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김문기
[괴물 3D 컨버젼 제작과정...]
[ 괴물3D 제작과정]


- 일반적 Conversion 워크 플로어                  - [괴물3D] 의 Conversion 워크 플로어


               Layout                                        Analysis




                Matte
                                                    In painting L/O      Lay out
                                         Scene

            Depth Map
                                                          Matte          Matte



      In painting (Clean plate)                         Depth Map



                                                            Adjust
              Rendering                          (Retouch,In painting)



                Retouch                                     Rendering
1, 장면분석

  A. 카메라의 움직임 (정량적) : Depth Map 자동추출 가능여부 판단.

B. Retouch, In painting추가 여부 판단.

 C. 자연물에 대한 처리방법 강구 (눈, 비, 연기..) – VFX 추가여부 결정.

2, Lay out 구성
3, Matte 작업.       A. In Paint : Mocha, Nuke, Aftereffects.

                       B. 일반 : Topaz Remask(Photoshop).

4, Depth map 추출.




                                   A. 자동추출한 Depth map.

                                  B. Matte 작업 데이터를 활용한 Depth map
5, Depth map Adjust.
      A. 수직라인 보정.

   B. 왜곡된 영역 보정

       C. RGB 레벨 조정을 통한 Depth 수정.



6, Final L/R Rendering.

   A. Aftereffect CS4 사용



7, S3D Digital Mastering.

  A. DI- 필름 스캔받은 원본 영상간의 밸런스 확인.


       B. S3D digital cinema package(DCP)
3D입체영화 VS
   “Realizing(3D) Movie”의 영상 개념.
[영상 개념의 차이]


       3D입체영화                   Realizing Movie(   3D)


        돌출감                        공간감 & 깊이감




       기술적 개념,                     영상미학적 개념




- 인간의 망막을 기점으로 눈앞에 보여지는 사물들과 공간감은, 극장의 스크린을 기점으로
스크린 안으로 깊이 있게 표현되어지는 영상과 같고, 스크린 밖(관객)으로의 과도한 돌출은
망막 內로 물질이 이입(移入)되는 것과 같다.
따라서, 과도한 돌출은 입체모순을 유발시켜 몰입도를 방해하고 심한 시각 피로를 느끼게 한다.
[명칭에서 오는 기대의 차이]


         3D입체영화                          Realizing Movie(3D)


관객들은 맹목적으로 무엇인가 스크린 밖으로            말 그대로 “실감영화”란 뜻.
돌출하거나 튀어나와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
들이고 있음.                            완성도 높은 영화에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느
                                   낌을 주기위해…영상의 깊이와 무한한
                                   .
                                   공간을 입체적으로 잘 표현해 주는것.
관객의 욕구를 충족 시키기위해 과장된 연출                (* 한 장의 JPG 이미지를
과 의도적 상황을 만들어 내기도 함.                           자연스런 레이어 별 PSD 이미지로 …)

- 영화의 몰입도를 방해 할 수 있음.               - 영화에 몰입도를 깊게 끌어 올려줌.
- 영화에서 가장중요한 이야기의 완성도를              - 영화에서 가장중요한 이야기의 완성도를
떨어뜨릴 수 있음.                            높여주고 극적인 재미를 느낄 수 있게해줌.




 - 3D입체영화 와 리얼라이징(3D)무비 와의 차별성은 명칭에서 오는 관객들의 기대감과 관점이 다르다는데 있다.

 따라서, 명칭의 변화를 이끌어 단순하게 3D효과의 좋고 나쁨으로 영화의 본질까지 평가하는 主客.이 전도되는
 상황을 지양토록 하여야 한다.
리얼라이징 (3D)무비 (Realizing Movie 3D)란 ?

- “리얼라이징(3D)무비”는    촬영현장에서 보고 느꼈던 사실과 감정을 카메라안에 그대로 담아
view finder 넘어로의 세상을 관객들이 보고있는 평면의 스크린에 오롯이 옮겨놓는 것이다.



- “리얼라이징(3D)무비”는     관객들에게 공간의 깊이감과 스펙타클한 사실감을 느끼게 해 주어서
관람시 몰입도를 높여주고 영화 속에서 함께 체험하고 있는듯한 생생한 즐거움 을 주기위한 작업이다.


- ” 리얼라이징(3D)무비”는   관객들의 눈은 편안하게 하고, 가슴은 요동칠 수 있도록 스크린 안으로
끝없이 숨어들어가는 장관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 “리얼라이징(3D)무비 “   에서의 3D컨버젼 작업은 한 장면 한장면 3D입체라는 올가미에 얽매여서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연출의 흐름 안에서 강약을 조절할 줄 하는 유연성을 가지고 작업을
하게 된다.



