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현황과 요구 조사의 주요 시사점
지역의 환경과 요구 학교 환경과 요구
SWOT 분석
강점 기회
약점 위기
교육 비전 제안
특색 있는 교육과 차별적 공간 조성 컨셉을 규정하는 데 기준이 될 교육 비전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여 표현합니다.
아래는 유네스코 협약한 학교 사례 예시
“ 지역의 지리와 자연, 역사와 문화,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평화에 대하여 창조적으로 탐색하고, 표현하며 세계 시민으로
자라도록 지원하는 유네스코 미래 학교 ”
참조 : 유네스코 학교 프로젝트 네트워크 https://aspnet.unesco.org/en-us/Pages/default.aspx
한국유네스코학교네트워크 https://asp.unesco.or.kr/비전미션
교육 목표 제안
유네스코 학교의 교육 비전과 기존 학교의 교육 비전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예시)
세계 시민 교육
(인성, 소통, 협력, 언어)
지역 이해와 협력
(생태, 환경, 역사, 사회)
문제해결 역량 개발
(학습, 협력, 실행)
창의적 소양 육성
(개성, 감성, 예술)

지역적, 문화적, 경제적
차이와 다양성 수용 재고

상호 소통하고 배려하며
협력할 수 있는 인성과
사회관계 기술 함양.
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하고 활동하는 데
필요한 기초 언어와 표현
능력 개발

지역의 지리와 생태 환경,
역사와 문화 자원에 대한
탐색과 이해 증진

지역 공동체와 교류를
통한 지역사회 이해와
협력의 경험 제공

소외를 없애는 지역 아동
복지와 교육의 결합

기후위기 등 세계와
지역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의
개발과 실행

실생활의 문제를
관찰하고 주체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과 생활 기술의 습득

다양한 문화·예술의
경험과 창작 기회 제공

창의적 소양을 발견하고,
문화적 감수성을
발전시키는 계기 제공과
지원

ICT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리터러시와 창작 능력
개발
학교 건축 컨셉
특색 있는 학교 건축과 공간 구성을 위한 컨셉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아래 예시)
“ 지역의 지리와 자연을 실·내외로 연결하고, 학생과 주민들을
안락하고 풍부한 공간 속으로 초대하는 학교 ”
학교 공간 조성의 방향성 설정
교육비전과 교육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주안점을 둘 공간조성의 방향에 대해 정리합니다. (아래 예시)
공용공간을 포함하는 가변성
높은 영역별 학습 주택 같은
클러스터 조성
학생 모두와 재난 시 지역민에게
열린 마을의 회관 같은 다목적
커뮤니티 영역 조성
지리와 자연을 표현하는
학습정원 조성과 실내외 공간 연결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풍부한 기능적 공간 영역
1
2
3
4
일반 학습, 특(별)기, 돌봄·복지, 행정·지원, 중앙 공통
영역별 클러스터 단위 조성, 단, 공간 가변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내부에 다목적 공용공간을 포함.
중앙에 현관홀, 급식식당, 문화예술활동 공간, 도서관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배치하여, 지역 재난 시 주민 대피
장소로서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영역 조성
야외교실, 야외 작업공간, 놀이구역, 정원, 다목적 구기장
등 다구역을 포함하고 지역의 지리와 자연을 배울 수
있는 는 학습정원 조성과, 실내외 공간의 연결
음악-멀티미디어 창작, 미술-제작, 요리-과학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기능적이고 확장가능한 다기능의 학습 및
활동 공간 조성
교육 프로그램과 공간
좌측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필요한 공간에 대해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세계 시민 교육
(인성, 소통, 협력, 언어)
교육 프로그램

지역적, 문화적, 경제적
차이와 다양성 수용 재고

상호 소통하고 배려하며
협력할 수 있는 인성과
사회관계 기술 함양.
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하고 활동하는 데
필요한 기초 언어와 표현
교육











프로그램 공간











교육 프로그램과 공간
좌측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학습유형, 필요 프로그램 공간에 대해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교육 프로그램과 학습 유형











프로그램 공간











지역 탐구와 이해
(생태, 환경, 역사, 사회)

지역의 지리와 생태 환경,
역사와 문화 자원에 대한
탐색과 이해 증진

지역 공동체와 교류를
통한 지역사회 이해와
협력의 경험 제공

소외를 없애는 지역 아동
복지와 교육의 결합
교육 프로그램과 공간
좌측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필요한 공간에 대해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교육 프로그램











프로그램 공간











문제해결 역량 개발
(학습, 협력, 실행)

기후위기 등 세계와
지역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의
개발과 실행

실생활의 문제를
관찰하고 주체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과 생활 기술의 습득
교육 프로그램과 공간
좌측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필요한 공간에 대해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교육 프로그램











프로그램 공간











창의적 소양 육성
(개성, 감성, 예술)

다양한 문화·예술의
경험과 창작 기회 제공

창의적 소양을 발견하고,
문화적 감수성을
발전시키는 계기 제공과
지원

ICT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리터러시와 창작 능력
개발
교육 프로그램과 공간
좌측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필요한 공간에 대해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기타 교육 프로그램











