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SPRING KAYWON UNIVERSITY OF ART & DESIGN

INDUSTRIAL DESIGN LAB

USER EXPERIENCE

DESIGN
사용자경험디자인
kwonjeongeun@naver.com

7강 Step . 분석 :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 251
복습 : 관찰 단계
분석 단계 : 방법
중간 공유 형식
팀별 관찰 단계 진행
/ 252
제품에 대한 점진적/기능/사용성 개선?
What
제품, Product, 물건, 사물
관찰의 목적
/ 253
근본적인 개선점을 찾고
사용자의 잠재적 욕구를 찾아
혁신적 사용자 경험을 제시
사용자는 Why, 왜 그렇게 ~ 하지?
관찰의 목적, What if
/ 254
현장 중심, 인터뷰 중심의 조사
에스노그래피(Ethnography)
심층 현장 인터뷰(Contextual Interview)
FGI(Focus Group Interview)
UFGI(Unfocus Group Interview)
고객 여정 지도(Customer Journey Map)
고객의 신발로 걸어보기(Walking in the customer’s shoes)
관찰의 방법
/ 345
“맥도날드는 밀크셰이크의 매출을 늘리고 싶다.”
사업, 마케팅 관찰 조사는 어떻게 다른가?
/ 256 출처 : 역발상 경영을 외치다 조선일보 2007년 3월 23일 기사
“맥도날드는 밀크셰이크의 매출을 늘리고 싶다.”
디자인 관찰 조사는 어떻게 다른가?
/ 257
“제품 그 자체에서 고객이 제품을 왜 구매하는지로 바꿔야 한다."
출처 : 역발상 경영을 외치다 조선일보 2007년 3월 23일 기사
손님 중 절반은 아침에 혼자 방문해 단품으로 구매
“밀크셰이크가 무슨 역할을 하기에 아침부터 구입하는 걸까?”
지루하고 허기지며 빈속이던 출근 상황을 해결하고 싶음
주문 시간은 짧지만 출근하는 동안 입이 심심하지 않고 부스러기가 생기지 않아
귀찮지 않은 밀크셰이크를 구입한 것.
디자인 관찰 조사는 어떻게 다른가?
/ 258 출처 : 역발상 경영을 외치다 조선일보 2007년 3월 23일 기사
고객 관찰 결과
출처 : 역발상 경영을 외치다 조선일보 2007년 3월 23일 기사
디자인 관찰 조사는 어떻게 다른가?
걸쭉한 스무디를 아침 시간의 새로운 메뉴로 보강
바쁜 출근 시간을 아낄 드라이브 스루나 선불카드 발매 등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
밀크셰이크의 재료를 고민하더라도 우유의 품질이 아닌
지루함을 해결할 수 있는 씹는 재미를 고려해 보는 건 어떤가?
문제 해결을 위해 할 일
/ 259
복습 : 관찰 단계
분석 단계 : 방법
중간 공유 형식
팀별 관찰 단계 진행
/ 2510
남들보다 더 생각하면 생각은 깊어지고 넓어지고
그러다 보면 창조적인 사람이 된다.
나는 그런 사람들을 존경한다.
- 관점 디자이너 박용후 <관점을 디자인하라>
/ 2511
사용자 중심 디자인 프로세스
이해 관찰 분석 발상 제작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사용자와 환경을
앉아서 조사하고
근본적인 문제를 인지
데스크 리서치
사용자와 환경으로
들어가서 조사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
필드 리서치
사용자의 행동/감정에
숨겨진 이유를
찾고 설명
숨겨진 니즈를
발견한다.
/ 2512
맥락 분석
Context Analysis
사용자 분석
User Analysis
과업 분석
Task Analysis
목적물의 사용자는 누구인가?
무얼 원하는가?
그렇게 생각하는 진짜 원인
이 무엇인가?
조사 분석 프레임
어떤 과업을 수행하나?
어떻게 과업을 수행하는가?
이들은 어떤 환경 속에 놓여있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무엇인가?
/ 2513
목적물의 사용자는 누구인가?
물리적 특성 : 사용자의 연령, 성별, 사는 지역, 신체적 특성 등
심리적 특성 : 사용자의 태도, 동기, 선호도, 만족도 등
경험 및 지식 : 서비스 이용 여부, 이용 기간, 이용 횟수, 관련
지식 보유 여부 등
이용 형태적 특성 : 평소 주 이용 기능, 서비스 이용 순서, 이용
상 특징 등
사용자 분석(User Analysis)
조사 분석 프레임
/ 2514
어떤 과업을 수행하나? 어떻게 과업을 수행하나?
행위 단계로 따른 것 :
냉장고 문을 연다 > 냉장고에서 물병을 집어 든다 > 물컵을 집는다 > 물
병의 물을 물컵으로 옮긴다 > 물을 마신다
인지 단계로 따른 것 :
물을 마시고 싶다 > 냉장고를 찾는다 > 냉장고에서 물을 찾는다 >
물병을 선택한다 > 물컵의 위치를 기억해낸다 > 물컵을 선택한다 >
물병의 물을 물컵에 따르기로 결정한다 > …