-“ 리얼라이징(3D)무비”는    실사촬영 위주의 한국영화에서 3D입체영화를 대체할 시각효과 작업이다.



- “리얼라이징(3D)무비”는    관객들에게 최상의 영화 관람기회를 제공해주기 위해 제작자 와 감독이
 취사선택해야 할 작업영역으로 인식되어져야 함.
-3D입체로 보여진다는 것만으로 영화의 본질을 바꿀 수
  잘 만들어진 3D영화의 본질             있는 것이 아니다.



                                                -재미와 완성도가 높은 3D영화에는 상
                                                대적으로 관객들이 3D효과에 비교적
                                                후한 점수를 주게 된다.
     * 짜임새있는

       구성         *극적인 연출력

    *재밌는 스토리텔링




                               -재미와 완성도가 떨어지는 영화에
                               3D효과를 얹게 되는 것은 “불 난 집
                               에 기름을 붓는 것” 과 같다.
         *훌륭한 배우들의 연기력
                                ( - 악평이 혹평으로 발전한다.)



                                 -관객들로 하여금 높은 관람료와 시간을 낭비했다는
                                 심리가 더해져 불만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 3가지 구성이 잘 어울어져 만들어진 영화 위에 3D라는 효과가
  얹어 졌을 때 비로소 관객들은 최상의 볼거리에 크게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 이미 스테레오 음향에 익숙한 현대인들이 모노 음향으로 되돌아 가려 하지 않듯이,
스테레오 영상을 접하고 익숙해진 사람들은 평평한 영상을 그리워하거나 되돌아
가려 하진 않을 것이다.



     3D는 옵션일 뿐이다.
  3D는 스펙타클만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자극하는 시각적 재미를 더해 주는 것이다.
3D는 스크린에서 툭 튀어나오는 장치가 아니라 우리를 다른 세상으로 인도하는 창이다..
  3D는 작품의 질 이나, Creative한 표현을 증폭시키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스토리 텔링이다.

More Related Content

PPT
후처리알아보기
PPTX
Uncharted4 part1
PDF
언차티드4 테크아트 파트1 톤맵핑&색보정
PPTX
7.편집 샷과샷의관계2-revised2011-10
PPTX
물은 왜 물처럼 보이는 걸까?
PPT
6.편집 샷과샷의관계2-revised2011-10
PDF
언차티드4 테크아트 파트3 MicroShadowBRDF Term
PPTX
Gamma and linear color-space
후처리알아보기
Uncharted4 part1
언차티드4 테크아트 파트1 톤맵핑&색보정
7.편집 샷과샷의관계2-revised2011-10
물은 왜 물처럼 보이는 걸까?
6.편집 샷과샷의관계2-revised2011-10
언차티드4 테크아트 파트3 MicroShadowBRDF Term
Gamma and linear color-space

What's hot (20)

PPTX
[1023 박민수] 깊이_버퍼_그림자_1
PDF
[데브루키] Color space gamma correction
PPTX
[0107 박민근] 쉽게 배우는 hdr과 톤맵핑
PPTX
1.영상의 기본단위 revised 2011
PPTX
그림자 이야기
PDF
Ndc11 이창희_hdr
PDF
언차티드4 테크아트 파트4 Special Case Materials - Moss & Wetness & Glass
PPTX
High dynamic range
PPTX
니시카와젠지의 3 d게임 팬을 위한「gravity daze」그래픽스 강좌
PDF
언차티드4 테크아트 파트2 mipFog
PPTX
The Art and Science of Digital Compositing Chapter 1,2
PPTX
10강최적화 가속화
PPTX
Siggraph2013보고서 저용량
PPTX
6강 light shadow 기초
PPTX
[1023 박민수] 깊이_버퍼_그림자
PPT
Shadow mapping 정리
PDF
Brdf기반 사전정의 스킨 셰이더
PDF
노동진 Mega splatting
PPTX
[0212 박민수]환경 매핑
PPTX
Android camera basics
[1023 박민수] 깊이_버퍼_그림자_1
[데브루키] Color space gamma correction
[0107 박민근] 쉽게 배우는 hdr과 톤맵핑
1.영상의 기본단위 revised 2011
그림자 이야기
Ndc11 이창희_hdr
언차티드4 테크아트 파트4 Special Case Materials - Moss & Wetness & Glass
High dynamic range
니시카와젠지의 3 d게임 팬을 위한「gravity daze」그래픽스 강좌
언차티드4 테크아트 파트2 mipFog
The Art and Science of Digital Compositing Chapter 1,2
10강최적화 가속화
Siggraph2013보고서 저용량
6강 light shadow 기초
[1023 박민수] 깊이_버퍼_그림자
Shadow mapping 정리
Brdf기반 사전정의 스킨 셰이더
노동진 Mega splatting
[0212 박민수]환경 매핑
Android camera basics
Ad