프로그램 공간











공간 영역화와 다목적화 공간 (압축)
앞서 도출한 프로그램 공간들 중 유사성이 높거나 근접 배치할 때 시너지 효과가 나는 공간들을 영역 단위로 그룹화 하거나, 다목적 공간으로
통합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표시합니다.
일반 학습 영역 특별 학습 영역 커뮤니티(중앙) 영역 돌봄·복지 영역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공간 영역화와 다목적화 공간 (압축)
앞서 도출한 프로그램 공간들 중 유사성이 높거나 근접 배치할 때 시너지 효과가 나는 공간들을 영역 단위로 그룹화 하거나, 다목적 공간으로
통합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구분하기 바랍니다.
신체 활동 (in)영역 지원·행정 영역 기타 영역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신체 활동 (out)영역
공간 조성의 우선 순위
요구한 공간들의 조성 우선 순위를 정해보시기 바랍니다. 동일 차 순위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우선 순위가 낮아집니다.
(1 차 순위) (2 차 순위) (3 차 순위)

More Related Content

PDF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PDF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PDF
Future green smart school
PDF
Campus as space services
PDF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PDF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PDF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PDF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Future green smart school
Campus as space services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What's hot (20)

PDF
School of community
PDF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PDF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PDF
Kindergarten space design
PDF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PDF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PPTX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PDF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PPTX
미래학교
PDF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PDF
Sustainable green school
PDF
기술과 놀이-제작과 교육
PDF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PDF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PDF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PDF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PDF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PDF
시민이 만드는 자가제작 놀이터
School of community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Kindergarten space design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미래학교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Sustainable green school
기술과 놀이-제작과 교육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시민이 만드는 자가제작 놀이터
Ad

Similar to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20)

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PDF
국가건축정책위원회-미래교육플랫폼 최종보고서-학교조성방안연구- 용역 보고서.pdf
PDF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PPT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PDF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PDF
미래학교 교육자 세미나 2020 - 내가 꿈꾸는 미래학교?!
PPTX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PDF
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PDF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PDF
Open 191114 갈 지(之)자를 걷는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제시
PPTX
천개학교만들기(스콜라)
PDF
학교 시설복합화의 이해와 사전기획에 대해 일본과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 20240623.pdf
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PDF
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
PDF
1차포럼 02 소효정
PDF
지순협팜플렛
PDF
지순협팜플렛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국가건축정책위원회-미래교육플랫폼 최종보고서-학교조성방안연구- 용역 보고서.pdf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미래학교 교육자 세미나 2020 - 내가 꿈꾸는 미래학교?!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Open 191114 갈 지(之)자를 걷는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제시
천개학교만들기(스콜라)
학교 시설복합화의 이해와 사전기획에 대해 일본과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 20240623.pdf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대구교육청강연(20170328 아키타교수님)
1차포럼 02 소효정
지순협팜플렛
지순협팜플렛
Ad

More from Seongwon Kim (20)