과업 분석(Task Analysis)
조사 분석 프레임
/ 2515
어떤 환경 속에 놓여있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무엇인가?
물리적 맥락 : 시간, 요일, 온도, 계절, 위치, 공간, 움직임, 동선 등
사회적 맥락 : 사용자의 소속, 주위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정도, 정
보로부터의 거리 등
문화적 맥락 : 나라만의 독특한 문화(다른 나라와 비교. 지구 관점
과 비교)
맥락 분석(Context Analysis)
조사 분석 프레임
/ 2516
1장의 결과 요약 문서를 먼저 작성하며,
발견의 우선순위를 표시해 중요한 발견 사항을 강조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린다.
발견 사항은 최소 5가지를 제시한다.
결과 요약 다음 장부터는 조사 프레임워크에 따라 구체적으로
결과 내용을 기술한다. 각 결과 페이지에는 관찰 사진과
FEOA(Fact 사실, Evidence 근거, Opinion 의견,
Application 활용 방안)를 담아서 내용을 탄탄하게 만든다.
결과 보고
/ 2517
결과 요약 예제
/ 2518
구매 시간은 짧게
먹는 시간은 길게 만드는 경험
1. 밀크셰이크의 주요 고객은 아침 출근길 구매자이다.
출근길에 지루함을 달래기 위함.
2. 다른 음식으로 대체한 경험이 있다.
금방 다가올 허기를 대비함.
3… 5. 이해/관찰 단계에서 발견한 사실
사용자 행동/감정의 숨겨진 이유
이해/관찰 단계에서 발견한 사실. 최소 5가지 준비
사용자 행동/감정의 숨겨진 이유
000에 집중된 경험 방향 제시
1. 밀크셰이크의 주요 고객은 아침 출근길 구매자이다.
사진
사진
승용차를 타고 혼자 오는 사용자가 50%를 차지했고
이 중 00%는 단품을 구매했다.
구매 후, 차를 타고 바로 이동했다.
~ 하는 거로 봐서 매장 입장부터 나감까지 조급함과 서두름이 목격됐
다.
[특징]
바로 주문 및 픽업 가능한 시스템 제공
예 : 밀크셰이크 전용 자판기, 선불 카드, 미리 주문하고 픽업
차에서 내리지 않고 구매 시스템 제공
예 : 드라이브 스루(Drive-Thru)
[활용방안]
사실 F
의견 O
근거 E
구체적 결과 내용 예제
/ 2519
활용방안 A
2. 다른 음식으로 대체한 경험이 있다.
사진
사진
바나나는 다 먹는 데 3분 걸렸다. 하지만 바로 배가 고파졌다.
도넛은 손과 운전대에 기름기가 묻었고 부스러기가 떨어졌다. 1시간
동안 포만감이 지속되었다. 밀크셰이크의 포만감은 1시간 정도 갔
다. 자차 운전자에게 포만감은 높고 먹기 깔끔한 음식이 필요하다.
[특징]
먹는 시간이 길게 걸쭉히 만든다.
마시는 것이 지루할 수 있으니 씹는 맛을 더 한다.
예 : 과일 또는 크런치 한 음식 추가
포만감이 높은 셰이크를 기획한다.
[활용방안]
사실 F
의견 O
근거 E
구체적 결과 내용 예제
/ 2520
활용방안 A
복습 : 관찰 단계
분석 단계 : 방법
중간 공유 형식
팀별 관찰 단계 진행
/ 2521
PPT 10장 내 구성
커버
/
목차
/
이해 단계의 내용
팀의 목적물 소개와 팀의 B.Q와 Answer(목적물의 근본 원인) 제시(알아 본 내용 포함)
/
관찰 단계의 내용
팀의 사용자 조사 목표 소개, 조사 대상, 조사 방법 및 진행 모습 소개
/
분석 단계의 내용
결과 요약 1장 + 구체적 결과 내용 N장 - > 경험 방향 제시
준수사항
/ 2522
복습 : 관찰 단계
분석 단계 : 방법
중간 공유 형식
팀별 관찰 단계 진행
/ 2523
[조사 배경]
스타일 서비스에 여성 사용자 유입 증가를 위해 어필할 기회 요소 발굴
여성 사용자의 모바일, 태블릿 디바이스 이용 증가에 따른 대응 수준 확인
[조사 목적]
스타일 서비스에 20~30대 초반 여성 사용자의 패션/뷰티/쇼핑 콘텐츠 형태를 이해하고
향후 태블릿에서 제공할 신규 애플리케이션 스타일 서비스의 콘셉트 방향성 도출
[조사 목표]
사용자들의 평소 패션/뷰티/쇼핑 정보 소비 행태 확인
사용자들의 평소 태블릿 이용 행태 확인
태블릿 사용자들의 평소 패션/뷰티/쇼핑 정보 소비 패턴 및 니즈 발견
[조사 대상]
기간 : 2020년 0월 0일(금) ~ 0월 0일(금)
참여자 : 총 N명
홈 비지트 참여자 선정 기준 : [공통] 스타일 서비스 사용자, [연령] 20대, 30대 초반, [거주지] 서울에 거주하는 여성
언포커스 그룹 인터뷰 참여자 선정 기준 : [공통] 스타일 서비스 사용자, 언포커스 그룹 사용자 정의
[조사 방법 및 내용]
홈 비지트와 언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두 가지 방법으로 조사 진행
[분석 관점]
20~30대 여성의 Life/Style/Shopping에 관한 소비 형태를 User, Task, Context 가지 관점으로 분석
/ 2524
끝.
kwonjeongeun@naver.com