Viewers also liked (8)

PPTX
Jung mi vogt
PPT
John kwon
PPT
Carl callewaert
PDF
최정운
PPT
박지웅
PPTX
김윤상
PDF
[111217 아꿈사연말모임] 웹소켓과온라인게임
Jung mi vogt
John kwon
Carl callewaert
최정운
박지웅
김윤상
[111217 아꿈사연말모임] 웹소켓과온라인게임
Ad

Similar to 김문기 (19)

PDF
VR for Cinema 4D 세미나 (2016) - C4D를 활용한 Full-CG VR 영상 콘텐츠 제작 워크플로우
PPT
최신영화제작기술 Mit
PDF
Game Visual Art Technologies
PDF
NDC 2011 이은석 - 마비노기 영웅전 아트 디렉팅
PDF
[I3 d]02 information
PDF
[I3 d]02 information
PDF
[I3 d]02 information
PPT
8.effects revised
PPTX
120216 ch 12_creating_elements
PPTX
영화연출과 게임 레벨디자인에 기반한 Vr컨텐츠 제작 장명곤
PPTX
Sumie rendering
PDF
Unity3D 엔진을 활용한 게임환경 분석 및 3D 그래픽스 기술 /제작 사례
PDF
Motion blur
PPTX
자동 동적 3차원 입체시각
PPTX
Mda framework
PPTX
gametech 2012 Gladius project
PDF
Kgc make stereo game on pc
PPTX
120119 ch 7_time_and_temporal_manipulations
PPTX
8강 camera advanced light
VR for Cinema 4D 세미나 (2016) - C4D를 활용한 Full-CG VR 영상 콘텐츠 제작 워크플로우
최신영화제작기술 Mit
Game Visual Art Technologies
NDC 2011 이은석 - 마비노기 영웅전 아트 디렉팅
[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
8.effects revised
120216 ch 12_creating_elements
영화연출과 게임 레벨디자인에 기반한 Vr컨텐츠 제작 장명곤
Sumie rendering
Unity3D 엔진을 활용한 게임환경 분석 및 3D 그래픽스 기술 /제작 사례
Motion blur
자동 동적 3차원 입체시각
Mda framework
gametech 2012 Gladius project
Kgc make stereo game on pc
120119 ch 7_time_and_temporal_manipulations
8강 camera advanced light

More from Icon Busan (12)

PPTX
김윤상 수정
PPT
Minh le
PPTX
최웅규
PPTX
이호민
PPTX
신광섭
PPT
배정현
PPT
김유
PPT
Minh le
PPTX
Michael zillmer
PPTX
Michael minich
PPT
Dawn rivers
PPTX
Brian vogt
김윤상 수정
Minh le
최웅규
이호민
신광섭
배정현
김유
Minh le
Michael zillmer
Michael minich
Dawn rivers
Brian vogt

