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Design Thinking” is identified as an exciting new paradigm for
dealing with problems in many professions, most notably
Information Technology (IT) (e.g Brooks, 2010) and Business
(e.g. Martin, 2009).”
Dorst, K. (2011). The core of ‘design thinking’ and its application. Design studies, 32(6), 521-532.
5.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 + ??? leads to VALUE
(thing) (scenario) (aspired)
|Abductive Thinking Roozenburg (1995)
WHAT + HOW leads to Result
(thing) (Working principle) (observed)
WHAT + HOW leads to ???
WHAT + ??? leads to Result
연역
Deduction
귀납
Induction
??? + HOW leads to Result귀추-2
abduction
귀추-2
abduction
Pierce의
연역, 귀납, 귀추
6.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 Design Thinker의 성격 프로필
Empathy.
They can imagine the world
from multiple perspectives—those
of colleagues, clients, end users,
and customers (current and
prospective). By taking a “people
first” approach, design thinkers
can imagine solutions that are
inherently desirable and meet
explicit or latent needs. Great
design thinkers observe the world
in minute detail. They notice
things that others do not and
use their insights to inspire
innovation.
Integrative thinking.
They not only rely on analytical
processes (those that produce
either/ or choices) but also exhibit
the ability to see all of the
salient—and sometimes
contradictory—aspects of a
confounding problem and create
novel solutions that go beyond and
dramatically improve on existing
alternatives.
Optimism.
They assume that no matter
how challenging the constraints of
a given problem, at least one
potential solution is better than
the existing alternatives.
Experimentalism.
Significant innovations don’t come
from incremental tweaks. Design
thinkers pose questions and
explore constraints in creative
ways that proceed in entirely
new directions.
Collaboration.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products, services, and experiences
has replaced the myth of the lone
creative genius with the reality of
the enthusiastic interdisciplinary
collaborator. The best design
thinkers don’t simply work
alongside other disciplines;
many of them have significant
experience in more than one.
Tim Brown (2008, 2009)
17.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로지컬 씽킹이란
‘파다 만 우물을 놔두고 또 다른 곳을 팔 수는 없다.’
라는 생각으로 한곳만 계속 파는 것이고,
래터럴 씽킹이란
다른 곳에도 구멍을 팔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방식이다.
에드워드 드 보노(Edward de bono, 창의적 사고의 대가)
23.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 연역법
?
| 귀납법
과거에 의존
귀납법과 연역법은 “예전에도 그랬으니 나중에도 그럴 것이다”. 라는 과거의 지식을 미래에도
똑같이 적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지식 창조가 쉽지 않고, 새로운 사실에 대한 추론이 부족하다.
24.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귀추논리는 현재 결과와 현상을 토대로 이유에 대한 가설을 세워
가설에 대한 지식을 탐문하는 과정으로, 기존의 지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놀랄만한 사실 C”가 발견되야 한다.
발견한 현상 WHY?
WHERE?
WHAT?
왜 저런 현상이
나타났는가?
어디에서 저런
현상들이 나타났는가?
그 주변에는 어떠한
맥락과 단서들이 있는가?
| 새로운 지식과정에서의 귀추논리
놀랄만한 C=
흰색
26.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물고기 화석
발견
연역 : 물고기 화석이 발견되는 곳은 바다였던 곳이다. 그래서 이곳은 예전에 바다였다.
귀납 : 주변에 물고기 화석이 많다. 그럼 이곳은 바다였을 수 있다.
27.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물고기 화석
발견
귀추 가설 1:
누가 파 묻었다.
놀랄만한 C=
이곳은 바다와 상당히 먼 육지이다.
주변 흔적 탐색(귀납)
주변 탐문(귀납)
귀추 가설 2:
과거에 이곳은 바다였다.
지식 동원(연역)
주변 관찰(귀납)
지식인 검색(연역)
29.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물고기 화석
발견
놀랄만한
C 발견
가설설정
추론
탐색
실험
새로운
지식
새로운 원리가
되기까지 다양한 실험
현상발견
(관심)
| 새로운 지식과정에서의 귀추논리
30.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물고기 화석
발견
Define Ideate Prototype Test
Empathize
| 새로운 지식과정에서의 귀추논리
31.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물고기 화석
발견
Define Ideate Prototype Test
Empathize
| Design Thinking Process
32.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물고기 화석
발견
놀랄만한
C 발견
가설설정
추론
탐색
실험
새로운
지식
새로운 원리가
되기까지 다양한 실험
현상발견
(관심)
| 새로운 지식과정에서의 귀추논리
귀추논리과정
33.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 새로운 지식과정에서의 귀추논리
물리의 기초개념으로 이끌어주는
귀납적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중략)
이론이란 것이 경험에서 귀납으로
나온다는 믿는 이론가들은 틀렸다.
34.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ABDUCTIVE INSIGHT
“인간이 올바르게 추측하는 능력”
모든 인간에게
올바르게 추축하는
능력이 있다.
-Pierce
왜 그럴까?
35.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귀추법의 핵심은 호기심이다.
관찰된 사실만을 인정하고,
이를 설명하는 이론은 모두 가설로 남겨두고
끝까지 호기심을 버리지 않고,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할 때
귀추논리적 통찰이 가능해진다.
Emphasis
Emphasis
Define
Prototype
Test
36. DESIGN THINGKING KGIT FALL SEMESTER @ JYLEE
창의력의 조합이란,
개인의 숙련, 규범이 있는 문화권,
사회적 수용에서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