다음 주 과제 : 팀별 관찰/분석 단계 진행
추천 도서
<명견만리 1> 인구, 경제, 북한, 의료 편
<명견만리 2> 윤리, 기술, 중국, 교육 편
<명견만리 3> 정치, 생애, 직업, 탐구 편
<명견만리 4> 불평등, 병리, 금융, 지역 편
/ 2525

More Related Content

PDF
11th.lecture.step4.ideation2
PDF
9th.lecture.step3.analysis
PDF
3rd.lecture.why.user.experience
PDF
10th.lecture.step4.ideation
PDF
8th.lecture.step2.observation
PDF
10th.lecture.step4.ideation 20190510
PDF
6th.lecture.step2.observation.20190412
PDF
11th.lecture.step4.ideation
11th.lecture.step4.ideation2
9th.lecture.step3.analysis
3rd.lecture.why.user.experience
10th.lecture.step4.ideation
8th.lecture.step2.observation
10th.lecture.step4.ideation 20190510
6th.lecture.step2.observation.20190412
11th.lecture.step4.ideation

What's hot (20)

PDF
4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921
PDF
8th.lecture.middle.pt.guideline
PDF
7th.lecture.step3.analysis.20190419
PPTX
Research method
PDF
9th.lecture.step3.analysis.20180504
PDF
7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420
PDF
13th.lecture.step4.ideation 2
PDF
14th.lecture.the.critical.view.about.ux.20180608
PDF
5th.lecture.step3.analysis.20180928
PDF
[Seminar]2nd.lecture.uxui.consulting.20210713
PDF
[Seminar]3rd.lecture.uxui.proposal.20210727
PDF
7th.lecture.step5.prototyping.20181012
PDF
8th.lecture.about.good.user.uxperience.design.20181102
PDF
1st.lecture.introduction
PDF
3rd.lecture.why.user.experience.20190322
PDF
5th.Lecture.Purpose.of.Project.pdf
PDF
13th.lecture.step5.prototyping 20190531
PDF
3rd.lecture.why.user.experience
PDF
14th.lecture.about.usability
PPTX
UX 디자인에서 사용자를 정의하는 3가지방법
4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921
8th.lecture.middle.pt.guideline
7th.lecture.step3.analysis.20190419
Research method
9th.lecture.step3.analysis.20180504
7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420
13th.lecture.step4.ideation 2
14th.lecture.the.critical.view.about.ux.20180608
5th.lecture.step3.analysis.20180928
[Seminar]2nd.lecture.uxui.consulting.20210713
[Seminar]3rd.lecture.uxui.proposal.20210727
7th.lecture.step5.prototyping.20181012
8th.lecture.about.good.user.uxperience.design.20181102
1st.lecture.introduction
3rd.lecture.why.user.experience.20190322
5th.Lecture.Purpose.of.Project.pdf
13th.lecture.step5.prototyping 20190531
3rd.lecture.why.user.experience
14th.lecture.about.usability
UX 디자인에서 사용자를 정의하는 3가지방법
Ad