김문기

  • 2. [괴물 3D 컨버젼 제작과정...]
  • 3. [ 괴물3D 제작과정] - 일반적 Conversion 워크 플로어 - [괴물3D] 의 Conversion 워크 플로어 Layout Analysis Matte In painting L/O Lay out Scene Depth Map Matte Matte In painting (Clean plate) Depth Map Adjust Rendering (Retouch,In painting) Retouch Rendering
  • 4. 1, 장면분석 A. 카메라의 움직임 (정량적) : Depth Map 자동추출 가능여부 판단. B. Retouch, In painting추가 여부 판단. C. 자연물에 대한 처리방법 강구 (눈, 비, 연기..) – VFX 추가여부 결정. 2, Lay out 구성
  • 5. 3, Matte 작업. A. In Paint : Mocha, Nuke, Aftereffects. B. 일반 : Topaz Remask(Photoshop). 4, Depth map 추출. A. 자동추출한 Depth map. B. Matte 작업 데이터를 활용한 Depth map
  • 6. 5, Depth map Adjust. A. 수직라인 보정. B. 왜곡된 영역 보정 C. RGB 레벨 조정을 통한 Depth 수정. 6, Final L/R Rendering. A. Aftereffect CS4 사용 7, S3D Digital Mastering. A. DI- 필름 스캔받은 원본 영상간의 밸런스 확인. B. S3D digital cinema package(DCP)
  • 7. 3D입체영화 VS “Realizing(3D) Movie”의 영상 개념.
  • 8. [영상 개념의 차이] 3D입체영화 Realizing Movie( 3D) 돌출감 공간감 & 깊이감 기술적 개념, 영상미학적 개념 - 인간의 망막을 기점으로 눈앞에 보여지는 사물들과 공간감은, 극장의 스크린을 기점으로 스크린 안으로 깊이 있게 표현되어지는 영상과 같고, 스크린 밖(관객)으로의 과도한 돌출은 망막 內로 물질이 이입(移入)되는 것과 같다. 따라서, 과도한 돌출은 입체모순을 유발시켜 몰입도를 방해하고 심한 시각 피로를 느끼게 한다.
  • 9. [명칭에서 오는 기대의 차이] 3D입체영화 Realizing Movie(3D) 관객들은 맹목적으로 무엇인가 스크린 밖으로 말 그대로 “실감영화”란 뜻. 돌출하거나 튀어나와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 들이고 있음. 완성도 높은 영화에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느 낌을 주기위해…영상의 깊이와 무한한 . 공간을 입체적으로 잘 표현해 주는것. 관객의 욕구를 충족 시키기위해 과장된 연출 (* 한 장의 JPG 이미지를 과 의도적 상황을 만들어 내기도 함. 자연스런 레이어 별 PSD 이미지로 …) - 영화의 몰입도를 방해 할 수 있음. - 영화에 몰입도를 깊게 끌어 올려줌. - 영화에서 가장중요한 이야기의 완성도를 - 영화에서 가장중요한 이야기의 완성도를 떨어뜨릴 수 있음. 높여주고 극적인 재미를 느낄 수 있게해줌. - 3D입체영화 와 리얼라이징(3D)무비 와의 차별성은 명칭에서 오는 관객들의 기대감과 관점이 다르다는데 있다. 따라서, 명칭의 변화를 이끌어 단순하게 3D효과의 좋고 나쁨으로 영화의 본질까지 평가하는 主客.이 전도되는 상황을 지양토록 하여야 한다.
  • 10. 리얼라이징 (3D)무비 (Realizing Movie 3D)란 ? - “리얼라이징(3D)무비”는 촬영현장에서 보고 느꼈던 사실과 감정을 카메라안에 그대로 담아 view finder 넘어로의 세상을 관객들이 보고있는 평면의 스크린에 오롯이 옮겨놓는 것이다. - “리얼라이징(3D)무비”는 관객들에게 공간의 깊이감과 스펙타클한 사실감을 느끼게 해 주어서 관람시 몰입도를 높여주고 영화 속에서 함께 체험하고 있는듯한 생생한 즐거움 을 주기위한 작업이다. - ” 리얼라이징(3D)무비”는 관객들의 눈은 편안하게 하고, 가슴은 요동칠 수 있도록 스크린 안으로 끝없이 숨어들어가는 장관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 “리얼라이징(3D)무비 “ 에서의 3D컨버젼 작업은 한 장면 한장면 3D입체라는 올가미에 얽매여서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연출의 흐름 안에서 강약을 조절할 줄 하는 유연성을 가지고 작업을 하게 된다. -“ 리얼라이징(3D)무비”는 실사촬영 위주의 한국영화에서 3D입체영화를 대체할 시각효과 작업이다. - “리얼라이징(3D)무비”는 관객들에게 최상의 영화 관람기회를 제공해주기 위해 제작자 와 감독이 취사선택해야 할 작업영역으로 인식되어져야 함.
  • 11. -3D입체로 보여진다는 것만으로 영화의 본질을 바꿀 수 잘 만들어진 3D영화의 본질 있는 것이 아니다. -재미와 완성도가 높은 3D영화에는 상 대적으로 관객들이 3D효과에 비교적 후한 점수를 주게 된다. * 짜임새있는 구성 *극적인 연출력 *재밌는 스토리텔링 -재미와 완성도가 떨어지는 영화에 3D효과를 얹게 되는 것은 “불 난 집 에 기름을 붓는 것” 과 같다. *훌륭한 배우들의 연기력 ( - 악평이 혹평으로 발전한다.) -관객들로 하여금 높은 관람료와 시간을 낭비했다는 심리가 더해져 불만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 3가지 구성이 잘 어울어져 만들어진 영화 위에 3D라는 효과가 얹어 졌을 때 비로소 관객들은 최상의 볼거리에 크게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 12. - 이미 스테레오 음향에 익숙한 현대인들이 모노 음향으로 되돌아 가려 하지 않듯이, 스테레오 영상을 접하고 익숙해진 사람들은 평평한 영상을 그리워하거나 되돌아 가려 하진 않을 것이다. 3D는 옵션일 뿐이다. 3D는 스펙타클만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자극하는 시각적 재미를 더해 주는 것이다. 3D는 스크린에서 툭 튀어나오는 장치가 아니라 우리를 다른 세상으로 인도하는 창이다.. 3D는 작품의 질 이나, Creative한 표현을 증폭시키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스토리 텔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