5일,
연1회, 25명
4. 자립하는 자급소농 양성
귀농을 희망하는 도시민을 대상으로 농촌생활의 자급에 필요한
텃밭재배와 곡식농사를 중심으로 한 기초농사기술을 습득하는
1년 과정의 장기귀농학교
곡식농사, 벼농사, 텃밭관리, 퍼머컬쳐, 전통농법, 토양과 퇴비
워크샵, 일소부리기, 농촌생활기술, 채종과 토종, 풀과 곤충의
활용, 농부를 위한 기초목공, 갈무리
5. 농외 살림기술교육
농사밖에 농가살림에 도움이 되는 목공, 집수리, 염색, 산나물,
바느질, 된장, 효소와 같은 단기교육프로그램
2박3일(기본), 연 12회, 매회 25명
6. 농촌생활기술학교
적당기술연구소
농촌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자립형 기술을 연구,개발,교육,
보급함
석유에 기반한 기술문명에 대한 대안으로 농촌사회의 에너
지독립을 지향
잊혀진 전통적인 농촌기술도 복원
(집고쳐짓기, 돌담쌓기, 연장수리와 제작, 짚풀공예 등)
농촌사회에 적정생활기술의 전수와 확산을 위한 적당기술
보급원(마을도우미) 양성
몇몇 기술을 제품화하여 농한기 소득원이 되도록 농촌형
사회적 기업 또는 마을공방을 세울 계획
4박5일, 연2회, 20명,
적당기술 2박3일, 연1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