Similar to 7th.lecture.step3.analysis (20)

PDF
8th.Lecture.Step3.Analysis.pdf
PDF
8th.Lecture.Step3.Analysis.pdf
PDF
7th.Lecture.Step2.Observation.pdf
PDF
7th.Lecture.Step2.Observation.pdf
PDF
6th.lecture.step2.observation
PDF
4th.lecture.purpose.of.project.20190329
PDF
김동환 서비스경험디자인 워크숍
PDF
5th.Lecture.Purpose.of.Project.pdf
PDF
UX스튜디오_ 1 인터랙션디자인
PDF
서비스디자인 for 한국HCI연구회 (Short Version)
PDF
Ux research guide
PPTX
기획형 리서치
PPTX
국민디자인단 운영툴킷 통합본 (ppt)
PDF
Service design tool
PDF
서비스디자인 워킹그룹 운영 툴 킷
PDF
DesignThinking_11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
PDF
퍼소나로 완성하는 인터랙션 디자인
PDF
[BSD]DISCOVERy
PDF
[BSD]SD_DISCOVER
PPTX
색채론 0919 리서치진행중.docx
8th.Lecture.Step3.Analysis.pdf
8th.Lecture.Step3.Analysis.pdf
7th.Lecture.Step2.Observation.pdf
7th.Lecture.Step2.Observation.pdf
6th.lecture.step2.observation
4th.lecture.purpose.of.project.20190329
김동환 서비스경험디자인 워크숍
5th.Lecture.Purpose.of.Project.pdf
UX스튜디오_ 1 인터랙션디자인
서비스디자인 for 한국HCI연구회 (Short Version)
Ux research guide
기획형 리서치
국민디자인단 운영툴킷 통합본 (ppt)
Service design tool
서비스디자인 워킹그룹 운영 툴 킷
DesignThinking_11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
퍼소나로 완성하는 인터랙션 디자인
[BSD]DISCOVERy
[BSD]SD_DISCOVER
색채론 0919 리서치진행중.docx
Ad

More from Judy Kwon (20)

