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2017 전자회로설계 기말 고사(100)
Electronic Circuits Design
Date: June 20, 2017.
1. 이번에 본인 팀이 ICT+UD 경진대회에 출품했던 Sensor 융합작품의 상세
한 세부 구성품을 표현하는 Hardware System 분해도/계층도/관계도를 자세
히 그리시오. (20)
2. 다음 질문에 답하라. (80)
E24: 10, 11, 12, 13, 15, 16, 18, 20, 22, 24, 27, 30, 33, 36, 39, 43, 47, 51, 56, 62,
68, 75, 82, 91
1) E24 계열 저항의 선호수는 위와 같다. 77 k 을 E24 계열 저항으로 만들
경우, 필요한 최소한의 저항 개수와 저항값은 얼마인지 각각 계산하라. (10)
E24 계열 선호수를 고려하면 77 = 75+2 = 24+51 = 15+62 = 30+47 등으로
분해된다.
- 필요한 저항 개수: 2개
- 저항값: 75 k + 2 k 혹은 24 k + 51 k 등
2) 77 k 저항의 Color Code를 구성하는 4가지 색을 쓰시오. (10)
보라-보라-오렌지-금색
3) Common Emitter(CE) 구조를 가진 RF Amplifier가 정상적으로 증폭되는지
확인하려 한다. 어떻게 측정해서 확인해야 하는가? 단 CCV = 16 V, EEV 는 접
지로 가정한다. (20)
- 먼저 TR이 Active Mode인지 확인해야 한다.
= BEV = 0.7 V 근방, CEV = 8 V 근방인지 확인
= CI 가 수 mA 이상 충분히 흐르는지 확인
= 위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Active Mode이므로 TR은 증폭 가능한 상
2
태임
- 다음으로 Function Generator를 Base 부근에 연결하고, Oscilloscope를
Collector 부근에 연결하여 입력 대비 출력 신호가 증폭되었는지 확인한다.
4) AC 회로 설계할 때는 AC 전압원에 연결된 50  Source 저항은 계산에
반영하지만, AC 회로 실험시는 구현 회로에 50  Source 저항을 붙이지 않
는다. (20)
- 50  저항이 빠진 이유는 무엇인가? (10)
전압 반사를 줄이기 위해 Function Generator의 출력(혹은 내부) 저항을 50
으로 이미 설정했기 때문에, 실제 실험에서 추가적인 저항을 붙일 필요는
없다.
- 50  저항 차이로 인해 설계와 구현의 전압/전류 특성은 달라지는가? (10)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저항까지 포함하면 설계와 구현 회로는 동일하기
때문에 전압과 전류 특성은 달라지지 않고 같게 나온다.
5) 옆은 전형적인 Sensor 회로이다.
R1이 빛 세기에 따라 변하는 가변 저
항(LDR)인 경우, R1과 P1(저항)이 구
성하는 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라.
(20)
- 555 Timer의 Trigger(2번) 입력 저항이 매우 크다고 가정하면 R1과 P1은 전
압 분배기를 구성한다.
- 빛에 따라 R1 저항값이 바뀌므로 아래 전압 분배기 공식에 따라 Trigger(2
3
번)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변된다.
V
PR
P
V 5
11
1
2 


- 따라서 빛의 세기가 전압으로 변환되는 구조이므로 위 회로는 전형적인 빛
Sensor 회로가 된다.

More Related Content

DOCX
감쇄기 설계(Design of Attenuator)
DOC
2012-1 기말고사문제(전자회로설계)
DOCX
TestECD2016-1(answer)
DOCX
설계2. 오디오 증폭기(Audio Amplifier,2015-1)
DOCX
TestEcd2014-1(Answer)
DOCX
RF 증폭기 설계(Design of RF Amplifier)
DOCX
TestECD2015-1(Answer)
DOC
2006-2 기말고사문제(전자회로설계)
감쇄기 설계(Design of Attenuator)
2012-1 기말고사문제(전자회로설계)
TestECD2016-1(answer)
설계2. 오디오 증폭기(Audio Amplifier,2015-1)
TestEcd2014-1(Answer)
RF 증폭기 설계(Design of RF Amplifier)
TestECD2015-1(Answer)
2006-2 기말고사문제(전자회로설계)

What's hot (8)

DOC
2008-2 기말고사문제(전자회로설계)
DOC
2010-1 기말고사문제(전자회로설계)
DOCX
TestECD2018-1(answer)
DOCX
필터 설계(Design of Filter)
DOCX
RF 증폭기 설계(Design of RF Amplifier)-rev1
DOCX
TestEC2014-1(Answer)
DOCX
TestEC2013-1(answer)
DOCX
TestEC2017-1(answer)
2008-2 기말고사문제(전자회로설계)
2010-1 기말고사문제(전자회로설계)
TestECD2018-1(answer)
필터 설계(Design of Filter)
RF 증폭기 설계(Design of RF Amplifier)-rev1
TestEC2014-1(Answer)
TestEC2013-1(answer)
TestEC2017-1(answer)
Ad

Viewers also liked (18)

