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간기술동향 동향 10. 9.
최신 IT 2013.
웨어러블 스마트 키 Nymi, 심장 박동을 인증 수단으로 사용*
○ 스마트 시계가 아직은 소비자의 마음을 얻지 못하는 가운데, 심장 박동을 인증으로 사
용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키가 참신한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음
- 캐나다 토론토 소재 스타트업인 Bionym(바이오님)은 손목밴드형 스마트 키를 표방
한 ‘Nymi(나이미)’를 공개
- 나이미는 센서를 탑재한 스마트 키를 시
계처럼 손목에 착용해서 이용하며, 센서
는 이용자의 ‘ECG(Electrocardiography,
심전도)’를 판독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
- 나이미를 착용한 이용자가 반대편 손가락
<자료>: Bionym
(그림 1) 손목 착용형 스마트 키, 나이미
으로 나이미 표면의 금속 플레이트를 터치하면, 나이미 바닥 면의 센서가 팔에 접촉
하여 회로가 생성되면서 ECG 를 계측하고, 이를 바이오 신호로서 본인 확인에 이용
- 흔히 병원에서 사용되는 ECG 장비는 손과 발, 가슴 등 여러 곳에 전극을 붙이지만
나이미는 2 개의 점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
○ 바이오님은 기술 컨셉 동영상을 통해서, 나이미를 이용하면 특정한 행위를 하지 않더
라도 착용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인증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어필
- PC 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는 통상 암호를 입력하여 본인 확인을 실시하고, 아이폰
의 경우 네 자리 PIN 을 입력하거나 최근 출시된 아이폰 5S 의 경우 손가락을 홈 버
튼에 대 지문 인식으로 인증함
- 그러나 나이미를 착용하면 그 자체로 인증이 완료되는데, 가령 데스크탑 컴퓨터를 시
작할 때는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것만으로도 암호 입력 없이 시스템에 로그인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시작할 때는 나이미가 자동으로 네 자리 PIN 을 입력
- 웹사이트에서 인터넷 쇼핑을 할 때도 나이미가 인증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정보서비스팀(☎ 042-710-1771)과 ㈜크로센트 박종훈 수석 아키텍트(☎ 02-34462287, soma0722@naver.com)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NIPA 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36
www.nipa.kr
2. 최신 IT 동향
매장에서 쇼핑을 할 경우는 계산대의 신용카드 리더기에 나이미를 가져다 대는 것으
로 결제를 마칠 수도 있다는 것
○ 나이미는 향후 본인 인증 기능 이외에 “동작 인식 센서”와 “BLE 통신 프로토콜”을 이
용해서 기기를 조작하는 컨트롤러 역할도 수행할 것으로 기대
- 가령 나이미를 손목에 차고, 자동차 트렁크 앞에서 팔을 올리는 동작을 취하면 트렁
크를 열리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나이미에 탑재된 모션 센서가 팔의 움직임을 감지하
여 트렁크를 열라는 지시를 자동차에 발신하고, 자동차가 이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
- 마찬가지로 자동차에 탈 때 문 옆에서 손으로 문을 여는 동작을 취하면 잠금 해제
시킬 수도 있으며, 나이미와 자동차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라는 프로토콜을 통해 서로 교신이 가능
① ECG 인증과 동작 인식 센서로 자동차 트렁크 자동 열기 ② ECG 인증과 개인 금융정보 연계를 통해 매장에서 자동 결제
<자료>: Whistle
(그림 2) 나이미에 내장된 여러 센서 기술의 활용 예(아직 구현되지 않은 기술 컨셉 화면)
○ 나이미는 스마트 기기나 디지털 홈과 연계하여 더욱 효용성을 발휘하는데, 이용 권한
의 허락을 넘어 이용자의 기호에 따른 자동 설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
- 가령 디지털 홈이 구현된 집에서 문 앞에 서면 자동으로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기능
은 나이미의 ‘근접(Proximity)’ 센서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범위 안에 들어서
면 문에서 나이미에 접속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개발할 수 있음
- 방에 들어가면 나이미가 스마트 기기들과의 교신으로 공조를 켜고, TV 의 전원을 넣
게 되며, 온도 장치는 이용자의 기호에 맞게 최적의 온도로 자동 설정하는 것도 가능
- 거실 TV 는 이용자가 마지막으로 보던 채널과 시청이 중단된 지점을 표시해 줄 수
있으며, 여기서부터 다시 재생할 것이냐는 질문을 제시하게 되고, 이용자는 나이미를
찬 팔을 돌려 “예/아니오”로 응답하면 됨
정보통신산업진흥원
37
3. 주간기술동향 2013. 10. 9.