PDF
DesignThinking_14th.Lecture.Final.PT.Guideline.pdf 자료
PDF
DesignThinking_13th.Lecture.Step.3.Ideate.pdf 자료
PDF
DesignThinking_12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PDF
DesignThinking_10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
PDF
DesignThinking_9th.Lecture.Understanding.Design.Thinking.pdf 자료
PDF
DesignThinking_7th.Lecture.3.5.Dollar.Design.Workshop.pdf 자료
PDF
DesignThinking_6th.Lecture.Shape.Mix.Workshop.Part.2.pdf 자료
PDF
DesignThinking_5th.Lecture.Shape.Mix.Workshop.Part.1.pdf 자료
PDF
DesignThinking_4th.Lecture.Scale.Mix.Workshop.pdf 자료
PDF
DesignThinking_3rd.Lecture.Context.Mix.Workshop.pdf 자료
PDF
DesignThinking_2nd.Lecture.Warm-Up.pdf 자료
PDF
DesignThinking_1st.Lecture.Introduction.pdf 자료
PDF
InterfaceDesign_14th.lecture.Final.Exam.Guideline.pdf 자료
PDF
InterfaceDesign_13th.lecture.UI.Design.pdf 자료
PDF
InterfaceDesign_12th.lecture.Wireframe.and.Prototype.pdf 자료
PDF
[SpecialLecture] Design.and.User.Experience.Design.pdf
PDF
InterfaceDesign_11th.lecture.Sketch.pdf 자료
PDF
InterfaceDesign_10th.lecture.Introduction.of.Final.Exam.pdf 자료
PDF
InterfaceDesign_8th.lecture.MidTerms.Guideline.pdf 자료
PDF
InterfaceDesign_7th.Lecture.InformationArchitecture_2.pdf 자료
DesignThinking_14th.Lecture.Final.PT.Guideline.pdf 자료
DesignThinking_13th.Lecture.Step.3.Ideate.pdf 자료
DesignThinking_12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DesignThinking_10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
DesignThinking_9th.Lecture.Understanding.Design.Thinking.pdf 자료
DesignThinking_7th.Lecture.3.5.Dollar.Design.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6th.Lecture.Shape.Mix.Workshop.Part.2.pdf 자료
DesignThinking_5th.Lecture.Shape.Mix.Workshop.Part.1.pdf 자료
DesignThinking_4th.Lecture.Scale.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3rd.Lecture.Context.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2nd.Lecture.Warm-Up.pdf 자료
DesignThinking_1st.Lecture.Introduction.pdf 자료
InterfaceDesign_14th.lecture.Final.Exam.Guideline.pdf 자료
InterfaceDesign_13th.lecture.UI.Design.pdf 자료
InterfaceDesign_12th.lecture.Wireframe.and.Prototype.pdf 자료
[SpecialLecture] Design.and.User.Experience.Design.pdf
InterfaceDesign_11th.lecture.Sketch.pdf 자료
InterfaceDesign_10th.lecture.Introduction.of.Final.Exam.pdf 자료
InterfaceDesign_8th.lecture.MidTerms.Guideline.pdf 자료
InterfaceDesign_7th.Lecture.InformationArchitecture_2.pdf 자료

