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하는 글]
이 책은 디자인의 역할이 삶의 다양한 측면으로 확장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아직 디자인을 만나지 못했던 공공정책과 공공서비스의 영역에 디자인을 소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공공서비스디자인’은 눈에 보이는 사물로서의 디자인이 아니라 공공분야를 수요자 중심으로 혁신하는 전략으로서의 디자인을 의미합니다.
[요약]
제목 :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목적 : 공공정책과 공공서비스의 영역에서 디자인이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이기 위한 책
개발 : 한국디자인진흥원, 로보디자인
주요 내용 : 지금 왜 공공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한가, 공공서비스디자인 소개 및 사례, 시범사업 실행 내용, 시사점 등
대상 : 공무원, 공공기관 등 공공분야 종사자, 디자이너 등
배포 : 온라인(http://goo.gl/gF2rA3)/오프라인으로 배포
[연구진]
윤성원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지털융합팀 팀장
김정원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지털융합팀 과장
안나영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지털융합팀 사무원
정인애 로보앤컴퍼니 대표
박 찬 로보앤컴퍼니 이사
기은경 로보앤컴퍼니 연구원
이주성 로보앤컴퍼니 연구원
[목차]
시작하며. 국민 중심의 정부를 실현하는 디자인
Part I. 공공정책·공공서비스, 왜 혁신이 필요한가?
1. 새로운 시대, 패러다임의 변화
2.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공공서비스 혁신
| 기고 |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디자인
이태용 한국디자인진흥원 원장
Part II. 공공서비스디자인은 무엇인가?
공공서비스디자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국내외 동향과 사례
국내 | 서울시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인터뷰
해외 | 일본 아마 정 진흥종합계획/인터뷰
Part III. 공공서비스디자인은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까?
공공정책, 어떻게 혁신해야 할까?/인터뷰
공공서비스디자인, 시범을 보이다
민원행정 | 국민을 위한 종합민원실 만들기/인터뷰
| 기고 | 공공행정서비스의 변화와 서비스디자인
김광순 디맨드컨설팅그룹 대표
보건복지 | 서비스디자인, 안구마우스를 만나다
| 기고 | 디자인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보건의료서비스 혁신
정지훈 명지병원 IT융합연구소 소장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와 방법론
Part IV. 공공분야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공공서비스디자인 모델과 프로세스
공공정책 혁신을 위한 시사점
마무리하며. 국가와 국민을 연결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더하기. 공공서비스디자인의 사례
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