PDF
'인구감소는 학교를 어떻게 바꾸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학교제도와 건축 변화를 중심으로 소개하는 자료
PDF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PDF
미래 학교의 도서관과 식당의 공간 디자인과 배치, 공간 활용 등 변화 경향과 사례들 구성.pdf
PDF
수변공간의 이해와 디자인, 그리고 시민활동에 대해 정리한 강의 자료-20240728.pdf
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PDF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PDF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인구감소는 학교를 어떻게 바꾸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학교제도와 건축 변화를 중심으로 소개하는 자료
학교의 시청각실과 체육관-다목적홀, 그리고 운동장의 변화와 사례들.pdf
미래 학교의 도서관과 식당의 공간 디자인과 배치, 공간 활용 등 변화 경향과 사례들 구성.pdf
수변공간의 이해와 디자인, 그리고 시민활동에 대해 정리한 강의 자료-20240728.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 1. 현황과 요구 조사의 주요 시사점 지역의 환경과 요구 학교 환경과 요구
  • 3. 교육 비전 제안 특색 있는 교육과 차별적 공간 조성 컨셉을 규정하는 데 기준이 될 교육 비전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여 표현합니다. 아래는 유네스코 협약한 학교 사례 예시 “ 지역의 지리와 자연, 역사와 문화,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평화에 대하여 창조적으로 탐색하고, 표현하며 세계 시민으로 자라도록 지원하는 유네스코 미래 학교 ” 참조 : 유네스코 학교 프로젝트 네트워크 https://aspnet.unesco.org/en-us/Pages/default.aspx 한국유네스코학교네트워크 https://asp.unesco.or.kr/비전미션
  • 4. 교육 목표 제안 유네스코 학교의 교육 비전과 기존 학교의 교육 비전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예시) 세계 시민 교육 (인성, 소통, 협력, 언어) 지역 이해와 협력 (생태, 환경, 역사, 사회) 문제해결 역량 개발 (학습, 협력, 실행) 창의적 소양 육성 (개성, 감성, 예술)  지역적, 문화적, 경제적 차이와 다양성 수용 재고  상호 소통하고 배려하며 협력할 수 있는 인성과 사회관계 기술 함양. 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하고 활동하는 데 필요한 기초 언어와 표현 능력 개발  지역의 지리와 생태 환경, 역사와 문화 자원에 대한 탐색과 이해 증진  지역 공동체와 교류를 통한 지역사회 이해와 협력의 경험 제공  소외를 없애는 지역 아동 복지와 교육의 결합  기후위기 등 세계와 지역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의 개발과 실행  실생활의 문제를 관찰하고 주체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과 생활 기술의 습득  다양한 문화·예술의 경험과 창작 기회 제공  창의적 소양을 발견하고, 문화적 감수성을 발전시키는 계기 제공과 지원  ICT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리터러시와 창작 능력 개발
  • 5. 학교 건축 컨셉 특색 있는 학교 건축과 공간 구성을 위한 컨셉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아래 예시) “ 지역의 지리와 자연을 실·내외로 연결하고, 학생과 주민들을 안락하고 풍부한 공간 속으로 초대하는 학교 ”
  • 6. 학교 공간 조성의 방향성 설정 교육비전과 교육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주안점을 둘 공간조성의 방향에 대해 정리합니다. (아래 예시) 공용공간을 포함하는 가변성 높은 영역별 학습 주택 같은 클러스터 조성 학생 모두와 재난 시 지역민에게 열린 마을의 회관 같은 다목적 커뮤니티 영역 조성 지리와 자연을 표현하는 학습정원 조성과 실내외 공간 연결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풍부한 기능적 공간 영역 1 2 3 4 일반 학습, 특(별)기, 돌봄·복지, 행정·지원, 중앙 공통 영역별 클러스터 단위 조성, 단, 공간 가변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내부에 다목적 공용공간을 포함. 중앙에 현관홀, 급식식당, 문화예술활동 공간, 도서관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배치하여, 지역 재난 시 주민 대피 장소로서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영역 조성 야외교실, 야외 작업공간, 놀이구역, 정원, 다목적 구기장 등 다구역을 포함하고 지역의 지리와 자연을 배울 수 있는 는 학습정원 조성과, 실내외 공간의 연결 음악-멀티미디어 창작, 미술-제작, 요리-과학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기능적이고 확장가능한 다기능의 학습 및 활동 공간 조성
  • 7. 교육 프로그램과 공간 좌측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필요한 공간에 대해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세계 시민 교육 (인성, 소통, 협력, 언어) 교육 프로그램  지역적, 문화적, 경제적 차이와 다양성 수용 재고  상호 소통하고 배려하며 협력할 수 있는 인성과 사회관계 기술 함양. 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하고 활동하는 데 필요한 기초 언어와 표현 교육            프로그램 공간           
  • 8. 교육 프로그램과 공간 좌측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학습유형, 필요 프로그램 공간에 대해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교육 프로그램과 학습 유형            프로그램 공간            지역 탐구와 이해 (생태, 환경, 역사, 사회)  지역의 지리와 생태 환경, 역사와 문화 자원에 대한 탐색과 이해 증진  지역 공동체와 교류를 통한 지역사회 이해와 협력의 경험 제공  소외를 없애는 지역 아동 복지와 교육의 결합
  • 9. 교육 프로그램과 공간 좌측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필요한 공간에 대해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교육 프로그램            프로그램 공간            문제해결 역량 개발 (학습, 협력, 실행)  기후위기 등 세계와 지역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의 개발과 실행  실생활의 문제를 관찰하고 주체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과 생활 기술의 습득
  • 10. 교육 프로그램과 공간 좌측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필요한 공간에 대해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교육 프로그램            프로그램 공간            창의적 소양 육성 (개성, 감성, 예술)  다양한 문화·예술의 경험과 창작 기회 제공  창의적 소양을 발견하고, 문화적 감수성을 발전시키는 계기 제공과 지원  ICT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리터러시와 창작 능력 개발
  • 11. 교육 프로그램과 공간 좌측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과 필요한 공간에 대해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기타 교육 프로그램            프로그램 공간           
  • 12. 공간 영역화와 다목적화 공간 (압축) 앞서 도출한 프로그램 공간들 중 유사성이 높거나 근접 배치할 때 시너지 효과가 나는 공간들을 영역 단위로 그룹화 하거나, 다목적 공간으로 통합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표시합니다. 일반 학습 영역 특별 학습 영역 커뮤니티(중앙) 영역 돌봄·복지 영역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 13. 공간 영역화와 다목적화 공간 (압축) 앞서 도출한 프로그램 공간들 중 유사성이 높거나 근접 배치할 때 시너지 효과가 나는 공간들을 영역 단위로 그룹화 하거나, 다목적 공간으로 통합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구분하기 바랍니다. 신체 활동 (in)영역 지원·행정 영역 기타 영역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다목적화 공간 신체 활동 (out)영역
  • 14. 공간 조성의 우선 순위 요구한 공간들의 조성 우선 순위를 정해보시기 바랍니다. 동일 차 순위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우선 순위가 낮아집니다. (1 차 순위) (2 차 순위) (3 차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