7th.lecture.step3.analysis

  • 1. SPRING KAYWON UNIVERSITY OF ART & DESIGN INDUSTRIAL DESIGN LAB USER EXPERIENCE DESIGN 사용자경험디자인 kwonjeongeun@naver.com 7강 Step . 분석 :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 251
  • 2. 복습 : 관찰 단계 분석 단계 : 방법 중간 공유 형식 팀별 관찰 단계 진행 / 252
  • 3. 제품에 대한 점진적/기능/사용성 개선? What 제품, Product, 물건, 사물 관찰의 목적 / 253
  • 4. 근본적인 개선점을 찾고 사용자의 잠재적 욕구를 찾아 혁신적 사용자 경험을 제시 사용자는 Why, 왜 그렇게 ~ 하지? 관찰의 목적, What if / 254
  • 5. 현장 중심, 인터뷰 중심의 조사 에스노그래피(Ethnography) 심층 현장 인터뷰(Contextual Interview) FGI(Focus Group Interview) UFGI(Unfocus Group Interview) 고객 여정 지도(Customer Journey Map) 고객의 신발로 걸어보기(Walking in the customer’s shoes) 관찰의 방법 / 345
  • 6. “맥도날드는 밀크셰이크의 매출을 늘리고 싶다.” 사업, 마케팅 관찰 조사는 어떻게 다른가? / 256 출처 : 역발상 경영을 외치다 조선일보 2007년 3월 23일 기사
  • 7. “맥도날드는 밀크셰이크의 매출을 늘리고 싶다.” 디자인 관찰 조사는 어떻게 다른가? / 257 “제품 그 자체에서 고객이 제품을 왜 구매하는지로 바꿔야 한다." 출처 : 역발상 경영을 외치다 조선일보 2007년 3월 23일 기사
  • 8. 손님 중 절반은 아침에 혼자 방문해 단품으로 구매 “밀크셰이크가 무슨 역할을 하기에 아침부터 구입하는 걸까?” 지루하고 허기지며 빈속이던 출근 상황을 해결하고 싶음 주문 시간은 짧지만 출근하는 동안 입이 심심하지 않고 부스러기가 생기지 않아 귀찮지 않은 밀크셰이크를 구입한 것. 디자인 관찰 조사는 어떻게 다른가? / 258 출처 : 역발상 경영을 외치다 조선일보 2007년 3월 23일 기사 고객 관찰 결과
  • 9. 출처 : 역발상 경영을 외치다 조선일보 2007년 3월 23일 기사 디자인 관찰 조사는 어떻게 다른가? 걸쭉한 스무디를 아침 시간의 새로운 메뉴로 보강 바쁜 출근 시간을 아낄 드라이브 스루나 선불카드 발매 등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 밀크셰이크의 재료를 고민하더라도 우유의 품질이 아닌 지루함을 해결할 수 있는 씹는 재미를 고려해 보는 건 어떤가? 문제 해결을 위해 할 일 / 259
  • 10. 복습 : 관찰 단계 분석 단계 : 방법 중간 공유 형식 팀별 관찰 단계 진행 / 2510
  • 11. 남들보다 더 생각하면 생각은 깊어지고 넓어지고 그러다 보면 창조적인 사람이 된다. 나는 그런 사람들을 존경한다. - 관점 디자이너 박용후 <관점을 디자인하라> / 2511
  • 12. 사용자 중심 디자인 프로세스 이해 관찰 분석 발상 제작 step 1 step 2 step 3 step 4 step 5 사용자와 환경을 앉아서 조사하고 근본적인 문제를 인지 데스크 리서치 사용자와 환경으로 들어가서 조사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 필드 리서치 사용자의 행동/감정에 숨겨진 이유를 찾고 설명 숨겨진 니즈를 발견한다. / 2512
  • 13. 맥락 분석 Context Analysis 사용자 분석 User Analysis 과업 분석 Task Analysis 목적물의 사용자는 누구인가? 무얼 원하는가? 그렇게 생각하는 진짜 원인 이 무엇인가? 조사 분석 프레임 어떤 과업을 수행하나? 어떻게 과업을 수행하는가? 이들은 어떤 환경 속에 놓여있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무엇인가? / 2513
  • 14. 목적물의 사용자는 누구인가? 물리적 특성 : 사용자의 연령, 성별, 사는 지역, 신체적 특성 등 심리적 특성 : 사용자의 태도, 동기, 선호도, 만족도 등 경험 및 지식 : 서비스 이용 여부, 이용 기간, 이용 횟수, 관련 지식 보유 여부 등 이용 형태적 특성 : 평소 주 이용 기능, 서비스 이용 순서, 이용 상 특징 등 사용자 분석(User Analysis) 조사 분석 프레임 / 2514
  • 15. 어떤 과업을 수행하나? 어떻게 과업을 수행하나? 행위 단계로 따른 것 : 냉장고 문을 연다 > 냉장고에서 물병을 집어 든다 > 물컵을 집는다 > 물 병의 물을 물컵으로 옮긴다 > 물을 마신다 인지 단계로 따른 것 : 물을 마시고 싶다 > 냉장고를 찾는다 > 냉장고에서 물을 찾는다 > 물병을 선택한다 > 물컵의 위치를 기억해낸다 > 물컵을 선택한다 > 물병의 물을 물컵에 따르기로 결정한다 > … 과업 분석(Task Analysis) 조사 분석 프레임 / 2515