① ECG 인증과 근접 센서로 디지털 홈의 자동 도어락 기능 구현 ② ECG 인증과 개인 정보 설정을 연계한 스마트 TV 기능 구현
<자료>: Bionym, http://www.youtube.com/watch?v=jUO7Qnmc8vE&feature=player_detailpage
(그림 3) 나이미에 내장된 여러 센서 기술의 활용 예(아직 구현되지 않은 기술 컨셉 화면)
- 나이미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기기와도 통신을 할 수 있으며, 가령 알림 기능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으로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진동이나 LED 빛을 통해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음
○ 나이미의 ECG 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식에 대해서는 정확성 관점에서 의문이 제기되
기도 하지만 개발사인 바이오님은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
- 지문이나 홍채 등은 본인 식별 생체 인증 기술로 실적이 있지만, ECG 가 본인을 특
정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음
- 심박수를 인증에 이용하기 때문에, 가령 조깅이나 심한 운동 후에 나이미를 착용하면
인증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 등의 의문이 생김
- 이에 대해 바이오님은 나이미가 ‘ECG Biometric Verification’ 방식으로 심장의 활
동을 전기적으로 모니터하고 그 파형을 인증하는 데 사용하고 있으며, ECG 에서 측
정된 데이터는 개인마다 특유의 신호임이 학술적으로 검증되어 왔다고 설명
- 또한 나이미가 ECG 파형을 바이오 신호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심박수가 올라도 파형
은 본인 고유의 시그너처를 포함하고 있어 인증에 사용할 수 있다고 함
- 그러나 운동 후 원활하게 인증이 되지 않는 경우는, 잠시 휴식을 취하고 다시 시도해
볼 것을 권장
○ 다른 생체 인증 기술들과 마찬가지로 나이미의 가장 큰 걸림돌은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사람들의 뿌리 깊은 저항감
- 최근 발표된 아이폰 5S 의 지문 인증 기능도 바이오 메트릭스에 내재한 프라이버시
38
www.nipa.kr
4. 최신 IT 동향
침해 문제를 다시 환기시키고 있음
-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분석하는 것에 대한 소비자의 뿌리 깊은 저항감에 대해 바이
오님은 나이미에서 측정한 ECG 정보는 기기의 ‘Secure Element’에 저장되며 외부
의 서버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일은 결코 없다고 설명
- 또한 나이미를 분실해도 다른 사람이 로그인 할 수 없기 때문에, 주운 나이미를 착용
하고 자동차에 손을 흔들거나, 집 앞에 서 있어도 문은 열리지 않는다는 것
- 그러나 생체 데이터의 외부 전송에 대해서는 소비자들이 심리적으로 100% 확신하기
어려운 노릇이므로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이 나이미가 시장에서 받아들여지기 위한
최대 관건이 될 전망
○ 나이미의 성패는 두고 보아야겠지만,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간소화하는 것
이 아니라, 고기능 센서 그 자체가 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주목
- 현재 발표된 스마트 시계들과 달리 나이미는 팔찌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여기에 프
로세서가 들어가 있을 것이라는 이미지를 주지 않으려 노력하고 있음
- 이는 피트니스용 가젯인 Jawbone 의 UP 와 같이 자연스럽게 손목 밴드처럼 액세서
리로 녹아드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
- 나이미의 활용도를 높이려면 연결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쪽에 그 메커니즘을 구현해
야 하는데, 바이오님은 나이미의 개발 환경과 API 를 공개하고 개발자 전용 사이트를
마련하는 중
- 나이미는 2014 년 초부터 판매될 예정으로 현재 사전 주문을 받고 있는데, 가격은
79 달러
(The Verge, 9. 3 & Techvibes, 9. 20 & EurekAlert, 9. 23.)
정보통신산업진흥원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