PDF
스마트디바이스구조(강의계획서)2017-2
PPTX
Introduction to Bluetooth
DOCX
TestSDS2016-1(Answer)
DOCX
TestSDIC2017-1(answer)
DOCX
TestSDIC2017-2(answer)
PPTX
Android - Phone Calls
PPTX
Android - Broadcast Receiver
PPTX
Android - Application Framework
PPTX
Introduction to IoT
DOCX
TestSDS2016-2(Answer)
PDF
ICT+UD IoT App 융합작품 개발문서(스마트디바이스구조)
PPTX
Basic Android OS
PPTX
Introduction to RTOS
PDF
ICT+UD 융합작품 개발문서(전자회로설계)
PPTX
Introduction to Smart Devices
PPTX
Android Programming
PPTX
Android - Message
PPTX
Smart Device RF & Antennas
스마트디바이스구조(강의계획서)2017-2
Introduction to Bluetooth
TestSDS2016-1(Answer)
TestSDIC2017-1(answer)
TestSDIC2017-2(answer)
Android - Phone Calls
Android - Broadcast Receiver
Android - Application Framework
Introduction to IoT
TestSDS2016-2(Answer)
ICT+UD IoT App 융합작품 개발문서(스마트디바이스구조)
Basic Android OS
Introduction to RTOS
ICT+UD 융합작품 개발문서(전자회로설계)
Introduction to Smart Devices
Android Programming
Android - Message
Smart Device RF & Antennas
Ad

More from Yong Heui Cho (20)

PPTX
Android - Sensor Manager
PPTX
Android - Broadcast Receiver
PPTX
Android - Message
PPTX
Cloud Computing
PPTX
Computing Paradigm
DOCX
TestBCD2018-2(answer)
DOCX
TestSDS2018-2(answer)
DOCX
TestEC2018-2(answer)
DOCX
TestEC2018-1(answer)
DOCX
TestBCD2018-1(answer)
DOCX
TestSDS2018-1(answer)
PPTX
BJT - Analysis of Bias
DOCX
TestCloud2018-2(answer)
DOCX
Test-SDIC2018-2(answer)
DOCX
TestCloud2018-1(answer)
PPTX
Cloud Service Model
DOCX
Test-SDIC2018-1(Answer)
PPTX
Computing Paradigm - rev1
PPTX
Cloud Deployment Model
PPTX
Cloud Computing Architecture
Android - Sensor Manager
Android - Broadcast Receiver
Android - Message
Cloud Computing
Computing Paradigm
TestBCD2018-2(answer)
TestSDS2018-2(answer)
TestEC2018-2(answer)
TestEC2018-1(answer)
TestBCD2018-1(answer)
TestSDS2018-1(answer)
BJT - Analysis of Bias
TestCloud2018-2(answer)
Test-SDIC2018-2(answer)
TestCloud2018-1(answer)
Cloud Service Model
Test-SDIC2018-1(Answer)
Computing Paradigm - rev1
Cloud Deployment Model
Cloud Computing Architecture

TestECD2017-1(answer)

  • 1. 1 2017 전자회로설계 기말 고사(100) Electronic Circuits Design Date: June 20, 2017. 1. 이번에 본인 팀이 ICT+UD 경진대회에 출품했던 Sensor 융합작품의 상세 한 세부 구성품을 표현하는 Hardware System 분해도/계층도/관계도를 자세 히 그리시오. (20) 2. 다음 질문에 답하라. (80) E24: 10, 11, 12, 13, 15, 16, 18, 20, 22, 24, 27, 30, 33, 36, 39, 43, 47, 51, 56, 62, 68, 75, 82, 91 1) E24 계열 저항의 선호수는 위와 같다. 77 k 을 E24 계열 저항으로 만들 경우, 필요한 최소한의 저항 개수와 저항값은 얼마인지 각각 계산하라. (10) E24 계열 선호수를 고려하면 77 = 75+2 = 24+51 = 15+62 = 30+47 등으로 분해된다. - 필요한 저항 개수: 2개 - 저항값: 75 k + 2 k 혹은 24 k + 51 k 등 2) 77 k 저항의 Color Code를 구성하는 4가지 색을 쓰시오. (10) 보라-보라-오렌지-금색 3) Common Emitter(CE) 구조를 가진 RF Amplifier가 정상적으로 증폭되는지 확인하려 한다. 어떻게 측정해서 확인해야 하는가? 단 CCV = 16 V, EEV 는 접 지로 가정한다. (20) - 먼저 TR이 Active Mode인지 확인해야 한다. = BEV = 0.7 V 근방, CEV = 8 V 근방인지 확인 = CI 가 수 mA 이상 충분히 흐르는지 확인 = 위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Active Mode이므로 TR은 증폭 가능한 상
  • 2. 2 태임 - 다음으로 Function Generator를 Base 부근에 연결하고, Oscilloscope를 Collector 부근에 연결하여 입력 대비 출력 신호가 증폭되었는지 확인한다. 4) AC 회로 설계할 때는 AC 전압원에 연결된 50  Source 저항은 계산에 반영하지만, AC 회로 실험시는 구현 회로에 50  Source 저항을 붙이지 않 는다. (20) - 50  저항이 빠진 이유는 무엇인가? (10) 전압 반사를 줄이기 위해 Function Generator의 출력(혹은 내부) 저항을 50 으로 이미 설정했기 때문에, 실제 실험에서 추가적인 저항을 붙일 필요는 없다. - 50  저항 차이로 인해 설계와 구현의 전압/전류 특성은 달라지는가? (10)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저항까지 포함하면 설계와 구현 회로는 동일하기 때문에 전압과 전류 특성은 달라지지 않고 같게 나온다. 5) 옆은 전형적인 Sensor 회로이다. R1이 빛 세기에 따라 변하는 가변 저 항(LDR)인 경우, R1과 P1(저항)이 구 성하는 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라. (20) - 555 Timer의 Trigger(2번) 입력 저항이 매우 크다고 가정하면 R1과 P1은 전 압 분배기를 구성한다. - 빛에 따라 R1 저항값이 바뀌므로 아래 전압 분배기 공식에 따라 Trigger(2
  • 3. 3 번)에 들어가는 전압값이 가변된다. V PR P V 5 11 1 2    - 따라서 빛의 세기가 전압으로 변환되는 구조이므로 위 회로는 전형적인 빛 Sensor 회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