  • 16. 어떤 환경 속에 놓여있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무엇인가? 물리적 맥락 : 시간, 요일, 온도, 계절, 위치, 공간, 움직임, 동선 등 사회적 맥락 : 사용자의 소속, 주위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정도, 정 보로부터의 거리 등 문화적 맥락 : 나라만의 독특한 문화(다른 나라와 비교. 지구 관점 과 비교) 맥락 분석(Context Analysis) 조사 분석 프레임 / 2516
  • 17. 1장의 결과 요약 문서를 먼저 작성하며, 발견의 우선순위를 표시해 중요한 발견 사항을 강조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린다. 발견 사항은 최소 5가지를 제시한다. 결과 요약 다음 장부터는 조사 프레임워크에 따라 구체적으로 결과 내용을 기술한다. 각 결과 페이지에는 관찰 사진과 FEOA(Fact 사실, Evidence 근거, Opinion 의견, Application 활용 방안)를 담아서 내용을 탄탄하게 만든다. 결과 보고 / 2517
  • 18. 결과 요약 예제 / 2518 구매 시간은 짧게 먹는 시간은 길게 만드는 경험 1. 밀크셰이크의 주요 고객은 아침 출근길 구매자이다. 출근길에 지루함을 달래기 위함. 2. 다른 음식으로 대체한 경험이 있다. 금방 다가올 허기를 대비함. 3… 5. 이해/관찰 단계에서 발견한 사실 사용자 행동/감정의 숨겨진 이유 이해/관찰 단계에서 발견한 사실. 최소 5가지 준비 사용자 행동/감정의 숨겨진 이유 000에 집중된 경험 방향 제시
  • 19. 1. 밀크셰이크의 주요 고객은 아침 출근길 구매자이다. 사진 사진 승용차를 타고 혼자 오는 사용자가 50%를 차지했고 이 중 00%는 단품을 구매했다. 구매 후, 차를 타고 바로 이동했다. ~ 하는 거로 봐서 매장 입장부터 나감까지 조급함과 서두름이 목격됐 다. [특징] 바로 주문 및 픽업 가능한 시스템 제공 예 : 밀크셰이크 전용 자판기, 선불 카드, 미리 주문하고 픽업 차에서 내리지 않고 구매 시스템 제공 예 : 드라이브 스루(Drive-Thru) [활용방안] 사실 F 의견 O 근거 E 구체적 결과 내용 예제 / 2519 활용방안 A
  • 20. 2. 다른 음식으로 대체한 경험이 있다. 사진 사진 바나나는 다 먹는 데 3분 걸렸다. 하지만 바로 배가 고파졌다. 도넛은 손과 운전대에 기름기가 묻었고 부스러기가 떨어졌다. 1시간 동안 포만감이 지속되었다. 밀크셰이크의 포만감은 1시간 정도 갔 다. 자차 운전자에게 포만감은 높고 먹기 깔끔한 음식이 필요하다. [특징] 먹는 시간이 길게 걸쭉히 만든다. 마시는 것이 지루할 수 있으니 씹는 맛을 더 한다. 예 : 과일 또는 크런치 한 음식 추가 포만감이 높은 셰이크를 기획한다. [활용방안] 사실 F 의견 O 근거 E 구체적 결과 내용 예제 / 2520 활용방안 A
  • 21. 복습 : 관찰 단계 분석 단계 : 방법 중간 공유 형식 팀별 관찰 단계 진행 / 2521
  • 22. PPT 10장 내 구성 커버 / 목차 / 이해 단계의 내용 팀의 목적물 소개와 팀의 B.Q와 Answer(목적물의 근본 원인) 제시(알아 본 내용 포함) / 관찰 단계의 내용 팀의 사용자 조사 목표 소개, 조사 대상, 조사 방법 및 진행 모습 소개 / 분석 단계의 내용 결과 요약 1장 + 구체적 결과 내용 N장 - > 경험 방향 제시 준수사항 / 2522
  • 23. 복습 : 관찰 단계 분석 단계 : 방법 중간 공유 형식 팀별 관찰 단계 진행 / 2523
  • 24. [조사 배경] 스타일 서비스에 여성 사용자 유입 증가를 위해 어필할 기회 요소 발굴 여성 사용자의 모바일, 태블릿 디바이스 이용 증가에 따른 대응 수준 확인 [조사 목적] 스타일 서비스에 20~30대 초반 여성 사용자의 패션/뷰티/쇼핑 콘텐츠 형태를 이해하고 향후 태블릿에서 제공할 신규 애플리케이션 스타일 서비스의 콘셉트 방향성 도출 [조사 목표] 사용자들의 평소 패션/뷰티/쇼핑 정보 소비 행태 확인 사용자들의 평소 태블릿 이용 행태 확인 태블릿 사용자들의 평소 패션/뷰티/쇼핑 정보 소비 패턴 및 니즈 발견 [조사 대상] 기간 : 2020년 0월 0일(금) ~ 0월 0일(금) 참여자 : 총 N명 홈 비지트 참여자 선정 기준 : [공통] 스타일 서비스 사용자, [연령] 20대, 30대 초반, [거주지] 서울에 거주하는 여성 언포커스 그룹 인터뷰 참여자 선정 기준 : [공통] 스타일 서비스 사용자, 언포커스 그룹 사용자 정의 [조사 방법 및 내용] 홈 비지트와 언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두 가지 방법으로 조사 진행 [분석 관점] 20~30대 여성의 Life/Style/Shopping에 관한 소비 형태를 User, Task, Context 가지 관점으로 분석 / 2524
  • 25. 끝. kwonjeongeun@naver.com 다음 주 과제 : 팀별 관찰/분석 단계 진행 추천 도서 <명견만리 1> 인구, 경제, 북한, 의료 편 <명견만리 2> 윤리, 기술, 중국, 교육 편 <명견만리 3> 정치, 생애, 직업, 탐구 편 <명견만리 4> 불평등, 병리, 금융, 지역 편 / 2525